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043Y1 -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043Y1
KR200485043Y1 KR2020170001738U KR20170001738U KR200485043Y1 KR 200485043 Y1 KR200485043 Y1 KR 200485043Y1 KR 2020170001738 U KR2020170001738 U KR 2020170001738U KR 20170001738 U KR20170001738 U KR 20170001738U KR 200485043 Y1 KR200485043 Y1 KR 2004850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utting
raw material
impact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헌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토리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토리
Priority to KR2020170001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0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0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0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axially elongat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그물의 분쇄 및 세척이 가능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융 과정에 앞서 폐비닐은 물론 폐그물 등의 원료를 분쇄 및 세척하는 선처리 과정에 있어, 원통형 드럼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축의 둘레에 다수의 타격툴을 형성하되, 각각의 타격툴이 충격과 1차 절단과 2차 절단 및 두들김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3개의 유형으로 구분되게 구성함으로써, 투입된 원료를 충격에 의한 이물질의 제거와 1차 절단에 의한 절단과 2차 절단 및 타격에 의한 미세 분쇄가 가능하게 하는 등 효율적인 작업으로 부착된 이물질의 완전한 제거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용융에 편리한 입자로의 분쇄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그 작업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타격툴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고정대와의 소정 유격이 발생하게 함으로써, 그 타격툴의 유동력 부여에 따른 보다 효과적인 분쇄 및 세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Waste net grinding and cleaning device}
본 고안은 폐그물의 분쇄 및 세척이 가능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반 과정에서 타격과 절단이 동시에 가능하게 함으로써, 폐그물의 완전한 이물질 제거와 분쇄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종류의 폐자재가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들 폐자재는 크게 사업장 폐자재, 농촌 폐자재 및 어촌 폐자재로 구분된다.
이러한 폐자재 중 농촌 폐자재는 농업활동중에 배출되는 것으로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비닐이나 가정에서 사용되어 폐기되는 각종의 비닐(이하 "폐합성 자재"이라 통칭함)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어촌 폐자재는 어업 활동중에 배출되는 것으로 최근에 연안 양식 어장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되는 그물이 늘어나면서 방치되는 침체(沈滯) 어망 등의 폐그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폐그물은 해양오염을 가중시키고 해양생태계를 오염시키는 주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배출되는 폐자재의 처리 방법으로는 땅에 매립하여 폐기하는 방안, 소각하여 폐기하는 방안 및 용융시켜 재활용하는 방안이 선택적으로 채택되어 적용되고 있다.
상기 폐자재를 땅에 매립하는 방안은 가장 적은 비용으로 폐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비닐이 매립되어 자연분해되기 위해서는 일반 비닐은 약 1천년, 친환경 제품인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제조한 비닐은 약 30년의 세월이 지나야만 분해흡수되는 것으로, 대지의 환경을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폐자재를 소각하여 폐기하는 방안은, 폐자재를 태울 때 발생하는 열원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폐자재가 탈 때 각종의 오염성분이 대기중으로 방출되어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의 중화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 방안은 중화를 위한 장치가 고가이고, 완벽하게 중화시킬 수 없는 것이어서 대기오염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소각에 의한 폐기방안은 강력하게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환경오염,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폐비닐, 폐의류를 포함한 각종 폐자재를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방안이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나, 폐합성 자재를 재활용하는 시스템이 상당히 복잡한 시스템으로 되어 있어 생산성에 심각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폐그물을 포함한 어촌 폐자재는 일반 폐자재과 달리 바닷물에 의해 염분을 함유하고 있어 이를 제거하기 않을 경우 염분으로 인한 폴리머 산화작용 등으로 성형가공성이 저해되고 압출성형 후에는 제조된 고형연료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염분제거를 위한 탈염작업이 요구된다.
그리고 어망 등의 폐그물은 그 화학적, 물성적 수명을 다하여 못쓰게 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조업중 유실되거나 어구 전체중 일부가 파손되어 못쓰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폐그물은 일반 쓰레기가 아니라 산업쓰레기로 분류되어 있다. 따라서 어항마다 일정한 수집장소를 지정하여 모은 후 산업폐기물 수집업체에 의뢰하여 폐기하고 있는 실정이나 폐그물의 친환경적 처리와 자원재활용 측면에서의 처리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폐그물이나 폐비닐(이하, 원료라 함)을 세척 및 절단하고, 세척 절단된 원료를 용융시켜 고형연료(펠렛)화 하여 재활용하는 방안이 각광받고 있는 실정으로, 상기와 같은 용융과정에 앞서 그 원료를 용융에 편리하도록 세척 및 절단하는 세척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세척장치는 비교적 연질인 폐비닐의 경우에는 이물질의 제거와 분쇄가 가능하였으나, 폐그물과 같이 수많은 가닥의 합성수지사(絲)로 된 선형(線形)이 조직을 이루고 있고 그물사가 망 조직으로 짜여져 있는 원료는 일반 폐합성수지류와는 달리 이물질의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특히 그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후공정으로 수행되는 용융 과정에서의 품질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69063호.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680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용융 과정에 앞서 폐비닐은 물론 폐그물 등의 원료를 분쇄 및 세척하는 선처리 과정에 있어, 원통형 드럼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축의 둘레에 다수의 타격툴을 형성하되, 각각의 타격툴이 충격과 1차 절단과 2차 절단 및 두들김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3개의 유형으로 구분되게 구성함으로써, 투입된 원료를 충격에 의한 이물질의 제거와 1차 절단에 의한 절단과 2차 절단 및 타격에 의한 미세 분쇄가 가능하게 하는 등 효율적인 작업으로 부착된 이물질의 완전한 제거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용융에 편리한 입자로의 분쇄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그 작업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타격툴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고정대와의 소정 유격이 발생하게 함으로써, 그 타격툴의 유동력 부여에 따른 보다 효과적인 분쇄 및 세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세척수 순환부를 통해 세척수를 순환 공급 받아 폐그물을 분쇄 및 세척하는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세척장치에 있어서,
세척유닛은,
상부 일측에 원료의 투입이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 타측에는 분쇄 및 세척된 원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폐 세척수 및 이물질의 배출이 가능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좌,우 길이를 이루는 원통형 세척드럼;
세척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축설되어 모터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원반형 "링" 형태로 구성되어 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되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되어 각각의 사이에는 다수단의 타격툴 유동홈을 이루게 하는 분리판;
각각의 분리판을 수평 관통하여 연결하되, 90°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구성되어 4개 한 조를 이루는 다수의 고정대; 및
타격툴 유동홈에서 각각의 고정대에 설치되는 다수의 타격툴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타격툴은,
투입된 원료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툴과, 투입된 원료의 절단을 수행하는 절단툴과, 원료의 절단 및 충격을 가하는 분쇄툴로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는, 3가지 유형으로 구성된 타격툴을 이용하여 투입된 원료를 충격 및 분쇄를 수행하게 되는 것인바, 원료에 부착된 이물질의 효과적인 분리 세척이 가능하면서도, 순차적인 미세 분쇄가 가능하며, 특히 그 분쇄 및 세척하는 작업 시간이 현격히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타격툴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고정대와의 유격으로 인해 그 유동 범위가 확대되는 것인바, 이에 따른 고른 분쇄 및 세척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의 전체도.
도 2는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의 세척유닛 요부도.
도 3은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의 타격툴 요부도.
도 5는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의 타격툴 요부도.
도 6은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의 타격툴 요부도.
도 7은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의 타격툴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의 충격툴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의 절단툴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의 분쇄툴 작동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의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의 세척유닛 요부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1)는, 세척수 순환부(10)를 통해 세척수를 순환 공급 받아 폐그물을 분쇄 및 세척하는 세척유닛(1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세척수 순환부(10)는 한정 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폐그물이나 폐비닐 등의 세척시 세척수를 공급 및 다시 폐 세척수를 회수하여 순환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먼저 하기하는 세척유닛(100)의 하부에는 회수탱크(11)가 구성되며, 그 회수탱크(11)는 순환펌프(12) 작동시 세척수 공급관(13)을 통해 세척유닛(100)의 상부로 필터링 후 재공급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에서 상기 세척유닛(100)은, 세척드럼(200)과, 회전축(300)과, 분리판(400)과, 고정대(500)와, 타격툴(6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세척드럼(200)은, 내부가 중공되며, 좌,우 길이를 이루는 원통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먼저 상부 일측에는 분쇄 및 세척하고자 하는 폐그물이나 폐비닐(이하, 원료라 함) 등이 투입되는 투입구(210)가 구성된다.
그리고, 세척드럼(200)은 투입구(210)의 반대측에서 하부에는 분쇄 및 세척된 원료의 배출이 가능한 배출구(2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세척드럼(200)은 그 하부가 원료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제거된 이물질 및 폐 세척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통공(230)(230')이 타공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300)은, 세척드럼(200)의 중앙을 길이 방향으로 관통 및 베어링(도면중 미도시함)을 통해 축설되어 세척드럼(200)과 회전간섭 받지 않으면서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회전축(300)은 통상의 모터(310) 동력을 통해 회전 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이때 모터(310)의 동력 방법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회전축(300)과 직접 연결되게 구성하거나 별도 구성하여 밸트 또는 체인 등을 통해 연결하여 동력이 절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분리판(400)은, 회전축(300)의 둘레에서 일정한 간격을 다수열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은 원반형 "링"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어 회전축(300)의 둘레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게 회전축(300)과 일체 구성되어 회전축(300)과 함께 회전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분리판(400) 들의 사이는 이격되게 구성된 것인바, 그 이격부는 다수의 타격툴 유동홈(410)을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500)는, 각각의 분리판(400)을 수평 관통하여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분리판(400)의 둘레 근접부를 관통 형성된다.
이때, 고정대(500)는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하여 90°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4개가 한 조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타격툴(600)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타격툴 유동홈(410) 내에서 고정대(500)에 설치되게 구성된 것으로, 설치시 분리판(400) 및 고정대(500) 와는 회동 간섭을 받지 않게 설치되며, 회전축(30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원주 방향으로 전개되어 원료의 타격 및 절단이 가능하게 다수로 구성된다.
이때, 타격툴(600)은 다수의 유형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충격툴(610)과, 절단툴(620)과, 분쇄툴(630)로 구성된다.
먼저, 충격툴(610)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장방형 "바" 형태의 블록으로 구성된 것으로, 투입된 원료를 타격하여 충격을 가해 원료로부터 이물질의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충격툴(610)은 장방형 "바"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하부에는 양측을 관통하는 충격툴 장공(612)이 형성되어 그 충격툴 장공(612)을 통해 고정대(500)에 결합되며, 그 충격툴 장공(612)은 충격툴(61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원료와 간섭시 소정의 유동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에는 해머부(615)가 구성된 것으로, 해머부(615)는 양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폭을 이루게 구성되며, 그 회전방향 전면에는 양측에 수직 형태를 이루는 타격돌부(616)가 구성된다.
그리고, 해머부(615)의 돌출되는 양측 하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618)이 구성된 것으로, 충격툴(61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후방에서 원료와의 간섭이 최소화 되게 한다.
즉, 충격툴(610)은 회전하는 과정에서 해머부(615)의 타격돌부(616) 통해 원료를 타격하게 되는 것인바, 그 원료에 부착된 이물질의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절단툴(620)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장방형 바" 형태의 블록으로 구성된 것으로, 투입된 원료를 절단하게 구성된다.
이때, 절단툴(620)은 장방형 "바"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하부에는 양측을 관통하는 절단툴 장공(622)이 형성되어 그 절단툴 장공(622)을 통해 고정대(500)에 결합되며, 그 절단툴 장공(622)은 절단툴(6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원료와 간섭시 소정의 유동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에는 절단부(625)가 구성된 것으로, 절단부(625)는 양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폭을 이루게 구성되며, 그 회전방향 전면에는 양측에 수직 형태를 이루는 절단날(626)이 구성된다.
그리고, 절단부(625)의 돌출되는 양측 하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628)이 구성된 것으로, 절단툴(6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후방에서 원료와의 간섭이 최소화 되게 한다.
즉, 절단툴(620)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절단부(625)의 절단날(626)을 통해 원료와 간섭시 그 원료를 절단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절단 과정에서 결집된 원료를 분리 및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분쇄툴(630)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장방형 바" 형태의 블록으로 구성된 것으로, 투입된 원료를 절단 및 충격을 가해 이물질의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분쇄툴(630)은 장방형 "바"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하부에는 양측을 관통하는 분쇄툴 장공(632)이 형성되어 그 분쇄툴 장공(632)을 통해 고정대(500)에 결합되며, 그 분쇄툴 장공(632)은 분쇄툴(63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원료와 간섭시 소정의 유동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에는 분쇄부(635)가 구성된 것으로, 분쇄부(635)는 양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폭을 이루게 구성되며, 그 회전방향 전면에는 수직 형태를 이루는 다수열의 분쇄홈(636)과 다수열의 분쇄날(637)이 연속하여 반복 구성된다.
그리고, 분쇄부(635)의 돌출되는 양측 하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638)이 구성된 것으로, 분쇄툴(63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후방에서 원료와의 간섭이 최소화 되게 한다.
즉, 분쇄툴(630)은 회전하는 과정에서 분쇄부(635)의 분쇄홈(636)과 분쇄날(637)과 간섭시 상기 절단툴(620)에 비해 비교적 미세한 분쇄가 가능하게 하는 한편, 원료에 조밀한 타격력을 부여하여 조밀하게 끼어있는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충격툴(610)과 절단툴(620)과 분쇄툴(630)은 각단의 타격툴 유동홈(410)에 배열함에 있어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하여 다른 각도의 고정대(500)에 형성되게 구성된다.
먼저, 이웃하는 타격툴 유동홈(410)에는 동일 각도에 해당하는 고정대(500)에 2개의 충격툴(610)이 나란히 배열된다.
그리고, 충격툴(610)과 이웃하는 다음 단의 타격툴 유동홈(410)에는 충격툴(610)과 90°각도에 해당하는 고정대(500)에 하나의 절단툴(620)이 구성된다.
그리고, 절단툴(620)과 이웃하는 다음 단의 타격툴 유동홈(410)에는 절단툴(630)과 90°각도에 해당하는 고정대(500)에 하나의 분쇄툴(630)이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충격툴(610)과 절단툴(620)과 분쇄툴(630)은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하여 90°각도를 이루게 하나의 사이클을 이루며, 연속하여 사이클이 90°각도로 반복 형성되어 나선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충격툴(610)을 2개 구성함은 원료를 분쇄 세척함에 있어 이물질의 제거가 우선시 되기 때문에 원료에 많은 충격을 가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1)는, 폐그물 및 폐비닐을 분쇄 및 세척하여 고형연료(펠렛)를 생산하기 위한 상품의 재료를 얻기 위해 최대한 분쇄 및 세척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 분쇄 세척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7의 도시와 같이 세척유닛(100)의 세척드럼(200) 내부에는 비교적 큰 크기로 수작업 또는 타 공정을 통해 절단된 원료를 투입 및 회전 교반시키는 과정에서 분쇄 및 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그 분쇄 및 세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세척장치와 같이 세척드럼(200)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세척수는 세척수 순환부(10)의 회수탱크(11)에 저장된 세척수를 필터링 및 순환펌프(12) 작동을 통해 세척드럼(200)의 상부로 공급 및 다시 회수하여 재사용되게 된다.
이에, 본 고안 분쇄 세척장치(1)에서는 세척드럼(200)의 내부에서 회전축(300)과 함께 회전하는 다수의 타격툴(600)을 통해 원료를 타격 및 분쇄하게 된다.
즉, 도 8을 참조하여 회전축(300)에 회전력이 전달되게 되면 각각의 고정대(500)에 설치된 타격툴(600) 들은 원심력에 의해 사방으로 전개되게 되는 것인바, 그 전개 회전 과정에서 원료와 간섭되어 그 원료를 타격 및 절단하게 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도 9의 도시와 같이 타격툴(600)의 충격툴(610)은 회전하는 과정에서 해머부(615)가 원료와 간섭 타격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해머부(615)에 형성된 타격돌부(616)가 원료에 충격을 가해 흡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 분리하게 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도 10의 도시와 같이 타격툴(600)의 절단툴(620)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절단부(625)가 원료와 간섭 타격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절단부(625)에 형성된 절단날(626)이 원료를 1차 절단하게 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도 11의 도시와 같이 타격툴(600)의 분쇄툴(630)은 회전하는 과정에서 그 분쇄부(635)가 원료와 간섭 타격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분쇄부(635)에 형성된 분쇄홈(636) 및 분쇄날(637)이 원료를 보다 미세한 입자로 2차 분쇄 및 타격하여 조밀하게 끼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 분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충격툴(610)과 절단툴(620)과 분쇄툴(630)은 그 회전하는 과정에서 원료와의 간섭시 각각의 장공(612)(622)(632)을 통해 소정의 유동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인바, 원료와 간섭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동력에 의한 진동 부여로 원료의 타격 효율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충격툴(610)과 절단툴(620)과 분쇄툴(630)의 해머부(615)와 절단부(625)와 분쇄부(635) 양측에 형성되는 경사면(618)(628)(638)은 타격 및 절단되어 지나가는 원료와의 간섭을 최소화시켜 그 충격툴(610)과 절단툴(620)과 분쇄툴(630)의 회전이 원활하게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충격툴(610)과 절단툴(620)과 분쇄툴(630)은 이웃하는 타격툴 유동홈(410)에서 단차를 이루게 나선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일측의 투입구(210)로 투입된 원료는 자연시 분쇄 및 세척되는 과정에서 타측의 배출구(220)로 이동 배출되게 된다.
즉,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1)는, 세척드럼(200)에 투입된 원료를 타격 및 분쇄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통해 세척하게 되는 것이며, 분리된 이물질은 세척수와 함께 세척드럼(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공(230)(230')을 통해 회수탱크(11)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는, 투입되는 원료에 대하여 타격 및 절단을 동시에 수행하게 됨으로 완전한 이물질의 제거 및 고형연료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입자 크기로의 절단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최적의 고형연료 재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는, 통상의 비교적 분쇄 및 세척이 용이한 폐비닐은 물론, 조직을 이루고 있고 그물사가 망 조직으로 짜여져 있는 폐그믈 까지도 용이한 분쇄 및 세척이 용이하게 된다.
100 : 세척유닛 200 : 세척드럼
210 : 투입구 220 : 배출구
230,230' : 통공 300 : 회전축
400 : 분리판 410 : 타격툴 유동홈
500 : 고정대 600 : 타격툴
610 : 충격툴 612 : 장공
615 : 해머부 616 : 타격돌부
618 : 경사면 620 : 절단툴
622 : 절단툴 장공 625 : 절단부
626 : 절단날 628 : 경사면
630 : 분쇄툴 632 : 분쇄툴 장공
635 : 분쇄부 636 : 분쇄홈
637 : 분쇄날 638 : 경사면

Claims (5)

  1. 삭제
  2. 세척수 순환부를 통해 세척수를 순환 공급 받아 폐그물을 분쇄 및 세척하는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세척장치에 있어서,
    세척유닛(100)은,
    내부가 중공형태로 마련되며, 상부 일측에 원료의 투입이 가능한 투입구(210)가 형성되고, 하부 타측에는 분쇄 및 세척된 원료가 배출되는 배출구(220)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폐 세척수 및 이물질의 배출이 가능한 다수의 통공(230)(230')이 형성된 좌,우 길이를 이루는 원통형 세척드럼(200);
    세척드럼(200)의 중앙을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축설되며, 세척드럼(200)에 간섭없이 모터(31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00);
    원반형 "링" 형태로 구성되어 회전축(300)의 둘레에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되어 각각의 사이에 다수단의 타격툴 유동홈(410)을 이루게 구성되는 분리판(400);
    각각의 분리판(400)을 수평 관통하여 연결하되,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하여 90°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구성되어 4개 한 조를 이루는 다수의 고정대(500); 및
    타격툴 유동홈(410)에서 각각의 고정대(500)에 설치되는 다수의 타격툴(600);
    을 포함하며,
    타격툴(600)은,
    투입된 원료에 충격을 가하여 원료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충격툴(610)과, 투입된 원료의 절단을 수행하는 절단툴(620)과, 원료의 절단 및 충격을 가하는 분쇄툴(630)로 구성되되,
    충격툴(610)은,
    하부에 충격툴 장공(612)이 형성되어 고정대(500)에 결합되는 장방형 "바" 형태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폭을 이루는 해머부(615)를 이루게 구성하되, 충격툴(610)은 회동하는 과정에서 충격툴 장공(612)을 통해 원료와 간섭시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해머부(615)는 전면 양측에 수직 형태를 이루는 타격돌부(616)가 형성되어 회전 시 원료를 타격하여 원료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고, 양측 하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를 이루어 충격툴(61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후방에서 원료와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경사면(618)을 이루게 구성되며,
    절단툴(620)은,
    하부에는 절단툴 장공(622)이 형성되어 고정대(500)에 결합되는 장방형 "바" 형태의 블록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폭을 이루는 절단부(625)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절단툴(620)은 회동하는 과정에서 절단툴 장공(622)을 통해 원료와 간섭시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하며, 절단부(625)는 회전방향 전면 양측에 수직 형태를 이루는 절단날(626)이 형성되고, 양측 하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를 이루어 절단툴(6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후방에서 원료와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경사면(628)을 이루게 구성되며,
    분쇄툴(630)은,
    하부에는 분쇄툴 장공(632)이 형성되어 고정대(500)에 결합되는 장방형 "바" 형태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폭을 이루는 분쇄부(635)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분쇄툴(630)은 회동하는 과정에서 분쇄툴 장공(632)을 통해 원료와 간섭시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하며, 분쇄부(635)는 전면에 수직 형태를 이루는 다수열의 분쇄홈(636)과 분쇄날(637)이 연속하여 반복 형성되고, 양측 하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방 경사를 이루어 분쇄툴(63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후방에서 원료와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경사면(638)을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각단의 타격툴 유동홈(410)에 형성되는 충격툴(610)과 절단툴(620)과 분쇄툴(630)은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하여 다른 각도를 이루게 구성하되,
    이웃하는 타격툴 유동홈(410)에는 동일 각도에 해당하는 고정대(500)에 2개의 충격툴(610)이 나란히 배열되고, 다음 단의 타격툴 유동홈(410)에는 충격툴(610)과 90°각도에 해당하는 고정대(500)에 하나의 절단툴(620)이 형성되며, 다음 단의 타격툴 유동홈(410)에는 절단툴(630)과 90°각도에 해당하는 고정대(500)에 하나의 분쇄툴(630)이 형성되게 하나의 사이클을 이루게 구성하며,
    연속하여 사이클이 90°각도로 반복 형성되어 나선 형태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
KR2020170001738U 2017-04-07 2017-04-07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 KR2004850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38U KR200485043Y1 (ko) 2017-04-07 2017-04-07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38U KR200485043Y1 (ko) 2017-04-07 2017-04-07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043Y1 true KR200485043Y1 (ko) 2017-11-24

Family

ID=6048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738U KR200485043Y1 (ko) 2017-04-07 2017-04-07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0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216B1 (ko) * 2019-03-08 2019-08-22 (주)우주금속산업 전기시설물 분리용 회전식 타격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4844U (ko) * 1987-03-17 1988-09-22
KR100869063B1 (ko) 2008-08-06 2008-11-17 주식회사에이엔에스 폐그물 선별 장치
KR20110068781A (ko) * 2009-12-15 2011-06-22 (주) 호림이에스티 음식물쓰레기 선별 파쇄장치
KR101070252B1 (ko) * 2011-08-23 2011-10-06 주식회사 엔에스알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KR101576805B1 (ko) 2014-12-23 2015-12-11 김태길 폐비닐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4844U (ko) * 1987-03-17 1988-09-22
KR100869063B1 (ko) 2008-08-06 2008-11-17 주식회사에이엔에스 폐그물 선별 장치
KR20110068781A (ko) * 2009-12-15 2011-06-22 (주) 호림이에스티 음식물쓰레기 선별 파쇄장치
KR101070252B1 (ko) * 2011-08-23 2011-10-06 주식회사 엔에스알 폐비닐 또는 폐어망 세척장치
KR101576805B1 (ko) 2014-12-23 2015-12-11 김태길 폐비닐 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216B1 (ko) * 2019-03-08 2019-08-22 (주)우주금속산업 전기시설물 분리용 회전식 타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717B1 (ko) 폐그물 재생장치
KR101373117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연료화 선별방법 및 선별장치
KR101825267B1 (ko) 자연 건조과정을 적용한 매립된 가연성 쓰레기의 대량 연료화 선별시스템
JP5058203B2 (ja) 農業用プラスチック製品の分別再生プラント
KR101805768B1 (ko) 오염토양을 세척, 파쇄 및 선별하는 습식 정량 공급시스템
KR19990066128A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WO2013166822A1 (zh) 一种用于城市生活垃圾的两段式滚筒筛
KR20170132524A (ko) 오염토양을 파쇄 및 선별하는 습식 드럼 파쇄장치
US20220080463A1 (en) Specific gravity-specific waste air sorter having impurity separation function, using vortex
KR20200102624A (ko) 가연성쓰레기를 연료화 하기 위한 압축 절단파쇄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KR100952903B1 (ko) 원심력을 이용한 폐비닐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비닐 재생 시스템
CN103846274A (zh) 一种生活垃圾破袋分选一体机
KR200485043Y1 (ko) 개선된 세척유닛을 갖는 폐그물 분쇄 세척장치
KR20045496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9226199B (zh) 多级破碎除尘的硒鼓回收处理系统
CN202893420U (zh) 一种用于餐厨垃圾破碎制浆分选的装置
KR101501452B1 (ko) 듀얼 파쇄식 이물질 제거장치
KR20210016961A (ko) 트롬멜 선별기
CN104858214B (zh) 一种生活垃圾水下分类破袋方法及其破袋系统
KR20050050320A (ko) 건설폐기물 이물질 선별 방법 및 장치
KR20120019962A (ko) 이물질 파쇄 선별기
KR10097333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파쇄와 마쇄를 이용한 순환골재 제조시설
KR20100005787A (ko) 폐그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
WO1997014501A1 (en) Ferrous material recovery system
KR100462561B1 (ko) 트롬멜형 농업용 멀칭 폐비닐 전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