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375Y1 - Multipurpose auxiliary headrest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auxiliary head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375Y1
KR200485375Y1 KR2020170001097U KR20170001097U KR200485375Y1 KR 200485375 Y1 KR200485375 Y1 KR 200485375Y1 KR 2020170001097 U KR2020170001097 U KR 2020170001097U KR 20170001097 U KR20170001097 U KR 20170001097U KR 200485375 Y1 KR200485375 Y1 KR 2004853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ay
cushion
headres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0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찬호
Original Assignee
김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호 filed Critical 김찬호
Priority to KR2020170001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37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37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N2/487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2Head-rests detachable
    • B60N2/487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79Head-rests with additional features not related to head-rest positioning, e.g. heating or cooling devices or 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쿠션 본체, 상기 쿠션 본체의 일측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쿠션 본체로 인입/인출되어 신축되는 제1 암, 상기 쿠션 본체의 타측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쿠션 본체로 인입/인출되어 신축되는 제2 암, 상기 제1 암의 말단부에 형성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암의 말단부에 형성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체결부는, 제1 차량용 시트백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제1 헤드레스트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형성된 제1 스테이그룹 중 어느 하나인 제1 스테이와 체결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차량용 시트백의 옆에 인접한 제2 차량용 시트백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제2 헤드레스트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형성된 제2 스테이그룹 중 어느 하나인 제2 스테이와 체결하여, 상기 쿠션 본체는, 상기 제1 차량용 시트백과 상기 제2 차량용 시트백 사이에 추가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 main body, a first arm which is located at one side end of the cushion main body and is extended / retracted by being drawn / drawn into / out of the cushion main body,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first arm,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second arm, where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head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first vehicle seatback, And a second stay join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ehicle seatback adjacent to the first vehicle seatback, the second stay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stay, which is one of the first stay groups formed downward at the lower end of the seatback, And a second stay that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at cushion and downwardly of the seat cushion, It provides a versatile auxiliary headrest,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the rest.

Description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 {MULTIPURPOSE AUXILIARY HEADREST}MULTIPURPOSE AUXILIARY HEADREST < RTI ID = 0.0 >

본 고안은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 다인용 승합차에 헤드레스트가 없는 보조석에도 헤드레스트를 장착할 수 있는 보조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assistant headres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headrest capable of mounting a headrest to an assisting seat without a headrest in a multi-purpose van.

통상 헤드레스트(headrest)는 시트의 머리 받침으로 추돌 사고 시 순간적으로 목이 뒤로 꺾여 목뼈가 손상되는 것을 미리 방지해 주기 위한 일종의 안전장치를 가리킨다.Usually, a headrest refers to a kind of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the neck bone from being damaged by momentarily bending the neck backward when the headrest of the seat collides with the headrest.

도 1은 종래 승합차에 장착된 시트가 배치된 일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인승 승합차의 내부에는 복수의 시트(1 ~ 3)가 한 행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그 중 어느 하나의 시트는 승합차의 차실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고 승차자의 좌석수를 늘리기 위하여 보조시트(2)가 설치되기도 한다.FIG. 1 is an example in which a seat mounted on a conventional van is disposed.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seats 1 to 3 can be arranged in one row in the inside of the multi-passenger vans, and any one of them can maximize utilization of the vehicle space of the vans, An auxiliary sheet 2 may be provided to increase the number.

보조시트(2)는 접이식으로 구현되어, 보조시트(2)가 접혀진 경우에는 차실 내 승차자가 통행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시트(2)가 펼쳐진 경우에는 승차자가 등을 기대어 착석할 수 있도록 승차자에게 지지력을 제공해준다.When the auxiliary seat 2 is folded, a passageway through which passengers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can pass is secured. When the auxiliary seat 2 is unfolded as shown in Fig. 1, And provides support to the rider so that he or she can sit on the back of the driver.

이와 같은 접이식 보조시트(2)는 등받이가 좌판부재와 교차하는 부분을 축으로 접히기 때문에 보조시트(2)의 상단부에는 헤드레스트가 장착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보조시트(2)는 착석한 승차자에게 머리 받침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Since the folding-type auxiliary seat 2 is folded on its axis by the portion of the backrest which intersects with the left-hand plate member, the headrest is not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seat 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drest can not be provided to the user.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solving such a problem.

본 고안은, 헤드레스트가 없는 보조석에도 인접 구조물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과 같은 헤드레스트는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탈착시 이동형 신체 부위 받침대 용도로 전용될 수 있는 헤드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 headrest using an adjacent structure even in a backstop without a headrest. In addition, the headrest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headrest that can be mounted and dismounted, and can be dedicated to the use of a portable body part pedestal upon removal or remova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쿠션 본체, 상기 쿠션 본체의 일측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쿠션 본체로 인입/인출되어 신축되는 제1 암, 상기 쿠션 본체의 타측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쿠션 본체로 인입/인출되어 신축되는 제2 암, 상기 제1 암의 말단부에 형성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암의 말단부에 형성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체결부는, 제1 차량용 시트백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제1 헤드레스트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형성된 제1 스테이그룹 중 어느 하나인 제1 스테이와 체결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차량용 시트백의 옆에 인접한 제2 차량용 시트백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제2 헤드레스트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형성된 제2 스테이그룹 중 어느 하나인 제2 스테이와 체결하여, 상기 쿠션 본체는, 상기 제1 차량용 시트백과 상기 제2 차량용 시트백 사이에 추가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hion main body, comprising: a cushion main body; a first arm located at one side end of the cushion main body and extending and retracted into and out of the cushion main body;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second arm,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first vehicle seatback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at a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arm, And a second stay coupled to the first stay, the first stay being formed at a lower end of a first headrest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first seat back, And a second stay group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eadrest mounted on the first seat back and the second stay group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eat back, It provides a versatile auxiliary headrest,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dditional headrest to the seat back between ryangyong.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암의 말단부에 상기 제1 스테이가 삽입되는 요홈을 가진 걸림부 및 상기 요홈에 삽입된 상기 제1 스테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요홈을 가로지르도록 체결되는 걸림쇠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having a groove into which the first stay is inserted at a distal end portion of the first arm, and a fastening portion to fasten the fastening portion to the first stay, And may include an interlocking fastener.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요홈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스테이와 마찰력을 형성하기 위해 실리콘 소재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may be a silicone material to form a frictional force with the first stay.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걸림쇠는, 나사결합이나 탄성결합으로 상기 요홈을 가로질러 체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atch can be fastened across the groove with a threaded or resilient connec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암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쿠션 본체로 인입되어, 상기 쿠션 본체는 이동형 신체 부위 받침대 용도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arms may be pulled into the cushion body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cushion body may have a use for a movable body part pedestal.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암은, 주름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쿠션 본체는, 주름관 형상의 상기 제1 암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쿠션 본체 내부에 포설된 제1 가이드관과, 주름관 형상의 상기 제2 암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쿠션 본체 내부에 포설된 제2 가이드관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arms have a corrugated pipe shape, and the cushion main body has a first guide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cushion main body for guiding in / out of the first arm of the bellows- And a second guide pipe disposed inside the cushion main body to guide a pull-in / pull-out of the second arm of a bellows-like shape.

일 실시예에 따라, 양단부 각각이 상기 쿠션 본체의 후방 좌우양측 각각에 고착된 탄성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of the opposite ends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and fix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of the cushion body.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는, 인접 구조물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가 없는 보조석에도 헤드레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The multipurpose assistant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eadrest to an assisting seat having no headrest by using an adjacent structur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는,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며, 탈착시 헤드레스트 이외에 이동형 신체 부위 받침대로서 활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and dismounted, and can be utilized as a portable body part stand in addition to the headrest when it is detach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는, 승차자의 신체 구조에 맞게 머리가 닿는 쿠션 본체의 높낮이 조절이나 전후방 이동 조절이 가능하다.Further, in the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ushion main body in which the head touches the body according to the body structure of the passenger, and to control the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도 1은 종래 승합차에 장착된 시트가 배치된 일 예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의 개념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의 체결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를 설치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를 쿠션으로 전용한 모습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의 쿠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쿠션에 탄성 밴드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의 암(arm)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보조 헤드레스트를 설치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의 개념도이다.
FIG. 1 is an example in which a seat mounted on a conventional van is disposed.
2A is a conceptual view of a multipurpose assistant head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multipurpose assistant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multipurpose auxiliary head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ultipurpose assistant head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used as a cushion.
5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cushion of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band is attached to the cushion of Fig. 4;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rm portion of the multipurpose assistant head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the auxiliary headrest shown in Fig. 7 is installed.
9 is a conceptual view of a multipurpose assistant headr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의 개념도이다.2A is a conceptual view of a multipurpose assistant head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100)는, 쿠션 본체(110), 상기 쿠션 본체(110)의 좌우양측단부에 좌우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 암(120, 130),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과 스테이(6b, 8a)를 결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체결부(128, 129)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이 체결되는 스테이(6b, 8a)는 서로 다른 시트백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의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보조 헤드레스트(100) 장착시, 도 1에 도시한 헤드레스트를 장착할 수 없는 보조시트(2)에도 헤드레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2A, the multipurpose auxiliary headrest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shion main body 110, first and second cushion main bodies 110, And second and third arms 120 and 130 and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128 and 129 for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to the stays 6b and 8a. The stays 6b and 8a,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are coupled, are headrests mounted on different seatbacks. When the auxiliary headres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headrest to the auxiliary seat 2 on which the headrest shown in Fig. 1 can not be mounted.

다만, 도 2a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A are not essential, so that a multipurpose assistant headrest having components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can be implemented.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쿠션 본체(110)는 신체 부위에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솜이나 스펀지 따위가 충진되어 외부에 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쿠션 본체(110)의 겉면은 천이나 가죽 따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가로누운 원통형이나 헤드레스트(6, 8) 형상일 수 있다.The cushion main body 110 is provided to allow a cushioning action on a body part, and a cotton or a sponge is filled therein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out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main body 110 may be made of cloth or leather, and the outer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cushion main body 1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or a headrest 6 or 8 shape.

쿠션 본체(110)의 좌우양측단부에는 제1 및 제2 암(120, 130)이 각각 좌우양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암(arm)(120, 130)이 상기 쿠션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됨으로써 쿠션 본체(110) 외부로 노출된 길이가 신축(伸縮)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cushion main body 110.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extend from the cushion main body 110, The length of the cushion main body 11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ushion main body 110 is expanded or contracted.

따라서, 제1 및 제2 암(120, 130)이 신장되어 양측 각각에 위치한 헤드레스트의 스테이에 결합된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보조 헤드레스트(100)는 헤드레스트가 없는 보조석에도 헤드레스트를 제공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이 수축된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보조 헤드레스트(100)는 이동형 쿠션으로 전용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are extended to be combined with the stays of the headrests located on both sides, the auxiliary headres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drest to the auxiliary stool without the headrest On the contrary, when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are contracted, the auxiliary headres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ransferred to the movable cushion.

한편, 제1 및 제2 암(120, 130)은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파이프 형상이거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관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or may have a corrugated shape as shown in FIG. 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이 길이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쿠션 본체(110)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가이드관(115, 116)이 포설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115, 116)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좌우양측 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115, 116)은 상기 쿠션 본체(110)의 전방 또는 후방 외면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보조 헤드레스트(100)를 헤드레스트 이외에 쿠션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에게 이물감을 제공하지 않도록 쿠션 본체(110)의 내부에 포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7,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are formed in the cushion body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guide pipes 115 and 116 may b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ipes 120 and 130.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can be extended or contracted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pipes 115 and 116. The first and second guide pipes 115 and 116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or rear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main body 110. When the auxiliary head rest 100 is used as a cushion other than the head rest, It is preferable that the cushion main body 110 is installed inside the cushion main body 110 so as not to provide the cushion main body 110 with the cushion.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복수의 파이프들이 면접하도록 끼움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파이프들이 단계별로 인출되거나 인입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의 전체 길이는 신축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are fit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have different diameter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can expand and contra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verall length of the second arms 120, 130 may be expanded or contracted.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 각각의 말단부에는 제1 및 제2 체결부(128, 13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128, 138) 각각은 제1 및 제2 스테이(6b, 8a)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테이(6b)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차량용 시트백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제1 헤드레스트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테이로 이루어진 제1 스테이그룹 중 어느 하나이고, 또 상기 제2 스테이(8a)는 제2 차량용 시트백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제2 헤드레스트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테이로 이루어진 제2 스테이그룹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제1 스테이(6b)는 제1 헤드레스트(6) 중 어느 하나의 스테이(바람직하게는 보조시트(2)측에 가까운 스테이)이고, 제2 스테이(8a)는 제2 헤드레스트(8) 중 어느 하나의 스테이(바람직하게는 보조시트(2)측에 가까운 스테이)일 수 있다. 결국, 좌우 양측에 인접한 스테이에 체결된 제1 및 제2 암(120, 130)은 쿠션 본체(110)를 공중에 지지하여 헤드레스트가 없는 보조시트(2)에도 헤드레스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128 and 138 may be formed at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128 and 138 May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tays 6b, 8a. 3, the first stay 6b is one of a first stay group made up of a plurality of stays formed downwardly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headrest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hicle seatback And the second stay 8a may be any one of a second stay group made up of a plurality of stays formed downwar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eadrest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ehicle seatback. 1, the first stay 6b is a stay (preferably a stay near the side of the auxiliary seat 2) of the first headrest 6, and the second stay 8a is a stay (Preferably a stay close to the side of the auxiliary seat 2) of the two headrests 8,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fastened to the stays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sides can support the cushion body 110 in the air, thereby providing the headrest to the auxiliary seat 2 without the headrest .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128, 138)와 스테이 간의 결합 방식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일 예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 각각의 말단부에는 부시(bush)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부시가 스테이를 감싸도록 결합됨으로써 쿠션 본체(110)를 지지할 수 있다.The manner of coupl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128, 138 and the sta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bush may be formed at the distal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and the bush may be coupled to surround the stay, Lt; / RTI >

이때, 부시는 스테이와 미끌어지지 않도록 내측면에 마찰력을 형성할 수 있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상기 부시는 스테이와 미끌어지지 않도록 상기 부시의 일 측면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고정 나사를 더 포함하여, 고정 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 나사의 선단부는 스테이의 외측면을 가압하고 이로 인해 상기 부시와 스테이 간에 마찰력이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bush may be made of a silicone material capable of forming frictional force on the inner side so as not to slip with the stay. Alternatively, the bush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screw threaded through one side of the bush so as not to slip with the stay, and the front end of the fixing screw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stay by screwing the fixing screw As a result, a frictional force may be formed between the bush and the stay.

또 다른 예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 각각의 말단부에는 스테이가 삽입되는 요홈(g1, g2)을 가진 걸림부(121, 131)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상기 요홈(g1, g2)을 가로지르도록 체결되는 걸림쇠(122, 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2A,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may have hooking portions 121 and 131 having grooves g1 and g2 for receiving stays, respectively.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latches 122 and 132 fastened to cross the grooves g1 and g2.

구체적으로, 제1 요홈(g1)에 제1 스테이(6b)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테이(6b)가 상기 제1 요홈(g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걸림쇠(122)는 상기 제1 요홈(g1)을 가로지르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쇠(122)와 상기 제1 요홈(g1)은 나사 결합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제1 요홈(g1)의 내측벽에는 상기 제1 걸림쇠(122)와 나합할 수 있는 나사결합공(미도시함)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stay 6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groove g1 while the first stay 6b is fitted in the first groove g1, And can be fastened to cross the first groove g1. At this time, the first pawl 122 and the first groove g1 can be screwed to each other. To this end, an inner wall of the first groove g1 is screwed to the first pawl 122, A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제1 걸림쇠(122)와 상기 제1 요홈(g1) 간의 나합을 위해 상기 제1 걸림쇠(122)의 말단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1 손잡이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handle 123 that can be held by the user may be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pawl 122 for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pawl 122 and the first groove g1.

여기서, 상기 제1 요홈(g1)에 삽입된 제1 스테이(6b)가 미끌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1 요홈(g1)의 내측면에는 마찰력을 형성할 수 있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first stay 6b inserted in the first groove g1 may be made of a silicone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 frictional for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groove g1 so that the first stay 6b does not slip.

한편, 상기 걸림쇠(122, 132)는 요홈(g1, g2)을 가로지로도록 나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으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즉, 걸림쇠(124)는 레버뭉치(125)에 포함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요홈(g1, g2)을 가로지르도록 슬라이딩되어 상기 요홈(g1, g2)과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링의 일 단부는 걸림쇠(124)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제1 손잡이부(126)가 뒤(도면상 좌)로 젖혀진 경우에는 제1 걸림쇠(124)는 요홈(g1, g2)과 결합되지 않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스프링에 의해 제공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걸림쇠(124)는 앞(도면상 우)으로 이동하여 요홈(g1, g2)과 결합될 수 있다. 도 2b에서 도시한 도면부호 126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이다.Meanwhile, the latches 122 and 132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interlocking the grooves g1 and g2, but may be fastened by elasticity as shown in FIG. 2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at is, the latch 124 is slid across the recesses g1 and g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included in the lever bundle 125, and can be fastened to the recesses g1 and g2. Specifically, one end of the spring is engaged with the distal end of the latch 124, so that when the first knob 126 is bent rearward (leftward as viewed in the figure), the first latch 124 is engaged with the grooves g1, The first latch 124 can be moved forward (in the drawing, rightward) b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provided by the spring to engage with the recesses g1, g2. Reference numeral 126 shown in FIG. 2B is a handle portion that can be held by the user.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헤드레스트(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를 구비하지 않은 보조시트(2)에도 인접 구조물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를 제공할 수 있고, 보조 헤드레스트(100)가 상기 인접 구조물과 탈착시 이동형 쿠션으로 전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headres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headrest to the auxiliary seat 2 having no headrest by using the adjacent structure, The cushion 100 can be transferred to the portable cushion when it is detached from the adjacent structure.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를 쿠션으로 전용한 모습의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헤드레스트(100)의 제1 및 제2 체결부(128, 138)는 스테이에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이렇게 탈착된 보조 헤드레스트(100)는 헤드레스트 이외에 타용도로 전용될 수 있다.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ultipurpose assistant head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used as a cushion. As shown in Fig. 4,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128 and 138 of the auxiliary headrest 100 can be mounted on or detached from the stay. The auxiliary headrest 100 thus detached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other than the headrest.

제1 및 제2 암(120, 130)은 접이식으로 구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의 폴딩 및/또는 쿠션 본체(110) 내 인입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의 말단부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제1 및 제2 암(120, 1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 쿠션 본체(110)는 이동형 신체 부위 받침대 용도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팔 받침대, 다리 받침대, 머리 받침대, 목 받침대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may be folded so that the folding of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and /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20 and 130 may not protrude outward. If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cushion main body 110 may have a use for a movable body part pedestal.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an arm support, a leg support, a head support, And so on.

제1 및 제2 암(120, 130)이 돌출되지 않게 접혀지거나 쿠션 본체(110) 내로 인입되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의 말단부는 단단하기 때문에, 이동형 받침대로 용도를 전환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이물감을 줄 수 있다.Even if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are folded without being protruded or drawn into the cushion main body 110, since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are rigid, Even if you switch, you can give the user a sense of foreign body.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헤드레스트(100)의 양 측면에는 측쿠션부(127, 137)가 부착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side cushion portions 127 and 137 can be attach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auxiliary headrest 100. [

일 예로, 쿠션 본체(110)의 양 측면(111, 112)과 측쿠션부(127, 137)의 마주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112a)에는 벨크로 직물로 이루어져, 쿠션 본체(110)와 측쿠션부(127, 137)가 쉽게 부착 및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쿠션 본체(110)의 일 측면(111, 112)에서 상기 측쿠션부(127, 137)와 마주하는 면 중 일부 면에는 다수의 갈고리 또는 걸림고리를 가진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측쿠션부(127, 137)의 일부 면에는 다수의 걸림고리 또는 갈고리를 가진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112a of the side surfaces 111, 112 of the cushion main body 110 and the facing surfaces of the side cushion portions 127, 137 is formed of a velcro fabric, (127, 137)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hat is, a part of the surface of one side 111, 112 of the cushion main body 110 facing the side cushions 127, 137 may be formed of a fabric having a plurality of hooks or hooks, The side cushion parts 127 and 137 may be formed of a fabric having a plurality of hooks or hooks on a part thereof.

여기서, 측쿠션부(127, 137)는 쿠션 본체(110)와 마찬가지로 신체 부위에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도록 내부에 솜이나 스펀지 따위가 충진되어 외부에 탄력을 제공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쿠션 본체(110)와 동일한 겉감과 동일한 충진 물질을 갖는 것이 좋다.Here, the side cushion parts 127 and 137 may be filled with cotton or sponge such that the side cushion parts 127 and 137 can buffer the body parts in the same manner as the cushion main body 110,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same filling material as that of the main body 110.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와 같이 쿠션으로 전용된 보조 헤드레스트(100)는, 시트백, 타 헤드레스트(6, 8) 또는 스테이 등에 끼워져 사용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쿠션 본체(110)의 후방에 신축성이 있는 탄성 밴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headrest 100, which has been converted into a cush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 seat back, a head rest 6, 8, The elastic cushion 140 may further include a stretchable elastic band 140 at the rear of the cushion body 110.

상기 탄성 밴드(140)의 양단부 각각은 상기 쿠션 본체(110)의 후방 좌우양측에 고착되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적어도 하나의 탄성 밴드의 양단부 각각이 상기 쿠션 본체(110)의 후방 상하양측에 고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Each of the opposite ends of the elastic band 140 is fix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of the cushion body 110 or alternatively the opposite ends of at least one elastic band are fixed to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of the cushion body 110 .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은 주름관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암(120´, 130´)은 쿠션 본체(110)를 지지하기 위해 소정의 강성을 가진 철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암(120´, 130´)이 주름관 형태이기 때문에 가요성을 가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 본체(110)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may have a corrugated shape.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formed of the corrugated tube may be made of steel having predetermined rigidity to support the cushion body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Have flexibility, so that the cushion main body 110 can be adjusted in height or moved forward and backward as shown in FIG.

즉, 스테이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암(120´, 130´)은 쿠션 본체(110)의 양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쿠션 본체(110)의 높이가 후두부보다는 다소 낮은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요성을 가진 제1 또는 제2 암(120´, 130´)이 절곡됨으로써 쿠션 본체(110)의 높이는 조정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coupled to the stay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ushion main body 110, the height of the cushion main body 110 may be somewhat lower than the rear head, The height of the cushion main body 110 can be adjusted by bending the first or second arm 120 'or 130' having flexibility.

또, 가요성을 가진 제1 및 제2 암(120´, 130´)은 전후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고, 절곡된 제1 및 제2 암(120´, 130´)에 의해 위치가 조정된 쿠션 본체(110)는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의 후두부 위치에 맞게 지지력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편안함을 줄 수 있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 130' having flexibility can be ben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cushion can be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cushioned first and second arms 120 ', 130' The main body 110 can provide the user with comfort and comfort by providing a support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ack of the user seated on the sea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암(120´, 130´)이 주름관 형태를 가지더라도 소정의 강성을 갖기 때문에 완전히 접혀지기는 어렵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및 제2 가이드관(115, 116)이 쿠션 본체(110) 내부에 포설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암(120´, 130´)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115, 116)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115, 116)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redetermined rigidity even though they have a corrugated pipe shape,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fold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First and second guide pipes 115 and 116 for guiding in / out of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are installed in the cushion main body 110, May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pipes (115, 116) in the first and second guide pipes (115, 116).

결국,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관(115, 116)의 내부에서 주름관 형태의 제1 및 제2 암(120´, 130´)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제1 및 제2 암(120´, 130´)은 길이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in the form of a corrugated tube are sli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irst and second guide pipes 115 and 116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 , 130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제1 또는 제2 체결부(128, 138)는 제1 또는 제2 암(120, 130)의 말단부에 위치하되 서로 나사 결합 등으로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며, 제1 또는 제2 암(120, 130)의 말단부에 탈장착이 가능한 상기 제1 또는 제2 체결부(128, 138)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다.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128 and 138 are located at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arms 120 and 130 and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by screwing or the like. 120, and 130, the first or second fastening portions 128 and 138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따라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체결부(128, 138) 중 어느 하나는 차실 내벽이나 유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흡착판(142)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128 and 138 may include a suction plate 142 so as to be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vehicle or the glass.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체결부(128, 138)는, 피접착면과 압착에 의한 흡착력을 형성하기 위한 흡착판(142)과, 상기 흡착판(142)의 배면에 형성된 암 결합바디(141)를 포함하되, 상기 암 결합바디(141)는 타단부에 상기 흡착판(142)을 제1 또는 제2 암(120, 130)의 선단부에 형성된 나사결합공(c)과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9, the first or second fastening portions 128 and 138 include an attracting plate 142 for forming an attracting force by being adhered to the adherend surface, And the arm coupling body 141 has the screw coupling hole c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arm 120 and the second arm 130 at the other end of the arm coupling body 141, And may have threads for threading.

이에 따라, 흡착판(142)을 구비한 제1 또는 제2 체결부(128, 138)를 제1 또는 제2 암(120, 130)에 결합함으로써, 제1 및 제2 체결부(128, 138) 중 어느 하나를 차실 내벽이나 유리에 고정하고 다른 하나를 스테이에 고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환경에서도 헤드레스트가 없는 시트에 헤드레스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128 and 138 having the attracting plate 142 are coupled to the first or second arm 120 and 13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128 and 138 are engaged with each other, Can be fixed to the inner wall or the glass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one can be fixed to the stay. As a result, the headrest can be provided on the seat without the headrest in various environments.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range, and equivalence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3: 시트 6, 8: 헤드레스트
6b: 제1 스테이 8a: 제2 스테이
100: 보조 헤드레스트 110: 쿠션 본체
111: 제1 측면 112: 제2 측면
115: 제1 가이드관 116: 제2 가이드관
120: 제1 암 121: 제1 걸림부
122: 제1 걸림쇠 123: 제1 손잡이부
124: 제1 걸림쇠 125: 제1 레버뭉치
126: 제1 손잡이부 127: 제1 측쿠션부
128, 129: 제1 체결부 130: 제2 암
131: 제2 걸림부 132: 제2 걸림쇠
133: 제2 손잡이부 137: 제2 측쿠션부
138: 제2 체결부 140: 탄성 밴드
141: 암 결합바디 142: 흡착판
g1: 제1 요홈 g2: 제2 요홈
1 to 3: Sheet 6, 8: Headrest
6b: first stay 8a: second stay
100: auxiliary headrest 110: cushion body
111: first side 112: second side
115: first guide tube 116: second guide tube
120: first arm 121: first fastening part
122: first latch 123: first handle
124: first latch 125: first lever bundle
126: first handle portion 127: first side cushion portion
128, 129: first fastening part 130: second arm
131: second latching part 132: second latching part
133: second handle 137: second side cushion part
138: second fastening part 140: elastic band
141: female coupling body 142: attracting plate
g1: first groove g2: second groove

Claims (7)

삭제delete 쿠션 본체;
상기 쿠션 본체의 일측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쿠션 본체로 인입/인출되어 신축되는 제1 암;
상기 쿠션 본체의 타측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쿠션 본체로 인입/인출되어 신축되는 제2 암;
상기 제1 암의 말단부에 형성된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암의 말단부에 형성된 제2 체결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체결부는, 제1 차량용 시트백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제1 헤드레스트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형성된 제1 스테이그룹 중 어느 하나인 제1 스테이와 체결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차량용 시트백의 옆에 인접한 제2 차량용 시트백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제2 헤드레스트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형성된 제2 스테이그룹 중 어느 하나인 제2 스테이와 체결하여, 상기 쿠션 본체는, 상기 제1 차량용 시트백과 상기 제2 차량용 시트백 사이에 추가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암의 말단부에 상기 제1 스테이가 삽입되는 요홈을 가진 걸림부; 및
상기 요홈에 삽입된 상기 제1 스테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요홈을 가로지르도록 체결되는 걸림쇠;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
Cushion body;
A first arm which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cushion main body and is extended / retracted by the cushion main body;
A second arm which is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cushion main body and is drawn / drawn in and out by the cushion main body;
A first fastening part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first arm;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formed at a distal end of the second arm;
, ≪ / RTI &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first stay, which is one of the first stay groups formed downwardly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headrest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hicle seatback,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coupled to a second stay which is any one of a second stay group formed downwardly at a lower end portion of a second headrest mounted on an upper end portion of a second vehicle seatback adjacent to the first vehicle seatb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 body provides an additional headrest between the first vehicle seatback and the second vehicle seatback,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 hook having a groove into which the first stay is inserted at a distal end of the first arm; And
A latch engaged with the groove to cross the groove to prevent the first sta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roove;
Wherein the auxiliary headrest compris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스테이와 마찰력을 형성하기 위해 실리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to form a frictional force with the first sta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는, 나사결합이나 탄성결합으로 상기 요홈을 가로질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
3.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 is fastened across the groove with a threaded or resilient conn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암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쿠션 본체로 인입되어, 상기 쿠션 본체는 이동형 신체 부위 받침대 용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rms are drawn into the cushion main body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cushion main body has a use for a movable body part suppo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암은, 주름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쿠션 본체는, 주름관 형상의 상기 제1 암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쿠션 본체 내부에 포설된 제1 가이드관과, 주름관 형상의 상기 제2 암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쿠션 본체 내부에 포설된 제2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rms have a corrugated pipe shape,
The cushion main body includes a first guide tube laid inside the cushion main body to guide pull-in / pull-out of the first arm having a bellows-like shape, And a second guide tu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단부 각각이 상기 쿠션 본체의 후방 좌우양측 각각에 고착된 탄성 밴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보조 헤드레스트.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6,
Elastic bands each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shion body;
Wherein the auxiliary head restraint includes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KR2020170001097U 2017-03-08 2017-03-08 Multipurpose auxiliary headrest KR20048537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097U KR200485375Y1 (en) 2017-03-08 2017-03-08 Multipurpose auxiliary head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097U KR200485375Y1 (en) 2017-03-08 2017-03-08 Multipurpose auxiliary headre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375Y1 true KR200485375Y1 (en) 2017-12-28

Family

ID=6125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097U KR200485375Y1 (en) 2017-03-08 2017-03-08 Multipurpose auxiliary head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37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571B1 (en) * 2022-04-13 2022-08-04 허영무 Auxiliary headrest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545A (en) * 2010-04-01 2011-10-07 이선영 Supplementary car headrest
JP2013154856A (en) * 2012-01-31 2013-08-15 Nhk Spring Co Ltd Headrest device and vehicle se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545A (en) * 2010-04-01 2011-10-07 이선영 Supplementary car headrest
JP2013154856A (en) * 2012-01-31 2013-08-15 Nhk Spring Co Ltd Headrest device and vehicle se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571B1 (en) * 2022-04-13 2022-08-04 허영무 Auxiliary headres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7877B2 (en) Independent thigh extension and support trim carrier
US20030189366A1 (en) Mechanism for changing a position of a support surface
JP2016538173A (en) Seat structure
US10377279B2 (en) Integrated decking arm support feature
US10800292B2 (en) Vehicle seat
CN106494282B (en) Vehicle seat
US11192474B1 (en) Retractable car seat
CN107487246B (en) Comfortable bracket for chair back
KR200485375Y1 (en) Multipurpose auxiliary headrest
JP4823548B2 (en) Chair backrest device
KR20200032575A (en) Back cushion
JP2006280417A (en) Backrest device for chair
JP2002119364A (en) Chair
US11325512B2 (en) Seat device for vehicle
JP7128072B2 (en) Chair
JP5600151B2 (en) Chair backrest device
CN108340818B (en) Comfortable bracket for chair back
US11975643B2 (en) Seat upper arm supports
KR101603422B1 (en) Seat
JP2015198683A (en) vehicle seat
JP7155820B2 (en) Chair
JP2022165205A (en) Work seat
KR101406568B1 (en) Full flatbed type seat for vehicle
JP7172381B2 (en) Chair
JP7254471B2 (en)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