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980Y1 -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종이가구 - Google Patents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종이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980Y1
KR200484980Y1 KR2020150005601U KR20150005601U KR200484980Y1 KR 200484980 Y1 KR200484980 Y1 KR 200484980Y1 KR 2020150005601 U KR2020150005601 U KR 2020150005601U KR 20150005601 U KR20150005601 U KR 20150005601U KR 200484980 Y1 KR200484980 Y1 KR 200484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e
carton
furniture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773U (ko
Inventor
박대희
Original Assignee
박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희 filed Critical 박대희
Priority to KR2020150005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980Y1/ko
Priority to PCT/KR2016/008688 priority patent/WO2017034176A1/ko
Publication of KR20170000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7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9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14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threaded bolts or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clamps, clips, wedges, sliding bol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clamps, clips, wedges, sliding bolts, or the like
    • F16B12/2009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clamps, clips, wedges, sliding bolts, or the like actuated by rotary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6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snap-a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는, 종이 가구에 포함되는 제1 판지 및 제1 판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제2 판지를 연결하는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로서, 제1 판지에 삽입되는 제1 연결구; 및 제1 연결구와 체결되어 제2 판지를 제1 판지와 접한 상태로 고정하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하고, 제1 연결구는, 제2 연결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제2 연결구는, 제2 판지에 형성된 삽입구 및 제1 연결구의 관통홀에 관통되는 몸체, 및 제2 연결구의 몸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제2 연결구의 몸체가 관통홀에 삽입된 때, 제1 연결구의 관통홀과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종이가구{COUPLING MEMBER FOR PATER FURNITURE AND PAPER FURITURE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종이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집안 살림에 쓰는 기구로써 주로 장롱, 책장, 탁자, 서랍장 따위 등을 일컫는다. 최근 주거 형태에 따라 가구의 모양과 크기 및 소재가 변하며 조립식, 철제가구로 변화해왔다.
최근 1인 가구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1인 가구 대상의 소형 제품들이 개발되고 판매되고 있지만, 기존의 조립식 가구의 모습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최근에 개발된 소형 가구 제품은 대부분 기존 대형 가구를 단순히 소형화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소형 가구라 할지라도 조립 및 폐기가 어려우며, 일반 가구와 마찬가지로 가격이 여전히 비싸다.
또한, 카메라 컬렉터, DVD 컬렉터, 만화책 컬렉터, 프라모델 컬렉터, 명품 가방수집 등과 같이 개인의 취미 활동이 매우 다양해짐에 따라 가구에 요구되는 사항 역시 다양해 졌으나, 현재의 1인 가구는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의 1인 가구는 MDF,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사용한 제품이 대부분이며, 이는 건강 및 환경을 중시하는 현재의 1인 가구 소비자의 트렌드에 맞지 않는다.
이에, 기존 가구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최근에 종이로 구성된 가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이 가구는, 가공법에 따라 접기를 이용한 가구, 붙이기를 이용한 가구, 꼬아서 엮는 기법의 가구, 블록을 이용한 가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접기를 이용한 가구는 주로 카드 보드 혹은 골판지의 각을 세워서 접은 후, 홈을 파서 끼우는 방법으로 제작된다. 일 예로, 일반적인 종이 박스가 이에 해당된다.
붙이기를 이용한 가구는 목재에 종이를 바르는 방법, 종이 그대로를 연속해서 접착제로 붙여 만드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지장 공예 또는 양면 테이프 가공 접착 제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꼬아서 엮는 기법의 가구로는 예컨대 우리나라 지승 공예를 들 수 있으며, 그 밖에 철사를 중심으로 종이를 꼬아 아교 등의 풀로 붙여 의자 등을 만든 것이 있다. 이 같은 기법으로 제작된 가구는 주로 예술작품으로 활용된다.
블록을 이용한 가구는 허니콤 보드, 골판지, 지관 등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판지와 판지 사이를 직접 접합하거나, 금속 결합구나 종이 튜브 등을 이용해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이판재들을 직접 접합하는 경우 조립에 있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조립된 가구가 충분한 강도를 획득하기 어렵다.
또한, 금속 결합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경우, 종이판재에 삽입하기 위한 철심을 가공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고, 사용자가 철심을 종이판재에 한번 잘못 삽입한 경우에는 수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07664호 (2011년01월25일 공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저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고, 소비자들에게 조립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조립된 종이 가구에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종이가구용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종이 가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종이 가구에 포함되는 제1 판지 및 상기 제1 판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제2 판지를 연결하는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로서,
상기 제1 판지에 삽입되는 제1 연결구; 및 상기 제1 연결구와 체결되어 상기 제2 판지를 상기 제1 판지와 접한 상태로 고정하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2 연결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구는, 상기 제2 판지에 형성된 삽입구 및 상기 제1 연결구의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는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때, 상기 제1 연결구의 상기 관통홀과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구는,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납작한 형상의 머리부; 및 상기 제2 연결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머리부에 마련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의 결합 시, 상기 걸림돌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의 결합 시, 상기 걸림돌기는 한 쌍의 상기 걸림턱 사이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관통홀이 상기 제1 연결구의 몸체의 일단에만 마련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타단에는 상기 제1 연결구의 몸체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납작한 형상의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1 연결구의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고, 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좁아지는 날카로운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구의 관통홀에는 상기 제2 나사산사과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제1 연결구의 관통홀의 체결 시, 상기 체결수단과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탄성후크이고, 상기 탄성후크는,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의 단부가 두 갈래로 갈라져 형성된 절결부; 및 상기 절결부의 두 갈래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가 상기 제1 연결구의 관통홀에 삽입된 때, 상기 관통홀의 외주연에 걸리게 되는 한 쌍의 후크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설치 장소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판지, 설치 장소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판지 및 상기 수직판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상기 수평판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종이 가구로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평판지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되는 제1 연결구; 및
상기 제1 연결구와 체결되어 상기 수직판지를 상기 수평판지와 접한 상태로 고정하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2 연결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구는, 상기 수직판지에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제1 연결구의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는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때, 상기 제1 연결구의 상기 관통홀과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및 종이 가구는 종이 판지들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종이 가구에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에게 조립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이 가구의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종이 판지에 연결부재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사 등에 따른 새로운 장소에 종이 가구를 용이하게 분리하고 재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1 연결구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 연결구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연결구 및 도 2의 제2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 및 판지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연결부재와 판지를 포함하는 종이 가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1 연결구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 연결구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연결구 및 도 2의 제2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 및 판지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연결부재와 판지를 포함하는 종이 가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는 종이 가구에 포함되는 제1 판지(H)와 제2 판지(V)를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종이 가구는 책장이나 탁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외에 종이 가구는 집안 살림에 쓰이는 장롱, 서랍장 또는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매대나 POP(Point of Purchase)를 위한 진열장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제1 판지(H)와 제2 판지(V)를 연결하며, 제1 판지(H)에 삽입되는 제1 연결구(100) 및 상기 제1 연결구(100)와 체결되고 상기 제2 판지(V)를 상기 제1 판지(H)와 접한 상태로 고정하는 제2 연결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구(100)는 제1 판지(H)에 마련된 기다란 형상의 슬릿(1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연결구(100)는 제1 판지(H)에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연결구(100)는 얇은 판 형상의 몸체(102), 및 상기 몸체(102)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구(20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1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02)는 대칭형상을 지니며, 상기 관통홀(110)은 몸체(102)의 양측에 서로 대칭하는 위치에서 각각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10)은 원형의 관통구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어 십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구(200)는 제2 판지(V)에 형성된 삽입구(2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20)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구(200)는, 제2 판지(V)의 삽입구(20) 및 상기 제1 연결구(100)의 관통홀(110)에 관통되는 몸체(210), 및 상기 제2 연결구(200)의 몸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10)가 상기 관통홀(110)에 삽입된 때, 제1 연결구(100)의 관통홀(110)과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구(100) 및 제2 연결구(20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판지(H)와 제2 판지(V)는 종이 가구에 포함되며, 종이 가구(1)의 면을 이룬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100, 200)를 이용하여 제1 판지(H) 및 제2 판지(V)를 조립함으로써 종이 가구(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판지(H) 및 제2 판지(V)를 포함하는 종이 가구는 복수 개의 단위 셀로 이루어진 공간박스, 책장 또는 수납장일 수 있다.
제1 판지(H) 및 제2 판지(V)는 골판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골판지는 골(flute), 즉 파도 모양으로 성형한 종이(골심지)의 편면 또는 양면에 편평한 형상의 판지(라이너원지)를 접착시킨 것으로, 그 구조상으로 편면골판지(singlefaced
corrugated fibreboard)와, 양면골판지(Double-faced corrugated firbreboard, Single Wall corrugated fibreboard, S/S), 이중 양면골판지(Double Faced Corrugated Fibreboard, D/W), 및 삼중골판지(Tripple wall corrugated fibreboard, T/W)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골판지는 그 용도에 따라 단위포장용, 내부포장용, 외부포장용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5에는 제1 판지(H) 및 제2 판지(V)가 골판지인 경우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는, 제1 판지(H) 및 제2 판지(V)는 여러 겹의 종이로 구성된 다중판지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1 판지(10) 및 제2 판지(20a)를 구성하는 판지의 종류가 상술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된 골판지 및 다중판지뿐만 아니라, 허니콤 구조의 판지 등도 제1 판지(H) 및 제2 판지(V)로서 이용될 수 있다.
제1 판지(H) 및 제2 판지(V)는 종이 가구를 이루는 단위 셀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판이거나, 상기 단위 셀의 상면 또는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판일 수 있다. 측판은 직사각형 형상의 골판지의 양단에 형성된 괘선을 따라 "ㄷ"자 형상으로 접힐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접혀서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단위 쉘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판은 상기와 같이 "ㄷ"자로 접힌 측판의 상부 또는 하부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의 골판지일 수 있다. 베이스판은 그 가장자리가 "ㄷ"자로 접힌 측판의 상단이나 하단에 접한 상태로 측판과 고정됨으로써 측판의 상부 또는 하부를 폐쇄할 수 있고, 단위 쉘의 상면 또는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판과 측판, 또는 측판과 측판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100, 20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의 너비는 측판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ㄷ"자로 접힌 측판이 상기 단차에 끼워진
상태에서, 베이스판은 측판의 상부 또는 하부를 폐쇄하도록 측판과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1 연결구(100)는 제1 판지(H)에 형성된 슬릿(10)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제1 연결구(100)의 관통홀(110) 내부로 제2 연결구(20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구(100)는 제1 판지(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릿(1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슬릿(10)의 폭은 제1 연결구(100)의 두께보다 작아서 제1 연결구(100)의 몸체(102)는 상기 슬릿(10)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구(100)는 몸체(102)의 그 가운데에 몸체(102)의 내측으로 만입되는 홈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홈부(140)는 몸체(102)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된 위치에 한 쌍으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1 판지(H)가 골판지이고, 제1 연결구(100)가 제1 판지(H)의 슬릿(10)에 삽입되는 경우, 제1 판지(H)의 골판지의 골이 상기 홈부(140)에 걸림으로써 제1 연결구(100)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구(100)는, 몸체(102)의 일단에 형성되고, 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좁아지는 날카로운 삽입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103)는 몸체(10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03)가 날카로운 형상을 지닌 덕분에, 상기 몸체(102)가 제1 판지(H)의 슬릿(1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구(100)의 몸체(102)에는 몸체(10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몸체(102)로부터 몸체(102)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마찰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찰부(130)는 세장형으로 복수개가 마련되고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130)는 제1 연결구(100)가 제1 판지(H)에 삽입된 경우, 몸체(102)와 슬릿(10)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몸체가(102)가 슬릿(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구(100)의 관통구(110)의 관통홀(110)의 상측과 하측에 인접하는 몸체(102)에는 몸체(102)로부터 몸체(102)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턱(120)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턱(120)은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는데, 관통홀(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구(200)는 제2 판지(V)에 형성된 삽입구(20)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1 연결구(100)의 관통홀(110)과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구(200)의 몸체(210)는 제1 연결구(100)의 관통홀(110)의 원형부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제2 연결구(200)의 몸체(210)는 관통홀(11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구(200)는 몸체(210)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210)의 직경(d1)보다 큰 직경(d3)를 갖는 납작한 형상의 머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사기 머리부(230)는 원형일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구(200)와 상기 제1 연결구(100)의 체결 시, 작업자가 제2 연결구(2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키도록 상기 머리부(230)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23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230)와 상기 몸체(210)의 사이에는 원통형의 연결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0)의 직경(d2)는 몸체(210)의 직경(d1)보다 크고, 머리부(230)의 직경(d3)보다 작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220)의 크기 및 형상은 제2 판지(V)에 마련된 삽입구(2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20)의 두께는 제 판지(V)의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연결구(200)를 제2 판지(V)의 삽입구(20)에 삽입 시, 머리부(230)의 직경(d3)이 삽입구(20)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제2 연결구(200)는 연결부(220) 까지만 삽입구(20)를 관통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220)는 삽입구(20)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몸체(2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돌기(240)은 복수개가 마련되고, 각각은 몸체(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형상을 지닌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돌기(240)는 몸체(210)의 외주면 상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일례로, 상기 걸림돌기(240)는 몸체(210)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4쌍씩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210)와 걸림돌기(240)의 형상 및 크기는 제1 연결구(100)의 관통홀(11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210)와 걸림돌기(240)는 제1 연결구(100)의 관통홀(110)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연결구(200)의 몸체(210)와 걸림돌기(240)가 삽입된 후, 머리부(230)에 마련된 손잡이부(232)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240)는 제1 연결구(100)의 몸체(102)에 형성된 걸림턱(120)에 걸릴 수 있다. 제1 연결구(100)와 제2 연결구(200) 모두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손잡이부(232)를 더 회전시키는 경우, 제2 연결구(200)의 걸림돌기(240)는 제1 연결구(100)의 걸림턱(120)을 넘어서, 상기 걸림턱(120) 사이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구(200)는 제1 연결구(10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40)는 제2 연결구(200) 몸체(210)의 상측과 하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돌출될 수 있고, 상측과 하측에 서로 나란하게 복수개씩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40) 각각의 사이사이의 간격은 제1 연결구(100) 몸체(102)의 두께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걸림돌기(240) 각각의 사이 간격은 제1 연결구(100) 몸체(102)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고, 따라서 제2 연결구(200)를 회전시켜 제2 연결구(200)의 걸림돌기(240)가 제1 연결구(100)의 한 쌍의 걸림턱(120)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240)에는 상기 제1 연결구(100) 몸체(102)를 향하는 탄성력이 가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240)는 제2 연결구(200) 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 판지(V)의 두께가 제1 연결구(200)의 연결부(220) 두께보다 두꺼운 경우에도, 그 두께에 대응되는 걸림돌기(240)가 제1 연결구(100)의 걸림턱(120)과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체결수단이 걸림돌기(240)인 것으로 본 고안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체결수단은 걸림돌기(240) 외에 다른 방식으로 제1 연결구(100)와 제2 연결구(200)를 체결하는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100, 200)에 따르면, 제1 연결구(100)를 제1 판지(H)에 삽입하고, 제2 연결구(200)를 제2 판지(V)에 삽입 후 제1 연결구(100) 및 제2 연결구(200)를 체결하는 동작만으로 종이 가구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를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경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종이 가구의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는 작은 크기로도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어, 종이 가구의 외형에 드러나지 않아 종이 가구의 심미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결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판지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종이 가구를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종이 판지에 연결부재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사 등에 따른 새로운 장소에 종이 가구를 용이하게 분리하고 재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구(100a)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제1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구(100a)는, 관통홀(110)이 몸체(102)의 일단에만 마련되고, 몸체(102)의 타단에는 제1 연결구(100a) 몸체(102)의 두께(t1)보다 큰 폭(t2)을 갖는 납작한 형상의 머리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구(100a)는 도 5에 도시된 종이 가구(1)에 있어서, 최상위 제1 판지(H)의 슬릿(10)과 최하위 제1 판지(H)의 슬릿(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구(100a)의 머리부(150)의 폭(t2)은 제1 판지(H)의 슬릿(10)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제1 연결구(100a)의 몸체(102) 부분만이 상기 슬릿(10)을 관통하고, 상기 머리부(150)는 슬릿(10)을 관통하지 않은 상태로 제1 판지(H)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구(200)의 몸체(210)가 제2 판지(V)의 삽입구(20) 및 상기 제1 연결구(100a)의 관통홀(110)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연결구(200)의 걸림돌기(240)와 제1 연결구(100a) 걸림턱(120)의 결합체 의해 제1 연결구(100a)와 제2 연결구(200)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판지(H)는 제2 판지(V)의 단부와 제1 연결구(100a)의 머리부(15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판지(H)가 베이스판이고 제2 판지(V)가 측판인 경우, 본 실시예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측판과 베이스판이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하나의 단위 박스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연결부재(100, 200)를 포함한 종이 가구(1)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상술된 실시예의 연결부재(100,100a, 200)를 이용하여 종이 가구(1)를 조립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조립된 상태의 종이 가구(1)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가구(1)는 수평판지(H), 수직판지(V) 및 상술된 연결부재(100, 100a, 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하나의 수직판지(V)과 두 개의 수평판지(H)을 연결함으로써 단위 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셀을 복수개 연결함으로써 공간박스 또는 책장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판지(H)에 제1 연결구(100a)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수직판지(V)의 삽입구(20)에 삽입된 제2 연결구(200)를 제1 연결구(100)에 체결시킴으로써 수평판지(H)와 수직판지(V)를 조립할 수 있다. "ㄷ"자로 접힌 수직판지(V)의 상부 및 하부에 베이스판인 수평판지(H)를 조립하면, 1단 책장이 완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구로서는 도 4에 도시된 제1 연결구(100a)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이상의 책장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2개의 단위 셀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해야 한다. 중간에 위치하는 수평판지(H)에 도 1에 도시된 제1 연결구(10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연결구(100)의 양단에 상부 수직판지(V)와 하부 수직판지(V)를 각각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상부 수직판지(V)의 하단에 제2 연결구(20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연결구(100)의 상부와 제2 연결구(200)를 체결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수직판지(V)의 상단에 제2 연결구(20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연결구(100)의 하부와 제2 연결구(200)를 체결시킬 수 있다. 하나의 제1 연결구(100)의 일단이 상부 수직판지(V)의 제2 연결구(200)와 체결되고, 타단이 하부 수직판지(V)의 제2 연결구(200)와 체결됨으로써, 상부 수직판지(V)와 하부 수직판지(V)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로 연결된 두 개의 단위셀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00a, 100c)는 제1 연결구(100c)와 제2 연결구(20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구(100c)는 제1 판지(H; 도 5 참조)에 마련된 기다란 형상의 슬릿(1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연결구(100c)는 제2 연결구(200a)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110c)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110c)는 제1 연결구(100c)의 몸체의 양측에 서로 대칭하는 위치에서 각각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구(200a)는 제2 판지(V; 도 5 참조)에 형성된 삽입구(2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구(200a)는 제2 판지(V)의 삽입구(20) 및 상기 제1 연결구(100c)의 관통홀(110c)에 관통되는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구(200a)의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구(100c)의 관통홀(110c)에는 상기 제2 연결구(200a)의 제2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산(11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의 나사결합 덕분에, 상기 제1 연결구(100c)와 제2 연결구(200a)는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연결구(200a)의 제2 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나사(250)는 몸체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구(200a)의 몸체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암나사(250)는 상기 제1 연결구(100c)와 제2 연결구(200a)의 결합 시, 결합력을 증대시켜 제1 연결구(100c)와 제2 연결구(200a)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00b, 100d)는 제1 연결구(100d)와 제2 연결구(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구(100d)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제2 연결구(200b)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110d)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110d)은 제1 연결구(100d)의 몸체의 서로 대칭하는 위치에서 각각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구(200b)는 제2 판지(V; 도 5 참조)에 형성된 삽입구(2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구(200b)는 제2 판지(V)의 삽입구(20) 및 상기 제1 연결구(100d)의 관통홀(110d)에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구(200b)는 체결수단으로서 탄성후크를 이용한다. 상기 탄성후크는 둥그런 머리부(246)와, 상기 머리부(25)에 연결되는 몸체와, 제2 연결구(200b) 몸체의 단부가 두 갈래로 갈라져 형성된 절결부(242), 및 상기 절결부(242)의 두 갈래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후크돌기(2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결부(242)의 두 갈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빈 공간에 의해 절결부(242)의 각 갈래는 외측에서 힘을 받는 경우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고, 상기 절결부(242)의 휘어짐 및 그 복원력에 의해 탄성후크에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절결부(242)의 각 갈래에 형성된 후크돌기(244)는 단부에서 멀어질수록 높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각 후크돌기(244)의 외측면은 제2 연결구(200b)의 단부를 향해 낮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구(200b)가 절결부(242)를 포함함에 따라, 제2 연결구(200b)가 제1 연결구(100d)의 관통홀(110d)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2 연결구(200b)가 삽입될 때, 후크돌기(244)가 관통홀(110d)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관통홀(110d)의 내측면과 접촉하면서 절결부(242)의 갈래를 내측으로 밀 수 있다. 후크돌기(244)는 제2 연결구(200b)의 단부에서 멀어질수록 높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연결구(100d)의 관통홀(110d)을 통과한 경우에, 상기 관통홀(110d)의 외주연에 걸려 제2 연결구(200b)가 제1 연결구(100d)의 관통홀(110d)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구(200b)가 제1 연결구(100d)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구(200b)는 상기 제2 연결구(200b)의 머리부(246)에 연결된 날개부(24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날개부(247)는 한 쌍으로 상기 머리부(246)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종이 상자를 해체하기 위하여, 제1 연결구(100d)에 결합된 상기 제2 연결구(200b)을 탈거하려 하는 경우에, 제2 연결구(200b)의 머리부(246)와 제2 판지(V; 도 5 참조) 사이에는 틈이 거의 없다. 이 경우, 상기 날개부(247)의 일단부는 머리부(246)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자유롭기 때문에, 상기 날개부(247)를 제2 판지(V)로부터 들어올려, 제2 연결구(200b)의 머리부(246)와 제2 판지(V) 사이의 유격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구(200b)를 제1 연결구(100d)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종이 가구(1)는 상술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그 결과, 소비자들에 의해 어렵지 않게 조립될 수 있어 DIY(Do It Yourself) 상품으로서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종이 가구(1)는 기본 단위 셀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본 단위 셀을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적층함으로써 그 적층 방식에 따라 가로 세로의 형태를 소망하는 형태로 변경하여 형성될 수 있어, 그 디자인의 다양성과 활용성이 제고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0a, 100c, 100d: 제1 연결구 102: 제1 연결구 몸체
103: 삽입부 110, 110c, 110d: 관통홀
112: 제1 나사산 120: 걸림턱
130: 마찰부 140: 홈부
150: 제1 연결구의 머리부 200, 200a, 200b: 제2 연결구
210: 제2 연결구 몸체 220: 연결부
230: 제2 연결구의 머리부 232: 손잡이부
240: 걸림돌기 242: 절결부
244: 후크돌기 246: 머리부
247: 날개부 250: 암나사
1: 종이가구 10: 슬릿
20: 삽입구 H: 제1 판지(수평판지)
V: 제2 판지(수직판지)

Claims (12)

  1. 종이 가구에 포함되는 제1 판지 및 상기 제1 판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제2 판지를 연결하는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지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제1 판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판지로부터 양단이 돌출하는 제1 연결구; 및
    상기 제1 연결구와 체결되어 상기 제2 판지를 상기 제1 판지와 접한 상태로 고정하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2 연결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구는, 상기 제2 판지에 형성된 삽입구 및 상기 제1 연결구의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는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구의 상기 관통홀과 상기 제2 판지의 상기 삽입구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가 상기 제2 판지의 상기 삽입구와 상기 제1 연결구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때, 상기 제1 연결구의 상기 관통홀과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구는,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납작한 형상의 머리부; 및
    상기 제2 연결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머리부에 마련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의 결합 시, 상기 걸림돌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의 결합 시, 상기 걸림돌기는 한 쌍의 상기 걸림턱 사이에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관통홀이 상기 제1 연결구의 몸체의 일단에만 마련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타단에는 상기 제1 연결구의 몸체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납작한 형상의 머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1 연결구의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고, 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좁아지는 날카로운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구의 관통홀에는 상기 제2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산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과 상기 제1 연결구의 관통홀의 체결 시, 상기 체결수단과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탄성후크이고,
    상기 탄성후크는,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의 단부가 두 갈래로 갈라져 형성된 절결부; 및
    상기 절결부의 두 갈래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가 상기 제1 연결구의 관통홀에 삽입된 때, 상기 관통홀의 외주연에 걸리게 되는 한 쌍의 후크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11. 설치 장소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판지, 설치 장소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판지 및 상기 수직판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상기 수평판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종이 가구로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평판지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수평판지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판지로부터 양단이 돌출하는 제1 연결구; 및
    상기 제1 연결구와 체결되어 상기 수직판지를 상기 수평판지와 접한 상태로 고정하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구는, 상기 제2 연결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구는, 상기 수직판지에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제1 연결구의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는 몸체, 및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구의 상기 관통홀과 상기 수직판지의 상기 삽입구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가 상기 수직판지의 상기 삽입구와 상기 제1 연결구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때, 상기 제1 연결구의 상기 관통홀과 결합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종이 가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2 연결구의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가구.
KR2020150005601U 2015-08-21 2015-08-21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종이가구 KR200484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01U KR200484980Y1 (ko) 2015-08-21 2015-08-21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종이가구
PCT/KR2016/008688 WO2017034176A1 (ko) 2015-08-21 2016-08-08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종이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01U KR200484980Y1 (ko) 2015-08-21 2015-08-21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종이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73U KR20170000773U (ko) 2017-03-02
KR200484980Y1 true KR200484980Y1 (ko) 2017-11-14

Family

ID=5810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601U KR200484980Y1 (ko) 2015-08-21 2015-08-21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종이가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4980Y1 (ko)
WO (1) WO20170341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549A (ko) 2017-12-07 2019-06-17 박대희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2699B (zh) * 2017-06-13 2020-05-05 杨永波 一种金属家具柜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188A (ja) 1999-09-28 2001-04-03 Sumitomo Forestry Co Ltd 緊結金具及び軸組部材の緊結方法
KR200331037Y1 (ko) 2003-08-05 2003-10-22 명광호 직교하는 가구조립을 위한 연결체
JP2004143793A (ja) 2002-10-24 2004-05-20 Ykk Ap Inc 把手
KR200474324Y1 (ko) 2013-05-24 2014-09-12 민일만 수납장 조립 셋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518Y1 (en) * 1984-10-17 1987-04-20 Chae In Muk Fastener of pipe fitting
KR100358949B1 (ko) * 1999-09-15 2002-11-01 (주)키즈퍼니쳐 조립용 가구 연결구
KR20100020402A (ko) * 2008-08-12 2010-02-22 민승기 가구고정구
KR20110007664A (ko) 2009-07-17 2011-01-25 김진호 하니콤 구조를 이용한 가구 및 그 형성방법
KR20120008239U (ko) * 2011-05-23 2012-1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조립식 수납장
KR20130004838A (ko) * 2011-07-04 2013-01-14 주식회사 홈파워 골판지를 이용한 조립식 수납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188A (ja) 1999-09-28 2001-04-03 Sumitomo Forestry Co Ltd 緊結金具及び軸組部材の緊結方法
JP2004143793A (ja) 2002-10-24 2004-05-20 Ykk Ap Inc 把手
KR200331037Y1 (ko) 2003-08-05 2003-10-22 명광호 직교하는 가구조립을 위한 연결체
KR200474324Y1 (ko) 2013-05-24 2014-09-12 민일만 수납장 조립 셋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549A (ko) 2017-12-07 2019-06-17 박대희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73U (ko) 2017-03-02
WO2017034176A1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46444A1 (en)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and related articles
US8528979B2 (en) Tool-less furniture assembly joint and applications
US20160101897A1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KR200484980Y1 (ko)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종이가구
US20110241502A1 (en) Corner joint coupling structure of aluminum extrusion cabinet
US20100129146A1 (en) Shelf Clip
US20170183119A1 (en) Packing box
US10034543B1 (en) Furniture unit
CN102762129B (zh) 家具元件及制造方法
KR101495638B1 (ko) 가구 조립 셋트
KR20150003517U (ko)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종이 가구
KR101597738B1 (ko) 수납박스
KR102059243B1 (ko) 종이 가구용 연결부재
KR200473860Y1 (ko) 종이가구
US20060102709A1 (en) Collapsible containers for use as vertical files and covers therefore
CN213216071U (zh) 门联把手以及组合柜
KR20130139052A (ko) 종이 가구
KR102512859B1 (ko) 종이책장용 조립키트
TWM557074U (zh) 禮籃座之底座結構
KR20140003248U (ko) 종이가구
EP4111066A1 (en) Furniture attachment member as well as a furniture system, drawer, and a piece of furniture comprising such an attachment member
KR200192821Y1 (ko) 욕실용 코너장
KR101429670B1 (ko) 요철형 표면을 구비한 조립식 가구 구성물
JP3198983U (ja) 物置キャビネット
TWM624322U (zh) 組合式展示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