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286Y1 -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 장치 - Google Patents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286Y1
KR200485286Y1 KR2020160004139U KR20160004139U KR200485286Y1 KR 200485286 Y1 KR200485286 Y1 KR 200485286Y1 KR 2020160004139 U KR2020160004139 U KR 2020160004139U KR 20160004139 U KR20160004139 U KR 20160004139U KR 200485286 Y1 KR200485286 Y1 KR 200485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in
pin means
back surfa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용관
Original Assignee
오용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용관 filed Critical 오용관
Priority to KR2020160004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2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2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00Brooches or clips in their decorative or ornamental aspec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00Hat, scarf, or safety pins or the like
    • A44B9/02Simple p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00Hat, scarf, or safety pins or the like
    • A44B9/12Safety-pins
    • A44B9/16Brooches; Breast-p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일단부는 뾰족한 침 형태로 이루지고, 타단부에는 탄성력을 증대시키면서 장식물을 끼울 수 있도록 원형 구조의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그 타단부의 끝단은 상기 베이스의 배면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핀수단; 및 상기 베이스의 배면 타측에 형성되며,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핀수단의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후 걸리도록 이루어진 핀걸이부을 포함하는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 장치{BROOCH HAVING CONNECTING LOOP}
본 고안은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로치는 유리, 보석, 귀금속, 쇠붙이 등으로 만들어지며, 옷의 깃이나 앞가슴에 핀으로 고정하는 의복용 장신구이다.
이러한 브로치는 BC 2000년대부터 볼 수 있으며 고대 그리스나 로마시대에는 봉제하지 않은 천이나 모피를 몸에 걸쳤으며, 이것을 고정하기 위하여 장식을 겸할 수 있는 일종의 대형 안전핀을 사용하였다.
그 후 비잔틴 시대에 이르러 정교한 세공이나 보석으로 꾸민 화려한 브로치가 생겼는데, 이것이 오늘날 배지의 모체로 알려져 있다.
의복이 현재와 같은 형태를 갖추게 된 근세 이후에는 수요가 줄어 오직 모자 장식용으로만 사용되었으며, 19세기에는 거의 여성 전용의 장신구로서 부활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브로치는 그 자체가 하나의 장신구가 되는 것으로서 핀을 이용하여 의복이나 모자, 기타 다른 곳에 고정하는 기능만을 해왔기 때문에 자신의 소품을 강조하고 독자적인 개성 연출을 위하여 별도의 장식물(예컨대, 인형)을 브로치에 추가로 더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장식물을 연결하는 끈이나 체인이 브로치의 핀에 걸려 핀이 잘 안 닫히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브로치 이외에도 장식물을 더 달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는 장식물에도 핀을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3106 (2012. 05. 07)
본 고안의 실시예는, 브로치에 별도의 장식물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일단부는 뾰족한 침 형태로 이루지고, 타단부에는 탄성력을 증대시키면서 장식물을 끼울 수 있도록 원형 구조의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그 타단부의 끝단은 상기 베이스의 배면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핀수단; 및 상기 베이스의 배면 타측에 형성되며,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핀수단의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후 걸리도록 이루어진 핀걸이부을 포함하는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수단은, 상기 핀수단의 타단부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받침부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의 배면 일측에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핀수단의 타단부가 끼워져 안착되는 안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어느 한 곳에는 상기 핀수단의 끝단부가 꺾여서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배면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가 상기 핀수단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유동되는 것을 줄이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브로치에 별도의 장식물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 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2는 도1의 브로치 장치가 생활소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 장치의 핀수단과 받침부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 장치의 받침부에 핀수단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브로치 장치의 핀걸이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용신안 청구 가능한 본 고안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 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브로치 장치가 생활소품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장치는 베이스(100), 핀수단(200) 및 핀걸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가 위에서 나열된 구성들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이들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이들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다른 구성(예컨대, 브로치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공지기술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베이스(100)는 브로치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며 다른 구성들이 장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베이스(10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0)의 전면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식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장식부(101)의 형태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를 들어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100)의 형태가 도2에 도시된 장식부(101)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장식부(101)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핀수단(200)은 베이스(100)를 의복이나 가방 또는 모자와 같은 생활소품(10)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고, 나아가 인형이나 악세서리와 같은 별도의 장식물(20)을 추가로 더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수단(200)의 일단부(201)는 뾰족한 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옷이나 모자 등에 핀수단(200)의 일단부(201)를 용이하게 꽂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핀수단(200)의 타단부에는 원형 구조의 연결고리(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210)는 둥글게 굽은 원형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핀수단(200) 전체의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서 오랫동안 사용해도 핀수단(200)이 소성 변형되거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210)가 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여기에 장식물(20)을 끼워서 브로치장치와 함께 장식물(20)을 소지할 수 있다. 장식물(20)은 끈이나 체인 등의 연결수단(21)을 통해 연결고리(2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후에도 연결고리(210)가 원형으로 공간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핀수단(200)에 끼거나 걸리지 않고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어서 장식물(20)의 자연스러움을 연출할 수 있으며, 장식물(20)을 연결고리(210)에 장착 또는 해제하는 것이 매우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핀수단(200)의 타단부 끝단은 베이스(100)의 배면 일측에 직접 고정 결합될 수도 있으나, 핀수단(200)이 둥근 단면의 기둥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100)의 배면에 용접을 이용해 결합시키는 것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핀수단(2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받침부(250)를 매개로 베이스(100)의 배면 일측에 용접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250)에는 핀수단(200)의 타단부(202) 끝단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데, 핀수단(200)의 타단부(202) 끝단이 받침부(250)에 끼워져 고정되면 용접시 핀수단(200)이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받침부(250)를 베이스(100) 배면의 용접할 자리에 놓고 간편하게 용접하여 핀수단(200)을 베이스(100)에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부(250)에는 핀수단(200)의 타단부(202)가 끼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251)이 받침부(25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251)의 어느 한 곳에는 핀수단(200)의 끝단부가 꺾여서 형성된 꺾임부(203)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공(25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수단(200)은 꺾임부(203)가 상기 삽입공(252)에 삽입되고 핀수단(200)의 타단부가 받침부(250)의 안착홈(25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250)가 베이스(100)의 배면에 용접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00)의 배면 양측에는 베이스(100)가 생활소품(10)에 장착된 후 상기 핀수단(20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돌출부(110)가 베이스(100) 배면 상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핀걸이부(300)는 베이스(100)의 배면 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개구부(310)가 형성되어 상기 핀수단(200)의 일단부가 개구부(310)를 통해 삽입된 후 핀걸이부(300)의 내부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핀수단(200)의 일단부(201)에 형성된 뾰족한 침 부분을 생활소품(10)의 가죽이나 천 내부로 찔러 넣은 다음 다시 밖으로 빼내 상기 핀걸이부(300)의 개구부(310)를 통해 핀수단(200)을 핀걸이부(300) 내부로 통과시킨 후, 핀수단(200)에 가하던 외력을 제거하면 핀수단(200)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핀수단(200)이 펴지면서 핀걸이부(300)의 상부에 걸려 핀수단(200)이 록킹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 : 생활소품 20 : 장식물
100 : 베이스 110 : 돌출부
200 : 핀수단 201 : 일단부
202 : 타단부 203 : 꺾임부
210 : 연결고리 250 : 받침부
251 : 안착홈 252 : 삽입공
300 : 핀걸이부 310 : 개구부

Claims (4)

  1. 베이스;
    일단부는 뾰족한 침 형태로 이루지고, 타단부에는 탄성력을 증대시키면서 장식물을 끼울 수 있도록 원형 구조의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그 타단부의 끝단은 상기 베이스의 배면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핀수단; 및
    상기 베이스의 배면 타측에 형성되며,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핀수단의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후 걸리도록 이루어진 핀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수단은, 상기 핀수단의 타단부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받침부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의 배면 일측에 용접되는,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핀수단의 타단부가 끼워져 안착되는 안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어느 한 곳에는 상기 핀수단의 끝단부가 꺾여서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배면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가 상기 핀수단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유동되는 것을 줄이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장치.
KR2020160004139U 2016-07-18 2016-07-18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 장치 KR200485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139U KR200485286Y1 (ko) 2016-07-18 2016-07-18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139U KR200485286Y1 (ko) 2016-07-18 2016-07-18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286Y1 true KR200485286Y1 (ko) 2017-12-15

Family

ID=6125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139U KR200485286Y1 (ko) 2016-07-18 2016-07-18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286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0715U (ko) * 1985-03-28 1986-10-04
CN2568020Y (zh) * 2002-09-16 2003-08-27 中国人民解放军第三五二二工厂 别针
KR200369340Y1 (ko) * 2004-09-14 2004-12-04 김승준 식물 열매형 브로치
JP2005143754A (ja) * 2003-11-13 2005-06-09 Atolier Jupique Kk ブローチ兼用ペンダント止め金具
KR20120003106U (ko) 2010-10-27 2012-05-07 김주응 회전방지용 핀 브로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0715U (ko) * 1985-03-28 1986-10-04
CN2568020Y (zh) * 2002-09-16 2003-08-27 中国人民解放军第三五二二工厂 别针
JP2005143754A (ja) * 2003-11-13 2005-06-09 Atolier Jupique Kk ブローチ兼用ペンダント止め金具
KR200369340Y1 (ko) * 2004-09-14 2004-12-04 김승준 식물 열매형 브로치
KR20120003106U (ko) 2010-10-27 2012-05-07 김주응 회전방지용 핀 브로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1776B (zh) 人身飾品
US20110277276A1 (en) Customizable garment accessory
JP6267847B2 (ja) 襟固定器具
US20120324710A1 (en) Garment fastener
US8726469B1 (en) Article of button jewelry
US20160058137A1 (en) Eyeglass holder
US9247777B2 (en) Fabric containment device
US20070022576A1 (en) Stretchable belt loop retention device
KR200485286Y1 (ko) 장식물 연결고리가 있는 브로치 장치
US10357085B2 (en) Jewelry enhancer
US20140298860A1 (en) Convertible Earrings for Pierced Ears
US2856666A (en) Garment supporter
WO2010072012A1 (zh) 一种领带组件
US20140331380A1 (en) Adjustable Fashion Clothing Accessorie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US2123601A (en) Collar attachment
US20110048070A1 (en) Jewelry & the method of making
US402685A (en) Lady s cuff-fastener
US20090038634A1 (en) Accessory systems and methods
KR200472032Y1 (ko)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
US20070261209A1 (en) Pocket jewelry clasp
KR101914862B1 (ko) 의류용 손수건 체결 조립체
KR200440565Y1 (ko)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CN212938364U (zh) 一种无须刺穿衣服佩戴的胸针
CN214283498U (zh) 一种装饰性领口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