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571B1 - Auxiliary headrest apparatus - Google Patents
Auxiliary headrest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9571B1 KR102429571B1 KR1020220045872A KR20220045872A KR102429571B1 KR 102429571 B1 KR102429571 B1 KR 102429571B1 KR 1020220045872 A KR1020220045872 A KR 1020220045872A KR 20220045872 A KR20220045872 A KR 20220045872A KR 102429571 B1 KR102429571 B1 KR 1024295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y rod
- bar
- lock bar
- headrest device
- pressing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5—Head-rests provided with side-re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headres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headrest device used in combination with a vehicle headrest.
차량의 좌석은 시트백과 헤드레스트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stay rod)는 시트백 내측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가 시트백 상단에 고정되지만 시트백과 헤드레스트 사이에는 쿠션이 없고 헤드레스트로 받칠 수 있는 범위도 제한적이므로, 승객이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The seat of the vehicle is formed by combining a seatback and a headrest. A stay rod of the headrest is inserted into the seatback. Therefore, although the headrest is fixed to the top of the seatback, there is no cushion between the seatback and the headrest, and the range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headrest is limited, so passengers may feel uncomfortable.
이로 인해 종래 헤드레스트나 시트백에 추가로 장착하여 머리를 받쳐주는 보조장비 등이 개발된바 있다(예,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21-0002354등). 이러한 장비는 대개 쿠션을 확대하여 두부 주변의 지지 가능한 영역을 확장하는 구조로 되어있다.For this reason, conventional auxiliary equipment for supporting the head by being additionally mounted on a headrest or seatback has been developed (eg, 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20-2021-0002354, etc.). These devices are usually structured to expand the supportable area around the head by enlarging the cush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조장비는 고정이 불안정하거나, 지지효과가 미미하거나, 위치를 바꾸기 어려워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를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 등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auxiliary equipment has problems such as unstable fixation, insignificant support effect, or difficulty in changing the position to support the user's desired part.
또한, 장시간 차량에 탑승하거나 원거리를 이동하는 경우, 차량 내부의 승객은 여러 가지 편의시설이 필요하지만, 차량에서 이를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어 개선의 필요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riding in a vehicle for a long time or moving a long distance, passengers in the vehicle need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hicle cannot support them, so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다양한 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를 지지할 수 있으며 차량 내부의 편의를 증가시키는 다양한 편의기능을 갖춘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firmly fixed to the vehicle headrest, it can support the part desired by the user by changing the position in various directions, and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that increase the convenience inside the vehicle are provided. It is to provide an auxiliary headrest device equipped with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결합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몸체; 상기 몸체에 만입 형성되어 상기 헤드레스트 하단의 스테이로드를 상기 몸체 내부로 수용하는 장홈; 상기 몸체의 상기 장홈 내측에 상기 스테이로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면으로 상기 스테이로드를 가압하는 스테이로드 가압블록; 상기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장홈을 개폐하며 상기 스테이로드 가압블록의 제2면을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록 바; 상기 스테이로드 가압블록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여 상기 록 바에 걸리는 회동바; 및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식 쿠션패드를 포함한다.An auxiliary headr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xiliary headrest device coupled to a vehicle headrest, comprising: a body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long groove formed in the body to receive the stay rod of the lower end of the headrest into the body; a stay rod pressing block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ong groove of the body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tay rod to press the stay rod to a first surface; a lock bar hinge-coupled to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long groove and closely fix the second surface of the stay rod pressing block; a pivot bar hinged to the stay rod pressing block and rotated to be caught on the lock bar; and a movable cushion pad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상기 회동바는, 상기 스테이로드 가압블록에 힌지 결합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방 회전되어,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보다 높게 상승될 수 있다.The rotation bar is rotated upward around one end hinged to the stay rod pressing block, the other end may be raised higher than the one end.
상기 회동바는 상기 타단부에 액세서리 지지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bar may include a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accessory at the other end.
상기 몸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며 상기 회동바의 일단부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몸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액세서리 지지용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accessory support bar that is drawn out from the body in a sliding manner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body at a position lower than one end of the rotation bar.
상기 액세서리 지지용 바는 말단에 상방으로 굴절된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cessory support bar may include an upwardly refracted locking protrusion at the distal end.
상기 제1면은, 상기 스테이로드 가압블록의 슬라이딩 방향에 위치한 양 면에 상기 스테이로드를 수용가능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rface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stay rod on both surfaces position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tay rod pressing block.
상기 제2면, 및 상기 록 바의 상기 제2면과 밀착되는 밀착면에 서로 맞물리게 배치된 다수의 치(teeth)들로 이루어진 요철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urface and the lock bar may further include a concave-convex coupling part formed of a plurality of teeth dispos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on the contact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of the lock bar.
상기 록 바는, 상기 록 바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일 측과 착탈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록 바의 외면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 사이의 한 지점에 상기 회동바가 걸려 고정되는 바(bar)형상의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 bar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lock bar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rotation bar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 bar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oint between both ends. It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in the shape of a bar (bar) is fixed by hanging.
상기 록 바의 내부에 형성된 방향제 수용공간 및 상기 방향제 수용공간에 접근 가능하게 상기 록 바의 외면을 개폐하며 통기구가 형성된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perfume accommodating space formed inside the lock bar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an outer surface of the lock bar so as to be accessible to the perfume accommodating space and having a ventilation hol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가동식 쿠션패드는,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구동축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 둘레로 회전될 수 있다.The movable cushion pad may be coupled to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xially stretchable drive shaft to rotate around the drive shaft.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를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매우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성이 강화된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로 매우 안정되게 사람의 머리부분을 받쳐줄 수 있다. 또한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의 쿠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후두부, 측두부 또는 안면 쪽 등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다양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can be very firmly coupled to the vehicle headres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ort a person's head very stably with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with enhanced fixation.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cushion of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can be freely changed,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part desired by the user in various ways, such as the occipital region, the temporal region, or the face side.
또한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는 승객이 소지한 액세서리를 걸어두는 행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을 거치하는 거치대, 및 방향기구의 역할도 겸비하기 때문에 차량 내 승객의 편의를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can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in the vehicle because it also functions as a hanger for hanging accessories, a cradle for holding a smartphone or tablet PC, and a direction mechanis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의 전면 쪽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의 후면 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의 록 바를 회전시켜 장홈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의 결합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의 일 사용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headr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of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ong groove is opened by rotating the lock bar of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of FIG. 2 .
4 and 5 are plan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of FIG. 1 .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one use state of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of FIG. 1 .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use state of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of FIG. 1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들에 한정될 필요 없이 본 발명은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뒷받침하여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시한다.Hereinafter,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However, these examples are provided to support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It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xiliary headr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의 전면 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의 후면 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의 록 바를 회전시켜 장홈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headr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of FIG. 1, and FIG. 3 is a long groove by rotating the lock bar of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of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in an open stat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1)는 몸체(100)에 형성되고 개폐 가능한 장홈(101)과 장홈(101) 내부에서 압력을 받아 고정되는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을 포함한다.1 to 3, the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은 슬라이딩 이동하여 헤드레스트 하단의 스테이로드(도 7의 B참조)에 밀착된 후 록 바(lock bar)(300)에 의해 잠기는 구조이기 때문에 몸체(100)와 헤드레스트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Since the stay
본 발명의 견고한 결합구조는 몸체(100)를 안정시키므로 몸체(100)로부터 가변되는 가동식 쿠션패드(400)를 형성하는 데 매우 적합하며 구조가 안정되므로 가동식 쿠션패드(400)의 가변위치도 더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록 바(300)와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을 직결하는 회동바(220)로 가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이 불안정한 상태에서도 몸체(100)와 헤드레스트간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차량이 안정된 상태라면 회동바(220)의 연결을 해제하고 회동바(220)를 액세서리 거치용 지지대로도 사용할 수 있다. Since the rigid coupl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tabilizes the
이러한 본 발명의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1)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결합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몸체(100), 몸체(100)에 만입 형성되어 헤드레스트 하단의 스테이로드를 몸체(100) 내부로 수용하는 장홈(101), 몸체(100)의 장홈(101) 내측에 스테이로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면(도 3의 201참조)으로 스테이로드를 가압하는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 몸체(100)에 힌지 결합되어 장홈(101)을 개폐하며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의 제2면(도 3의 202참조)을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록 바(300),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여 록 바(300)에 걸리는 회동바(220), 및 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식 쿠션패드(400)를 포함한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동식 쿠션패드(400)는 몸체(100)에 결합되고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구동축(410)의 말단에 연결되어 구동축(410) 둘레로 회전될 수 있고(도 1참조), 회동바(220)는,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에 힌지 결합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방 회전되어, 타단부가 일단부보다 높게 상승될 수 있다(도 3참조).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회동바(220)는 타단부에 액세서리 지지용 돌기(221)를 포함하며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1)는 몸체(100)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며 회동바(220)의 일단부보다 낮은 위치에서 몸체(100) 외측으로 돌출되는 액세서리 지지용 바(도 3의 130참조)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회동바(220)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결합하는 구조이므로,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헤드레스트(도 6 및 도 7의 C참조)는 쿠션이 내장되어 있고 시트백(도 6 및 도 7의 D참조) 상단에 결합된다. 헤드레스트는 하단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스테이로드(도 6 및 도 7의 B참조)를 시트백 안에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coupled to a vehicle headrest, the vehicle headrest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The headrest (refer to C in FIGS. 6 and 7) has a built-in cushion and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seat back (refer to D in FIGS. 6 and 7). The headrest is fixed by inserting a pair of stay rods protruding from the bottom (see B of FIGS. 6 and 7) into the seatback.
본 발명의 장홈(101),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 록 바(300) 각각은 스테이로드를 견고히 지지하기 위해 스테이로드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된다. 일반적인 스테이로드는 한 쌍이므로, 장홈(101),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 및 록 바(300) 각각도 그에 대응하는 한 쌍씩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이러한 예이며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몸체(100)에는 한 쌍의 장홈(101), 각각의 장홈(101)에 대응하는 한 쌍의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 각각의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에 대응하는 한 쌍의 록 바(300)가 형성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도 1을 참조하면, 몸체(10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몸체(100)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블록 형태일 수 있으나, 전면 쪽은 가동식 쿠션패드(400)와 결합하는 쿠션결합부(110)가 돌출되고, 후면 쪽은 장홈(101)에 의해 만입되어 더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3의 평면도 참조).Referring to FIG. 1 , the
몸체(100)의 전면은 시트백의 전면(사람이 안착되는 면)쪽으로 배치될 수 있고 후면은 그 반대편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조수석의 헤드레스트에 결합되면, 전면은 조수석 시트백의 등받이 쪽을 향하고, 후면은 뒷좌석 쪽을 향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몸체(100)의 형상은 블록 형상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일 측에는 장홈(101)을 형성하기 유리하고, 양단에는 가동식 쿠션패드(400)를 배치하기 유리한 다른 형상으로 변형도 가능하다.The shape of the
몸체(100)에는 가동식 쿠션패드(400)가 설치된다. 가동식 쿠션패드(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양단에 배치된다. 가동식 쿠션패드(400)는 연결바(420)에 의해 구동축(410)과 연결되고, 구동축(410)은 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A
특히 구동축(410)은 몸체(100)에 축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 1처럼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고, 가동식 쿠션패드(400)는 구동축(410)의 말단에 연결되어 회전위치가 바뀔 수 있다. 즉 가동식 쿠션패드(400) 자체는 구동축(410) 둘레로 회전되지만, 구동축(410) 자체가 축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기 때문에 가동식 쿠션패드(400)의 가동범위는 확장된다.In particular, the driving
따라서 헤드레스트의 너비에 대응하여 구동축(410)의 길이를 조절하고, 가동식 쿠션패드(400) 사이의 간격도 조정할 수 있다. 가동식 쿠션패드(400)를 구동축(410) 둘레로 회전시키면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를 바꿀 수 있다. 가동식 쿠션패드(400)는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을 몸체(100) 양단에 대칭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가동식 쿠션패드(400)는 내부에 쿠션을 내장하며 형상은 특정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넓게 확장된 형상 외에도 다른 형상으로도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한 쌍의 가동식 쿠션패드(400)는 가동범위, 가동구조 및 형상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회전동작(점선도시 부분참조)은 양 측에서 동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그러나 필요에 따라 어느 한 쪽의 가동식 쿠션패드(400) 형상이나 가동구조를 바꾸어 비대칭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몸체(100)의 쿠션결합부(110)는 예를 들어, 내부에 구동축(410)을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수용하는 홀(미도시)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shape or movable structure of one of the
몸체(100)에는 장홈(101)이 형성된다. 장홈(101)은 몸체(100)가 연장된 방향으로 긴 홈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장홈(101)은 몸체(10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이며 따라서 만입된 부분은 개방된 구조이다. 이러한 장홈(101)을 통해서 헤드레스트 하단의 스테이로드(도 7의 B참조)를 몸체(100) 내부로 수용한다.A
장홈(10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100)의 중앙 양 쪽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장홈(101) 형성되지 않은 몸체(100) 중앙부는 후면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장홈(101)은 길이방향과 교차하게 스테이로드를 수용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레일(도 2 및 도 3의 1011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이러한 장홈(101)은 후술하는 록 바(300)에 의해 개폐되며 록 바(300)가 열리면 도 3과 같이 개방되므로, 스테이로드를 매우 편리하게 수용할 수 있다. 장홈(101)의 형상 역시 도시된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스테이로드를 유동할 수 있게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적절히 변형할 수 있다.The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장홈(101) 내측에 스테이로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의 슬라이딩 방향은 몸체(100)가 연장된 방향과 장홈(101)의 길이방향과 동일하다.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은 장홈(101) 내부의 슬라이딩레일(1011)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The stay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은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면으로 가압되어 고정된다.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은 외면 중 제1면(201)으로 스테이로드를 가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면(201)은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의 슬라이딩 방향에 위치한 양 면일 수 있다. 제1면(201)은 스테이로드를 수용 가능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면(201)은 오목한 곡면일 수 있다.The stay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의 다른 쪽에는 제2면(202)이 형성된다. 제2면(202)은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된 평면일 수 있으며 외면 중 록 바(300)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면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면(202)은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A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은 오목한 곡면인 제1면(201)과 상대적으로 넓은 평면인 제2면(202)이 외면에 배치된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은 장홈(101)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크기이며 제1면(201)과 제2면(202)을 포함하는 한도 내에서 형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뀔 수도 있다.The stay
록 바(300)는 몸체(100)에 힌지 결합된다. 록 바(300)는 회전하여 장홈(101)을 개폐하며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의 제2면(202)을 밀착하여 고정시킨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록 바(300)를 회동시켜 장홈(101)을 개폐할 수 있고, 록 바(300)가 장홈(101)을 폐쇄할 때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에 밀착하여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이 움직이지 않게 가압 고정할 수 있다.The
즉 록 바(300)를 닫으면 도 1 및 도 2와 같이 장홈(101)이 폐쇄된다. 반면 록 바(300)를 열면 도 3과 같이 장홈(101)은 개방된다. 따라서 개방된 장홈(101)으로 스테이로드를 수용하고 록 바(300)를 닫아 몸체(100)와 스테이로드를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스테이로드 결합과정은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That is, when the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과 록 바(300)가 밀착하는 지점에는 도 3과 같은 요철결합부(확대도의 210, 330참조)가 형성된다. 즉 전술한 제2면(202)과, 록 바(300)의 제2면(202)과 밀착되는 밀착면(301)에 서로 맞물리게 배치된 다수의 치(teeth)(211, 331)들로 이루어진 요철결합부(210, 330)를 형성할 수 있다. 요철결합부(210, 330)에 의해 둘은 실질적인 움직임 없이 고정된다.At the point where the stay
도 3을 참조하면, 요철결합부(210, 330)는 서로 대응하는 치(211, 331)들이 모여서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므로 이동에 따라 요철결합부(210, 330)는 맞닿는 위치가 바뀔 수도 있다. 그러나 어느 위치에서든 록 바(300)가 닫히면 요철결합부(210, 330)는 서로 치합되며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의 움직임은 저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매우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concave-
록 바(300)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결합부를 가질 수 있다. 록 바(300)는 서로 다른 위치의 결합부로 이중의 고정점을 형성할 수 있다. 록 바(300)는 록 바(300)의 말단에 형성되어 몸체(100)의 일 측과 착탈되는 제1결합부(310) 및 록 바(300)의 외면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 사이의 한 지점에 회동바(220)가 걸려 고정되는 바(bar)형상의 제2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결합부(310)는 록 바(300)의 말단에 형성된다. 제1결합부(310) 반대편 말단은 몸체(100)안에 삽입되어 몸체(100)와 힌지로 결합된다. 제1결합부(310)는 몸체(100)의 장홈(101) 외측에 위치한 록 바 고정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록 바 고정부(120)는 몸체(100)의 일부를 변형하여 형성할 수 있고 고정구조로 탄성돌기(121)와 레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제1결합부(310)는 탄성돌기(121)에 착탈 가능하게 걸려 고정될 수 있다. 탄성돌기(121)는 탄성체로 지지되어 탄성적으로 몸체(100)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탄성돌기(121)는 레버(122)에 연결되어 있어 레버(122)를 당기면 몸체(100) 안으로 후퇴시킬 수 있다.The
제1결합부(310) 안쪽에는 이러한 탄성돌기(121)에 걸리는 홈구조(미도시)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레버(122)를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공(311)도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록 바(300)는 제1결합부(310)만으로도 몸체(100)에 대한 결합상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A groove structure (not shown) caught on the
제2결합부(320)는 록 바(300)의 외면에 후술하는 회동바(220)가 걸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2결합부(320)는 록 바(3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동바(220)와 제2결합부(320)가 결합하면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과 록 바(300)가 서로 직결된다. 따라서 양측의 밀착강도가 더 증가된다. 즉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바 형상의 제2결합부(320)에 회동바(220)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더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회동바(220)는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회동하여 움직일 수 있다. 회동바(220)에는 고정후크(222)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회전하여 록 바(300)에 걸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후크(222)는 전술한 제2결합부(320)와 결합하며 바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결합부(320) 중 어느 지점에라도 걸릴 수 있다.The
따라서 장홈(101) 안의 적절한 위치로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을 이동시키고, 록 바(300)를 닫아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의 제2면(202)을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다시 회동바(220)을 닫아 록 바(300)를 이중으로 고정할 수 있다(도 1 및 도 2참조).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ve the stay
그러나 이러한 고정상태를 반드시 유지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록 바(300)는 제1결합부(310)만으로도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이 안정되어 있다면 회동바(220)를 록 바(300)에서 분리하고 회전방향을 조절하여 가동식 지지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maintain such a fixed state, and since the
이를 위해, 회동바(220)는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에 힌지 결합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방 회전되어, 타단부가 일단부보다 높게 상승될 수 있다(도 3참조). 즉 회동바(220)는 상방 회전하여 몸체(100) 위쪽으로 경사지게 배치할 수도 있다(도 6참조).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지지대로도 기능할 수 있다. 회동바(220)의 타단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 지지용 돌기(221)가 형성되어 피지지물과 접촉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액세서리 지지용 돌기(221)는 회동바(220)의 타단부에서 돌출되며 돌출된 길이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돌기 반대편의 일단부는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전중심으로 기능한다. 힌지의 마찰 등을 이용하면 원하는 각도로 회동바(220)의 상승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이러한 회동바(220)를 상황에 알맞게 활용하면 장치의 결합강도를 증대시키거나, 뒷좌석의 승객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을 거치하고 화면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인 방식은 후술하여 다시 설명한다.If such a
본 발명은 회동바(220)와 외에도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구조들을 포함한다. 이하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o the
몸체(100) 일 측에는 도 3과 같이 몸체(100)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는 액세서리 지지용 바(130)가 형성된다. 액세서리 지지용 바(130)는 회동바(220)의 일단부(즉 힌지결합된 단부)보다 낮은 위치에서 몸체(100)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회동바(220)와 함께 서로 다른 위치에서 피지지물을 함께 지지할 수 있다. 액세서리 지지용 바(130)는 말단에 상방으로 굴절된 걸림돌기(131)를 포함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액세서리 지지용 바(130)는 필요한 때 몸체(100)에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제약하지 않는다. 액세서리 지지용 바(130)를 적절한 길이로 돌출시켜 가방 등의 소지품을 거치하는 행거로 사용하거나, 회동바(220)와 함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을 거치하는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걸림돌기(131)는 걸려있는 물품이나, 거치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등의 하부를 받쳐 바깥으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The
또한, 록 바(300)에는 록 바(300)의 내부에 형성된 방향제 수용공간(332), 및 방향제 수용공간(332)에 접근 가능하게 록 바(300)의 외면을 개폐하는 도어(33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도어(331)를 열어 내부에 방향제(A)를 삽입하고 주변에 향기가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도어(331)에는 향기 배출이 가능한 통기구(331a)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전술한 가동식 쿠션패드(400)는 몸체(100)의 전면 쪽으로 배치하여 착좌한 승객의 편의를 증대시키고, 몸체(100)의 후면 쪽에는 이와 같은 사용자 편의구조를 배치하여, 뒷좌석에 앉은 승객의 편의까지 매우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사용 예는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described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의 결합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4 and 5 are plan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of FIG. 1 .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1)의 결합방식과 그 작용효과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본 발명의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1)는 다음과 같이 헤드레스트와 결합된다.Hereinafter, the coupling method of the
먼저 도 4와 같이, 장홈(101) 안에 스테이로드(B)를 수용하고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을 조정하여 밀착시킨다. 장홈(101)은 록 바(400)을 열어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몸체(100) 바깥에 있는 스테이로드(B)를 몸체(100) 안으로 쉽게 인입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 stay rod (B) is accommodated in the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은 장홈(101)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므로, 스테이로드(B)의 위치나 간격 등에 제약되지 않고 면밀하게 밀착 가능하다.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을 이동시켜 오목한 제1면(201)을 스테이로드(B)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Since the stay
도시된 것처럼 제1면(201)은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이로드(B)의 간격이 넓거나 위치가 다른 경우라면, 그에 알맞는 제1면(201)을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방향의 반대반향으로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을 이동시켜 이동 방향 전방의 제1면(201)으로 스테이로드(B)를 가압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since the
스테이로드(B)와 장치간 접촉부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스테이로드(B)와 제1면(201) 사이에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체(B1)를 삽입할 수도 있다.In order to alleviate the impact of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stay rod (B) and the device, an elastic body (B1) made of rubber or the like may be inserted between the stay rod (B) and the
이와 같이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의 위치를 조정한 후,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록 바(300)를 닫아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을 고정한다. 록 바(300)는 몸체(100)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록 바(300)를 회전시켜 장홈(101)을 폐쇄하는 동시에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을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Afte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tay
특히, 록 바(300)가 닫히면 전술한 제2면(202)과 록 바(300)의 밀착면(301)에 짝으로 형성된 요철결합부(210, 330)가 밀착되면서 서로 치합되기 때문에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은 실질적으로 움직임 없이 고정된다.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은 록 바(300)에 밀착된 제2면(202)과 스테이로드(B)에 밀착된 제1면(201) 양쪽으로 압력을 교환하면서 매우 견고하게 고정된다.In particular, when the
이와 같이 록 바(300)를 결합한 후 회동바(220)를 회전시켜 록 바(300)에 이중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회동바(220)가 걸리면 록 바(300)의 결합강도는 더욱 증가된다. After the
록 바(300)는 제1결합부(310)를 통해 몸체(100)와 밀착하는 동시에, 바 형상의 제2결합부(320)를 통해 회동바(220)와 이중으로 결합하므로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과도 더 밀착된다. 이로 인해 록 바(300)와 몸체(100)가 밀착하는 지점에 작용하는 압력과 록 바(300)와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이 밀착하는 지점에 작용하는 압력(도 4의 대응지점에 표시되 화살표 참조)으로 매우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Since the
이와 같이 견고히 결합하므로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1)에 형성된 구동축(410)의 신축이나 회전, 액세서리 지지용 바(130)의 인출 등 모든 조작이 매우 안정된다. 또한 상황에 따라 회동바(220)는 상방으로 경사지게 정렬시켜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편의가 증대된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례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Since it is firmly coupled in this way, all operations such as expansion and contraction or rotation of the
도 6은 도 1의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의 일 사용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FIG.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one use state of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of FIG. 1 ,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use state of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of FIG. 1 .
상술한 과정을 통해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1)를 헤드레스트(C)에 결합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헤드레스트(C)의 스테이로드(B)는 상황에 따라 도시된 것처럼 길게 노출될 수도 있고, 시트백(D) 안쪽으로 더 삽입하여 노출된 부분을 줄일 수도 있다.When the
이와 같이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1)를 결합하고,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다양한 액세서리를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1)에 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액세서리(E2)는 화면을 시청할 수 있게 경사진 상태로 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바(220)를 상방으로 회전시켜 상승각도를 설정하고, 액세서리 지지용 바(130)를 돌출시켜 둘 사이에 액세서리(E2)를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이로 인해 뒷좌석의 승객 등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화면을 보다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다. 액세서리 지지용 돌기(221)의 길이를 적절히 증감시키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가 더 세워지게 할 수도 있으므로 액세서리 지지용 돌기(221)의 길이와 회동바(220)의 각도를 바꾸어 피지지물의 경사각 또는 거치상태를 더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액세서리 지지용 바(130)를 인출하여 걸림돌기(131)의 위치를 함께 바꾸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의 배치를 더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As a result, passengers in the back seat can view the screen of a smartphone or tablet PC more conveniently. If the length of the
이와 동시에, 액세서리 지지용 바(130)에는 가방 등 걸어둘 수 있는 다른 액세서리(E1)도 함께 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안의 좁은 공간에 대한 활용도가 극대화되고 승객의 편의는 향상된다.At the same time, other accessories (E1) that can be hung, such as a bag, can also be mounted on the
한편, 앞좌석(보조 헤드레스트 장치가 장착된 좌석)의 승객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식 쿠션패드(400)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켜 놓고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수석에 앉은 승객 등이 휴식을 취할 때 가동식 쿠션패드(400)에 의지하여 더욱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ssenger of the front seat (the seat equipped with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can take a rest by moving the
가동식 쿠션패드(400)는 구동축(410) 둘레로 회전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헤드레스트(C)가 도달하지 못하는 후두부의 나머지 영역이나, 측두부, 안면 쪽도 가동식 쿠션패드(400)로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의 편의는 더욱 증대된다.Since the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록 바(300) 내부에 삽입된 방향제로부터 통기구(331a)를 통해 향기(F)가 배출되므로 앞좌석 및 뒷좌석 전체 공간에 더욱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록 바(300)의 도어(331)를 열면 내부의 방향제 수용공간(도 2의 332참조)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방향제(도 2의 A참조)를 교체하거나 충전하는 등의 작업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since the fragrance F is discharged from the air freshener inserted into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 100: 몸체
110: 쿠션결합부
101: 장홈 1011: 슬라이딩레일
120: 록 바 고정부
121: 탄성돌기 122: 레버
130: 액세서리 지지용 바 131: 걸림돌기
200: 스테이로드 가압블록 201: 제1면
202: 제2면 210, 330: 요철결합부
211, 331: 치(teeth) 220: 회동바
221: 액세서리 지지용 돌기 222: 고정후크
300: 록 바 310: 제1결합부
311: 관통공 320: 제2결합부
301: 밀착면 331: 도어
331a: 통기구 332: 방향제 수용공간
400: 가동식 쿠션패드 410: 구동축
420: 연결바 A: 방향제
B: 스테이로드 B1: 탄성체
C: 헤드레스트 D: 시트백
E1, E2: 액세서리 F: 향기1: auxiliary headrest device 100: body
110: cushion coupling part
101: long groove 1011: sliding rail
120: lock bar fixing part
121: elastic projection 122: lever
130: bar for accessory support 131: locking projection
200: stay rod pressing block 201: first surface
202:
211, 331: teeth 220: rotation bar
221: protrusion for supporting accessories 222: fixing hook
300: lock bar 310: first coupling part
311: through hole 320: second coupling part
301: contact surface 331: door
331a: ventilation hole 332: air freshener accommodation space
400: movable cushion pad 410: drive shaft
420: connection bar A: air freshener
B: stay rod B1: elastic body
C: Headrest D: Seatback
E1, E2: Accessories F: Fragrance
Claims (10)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에 만입 형성되어 상기 헤드레스트 하단의 스테이로드를 상기 몸체(100) 내부로 수용하는 장홈(101);
상기 몸체(100)의 상기 장홈(101) 내측에 상기 스테이로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면(201)으로 상기 스테이로드를 가압하는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
상기 몸체(10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장홈(101)을 개폐하며 상기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의 제2면(202)을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록 바(300);
상기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여 상기 록 바(300)에 걸리는 회동바(220); 및
상기 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식 쿠션패드(400)를 포함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In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coupled to the vehicle headrest,
a body 100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long groove 101 formed in the body 100 to receive the stay rod at the lower end of the headrest into the body 100;
a stay rod pressing block 200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ong groove 101 of the body 100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tay rod and presses the stay rod to the first surface 201;
a lock bar 300 hinged to the body 100 to open and close the long groove 101 and closely fix the second surface 202 of the stay rod pressing block 200;
a pivot bar 220 hinged to the stay rod pressing block 200 and rotated to be caught on the lock bar 300 ; and
Auxiliary headrest device including a movable cushion pad (400)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100).
상기 회동바(220)는, 상기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에 힌지 결합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방 회전되어,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보다 높게 상승되는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bar 220 is rotated upward around one end hinged to the stay rod pressing block 200, and the other end is raised higher than the one end auxiliary headrest device.
상기 회동바(220)는 상기 타단부에 액세서리 지지용 돌기(221)를 포함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rotating bar 220 is an auxiliary headrest device including a protrusion 221 for supporting the accessory at the other end.
상기 몸체(100)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며 상기 회동바(220)의 일단부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몸체(100) 외측으로 돌출되는 액세서리 지지용 바(130)를 더 포함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headrest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ccessory support bar 130 that is drawn out from the body 100 in a sliding manner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at a position lower than one end of the rotation bar 220 .
상기 액세서리 지지용 바(130)는 말단에 상방으로 굴절된 걸림돌기(131)를 포함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accessory support bar 130 is an auxiliary headrest device including a locking protrusion 131 bent upwardly at the distal end.
상기 제1면(201)은, 상기 스테이로드 가압블록(200)의 슬라이딩 방향에 위치한 양 면에 상기 스테이로드를 수용가능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rface 201 is an auxiliary headrest device formed in a curved surface that can accommodate the stay rod on both surfaces locat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tay rod pressing block 200 .
상기 제2면(202), 및 상기 록 바(300)의 상기 제2면(202)과 밀착되는 밀착면(301)에 서로 맞물리게 배치된 다수의 치(teeth)들로 이루어진 요철결합부(210, 330)를 더 포함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oncave-convex coupling portion 210 comprising the second surface 202 and a plurality of teeth disposed to engage with each other on the contact surface 301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202 of the lock bar 300 . , 330)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headrest device.
상기 록 바(300)는, 상기 록 바(300)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일 측과 착탈되는 제1결합부(310), 및
상기 록 바(300)의 외면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 사이의 한 지점에 상기 회동바(220)가 걸려 고정되는 바(bar)형상의 제2결합부(320)를 포함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lock bar 300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310 formed at an end of the lock bar 300 and detachable from one side of the body 100 , and
Auxiliary including a bar-shaped second coupling part 320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 bar 30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pivot bar 220 at a point between both ends headrest device.
상기 록 바(300)의 내부에 형성된 방향제 수용공간(332) 및 상기 방향제 수용공간(332)에 접근 가능하게 상기 록 바(300)의 외면을 개폐하며 통기구(331a)가 형성된 도어(331)를 더 포함하는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According to claim 1,
A door 331 having a vent hole 331a which opens and closes the fragrance accommodating space 332 formed inside the lock bar 3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 bar 300 so as to be accessible to the fragrance accommodating space 332; Auxiliary headrest device further comprising.
상기 가동식 쿠션패드(400)는,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고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구동축(410)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410) 둘레로 회전되는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movable cushion pad 400 is coupled to the body 100 and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xially stretchable drive shaft 410 to rotate around the drive shaft 410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5872A KR102429571B1 (en) | 2022-04-13 | 2022-04-13 | Auxiliary headres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5872A KR102429571B1 (en) | 2022-04-13 | 2022-04-13 | Auxiliary headrest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9571B1 true KR102429571B1 (en) | 2022-08-04 |
Family
ID=8283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5872A KR102429571B1 (en) | 2022-04-13 | 2022-04-13 | Auxiliary headrest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9571B1 (en)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76846B2 (en) * | 1983-04-06 | 1992-12-04 | Sukan Koin Ab | |
KR19990027502U (en) * | 1997-12-24 | 1999-07-15 | 양재신 | Driver's neck protection device attached to the vehicle headrest |
JP2952586B1 (en) * | 1998-03-25 | 1999-09-27 | 力 吉田 | Auxiliary pillow device for vehicle seat |
KR100895124B1 (en) * | 2008-05-08 | 2009-05-04 | 백철승 | Auxiliary device for headrest |
US20130187428A1 (en) * | 2012-01-10 | 2013-07-25 | Alan A. Albino | Portable and adjustable head and neck rest |
KR200472280Y1 (en) * | 2012-08-27 | 2014-04-17 |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 Case for mobile divise |
KR20170001180A (en) * | 2015-06-26 | 2017-01-04 | (주)대유플러스 | Headrest |
KR200485375Y1 (en) * | 2017-03-08 | 2017-12-28 | 김찬호 | Multipurpose auxiliary headrest |
KR20210002354U (en) | 2020-04-14 | 2021-10-22 | 주식회사 모터트랜 | Auxiliary headrest installed on the headrest of a car |
KR20210146527A (en) * | 2020-05-27 | 2021-12-06 | (주)대한솔루션 | Stand for terminals using headrest of vehicle |
-
2022
- 2022-04-13 KR KR1020220045872A patent/KR10242957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76846B2 (en) * | 1983-04-06 | 1992-12-04 | Sukan Koin Ab | |
KR19990027502U (en) * | 1997-12-24 | 1999-07-15 | 양재신 | Driver's neck protection device attached to the vehicle headrest |
JP2952586B1 (en) * | 1998-03-25 | 1999-09-27 | 力 吉田 | Auxiliary pillow device for vehicle seat |
KR100895124B1 (en) * | 2008-05-08 | 2009-05-04 | 백철승 | Auxiliary device for headrest |
US20130187428A1 (en) * | 2012-01-10 | 2013-07-25 | Alan A. Albino | Portable and adjustable head and neck rest |
KR200472280Y1 (en) * | 2012-08-27 | 2014-04-17 |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 Case for mobile divise |
KR20170001180A (en) * | 2015-06-26 | 2017-01-04 | (주)대유플러스 | Headrest |
KR200485375Y1 (en) * | 2017-03-08 | 2017-12-28 | 김찬호 | Multipurpose auxiliary headrest |
KR20210002354U (en) | 2020-04-14 | 2021-10-22 | 주식회사 모터트랜 | Auxiliary headrest installed on the headrest of a car |
KR20210146527A (en) * | 2020-05-27 | 2021-12-06 | (주)대한솔루션 | Stand for terminals using headrest of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6954060U (en) | Compact physical support equipment | |
US20070267911A1 (en) | Chair | |
US20120181836A1 (en) | Seat back headrest | |
JP2009509592A (en) | Chair | |
US6679779B2 (en) | Structure for an infant's rocket | |
CA2440036A1 (en) | Collapsible suppor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
JP4674720B2 (en) | Chair | |
JP2014029658A (en) | Tablet-type device supporting tool | |
KR102429571B1 (en) | Auxiliary headrest apparatus | |
US20120235455A1 (en) | Seat back headrest | |
KR20120058011A (en) | A head rest with hair insert space | |
JP2004129966A (en) | Backrest structure of chair | |
US5232190A (en) | Armrest container holder | |
KR100943327B1 (en) | Headrest folding structure for a vehicle | |
JP3555816B2 (en) | Armrest | |
CN208615758U (en) | A kind of twin bench-type seat and vehicle for vehicle | |
JP2004000434A (en) | Backrest structure for chair | |
JPH092113A (en) | Vehicle seat | |
KR200401273Y1 (en) | Chair's headrest | |
JP3552430B2 (en) | Armrest structure | |
JP2003312348A (en) | Occupant seat | |
JPH044595Y2 (en) | ||
JPH04107647U (en) | seat head rest | |
KR20180005459A (en) | multipurpose body-rest | |
JPH08914Y2 (en) | Vehicle seat armres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