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615Y1 -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615Y1
KR200485615Y1 KR2020160006582U KR20160006582U KR200485615Y1 KR 200485615 Y1 KR200485615 Y1 KR 200485615Y1 KR 2020160006582 U KR2020160006582 U KR 2020160006582U KR 20160006582 U KR20160006582 U KR 20160006582U KR 200485615 Y1 KR200485615 Y1 KR 200485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back panel
fastening
ho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온
Priority to KR2020160006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6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6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05B9/084Fastening of lock cylinders, plugs or cores
    • E05B9/086Fastening of rotors, plugs or cores to an outer stator
    • E05B9/088Means for preventing loss of tumblers during mounting or remo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과정에서 실외기를 놓치더라도 낙하되는 일이 없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문의 외측에 장착되는 실외기의 체결부에 구비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문 내측의 백패널을 구비하되, 상기 실외기의 체결부 내측에 가이드볼트 및 상기 가이드볼트에 일체로 형성된 스윙노브 그리고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백패널의 장공으로 인출 및 회전 가능한 임시체결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문의 외측에 실외기를 설치함에 있어서 실외기를 한손으로 잡고 실외기의 임시체결수단에 구비된 스윙노브가 백패널의 장공으로 돌출되도록 끼운 상태에서 스윙노브를 돌려 주는 것만으로 실외기를 놓더라도 실외기가 낙하되지 않으므로 여유로운 자세로 안전한 상태에서 실외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고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백패널과 실외기가 정확하고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Digital Doorlock Out-body Drop Preventing Apparatus}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사용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설치과정에서 실외기를 놓침에 따라 낙하되어 손상됨을 방지하기 위한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 과정을 살펴보면 현관문의 설치위치에 형성된 관통공에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를 밀접시키고, 관통공을 통하여 고정판과 맞조임되도록 하여 실외기를 고정시킨 후 실내기를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구체적인 구성을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91234(발명의 명칭: 디지털 도어락 고정 장치 ; 이하 '인용고안'이라 함)에 의하여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인용고안은 도1,2로 보인 바와 같이, 외측기(1)의 마감판(20)에 고정된 메인바디(50), 중간바디(60), 가결합커버(70)에는 복수개의 나사홀들(51,62,64)이 형성되어 있으며, 문에 관통되어 형성된 장착홀(2)에 상기 외측기(1)의 마감판(20)에 고정된 메인바디(50), 중간바디(60), 가결합커버(70)를 끼우고, 문의 장착홀(2) 내측에 브라켓(30)을 대고 나사부(91)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실외기(1)가 문의 장착홀(2)을 경유하여 브라켓(30)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는 실외기(1)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는 체결나사(인용고안의 나사부(91) 해당)가 백패널(인용고안의 브라켓(30)에 해당)과 문의 관통공(인용고안의 장착홀(2) 해당)을 지나 실외기(1)의 조임볼트 체결공(인용고안의 나사홀들(51,62,64) 해당)에 체결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체결 작업이 쉽지 않아 체결 볼트가 조여 지지 않은 상태에서 실외기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실외기가 낙하하게 되고, 그 결과 실외기가 바닥면에 충돌하여 변형되거나 흠집이 발생하여 새로운 실외기를 구하여 다시 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391234(발명의 명칭: 디지털 도어락 고정 장치)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과정에서 실외기를 놓치더라도 낙하되는 일이 없도록 한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의 외측에 장착되는 실외기의 체결부에 구비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문 내측의 백패널을 구비하되, 상기 실외기의 체결부 내측에 가이드볼트 및 상기 가이드볼트에 일체로 형성된 스윙노브 그리고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백패널의 장공으로 인출 및 회전 가능한 임시체결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문의 외측에 실외기를 설치함에 있어서, 실외기를 한손으로 잡고 실외기의 임시체결수단에 구비된 스윙노브가 백패널의 장공으로 돌출되도록 끼운 상태에서 스윙노브를 돌려주는 것만으로 실외기를 놓더라도 실외기가 낙하되지 않으므로 여유로운 자세로 안전한 상태에서 실외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고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백패널과 실외기가 정확하고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어서 안전하고 능률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 고정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2는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 고정 장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 외측기의 임시체결수단의 구성을 보인 분리 측면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 외측기의 임시체결수단을 문 관통공을 경유하여 백패널의 장공에 끼운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 외측기의 임시체결수단이 백패널 장공에 끼워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 외측기의 임시체결수단이 백패널 장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윙노브를 당긴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8은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 외측기의 임시체결수단이 백패널 장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윙노브를 회전시키고 체결나사를 체결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9는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 외측기가 임시체결수단에 의하여 백패널에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나사에 의한 체결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10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록 외측기의 임시체결수단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11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임시체결수단이 백패널 장공에 끼워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12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임시체결수단에 의하여 백패널에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나사에 의한 체결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3에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문(400)의 외측에 장착되는 실외기(100)의 체결부(101)에 구비된 체결공(102)과 상기 체결공(102)에 결합되는 체결나사(304)가 관통되는 문(400) 내측의 백패널(200)을 구비하되, 상기 실외기(100)의 체결부(101) 내측에 가이드볼트(301) 및 상기 가이드볼트(301)에 일체로 고정되는 스윙노브(301) 그리고 스프링(302)을 구비하여 상기 백패널(200)의 장공(201)으로 인출 및 회전 가능한 임시체결수단(30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실외기(100)의 체결부(101)는 체결공(102)이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며, 특히 본 고안에서는 체결부(101)의 내부에 가이드볼트(301) 및 스프링(302)을 넣고 상기 가이드볼트(301)의 선단이 체결부(101)의 통공(203)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윙노브(301)가 나사결합하거나 강제압입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여서 된 구조를 도4의 측면도로 보였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실외기(100)의 체결부(101)가 문(400)의 관통공(401)을 경유하여 문(400)에 진입되도록 끼운 상태에서 백패널(200)을 대고 임시체결수단(300)의 스윙노브(301)가 백패널(200)의 장공(201)을 통과하여 노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의 종단면을 도5로 보였고, 정면을 도6으로 보였다.
특히 도6으로 보인 바와 같이, 백패널(200)의 장공(201)으로 노출된 스윙노브(301)는 그 두께(D)가 장공(201)의 상하 높이(H)보다 작게 되어 장공(201)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그 폭(W)은 더욱 커서 다음과 같은 관계로 된다.
W > H > D
또한, 도6에서는 실외기(100)가 문(400)에 의하여 가려지므로 점선으로 실외기(100)를 표시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고안은 스윙노브(301)를 당겨주어 백패널(200)로 더욱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스프링(302)이 압축된 상태로 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를 도7로 도시하였다.
이어서 본 고안은 스윙노브(301)를 당긴 상태에서 그대로 90ㅀ회전시킴으로써 도8 및 도9로 보인 바와 같이 스윙노브(301)의 폭(W)이 장공(201)의 높이(H)보다 크므로 작업자가 손을 놓더라도 실외기(100)는 임시체결수단(300)의 스윙노브(301)가 백패널(200)에 걸려 낙하되지 않는 안전한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며, 스프링(302)의 탄발력으로 유동되지 않은 안정된 상태로 걸려 있게 된다. 아울러, 작업자는 도9로 보인 바와 같이, 체결나사(304)를 백패널(200)의 장공(201)으로 넣어 실외기(100)의 체결부(101)에 형성된 체결공(102)에 결합시킴으로써 도8로 보인 바와 같이 실외기(1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실외기(100)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실내기(도면에는 미도시함)는 백패널(200)의 내측기 고정공(202)에 볼트 결합함으로써 실외기(100)와 실내기를 모두 시공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임시체결수단(300)을 다른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은 문(400)의 외측에 장착되는 실외기(100)의 체결부(101)에 구비된 체결공(102)과 상기 체결공(102)에 결합되는 체결나사(304)가 관통되는 문(400) 내측의 백패널(200)을 구비하되, 도10으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100)의 체결부(101)의 통공(203) 내측에 두부(312) 및 스프링(302)을 구비하고, 체결부(101)의 통공(203) 외측에 와셔(311), 봉상노브(310)를 구비하여 상기 백패널(200)의 장공(201)으로 봉상노브(310)가 인출되고 및 회전 가능하도록 한 임시체결수단(3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봉상노브(310)는 그 두께(D)가 백패널(200) 장공(201)의 상하 높이(H)보다 작게 되어 장공(201)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11로 보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봉상노브(310)를 당기면서 그대로 당기면서 90ㅀ회전시키면 도12로 보인 바와 같이, 스윙노브(301)의 폭(W)이 백패널(200) 장공(201)의 높이(H)보다 커서 결과적으로 손을 놓더라도 실외기(100)가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여유롭게 체결나사(304)를 백패널(200)의 장공(201)으로 넣어 실외기(100)의 체결부(101)에 형성된 체결공(102)에 삽입하고 체결함으로써 정확하고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어느 경우에나 실외기(100)와 실내기는 전선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전선이 문(400)의 관통공(401)과 백패널(200)의 장공(201)을 경유하여 연결되는 것인바, 편의상 전선의 연결 상태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실외기 101 : 체결부 102 : 체결공
200 : 백패널 201 : 장공 202 : 내측기 고정공
203 : 통공 300 : 임시체결수단 301: 가이드볼트
302 : 스프링 303 : 스윙노브 304 : 체결나사
310 : 봉상노브 311 : 와셔 312 : 두부
400 : 문 401 : 관통공

Claims (4)

  1. 문의 외측에 장착되는 실외기의 체결부에 구비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문 내측의 백패널이 구비되되,
    상기 실외기의 체결부 내측에 스프링으로 탄력 지지되는 가이드볼트 및 상기 가이드볼트에 결합된 스윙노브가 구비되어 상기 백패널의 장공으로 인출 및 회전 가능한 임시체결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패널의 장공으로 노출된 스윙노브는 그 두께(D)가 장공의 상하 높이(H)보다 작게 되어 장공을 통하여 노출되고, 아울러 그 폭(W)은 상기 백패널의 장공 높이(H)보다 크게 하여 스윙노브 회동시 이탈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
  3. 문의 외측에 장착되는 실외기의 체결부에 구비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문 내측의 백패널이 구비되되, 상기 실외기의 체결부 통공 내측에 두부 및 스프링을 구비하고, 체결부의 통공 외측에 와셔, 봉상노브를 구비하여 상기 백패널의 장공으로 인출 및 회전 가능한 임시체결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백패널의 장공으로 노출된 봉상노브는 그 두께(D)가 장공의 상하 높이(H)보다 작게 되어 장공을 통하여 노출되고, 아울러 그 폭(W)은 상기 백패널의 장공의 높이(H)보다 크게 하여 봉상노브 회동시 이탈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
KR2020160006582U 2016-11-11 2016-11-11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 KR200485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582U KR200485615Y1 (ko) 2016-11-11 2016-11-11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582U KR200485615Y1 (ko) 2016-11-11 2016-11-11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615Y1 true KR200485615Y1 (ko) 2018-01-31

Family

ID=6127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582U KR200485615Y1 (ko) 2016-11-11 2016-11-11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61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697B1 (ko) * 2012-04-13 2012-07-20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 결합구조
KR101391234B1 (ko) 2013-07-05 2014-05-02 곽희상 디지털 도어락 고정 장치
KR200479092Y1 (ko) * 2015-07-08 2015-12-17 정영화 도어록용 고정수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697B1 (ko) * 2012-04-13 2012-07-20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 결합구조
KR101391234B1 (ko) 2013-07-05 2014-05-02 곽희상 디지털 도어락 고정 장치
KR200479092Y1 (ko) * 2015-07-08 2015-12-17 정영화 도어록용 고정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060B1 (ko) 노출형 계량기함
AU2022201242B2 (en) Pivot block
JP5919119B2 (ja) ドア装置
KR200485615Y1 (ko) 디지털 도어록의 실외기 낙하 방지장치
US20130269793A1 (en) Holder device for shower nozzle or the like
JP2013090054A (ja) 取付装置
EP3666117B1 (en) Bracket mounting structure
US20140021316A1 (en) Arrester Bracket Assembly
US10730174B2 (en) Overhead drilling apparatus
CN105530795B (zh) 滑轨用通用型前后锁结构
US20150252610A1 (en) Door mount
JP2016526795A (ja) エレクトロニクスおよび機器封止体のためのマウントフレームおよびレール
JPH08121878A (ja) 給湯機の壁掛装置
KR20220138591A (ko) 콘센트 벽면 고정 장치
CN208681563U (zh) 一种用于承载物料、工具的可旋转支架
KR101423314B1 (ko) 측량기 고정장치
US10895370B2 (en) Hands-free support bolt and method
KR101321530B1 (ko) 건식 건축물에 설치되는 시설물 고정장치
CN108086625B (zh) 一种用于安装在框架上的框架调节组件及其操作方法
JP4090360B2 (ja) 天井板取付具
CN104696252A (zh) 操作台结构及电风扇
JP2760609B2 (ja) リモコンの取付装置
KR100758182B1 (ko) 파이프 행거 클램프
KR102624432B1 (ko) 건축용 전선보호관 고정장치
DE102020002406B4 (de) Montagevorrichtung für Leuch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