KR200485793Y1 - 와치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 및 이를 부착한 와치 - Google Patents

와치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 및 이를 부착한 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793Y1
KR200485793Y1 KR2020160000334U KR20160000334U KR200485793Y1 KR 200485793 Y1 KR200485793 Y1 KR 200485793Y1 KR 2020160000334 U KR2020160000334 U KR 2020160000334U KR 20160000334 U KR20160000334 U KR 20160000334U KR 200485793 Y1 KR200485793 Y1 KR 200485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display unit
delete delete
watch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3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701U (ko
Inventor
지인배
장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20201600003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793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7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7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7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0Indicating by numbered bands, drums, discs, or shee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15Light-, colour-, line- or spot-effects caused by or on stationary par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76Decoration of the case and of parts thereof, e.g. as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와치가 개시된다. 본 와치는 표시부, 표시부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제공부, 표시부의 상면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 및 액세서리가 부착되고, 광원제공부에 의해 광원이 턴 온 상태이며, 액세서리가 기 설정된 조작에 의해 표시부의 소정 영역을 덮는 경우, 광원을 턴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와치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 및 이를 부착한 와치{Detachable Accessory on Watch, The Watch Using The Accessory}
본 고안은 와치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와치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 및 이를 부착한 와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와치(Watch)도 발전되고 있다. 와치는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전자와치 초침/분침/시침 등이 태엽을 동력으로 움직이는 태엽와치 시간 확인을 넘어 패션을 위한 패션 와치 등을 포함한다.
이런 패션 와치는 액세서리를 상기 와치에 탑재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액세서리가 사용자에게 선호도가 떨어진 경우에도, 액세서리와 패션 와치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사용자 편의성이 고려된 패션 와치의 대두가 요청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 1990-0010497호(1990.07.07.)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일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와치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심미성을 유발하는 액세서리를 부착한 와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액세서리가 와치의 특정 영역을 가리는 경우, 광원이 오프되는 와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특정 전자파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와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제공부; 상기 표시부의 상면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 및 상기 액세서리가 부착되고, 상기 광원제공부에 의해 광원이 턴 온 상태이며, 상기 액세서리가 기 설정된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부의 소정 영역을 덮는 경우, 상기 상기 광원을 턴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양태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고안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와치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심미성을 유발하는 액세서리를 부착한 와치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액세서리가 와치의 특정 영역을 가리는 경우, 광원이 오프되는 와치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특정 전자파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와치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섯째, 실증난 액세서리를 변경하기 쉬운 와치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섯째, 배터리 사용을 절약하는 와치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고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를 탑재한 와치의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모양의 아이템을 탑재한 와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는 경우, 액세서리 모양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이 접히는 경우, 와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가 감지된 경우, 액세서리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와치(100)의 외관은 베젤(11), 조작 버튼(12), 표시부(13), 와치 밴드(1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11)은 원형, 다각형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젤(11)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베젤(11)에 외부 액세서리가 부착될 수 있다. 베젤(11)과 외부 액세서리는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결합방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조작 버튼(12)은 표시부(13)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변경할 수 있고,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표시부(13)는 디스플레이방식으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표시부(13)는 어린이용 와치의 경우, 특정 캐릭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표시부(13)는 조작 버튼(12)이 눌리는 경우,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와치 밴드(14)는 사용자 손목에 와치(100)를 고정하는 것으로 가죽, 고무, 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와치(100)는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15)와 부착될 수 있다.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15)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모양의 아이템(15-1~15-8)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15-1~15-8)은 원모양, 별모양, 다각형모양, 꽃모양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액세서리(15)의 아이템(15-1~15-8)이 표시부(13)를 기준으로 방사형태로 베젤(11)과 부착될 수 있다. 액세서리(15)는 베젤(1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고, 베젤(11)의 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와치(100)의 구성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방식이 아닌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캐릭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자체적으로 발광될 수 있으나, 단순히 캐릭터나 홀로그램을 표시할 수도 있다.
화면 전환 입력부(12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화면 변경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50)로 해당 이벤트를 알릴 수 있다.
광원제공부(130)는 표시부(110)에 자체적으로 광원을 제공할 수 있고, 베젤(11)의 안쪽에 배치되어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밝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조도 감지 센서(140)는 표시부(110)의 일정 영역이 어두운지 밝은지 감지하는 센서(140)이다.
제어부(150)는 와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모듈이다.
조도 감지 센서(140)가 와치(100)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액세서리에 포함되어 표시부(110)의 소정 부분을 덮는지 아닌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모양의 아이템을 탑재한 와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아이템(16-1~16-8)은 삼각형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아이템(17-1~17-8)은 별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이템(16-1~16-8)은 상술한 모양 이외에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및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는 경우, 액세서리 모양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아이템(18-1~18-6)을 측면에서 시계방향으로 돌리는 경우, 아이템(18-1~18-6)은 접히는 것과 같이 와치(100)의 중앙으로 이동된다. 이때, 아이템(18-1~18-6)은 표시부의 상면의 법선과 나란한 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이동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에 따르면, 아이템(18-1~18-6)을 측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는 경우,
아이템(18-1~18-6)은 펼쳐지게 되어, 면적이 커진다.
이때, 사용자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는 속도에 의해서 아이템(18-1~18-6)의 접히거나 펼쳐지는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템(18-1~18-6)에 터치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아이템(18-1~18-6)은 이에 대응되도록 접히거나 펼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도 감지 센서를 구비한 액세서리가 빛을 감지하여 특정 상황이 만족되면 아이템(18-1~18-6)을 조작하거나 표시부의 광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가령, 조도 감지 센서를 구비한 액세서리가 빛량이 소정 수준을 초과한 경우, 밤이라고 판단하여 표시부의 광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이때, 소정 시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광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이 접히는 경우, 와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아이템(19-1~19-8)이 접히는 경우, 조도 감지 센서(140)는 표시부(110, 13)에 빛이 소정 량보다 적은 경우, 표시부(110)로 제공되는 광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는 조도 감지 센서(140)를 제어하여 표시부(110, 13)에 빛이 소정 량보다 많은 경우, 표시부(110)로 제공되는 광원을 다시 온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준이 되는 빛의 량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파가 감지된 경우, 액세서리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액세서리(15)는 베젤(11) 영역에 탈부착될 수 있다. 액세서리(15)는 주변 이동 단말기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감지하여 특정 광원을 턴온시킬 수 있다.
가령, 액세서리(15)는 이동 단말기에 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콜 신호에 대응되는 전자파를 감지하여 레드 광원을 턴온시킬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15)는 이동 단말기에 메시지 수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메시지 수신 신호에 대응되는 전자파를 감지하여 블루 광원을 턴온시킬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15)는 이동 단말기에 GPS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 이벤트에 대응되는 색상의 광원을 턴온시킬 수 있다.
본원고안은 종래의 어린이 시계에 LED 등이 없어 화면을 켜지 않고는 디바이스의 상태를 알기 어려움을 극복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Claims (21)

  1. 와치에 있어서,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제공부;
    상기 표시부의 둘레에 배치된 베젤;
    상기 베젤의 상면 또는 측면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 및
    상기 액세서리가 기 설정된 조작에 의해 상기 표시부의 상면 중 소정 영역을 덮거나 오픈할 때 상기 표시부의 광원을 턴 오프시키거나 턴 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표시부를 기준으로 방사형태로 상기 베젤에 배치되는 동일한 모양을 갖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이템은,
    상기 표시부의 상면의 법선과 나란한 방향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표시부의 상면 중 소정 영역을 덮도록 중첩하거나,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표시부의 상면 중 소정 영역을 오픈시키도록 펼쳐지는, 와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이템은,
    적어도 하나의 꽃모양, 별모양, 원형모양 및 다각형모양 중 하나를 포함하는, 와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작은,
    상기 액세서리의 일면을 터치하는 조작을 포함하는, 와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조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조작은,
    상기 조도 감지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값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수행되는, 와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조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기 설정된 조작은,
    상기 조도 감지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값이 소정의 타임구간동안 인식되지 않는 경우 수행되는, 와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의 일면을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회전 속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액세서리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아이템이 상기 표시부의 소정 영역을 덮는, 와치.
  21.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의 일면을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회전 속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액세서리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아이템이 상기 표시부의 소정 영역을 덮지 않는, 와치.
KR2020160000334U 2016-01-20 2016-01-20 와치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 및 이를 부착한 와치 KR200485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334U KR200485793Y1 (ko) 2016-01-20 2016-01-20 와치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 및 이를 부착한 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334U KR200485793Y1 (ko) 2016-01-20 2016-01-20 와치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 및 이를 부착한 와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01U KR20170002701U (ko) 2017-07-28
KR200485793Y1 true KR200485793Y1 (ko) 2018-02-22

Family

ID=5939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334U KR200485793Y1 (ko) 2016-01-20 2016-01-20 와치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 및 이를 부착한 와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793Y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497A (ja) 1988-06-28 1990-01-16 Nec Eng Ltd 流通業務端末機における売上げ管理方式
KR20000034317A (ko) * 1998-11-28 2000-06-15 윤종용 더블 플립을 갖는 와치 타입 텔레폰
JP2009514358A (ja) * 2005-11-02 2009-04-02 キョウセラ ワイヤレス コープ. 交換可能なアクセサリモジュールを有する携帯型の通信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KR20130126460A (ko) * 2012-05-11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착탈식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01U (ko) 201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9788B2 (en)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146594B1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KR102362014B1 (ko)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7850869B (zh) 智能手表和用于控制智能手表的方法
EP2913723A1 (en) Mechanical/quartz movement smart watch hybrid
US10152169B2 (en) Protective case with cover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160342141A1 (en) Transparent capacitive touchscreen device overlying a mechanical component
TWI431363B (zh) 可撓式顯示裝置及其防誤觸方法
EP3091421B1 (en) Smart watch
JP6895101B2 (ja) 表示モジュール、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JP2016059751A (ja)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US20160063664A1 (en) Display device with multi-processor,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storage medium having control program stored thereon
WO2016098519A1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6432767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CN105378434A (zh) 信息显示装置
KR200485793Y1 (ko) 와치에 탈부착 가능한 액세서리 및 이를 부착한 와치
CN109752944A (zh) 一种基于柔性透明液晶显示屏的智能手表
JP2017146614A (ja)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KR102092300B1 (ko) 멀티 제어 장치
CN207115039U (zh) 一种智能手表
WO2021042433A1 (zh) 智能手表
CN108710440B (zh) 互动系统及其手持装置
US10642228B1 (en) LED-backed housing split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6439827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CN105320266A (zh) 一种腰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