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554Y1 - 얼음 틀 - Google Patents

얼음 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554Y1
KR200485554Y1 KR2020160003886U KR20160003886U KR200485554Y1 KR 200485554 Y1 KR200485554 Y1 KR 200485554Y1 KR 2020160003886 U KR2020160003886 U KR 2020160003886U KR 20160003886 U KR20160003886 U KR 20160003886U KR 200485554 Y1 KR200485554 Y1 KR 200485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ice
cover
member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152U (ko
Inventor
최준기
Original Assignee
최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기 filed Critical 최준기
Priority to KR2020160003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554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1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5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6Moulds with separate grid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이 담겨져서 냉동될 수 있도록 바닥면 및 측벽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빙 공간을 구비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빙 공간을 구획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격벽부재; 및 상기 트레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얼음 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얼음 틀{ICE CASE}
본 고안은 냉동실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담아서 제빙하는 얼음 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급된 물의 높이를 고르게 하는 얼음 틀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냉장고의 냉동실에서 물을 얼음을 얼릴 수 있도록 하는 제빙용기는 용기 본체의 내부가 격자상으로 구획되어 일정 크기의 제빙공간이 다수개 마련되는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제빙용기는 얼음을 얼리기 전에 물을 담는 과정에서, 격자상으로 단순히 구획됨으로 인해서, 물의 높이를 일치시키기 어려워 물의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물을 담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또한, 물의 높이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 얼음의 크기가 서로 다르거나, 사이즈가 너무 작아서 얼음의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제빙 용기의 밀폐가 잘 안되어서 얼음에 냉동고의 음식 냄새나 불순물의 공기가 스며들어가는 청결상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일 목적은 트레이 내부에서 물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물을 담을 수 있는 구조의 얼음 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일 목적은 냉동고의 음식 냄새나 불순물의 공기 유입을 방지하도록 내부를 밀폐하는 구조의 얼음 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얼음 틀은, 물이 담겨져서 냉동될 수 있도록 바닥면 및 측벽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빙 공간을 구비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빙 공간을 구획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격벽부재; 및 상기 트레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격벽부재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일 방향을 따라서 기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1부재;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2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는 일 측에 배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레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가압 또는 가압 해제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트레이 바닥에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부재가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커버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커버가 닫히는 상태에서, 상기 제빙 공간을 구획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부재 사이에 구획되는 상기 제빙 공간들을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부재의 하단에 적어도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에는 복수의 접촉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접촉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부재의 하단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져서 상기 제1 및 제2부재 사이에 구획되는 상기 제빙 공간들을 연통 가능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커버의 일 면에는 밀폐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측부의 상단에 접촉하여 상기 제빙 공간을 밀폐한다.
본 고안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측벽의 일 단에는 물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유입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 가이드부는, 지면과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양 측에 상기 경사면과 교차하도록 이루어지는 측면을 포함한다.
본 고안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상기 트레이의 일 측에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커버의 적어도 일 테두리에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회동 가능한 홀더가 설치되고,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얼음 틀은 격벽부재의 하단에 절개부가 형성됨으로써, 트레이 내부에서 물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물을 담을 수 있으며, 이로써 일정한 크기의 얼음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얼음 틀은 격벽부재가 커버에 일체로 형성되고, 커버를 닫게 되면, 격벽부재가 바닥면의 돌기부에 접촉하여 연통부를 형성함으로써, 트레이 내부에서 물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물을 담을 수 있으며, 이로써 일정한 크기의 얼음을 만들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얼음 틀은 커버의 밀폐부재에 의해 트레이의 제빙 공간을 밀폐함으로써, 냉동고의 음식 냄새나 불순물의 공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에 의한 얼음 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격벽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트레이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예에 의한 얼음 틀을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에 의한 얼음 틀(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격벽부재(2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트레이(10)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얼음 틀(100)에 대하여 서술한다.
본 고안의 얼음 틀(100)은 트레이(10), 격벽부재(20) 및 커버(30)를 포함한다.
트레이(10)는 바닥면(12) 및 측벽(14)으로 형성되는데, 트레이(10)는 내부에 제빙 공간(17)을 구비하여 물을 담을 수 있다.
측벽(14)의 일 단에는 유입 가이드부(14a)가 구비될 수 있는데, 유입 가이드부(14a)는 물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유입 가이드부(14a)는 지면과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14a-2) 및 경사면(14a-2)의 양 측에서 경사면(14a-2)과 교차하도록 이루어지는 측면(14a-1)을 포함한다. 유입 가이드부(14a)를 통해서 물을 트레이(10) 내부로 쉽게 담을 수 있다.
트레이(10)는 일 측에 배치되는 회전축(18) 및 회전축(18)에 연결되는 레버부재(19)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는, 커버(30)가 위치한 일 측의 트레이(10)에 회전축(18)이 구비되고, 커버(30) 뒤쪽의 트레이(10)에 점선으로 표현된 레버부재(19)의 일 예가 도시된다.
회전축(18)에는 격벽부재(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레버부재(19)가 가압 또는 가압 해제되면, 격벽부재(20)를 회전축(1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회전축(18)에는 레버부재(19) 및 격벽부재(20) 사이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도록 래치나 클립이 설치될 수도 있다.
격벽부재(20)는 트레이(10)에 설치되어 제빙 공간(17)을 구획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격벽부재(20)는 제1부재(22) 및 제2부재(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22)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일 방향을 따라서 기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2부재(25)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및 제2부재(22, 25)는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져서 하나의 부재를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부재(22)가 격벽부재(2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2부재(25)가 제1부재(2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일 예가 도시된다.
제1 및 제2부재(22, 25)의 하단에는 구획된 제빙 공간(17)을 연통 가능하게 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는 절개부(27a, 27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절개부(27a, 27b)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물이동공간(27a-1, 27b-1)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트레이(10)에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제빙 공간(17) 내에서 절개부(27a, 27b)의 물이동공간(27a-1, 27b-1)을 통해 물이 이동하여 트레이(10)의 제빙 공간(17) 내에서 일정한 높이로 물이 차며 공급되게 공급되어서 일정한 크기의 얼음을 만들 수 있게 된다.
격벽부재(20)는 트레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격벽부재(20)가 트레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얼음 틀(100)에 대하여 서술한다.
격벽부재(20)는 트레이(10)에 구비되는 회전축(18)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레버부재(19)의 가압 또는 가압해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1에는 트레이(10)의 회전축(18)에 제2부재(25)의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회전축(18)에는 레버부재(19)가 연결되어 있어서, 레버부재(19)를 가압하면 격벽부재(20)는 바닥면(12)으로부터 이격되게 되고, 레버부재(19)를 가압 해제하게 되면, 격벽부재(20)는 후술하는 홈(12a)에 결합되어, 제빙 공간(17)을 구획하게 된다.
격벽부재(20)는 트레이(10) 바닥에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닥면(12)에는 제1 및 제2부재(22, 25)의 각각의 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홈(12a)이 형성될 수 있다. 홈(12a)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12a)은 격벽부재(20)의 회전 운동을 고려하여, 회전하는 격벽부재(20)의 하단을 수용하도록 경사진 면 또는 곡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바닥면(12)에 형성되는 홈(12a)은 제1 및 제2부재(22, 25)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제1 및 제2부재(22, 25)가 설치되는 바닥면(12)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홈(12a)은 바닥면(12)에서 제1 및 제2부재(22, 25)가 설치되는 위치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일 예가 도시된다.
한편, 커버(30)는 트레이(1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30)의 내측에는 밀폐부재(33)가 결합될 수 있는데, 밀폐부재(33)는 커버(30)가 트레이(10)를 덮는 경우, 측벽(14)의 상단에 접촉하여 제빙 공간(17)을 밀폐한다.
또한, 커버(30)는 트레이(10)의 일 측에 힌지(35)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커버(30)의 적어도 일 테두리에는 홀더(37)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홀더(37)는 결합부(37a)를 구비한다. 측벽(14)의 적어도 일부에는 결합부(37a)에 삽입되도록 결합돌기(14b)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가 힌지(35)에 의해 트레이(10)에 결합되고, 측벽(14)의 결합돌기(14b)에 삽입되는 홀더(37)가 설치되어서 커버(30)는 트레이(10)를 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홀더(37)의 결합부(37a)와 결합돌기(14b) 사이의 결합에 의해 밀폐부재(33)는 측벽(14)의 상단을 더욱 강하게 가압하며, 제빙 공간(17)을 밀폐하게 된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예에 의한 얼음 틀(2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커버(23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격벽부재(220)의 얼음 틀(200)에 대하여 서술한다. 한편, 커버(23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격벽부재(220)의 얼음 틀(200)에 대하여 서술하지 않은 부분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서술한 얼음 틀(100)에 대한 설명 부분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격벽부재(220)는 커버(2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커버(23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격벽부재(220)는 커버(230)가 닫히게 되면 트레이(210)에 수용되어 제빙 공간(17)을 구획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바닥면(212)에는 제1 및 제2부재(222, 225)의 하단에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돌기(21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부재(222, 225)의 하단 중 적어도 일부는 커버(230)가 트레이(210)를 덮게 되면 복수의 접촉돌기(212b)와 접촉될 수 있는데, 복수의 접촉돌기(212b)는 격벽부재(220)의 하단 사이에서 제빙 공간(17)을 연통 가능하게 하는 연통공간(212b-1)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트레이(10)에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제빙 공간(17) 내에서 연통공간(212b-1)를 통해 물이 이동 가능하여 트레이(210)의 제빙 공간(17) 내에서 일정한 높이로 물이 차며 공급되어서 일정한 크기의 얼음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얼음 틀(100, 200)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210 : 트레이 12, 212 : 바닥면
12a : 홈 14 : 측벽
14a : 유입 가이드부 17 : 제빙공간
212b : 접촉돌기 212b-1 : 연통공간
20 : 격벽부재 22, 222 : 제1부재
25, 225 : 제2부재 27a, 27b : 절개부
30, 230 : 커버 33, 233 : 밀폐부재
37, 237 : 홀더 37a, 237a : 결합부

Claims (10)

  1. 물이 담겨져서 냉동될 수 있도록 바닥면 및 측벽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빙 공간을 구비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빙 공간을 구획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격벽부재; 및
    상기 트레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재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일 방향을 따라서 기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1부재;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일 측에 배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레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가압 또는 가압 해제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트레이 바닥에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부재가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부재 사이에 구획되는 상기 제빙 공간들을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부재의 하단에는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는 절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절개부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물이동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의 일 단에는 물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유입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 가이드부는,
    지면과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양 측에 상기 경사면과 교차하도록 이루어지는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 면에는 밀폐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측벽의 상단에 접촉하여 상기 제빙 공간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틀.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트레이의 일 측에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커버의 적어도 일 테두리에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회동 가능한 홀더가 설치되고,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틀.
KR2020160003886U 2016-07-05 2016-07-05 얼음 틀 KR200485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886U KR200485554Y1 (ko) 2016-07-05 2016-07-05 얼음 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886U KR200485554Y1 (ko) 2016-07-05 2016-07-05 얼음 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52U KR20180000152U (ko) 2018-01-15
KR200485554Y1 true KR200485554Y1 (ko) 2018-01-24

Family

ID=6127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886U KR200485554Y1 (ko) 2016-07-05 2016-07-05 얼음 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554Y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5939A (en) * 1940-08-21 1942-09-15 Birdie Lee Beem Ice tray
JPS5552306Y2 (ko) * 1976-05-27 1980-12-04
JPS6036856Y2 (ja) * 1981-09-30 1985-11-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製氷器
JPS63116870U (ko) * 1987-01-21 1988-07-28
JPH044675U (ko) * 1990-04-26 1992-01-16
JPH0484086A (ja) * 1990-07-27 1992-03-17 Hitachi Ltd 冷蔵庫用製氷皿
JPH04126969A (ja) * 1990-09-19 1992-04-27 Toshiba Corp 製氷装置
JPH0949672A (ja) * 1995-08-09 1997-02-18 Sharp Corp 製氷装置
KR20150000350U (ko) * 2013-07-15 2015-01-23 정찬문 아이스 트레이 구조
KR101526713B1 (ko) * 2013-11-21 2015-06-0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제빙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52U (ko) 201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186B1 (ko) 냉장고
US20210372687A1 (en) Refrigerator
KR101513876B1 (ko) 냉장고
US8302423B2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080041089A1 (en)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20140008597A (ko) 래치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EP3175188B1 (en) Refrigerator
KR20110090157A (ko) 홈바도어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102338539B (zh) 储藏单元以及具有储藏单元的制冷器具
KR200485554Y1 (ko) 얼음 틀
CN101375116B (zh) 用于冰箱的制冰装置和具有该制冰装置的冰箱
KR100783236B1 (ko) 냉장고용 아이스 트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JP2009172253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CN208665843U (zh) 一种抽屉式玻璃保鲜盒
EP3086062A1 (en) Refrigerator
KR100951287B1 (ko) 구획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EP3008409B1 (en) Refrigerator
KR20060074931A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MX2009001676A (es) Ensamble de bandeja para hielos y refrigerador que tiene el mismo.
KR20190023605A (ko) 냉장고
KR20130101904A (ko) 냉장고의 밀폐룸
US20190331386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20070064886A (ko) 냉장고 도어 밀착구조
CN103156493A (zh) 储藏液体食品例如奶的储藏容器
KR19990007058U (ko) 냉장고의 제빙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