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230Y1 - 형상 기억폼을 이용한 모자의 땀받이 및 그를 이용한 모자 - Google Patents

형상 기억폼을 이용한 모자의 땀받이 및 그를 이용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230Y1
KR200485230Y1 KR2020170001234U KR20170001234U KR200485230Y1 KR 200485230 Y1 KR200485230 Y1 KR 200485230Y1 KR 2020170001234 U KR2020170001234 U KR 2020170001234U KR 20170001234 U KR20170001234 U KR 20170001234U KR 200485230 Y1 KR200485230 Y1 KR 200485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undersurface
memory foam
shape memory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098U (ko
Inventor
고호성
Original Assignee
(주)피앤지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앤지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피앤지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70001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23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0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2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2Sweat-ban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2External devices or 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hats, caps or hoo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Landscapes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형상기억폼;
스위트 밴드;
상기 형상기억폼의 일면에 배치된 상기 스위트 밴드로 구성한 모자의 땀받이;
상기 땀받이에 요철부를 둘 수 있도록 상기 요철부에 상응한 프레스로 압착하면서 초음파 부착을 통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피부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폼을 이용한 모자의 땀받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형상 기억폼을 이용한 모자의 땀받이 및 그를 이용한 모자 {Sweat band of caps using memory form and its caps}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옷감으로 만든 각종 형태의 모자에는 반드시 땀 흡수 및 머리에 가해지는 피부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땀받이가 사용된다. 본원고안은 모자의 땀받이를 개량하여 착용감과 많은 사이즈를 공히 사용할 수 있는 프리사이즈 모자를 제공하기 위한것이다.
종래에는 모자의 땀냄새와 장기간 모자를 착용하고 있으면 불편감을 갖게 되고 결국에는 머리에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모자를 착용하게 되면 머리에는 열이 갖혀있게 되고 주위온도보다 열은 올라가게 되어있다. 그런 후에 많은 땀으로 인하여 불쾌한 땀 냄새가 나는 등의 문제점이 많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캡슐(4)를 두고 바이오 세라믹 코팅층(7)을 두는 것으로 해결하고자 한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모자의 불편함과 모자의 크기를 모든 사람마다 맞출 수가 없을 뿐 만아니라 경우마다 모자의 크기가 자신이 원하는 정도가 상이하게 느껴지는 등의 문제점과 머리의 열을 식혀주는 것에 제한이 있어왔다.
1.특허공개번호 및 공개일자: 10-2012-0062402 (2012년06월14일) 2.특허공개번호 및 공개일자: 10-2005-0108331 (2005년11월16일) (특허문헌 3) 3.특허등록번호 및 등록일자: 10-0669440 (2007년01월09일) 4.특허등록번호 및 등록일자: 10-0669440 (2007년01월09일)
기존에는 사람들이 많이 쓰고 있는 천으로 만든 각종 형태의 모자에는 반드시 땀흡수 및 머리에 가해지는 피부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땀받이가 사용된다. 따라서 다양한 기능의 땀받이가 많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땀흡수를 잘 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를 사용한 땀받이로서 머리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 있는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쉽게 늘어나는 땀받이를 구성하는 등 땀냄새를 흡수할 수 있는 탈취성분의 소재를 사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모자의 땀받이의 한계성으로 인하여 머리가 조여지는 느낌이 감정에 따라서 다르기도 하고 모자의 크기도 날씨와 기분에 따라서 인체가 경험하는 크기에도 제한이 있으며 땀을 발산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따라서 머리의 압력을 쉽게 조절하고 사이즈도 자유자재로 어느 정도 조절하는 등의 모자가 요구되어왔다.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형상기억폼;
스위트 밴드;
상기 형상기억폼의 상하 또는 일면에 배치된 상기 스위트 밴드로 구성한 모자의 땀받이;
상기 땀받이에 요철부를 둘 수 있도록 상기 요철부에 상응한 프레스로 압착하면서 초음파 부착을 통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피부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구성으로 밴드의 구조를 갖게 한다.
또한 상기 요철부의 구성은 모자와 결합하는 땀받이의 타면은 평탄하고 땀받이의 일면은 돌출되도록 요철에 상응한 프레스로 압착하면서 초음파 부착을 통하여 돌출부를 구성하도록 한다.
부가적인 효과로는 상기 요철부는 요철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인체 머리의 크기에 맞는 모자의 사이즈를 조절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형상기억폼을 포함한 상기 스위트 밴드는 모자 전체 부분에 적용하여 모자를 착용시 편한함을 극대화 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앞에서 초음파로 부착한 것을 모자의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서 바느질을 수행하여 부착하는 것이다.
모자의 일부분에 걸쳐서 바느질로 하는 것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형상기억폼(310)과 스위트 밴드(320,330)를 접착하기 위하여 상기 형상기억폼의 상하에 배치된 상기 스위트 밴드로 구성한 모자의 땀받이(300)
상기 땀받이의 중앙부위에 요철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요철부에 상응한 프레스로 압착하면서 초음파 부착을 통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피부충격을 완충하되 상기 스위트 밴드의 가장자리 부분은 바느질로 부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형상기억폼과 스위트 밴드를 일체화시키도록 바느질을 행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피부충격을 완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고안은 모자 착용시 형상기억작용이 있는 메모리 폼을 사용하여 다양한 머리형태에 모자가 편안하게 안착하여 착용감을 극대화하고, 편안한 맞춤을 위해 수많은 특허가 나와있는 탄성밴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모자의 편안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메모리폼을 모자의 땀받이 용으로 개발하여 기존의 모자를 착용하는 것보다 모자 착용시 훨씬 편안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2는 형상기억폼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땀받이를 제작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3은 압착프레스를 이용하여 초음파가열로 접착한 제1실시예의 도이다.
도4는 압착프레스의 형상을 달리하여 초음파가열로 접착한 제2실시예의 도이다.
도5는 도4의 본원고안의 땀받이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도6는 모자의 일부에 본원고안의 땀받이를 적용한 상태도이다.
도7은 모자의 일부에 본원고안의 땀받이를 적용한 상태도이다.
도8은 모자의 전체에 본원고안의 밴드를 적용한 상태도이다.
본원 고안을 실시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형상기억폼을 기존 Sweat Band 안쪽에 봉제하거나, 아니면 유연한 천 속에 넣어 초음파접착으로 압착하여 Sweat Band에 맞는 길이로 맞춤 제작한다.
위 제품을 땀받이 전체 혹은 이마가 닿는 곳만 부분적으로 적용하여 모자형태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한다.
구체적인 방법은 모자의 안쪽에 이마와 닿는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곳에 땀받이를 봉제한다.
일반적인 땀받이와 달리 땀받이 안에 머리모양에 따라 편안하게 밀착되어 착용감이 우수하고 복원력이 좋은 메모리폼을 집어넣고, 겉감으로는 쿨맥스와 같은 다양한 기능성 소재를 사용하여 착용감을 높힌다.
도2 내지 도4는 땀밴드를 제작하는 공정을 보여준다.
도2에서는 상하 기능성 소재 안에 형상기억폼이 들어있는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고,
도3에서는 2겹의 천과 형상기억폼을 프레스로 압착 및 열을 가하여, 검은색 부분의 상하천과 형상기억폼이 압착 및 동시에 초음파 접착되어 얇게 성형되고 힌색 부분은 압착되지 않아 그 반대로 위로 돌출하게 된다.
도4는 도3과 다른 실시예의 프레스의 요철 형상에 관한 것으로 모자의 안과 밖에 공기의 흐름을 원할하고 갖도록 하고 요철의 정도와 형상에 따라 모자의 사이즈를 프리사이즈로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요철의 정도와 형상을 얼마든지 다르게 할 수 있다.
도5는 도4의 단면도이다. 어떤 형상의 경우도 가능하나 공기의 흐름과 이마에 편안한 감각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도6 과 도7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고안의 땀받이를 이마를 포함하는 일부의 접촉부위만 제한적 사용의 경우이다.
모자 착용시 소비자들의 불만사항 중 하나가 이마에 닿는 부분의 편안함과 쿠션감을 가장 요구하므로 이 부분에 본 고안에서 고안한 땀밴드를 사용하면 그 효과가 탁월하다.
도8은 모자 전체에 본원 고안의 밴드를 사용한 것으로 편안한 착용감을 머리 전체로 느낄 수 있도록 편한 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7처럼 Hat이나 Visor등 다양한 형태의 모자에도 본원 고안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밴드에 볼록부를 두어 착용감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모자 크기 조절기능이 추가된다. 돌출부분에 메모리폼이 사용됨으로, 머리의 압력을 쉽게 흡수하여 머리 크기별로 다양하게 모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도 2내지 도 4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형상기억폼(310)과 스웨트 밴드(320,330) 및 상기 형상기억폼의 상하에 배치된 상기 스웨트 밴드로 구성한 모자의 땀받이(300)를 배치하고 프레스로 초음파 가열하여 모자의 땀받이가 볼록 나오도록 형성하기 위하여 볼록부(341)는 프레스에서 오목부에 상당하고 땀받이 오목부(342,343)는 프레스에서 볼록부에 상당하는 것을 도2를 프레스로 초음파 가열하여 압력을 가하면
도 3,4와 같은 형상의 땀받이 밴드가 구성된다.
상기 땀받이 밴드(300)에 임의의 요철부를 둘 수 있도록 한다.
이마에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볼록부(341)와 오목부(342)를 교대로 두어 착용감과 함께 머리로부터 열을 외부로 발산하는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요철부의 형상만큼이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요철부에 상응한 프레스의 요철을 구성하여 압착하면서 초음파 부착을 통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피부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폼을 이용한 모자의 땀받이의 제작공정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5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상기 요철부의 구성은 모자와 결합하는 땀받이의 일면은(343) 평탄하고 땀받이의 타면은(341) 돌출되도록 요철에 상응한 프레스로 압착하면서 초음파 부착을 통하여 돌출부(341)를 구성한다.
상기 요철부는 형상기억폼을 이용하기 때문에 요철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인체 머리의 사이즈에 맞는 모자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역할도 아울러 하는 것이다.
도6과 7은 모자의 일부인 이마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본원고안의 밴드를 적용한 것이다.
상기 형상기억폼을 포함한 상기 스위트 밴드를 이마 부분에 둔 것으로 이마에서 통증을 가장 많이 경험하고 모자가 잘 맞는지의 여부는 이마 부분에서 결정되므로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출부의 형상은 머리의 압력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땀을 흘리지 않도록 모자 안에의 열이 손쉽게 모자 밖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돌출부의 돌출 정도에 따라서 사이즈의 조절이 가능하다.
즉 상기 요철부의 형상은 모자 내외부 공기를 순환시키기에 유리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다.
즉 오목된 부분에서는 머리와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워지지 않아서 외부의 공기와 모자 내의 공기가 상호이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8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상기 형상 기억폼을 포함한 상기 스위트 밴드는 모자 전체 부분에 적용하여 모자를 착용시 머리 전체에 걸쳐 편한함을 극대화 시킨 것으로 일부만으로 적용한 것보다 전체를 적용한 것이 돌출의 정도에 따라서 더욱 편안함과 프리사이즈 정도가 가능한 것이다.
이제까지 설명한 스위트 밴드와 형상기억폼을 일부 또는 전부를 바느질로 체결하는 방법과 관련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 프레스와 초음파로 접착하기도 하고 바느질로 일부 또는 전부를 접착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바느질로 일부를 접착하는 것을 설명한다.
형상기억폼(310)과 스위트 밴드(320,330)사이를 상기 형상기억폼의 상하에 배치된 상기 스위트 밴드로 구성한 모자의 땀받이와 상기 땀받이의 중앙부위에 요철부(341,342)를 구성하도록 상기 요철부에 상응한 형상으로 구성한 프레스로 압착하면서 초음파 부착을 통하여 착용감을 높이어 피부충격을 완충하되 상기 스웨트 밴드의 가장자리 부분은 바느질을 행하는 것으로 구성한다.
모두 초음파 접촉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역시 상기 요철부의 형상은 공기를 순환시키기에 유리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다.
다음 실시예는 형상기어폼과 스위트 밴드를 결합하는데 있어서 전부를 바느질로 부착시키는 것이다.
형상기억폼(310)과 스위트 밴드(320,330)를 결합하되 상기 형상기억폼의 상하에 배치한 상기 스위트 밴드로 구성한 모자의 땀받이로서 상기 땀받이의 중앙부위에 요철부를 구성하며 상기 형상 기억폼과 스위트 밴드를 일체화 시키도록 바느질을 행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피부충격을 완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1: 모자 2: 내측하단둘레 3: 땀받이대 4: 마이크로 캡슐
5: 내피 6: 공간부 7:바이오세라믹 코팅층
300:땀밴드 310:형상기억폼 320,330:스웨트 밴드
340:제1실시예의 땀밴드 341:볼록부 342:오목부
343:평평한 바닥부 350:제2실시예 땀밴드 400:땀밴드를 적용한 모자
410:모자 전체에 적용한 땀밴드 420:모자 일부에 적용한 땀밴드

Claims (3)

  1. 형상기억폼;
    스위트 밴드;
    상기 형상기억폼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상기 스위트 밴드로 구성한 모자의 땀받이;
    상기 땀받이에 요철부를 둘 수 있도록 상기 요철부에 상응한 프레스로 압착 및 열을 가하되, 상기 압착과 동시에 초음파의 열로 상기 형상기억폼과 상기 스위트밴드를 부착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상기 요철부의 구성은 모자와 결합하는 상기 땀받이의 타면은 평탄하고 상기 땀받이의 상기 일면은 요철부를 가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요철부는 프레스로 압착하되,
    상기 땀받이의 철부는 상기 프레스에서 요부에 상당하고 상기 땀받이 요부는 상기 프레스에서 철부에 상당하도록 프레스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땀받이의 요철부의 구성으로 상기 땀받이의 요부 부분에서는 머리와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워지지 않아서 외부의 공기와 모자 내의 공기가 상호 이동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땀받이의 요철부는 요철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인체 머리의 크기에 맞는 모자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프리사이즈의 역할을 하도록 요철의 정도를 구성하며,
    상기 형상기억폼을 포함한 상기 스위트 밴드는 모자의 크라운 내부에 적용하여 모자를 착용시 편안함을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폼을 이용한 모자의 땀받이.
  2. 삭제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땀받이를 상기 모자의 크라운 내부에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KR2020170001234U 2017-03-16 2017-03-16 형상 기억폼을 이용한 모자의 땀받이 및 그를 이용한 모자 KR200485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234U KR200485230Y1 (ko) 2017-03-16 2017-03-16 형상 기억폼을 이용한 모자의 땀받이 및 그를 이용한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234U KR200485230Y1 (ko) 2017-03-16 2017-03-16 형상 기억폼을 이용한 모자의 땀받이 및 그를 이용한 모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066A Division KR20170005677A (ko) 2015-07-06 2015-07-06 형상 기억폼을 이용한 모자의 땀받이 및 그를 이용한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98U KR20170001098U (ko) 2017-03-23
KR200485230Y1 true KR200485230Y1 (ko) 2018-01-18

Family

ID=58496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234U KR200485230Y1 (ko) 2017-03-16 2017-03-16 형상 기억폼을 이용한 모자의 땀받이 및 그를 이용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23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466Y1 (ko) * 2005-02-07 2005-05-03 조경환 모자
KR200421709Y1 (ko) * 2006-04-19 2006-07-14 주식회사 유신모자 통풍 및 장식기능을 겸하는 땀밴드를 구비한 모자
KR100669440B1 (ko) * 2005-10-11 2007-01-16 주식회사유풍 모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224B1 (ko) 2005-10-31 2006-12-04 성선경 프리 사이즈 모자
KR20110004521U (ko) * 2009-10-30 2011-05-09 강현문 두발 눌림 방지 기능을 갖는 헬멧용 완충 패드
KR20120062402A (ko) 2010-12-06 2012-06-14 (주)샤뽀 크기 조절형 모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466Y1 (ko) * 2005-02-07 2005-05-03 조경환 모자
KR100669440B1 (ko) * 2005-10-11 2007-01-16 주식회사유풍 모자
KR200421709Y1 (ko) * 2006-04-19 2006-07-14 주식회사 유신모자 통풍 및 장식기능을 겸하는 땀밴드를 구비한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98U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440B1 (ko) 모자
CN105228477B (zh) 帽类物品
US20080051005A1 (en) Seamless brassiere
KR200485230Y1 (ko) 형상 기억폼을 이용한 모자의 땀받이 및 그를 이용한 모자
KR200344869Y1 (ko) 땀흡수부재가 결합된 모자
KR200403609Y1 (ko) 모자용 냉각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모자
KR20170005677A (ko) 형상 기억폼을 이용한 모자의 땀받이 및 그를 이용한 모자
WO2019142542A1 (ja) ウィッグベース、ウィッグキャップ、およびウィッグ
KR102317939B1 (ko) 마스크 착용밴드
US20050235395A1 (en) Cap having a visor with soft inner edge
US1964919A (en) Cap
KR20170111774A (ko) 땅콩형 덧버선 제조방법
KR200421709Y1 (ko) 통풍 및 장식기능을 겸하는 땀밴드를 구비한 모자
JP3101361U (ja) 全かつら
KR200322618Y1 (ko) 브래지어용 패드
CN218073683U (zh) 无顶遮阳帽
KR200482043Y1 (ko) 압박감이 적은 모자용 챙심
KR20140030816A (ko) 가발
JP3231126U (ja) 被り心地が調整可能なヘルメットインナーライニング
JP6657467B1 (ja) かつらベース及びかつら
US1995986A (en) Hat structure
KR200252439Y1 (ko) 브래지어 패드
JP6014921B2 (ja) つけ毛付き帽子
TWM647202U (zh) 安全帽邊條結構
KR101212041B1 (ko) 프리 사이즈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