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688Y1 - 광센서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광센서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688Y1
KR200485688Y1 KR2020150003347U KR20150003347U KR200485688Y1 KR 200485688 Y1 KR200485688 Y1 KR 200485688Y1 KR 2020150003347 U KR2020150003347 U KR 2020150003347U KR 20150003347 U KR20150003347 U KR 20150003347U KR 200485688 Y1 KR200485688 Y1 KR 200485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ensor
substrate
inflow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151U (ko
Inventor
이찬우
Original Assignee
이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우 filed Critical 이찬우
Priority to KR2020150003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68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1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1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6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95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removing other types of optical noise or for performing calib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71Housings; Attachments or accessories for photometers

Abstract

본 고안은 빛이 의도치 않게 조사되어 광센서가 오작동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현한 광센서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며, 조도를 전달받아 전달받은 조도에 따라 점멸등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기판부; 기판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의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를 상기 제어회로로 전달하는 센서부; 센서부를 내장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잘못된 빛이 센서부로 유입되어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부; 및 본체부의 상부를 덮어 기판부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센서 감지장치 {Sensing Apparatus Of Optical Sensor}
본 고안은 광센서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빛이 의도치 않게 조사되어 광센서가 오작동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현한 광센서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센서 감지장치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감지하여 그 감지된 빛의 세기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광센서 감지장치는, 간판, 비상구, 경고등, 가로등, 현관등, 자동차의 점멸등 등에 사용되는데, 광센서에 의하여 외부의 밝기에 따라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고, 해당 감지한 조도 값을 비교제어장치에 입력함으로써, 비교제어장치에서는 광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조도 값과 내부메모리에 저장해 둔 기준 값을 비교하여 등을 켜거나 꺼지도록 해 준다. 또한, 조명장치의 자동 ON/OFF를 위해서는,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특히, CDS 센서)를 도입하여 조명장치의 점멸을 자동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174173호(1998.11.03. 등록)는 광센서를 이용한 전조등 자동 광량 조절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전기 장치를 동작시키는 전원이나 운전자의 의지를 반영하는 스위치부와, 스위치부의 동작에 의해 차량 주위의 광량을 측정하여 그 세기에 대해 데이터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서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에 따라서 전압을 분배하는 전압 분배부와 전압 분배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버퍼부와, 버퍼부를 통해 입력된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해서 광량에 따라 전압을 출력하는 비교부와,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받아 작동하여 주위에 밝기에 맞는 빛을 비춰 주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주위의 빛을 감지하여 능동적으로 헤드램프를 온/오프 시킴으로써, 헤드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상태차량에서 불쾌감을 덜어줄 수 있으며, 등화 장치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68536호(2013.06.26. 공개)는 야간 또는 어두운 차량 내에서 사용자가 간단한 제스처를 취함으로써, 차량 내 일정한 위치를 밝게 볼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이 있으며, 또한 차량 내의 조명을 키고자 할 때에 조명의 위치를 찾거나 스위치를 찾아 켜고 물건을 찾거나 내부를 확인하지 않고, 조명이 밝혀지기를 원하는 물건 등이 있는 해당 위치에서 간단한 제스처를 취함으로써 조명을 켤 수 있도록 하는 조명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조명을 구비한 조명부와, 조명부 일측에 설치되며, 조명이 비추어지는 범위 내에서 행하여지는 비접촉식 제스처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에서 검출된 제스처가 미리 저장된 패턴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미리 저장된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조명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처리부와, 신호처리부에서 발생한 신호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광센서 감지장치는, 야간에 차량의 불빛 등의 외부 광원으로 조도감지용 광센서의 잘못된 센싱에 의하여 등을 소등하는 경우에, 의도치 않게 광원의 빛이 광센서로 조사되어 주간 상황으로 인식하여 등을 소등하고, 다시 광센서의 감지로 등을 점등하는 등과 같이, 등의 ON/OFF(즉, 점멸)을 반복하는 현상에 의해서 오작동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174173호 한국공개특허 제2013-0068536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빛이 의도치 않게 조사되어 광센서가 오작동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광센서에 차폐수단을 도입시켜 구현한 광센서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며, 조도를 전달받아 전달받은 조도에 따라 점멸등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기판부; 상기 기판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의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를 상기 제어회로로 전달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내장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잘못된 빛이 상기 센서부로 유입되어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덮어 상기 기판부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는 광센서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센서부를 감싸면서 전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전면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당한 빛을 받기 위한 유입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폐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유입홀로 유입되는 빛의 유입각도가 45°~ 15°이하인 경우에 유입된 빛의 조도를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유입홀에서 내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일정한 각도로 유입받기 위한 유입부재; 및 상기 유입부재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재를 통해 유입받은 빛을 상기 센서부에 유입하기 위한 보조유입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양측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기판부의 양측을 각각 삽입 장착하기 위한 두 개의 장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장착부재의 전면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부를 상기 장착부재 사이에 장착한 경우에 상기 기판부가 전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기판부를 상기 장착부재 사이에 장착한 경우에 상기 기판부가 전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해 주기 위한 고정바; 상기 장착부재의 일말단과 상기 고정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힌지; 상기 고정바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재의 다른 일말단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 및 상기 장착부재의 다른 일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걸기 위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폐부는, 후면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판부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홀에 체결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폐부는, 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부에 형성된 다수 개의 돌기를 삽입하여 체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차폐부의 대향되는 전면부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상기 센서부에 유입하기 위한 유입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빛이 의도치 않게 조사되어 광센서가 오작동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광센서에 차폐수단을 도입시켜 구현한 광센서 감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등의 ON/OFF(즉, 점멸)을 반복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이에 광센서가 제어회로로 불필요한 점멸을 명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광센서 감지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차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본체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고정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차폐부의 체결부재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차폐부의 체결부재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본체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광센서 감지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광센서 감지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센서 감지장치(100)는, 본체부(110), 기판부(120), 센서부(130), 차폐부(140), 덮개부(15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내부에 기판부(120)를 삽입 장착하며, 해당 장착된 기판부(120)를 보호하기 위해서 덮개부(150)가 상부를 덮는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1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인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투과시켜 센서부(130)가 빛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기판부(12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고, 전면에 센서부(130)를 설치하여, 센서부(130)로부터 조도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조도에 따라 점멸등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회로(121)를 구비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회로(121)는, 점멸등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 조도를 내부 메모리에 기 설정해 두며, 센서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조도와 기준 조도를 비교하여 해당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점멸등의 온/오프를 제어하는데, 예를 들어 센서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조도가 기준 조도보다 낮으면 점멸등을 온 제어해 주며, 반면에 센서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조도가 기준 조도보다 높으면 점멸등을 오프 제어해 줄 수 있다
센서부(130)는, 기판부(120)의 전면에 설치되고, 차폐부(140)에 내장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의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를 제어회로(121)로 전달한다.
차폐부(140)는, 센서부(130)를 내장하도록 기판부(1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잘못된 빛이 센서부(130)로 유입되어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차폐부(14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당한 빛을 센서부(130)의 전면부로 유입하도록 전면부가 개방 형성되고, 그 외의 부분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잘못된 빛을 차폐하기 위한 재질(예를 들어,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센서부(130)에 잘못된 빛(예를 들어, 차량에 의한 불빛 혹은 인위적인 후레쉬 불빛)을 유입하지 않고 정당한 불빛만 유입하도록 할 수 있어, 외부로부터 잘못된 빛이 센서부(130)로 유입되어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차폐부(140)는, 기판부(120)와 결합할 때에 기판부(120)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과 같은 부도체)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차폐부(140)는, 센서부(130)를 감싸면서 차폐부(140)의 전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센서부(130)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당한 빛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차폐부(140)는, 외부로부터 유입홀(141)로 유입되는 빛의 유입각도가 45°~ 15°(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인 경우에 유입된 빛의 조도를 센서부(130)에서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차폐부(140)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빛의 조도를 센서부(130)에서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일정한 길이를 χ라고 하면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χ를 계산할 수 있는데, 90°에서 α°를 뺀 각도를 구한 후, 해당 구한 각도에 대한 tan 값을 구하고, 해당 구한 tan 값에 a를 곱하여 빛이 유입되는 깊이를 구한 다음에, 해당 구한 빛 유입 깊이에 b를 더하여 χ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유입홀(141)의 반지름이며, b는 센서부(130)의 높이이며, α°는 유입되는 빛의 각도이다.
Figure 112015050603015-utm00001
일 실시 예에서, 차폐부(140)는, 유입홀(141)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홀(141)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당한 빛을 받기 위해 차폐부(140)의 전면에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입홀(141)은, 지름이 센서부(13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도록 형성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당한 빛을 센서부(130)가 감지하도록 해 줄 수 있다.
덮개부(150)는, 기판부(120)를 보호하기 위해 본체부(110)의 상부를 덮어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광센서 감지장치(100)는, 빛이 의도치 않게 조사되어 기판부(120)의 전면에 설치된 센서부(130)가 오작동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센서부(130)를 내장하도록 하는 차폐부(140)를 기판부(120)의 전면에 설치함으로써, 등의 ON/OFF(즉, 점멸)을 반복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이에 센서부(130)가 제어회로(121)로 불필요한 점멸을 명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차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폐부(140)는, 유입부재(142), 보조유입홀(143)을 더 포함한다.
유입부재(142)는, 유입홀(141)에서 내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중앙 부분에 보조유입홀(143)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일정한 각도로 유입받는다.
일 실시 예에서, 유입부재(142)는, 내부방향으로 경사지는 각도가 45°~ 15°(바람직하게는, 30°)로 형성시켜, 외부로부터 유입홀(141)로 유입되는 빛의 유입각도가 45°~ 15°(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인 경우에 유입된 빛의 조도를 센서부(130)에서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보조유입홀(143)은, 유입부재(142)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유입부재(142)를 통해 유입받은 빛을 센서부(130)로 유입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유입홀(143)은, 유입홀(141)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당한 빛을 센서부(130)가 감지하도록 해 줄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본체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두 개의 장착부재(111)를 포함한다.
장착부재(111)는, 본체부(110)의 양측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기판부(120)의 양측을 각각 삽입 장착하여, 기판부(120)를 본체부(110)의 내측에 장착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장착부재(111)는, 본체부(110)의 양측 내측면에 두 개의 가이드바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는데, 기판부(120)를 본체부(110)의 내측에 장착할 때에 기판부(120)의 상부면과 접하는 제1가이드바(1111)와, 기판부(120)의 하부면과 접하는 제2가이드바(1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12)를 더 포함한다.
고정부재(112)는, 장착부재(111)의 전면 말단에 형성되어, 기판부(120)를 장착부재(111) 사이에 장착한 경우에 기판부(120)가 전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 설치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112)는, 덮개부(150)의 하부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기판부(120)를 장착부재(111) 사이에 장착한 경우에 기판부(120)가 전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는 고정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재(112)는, 고정바(1121), 힌지(1122), 걸림돌기(1123), 걸림턱(1124)을 포함한다.
고정바(1121)는, 일측에 힌지(1122)를 형성하여 힌지(1122)에 의해 회동되며, 다른 일측에 걸림돌기(1123)를 형성하여 걸림돌기(1123)에 의해 걸림턱(1124)에 걸려서, 기판부(120)를 장착부재(111) 사이에 장착한 경우에 기판부(120)가 전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해 준다.
힌지(1122)는, 장착부재(111)의 일말단(즉, 제1가이드바(1111)의 말단)과 고정바(1121)의 일측에 형성되어, 고정바(1121)를 회동시켜 준다.
걸림돌기(1123)는, 고정바(1121)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장착부재(111)의 다른 일말단(즉, 제2가이드바(1112)의 말단)에 걸린다.
걸림턱(1124)은, 장착부재(111)의 다른 일말단(즉, 제2가이드바(1112)의 말단)에 형성되어, 고정바(1121)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123)를 걸어준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차폐부의 체결부재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폐부(140)는, 다수 개의 체결부재(144)를 포함한다.
체결부재(144)는, 차폐부(140)의 후면부에 돌출 형성되어, 기판부(1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홀(122)에 체결됨으로써, 차폐부(140)를 기판부(120)에 고정 설치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144)는, 차폐부(140)의 후면부에 두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차폐부(140)를 기판부(12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144)는, 말단에 걸림돌기를 더 구비하여, 차폐부(140)를 기판부(120)에 삽입할 때에, 걸림돌기를 기판부(120)의 관통홀(122)에 삽입한 후에 관통홀(122)의 하부면에 걸려 차폐부(140)를 기판부(120)에 단단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차폐부의 체결부재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폐부(140)는, 다수 개의 체결홈부재(145)를 포함한다.
체결홈부재(145)는, 차폐부(140)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기판부(1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돌기(123)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차폐부(140)를 기판부(120)에 고정 설치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홈부재(145)는, 차폐부(140)의 후면부에 두 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차폐부(140)를 기판부(120)에 단단히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본체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광센서 감지장치(100)는, 본체부(110), 기판부(120), 센서부(130), 차폐부(140)를 포함하되, 본체부(110)는 유입창부재(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판부(120), 센서부(130), 차폐부(14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유입창부재(113)는, 차폐부(140)의 대향되는 전면부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센서부(130)에 유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입창부재(113)는, 투명 또는 반투명인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투과시켜 센서부(130)가 빛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10)는, 유입창부재(113)를 제외한 부분을 불투명한 재질을 사용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잘못된 빛이 센서부(13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당한 빛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입창부재(113)를 통해 센서부(130)가 감지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광센서 감지장치
110: 본체부
111: 장착부재
1111: 제1가이드바
1112: 제2가이드바
112: 고정부재
1121: 고정바
1122: 힌지
1123: 걸림돌기
1124: 걸림턱
113: 유입창부재
120: 기판부
121: 제어회로
122: 관통홀
123: 돌기
130: 센서부
140: 차폐부
141: 유입홀
142: 유입부재
143: 보조유입홀
144: 체결부재
145: 체결홈부재
150: 덮개부

Claims (10)

  1. 투명 또는 반투명인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내부로 투과시키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의 조도에 따라 점멸등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회로(121)를 구비한 기판부(120);
    상기 기판부(1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의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조도를 상기 제어회로로 전달하는 센서부(130);
    외부로부터 잘못된 빛이 상기 센서부(130)로 유입되어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센서부를 내장하도록 기판부(120)의 전면에 설치되고, 빛이 차폐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되 전면부가 개방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로 투과되는 빛이 센서부(130)의 전면부로만 유입하도록 안내하는 차폐부(14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를 덮어 상기 기판부(120)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부(150)를 포함하는 광센서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140)는,
    상기 센서부(130)를 감싸면서 전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전면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당한 빛을 받기 위한 유입홀(14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140)는,
    외부로부터 상기 유입홀(141)로 유입되는 빛의 유입각도가 45°~ 15° 이하인 경우에 유입된 빛의 조도를 상기 센서부(130)에서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감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140)는,
    상기 유입홀(141)에서 내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일정한 각도로 유입받기 위한 유입부재(142); 및
    상기 유입부재(142)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재(142)를 통해 유입받은 빛을 상기 센서부(130)에 유입하기 위한 보조유입홀(14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감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양측 내측면에 두 개의 가이드바 형태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기판부(120)의 양측을 각각 삽입 장착하기 위한 두 개의 장착부재(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감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장착부재(111)의 전면 말단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장착부재(11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장착부재(111)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어, 상기 기판부(120)를 상기 장착부재(111) 사이에 장착한 경우에 상기 기판부(120)가 전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재(1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감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12)는,
    상기 기판부(120)를 상기 장착부재(111) 사이에 장착한 경우에 상기 기판부(120)가 전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해 주기 위한 고정바(1121);
    상기 장착부재(111)의 일말단과 상기 고정바(11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1121)를 회동시켜 주기 위한 힌지(1122);
    상기 고정바(1121)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재(111)의 다른 일말단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1123); 및
    상기 장착부재(111)의 다른 일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123)를 걸기 위한 걸림턱(1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감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140)는,
    후면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판부(1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홀(122)에 체결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부재(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감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140)는,
    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부(1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돌기(123)를 삽입하여 체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체결홈부재(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감지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차폐부(140)의 대향되는 전면부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상기 센서부(130)에 유입하기 위한 유입창부재(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감지장치.
KR2020150003347U 2015-05-27 2015-05-27 광센서 감지장치 KR200485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347U KR200485688Y1 (ko) 2015-05-27 2015-05-27 광센서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347U KR200485688Y1 (ko) 2015-05-27 2015-05-27 광센서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151U KR20160004151U (ko) 2016-12-07
KR200485688Y1 true KR200485688Y1 (ko) 2018-02-08

Family

ID=5757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347U KR200485688Y1 (ko) 2015-05-27 2015-05-27 광센서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68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1574A1 (en) 1998-01-29 2002-08-01 Nikon Corporation Irradiance photometer and exposure apparatus
US7173951B2 (en) 2003-03-25 2007-02-06 Sharp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laser device with light receiving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4173B1 (ko) 1996-10-29 1999-02-18 박병재 광센서를 이용한 전조등 자동 광량 조절장치
KR20000011090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메인회로기판 고정장치
KR20130068536A (ko) 2011-12-15 2013-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1574A1 (en) 1998-01-29 2002-08-01 Nikon Corporation Irradiance photometer and exposure apparatus
US7173951B2 (en) 2003-03-25 2007-02-06 Sharp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laser device with light receiving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151U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8776B2 (en) Vehicular light unit with multiple light sources
EP2867063A1 (en) On-vehicle interior illuminating device
CN107532445A (zh) 照明门槛屏障
CN111247032B (zh) 具有自动调光功能的前灯总成
KR101405385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WO2017082306A1 (ja) 開閉体駆動装置、車両用ドア、及び車両
TW200930591A (en) Projection-type head lamp capable of compensating for light of dark area
US20050068785A1 (en) Illuminating device for vehicle
KR200485688Y1 (ko) 광센서 감지장치
CN109724046A (zh) 车辆用灯具
JP5523140B2 (ja) 照明器具
JP2014037195A (ja) 照明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20160035011A (ko) 통합된 led들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 조명 부품용 조명 시스템
JP5544004B2 (ja) Led照明装置
US20170232883A1 (en) Accessory for vehicles for automating main beams complete with an electronic system for reducing optical disturbances
KR200405448Y1 (ko) 리모콘 수신부가 채용된 조명기구
JP2014086248A (ja) Led照明装置
EP2977275B1 (en) Rain detection device
CN108933381B (zh) 用于车辆的前照灯装置
JP4767740B2 (ja) 遮断機用警告灯
JP2005112235A (ja) 車両周辺暗視用灯具および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CN110131669A (zh) 机动车辆的照明和/或发光信号装置
KR101486336B1 (ko) 적외선 조명장치
JP2019090662A (ja) 光検出装置
JP2019061935A (ja) 車両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