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880Y1 -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 - Google Patents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880Y1
KR200484880Y1 KR2020170004287U KR20170004287U KR200484880Y1 KR 200484880 Y1 KR200484880 Y1 KR 200484880Y1 KR 2020170004287 U KR2020170004287 U KR 2020170004287U KR 20170004287 U KR20170004287 U KR 20170004287U KR 200484880 Y1 KR200484880 Y1 KR 200484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relay switch
switch
rice
alar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민
Original Assignee
윤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형민 filed Critical 윤형민
Priority to KR2020170004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8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8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에 있어서, 특히 3차원 구조의 보온 식판을 다수개의 고정형 격벽으로 분리하여 공간부를 갖도록함으로서 밥 수납부와 국 수납부와 반찬 수납부를 갖는 보온 식판을 구비하되, 상기 보온 식판의 공간부를 임의로 분할하는 가변형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을 밥 수납부와 국 수납부와 반찬 수납부에 적절히 삽입 설치하여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에 관한 것으로,
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각종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패널(100)과; 상기 직사각형 패널의 하단 좌측 공간부에 형성되며, 취식할 밥을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밥 수납부(10)와; 상기 직사각형 패널의 하단 우측 공간부에 형성되며, 취식할 국을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국 수납부(20)와; 상기 직사각형 패널의 상단 공간부에 형성되며, 취식할 반찬을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반찬 수납부(30)와; 상기 밥 수납부와 반찬 수납부 사이에 위치되며 숫가락과 젓가락을 삽입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숫가락 및 젓가락 수납부(40)와; 상기 밥 수납부와, 국 수납부와, 반찬 수납부와, 숫가락 및 적사락 수납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호 분리시키며 고정형 격벽(50)과; 상기 밥 수납부에 경사지게 삽입 설치되어 밥 수납부를 이분할하여 일측 공간부에는 밥을 탑재하고 다른 일측의 공간부에는 다른 종류의 밥 또는 다른 종류의 반찬을 탑재하는 역할을 하며, 국 수납부에 수직하게 삽입 설치되어 국 수납부를 이분할하여 일측 공간부에는 국을 탑재하고 다른 일측 공간부에는 다른 종류의 국 또는 다른 종류의 반찬을 탑재하는 역할을 하는 가변형 격벽(60, 60a)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heat insulation lunch box}
본 고안은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3차원 구조의 보온 식판을 다수개의 고정형 격벽으로 분리하여 공간부를 갖도록함으로서 밥 수납부와 국 수납부와 반찬 수납부를 갖는 보온 식판을 구비하되, 상기 보온 식판의 공간부를 임의로 분할하는 가변형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을 밥 수납부와 국 수납부와 반찬 수납부에 적절히 삽입 설치하여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저 산업과 외식 산업이 발달하면서 도시락 전문 배달업체들의 사업활동이 차츰 증가하고 있다. 상기 도시락 전문 배달업체들은 소비자들이 취식을 원하는 사무실이나 야외 현장으로 도시락을 배달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오염되거나 식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보온이 가능한 외부용기에 도시락을 담아서 배달하는 서비스가 늘고 있다.
이러한 도시락 배달 서비스를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0-0460308호(등록일자 2012년 05월 07일)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밥이 저장되는 밥저장부와 국이 저장되는 국저장부 및 복수의 반찬이 각각 저장되는 복수의 반찬 저장부가 형성된 내용물 수납부와; 상기 내용물 수납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내용물 수납부가 끼움될 수 있도록 밥요홈부와 국요홈부 및 반찬요홈부가 형성된 스티로폼 또는 PP(Polypropylene) 재질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스티로폼 또는 PP(Polypropylene) 재질의 뚜껑로 이루어진 위생 도시락 용기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위생 도시락 용기의 특징은, 상기 내용물 수납부의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리브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테두리 부분에는 저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의 안쪽을 따라 본체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저면 테두리 부분에는 뚜껑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수납부와 본체 및 뚜껑이 조립되었을 때 상기 내용물 수납부의 리브가 상기 본체의 본체돌출부를 둘러싸고, 상기 뚜껑의 뚜껑돌출부가 상기 본체의 저장부에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생 도시락 용기에서 스티로폼 또는 PP(Polypropylene) 재질의 본체와 뚜껑은 내용물 수납부 속에 저장되는 음식물이 식지 않도록 보온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460308호에 소개된 도시락 보온용기는, 내용물 수납부, 즉 도시락 한 개를 포장하기 위하여 각 본체마다 뚜껑을 한 개씩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도시락 보온용기를 포개어 쌓을 경우, 전체 높이가 매우 높아지게 되고, 특히 상기 도시락 보온용기의 재질이 매우 미끄럽기 때문에 여러 개의 도시락 보온용기를 안정적으로 포갤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도시락 배달이나 보관을 위해 종종 다수개의 도시락 보온용기를 높게 포개어 쌓아야 하는 도시락 전문 배달업체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시락 보온용기를 사용하기에는 보관 및 배달이 매우 불편하고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20-0471704호의 보온용기가 고안되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71704호의 보온용기는 도 2에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식물과 수저를 담을 수 있도록 함몰된 다수개의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 사이를 구분하는 중간벽이 마련되어 있고, 테두리 부위 상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외향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음식물이 담겨진 저장부 위를 덮어주는 커버시트가 구비되어 있는 플라스틱 보드(Plastic board) 형태의 도시락 용기와; 상기 도시락 용기 밑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저장부를 수용하는 수납부와 상기 중간벽 속으로 삽입되는 지지벽이 구비되어 있고, 테두리 부위 상단에는 테두리 상면과 내향 단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 부위 하단에는 상기 내향 단층부에 대응하는 외향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발포 플라스틱(Foamed plastics) 재질의 보온용기 이루어지고 상기 보온용기를 상하로 포개면, 하층 보온용기의 테두리 상면과 내향 단층부가 상층 보온용기의 외향 단턱부에 결합하고, 상층 보온용기의 저면이 하층 보온용기의 지지벽 위에 밀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보온 용기들은 고정형 격벽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찬 가지수가 늘어나게 되면 이를 수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보온 용기들은 고정형 격벽으로 구성되므로 더 많은 반찬이나 국물을 탑재하고 싶을 때에는 새롭게 보온 용기를 제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반찬의 가짓수나 국의 가짓수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없는 문제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3차원 구조의 보온 식판을 다수개의 고정형 격벽으로 분리하여 공간부를 갖도록함으로서 밥 수납부와 국 수납부와 반찬 수납부를 갖는 보온 식판을 구비하되, 상기 보온 식판의 공간부를 임의로 분할하는 가변형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을 밥 수납부와 국 수납부와 반찬 수납부에 적절히 삽입 설치하여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가변형 격벽을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하여 조립이 간편해지도록하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각종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패널(100)과; 상기 직사각형 패널의 하단 좌측 공간부에 형성되며, 취식할 밥을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밥 수납부(10)와; 상기 직사각형 패널의 하단 우측 공간부에 형성되며, 취식할 국을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국 수납부(20)와; 상기 직사각형 패널의 상단 공간부에 형성되며, 취식할 반찬을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반찬 수납부(30)와; 상기 밥 수납부와 반찬 수납부 사이에 위치되며 숫가락과 젓가락을 삽입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숫가락 및 젓가락 수납부(40)와; 상기 밥 수납부와, 국 수납부와, 반찬 수납부와, 숫가락 및 적사락 수납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호 분리시키며 고정형 격벽(50)과; 상기 밥 수납부에 경사지게 삽입 설치되어 밥 수납부를 이분할하여 일측 공간부에는 밥을 탑재하고 다른 일측의 공간부에는 다른 종류의 밥 또는 다른 종류의 반찬을 탑재하는 역할을 하며, 국 수납부에 수직하게 삽입 설치되어 국 수납부를 이분할하여 일측 공간부에는 국을 탑재하고 다른 일측 공간부에는 다른 종류의 국 또는 다른 종류의 반찬을 탑재하는 역할을 하는 가변형 격벽(60, 60a)을 포함하여 이루어고; 상기 가변형 격벽은,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서 밥 수납부(10) 또는 국 수납부(20)의 일측에 삽입 설치하되 고정형 격벽(50)에 고정되는 제 1 수직격벽(61)과;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서 밥 수납부(10) 또는 국 수납부(20)의 타측에 삽입 설치하여 고정형 격벽(50)에 고정하되, 제 1 수직격벽(61)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제 2 수직격벽(62)과; 상기 제 1 수직격벽(61)의 일측에 돌출성형되며 제 2 수직격벽(62)의 일측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1 삽입돌기(61a)와; 상기 제 1 수직격벽(61)의 제 1 삽입돌기(61a) 사이에 형성되며 제 2 수직격벽(62)의 일측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1 삽입홈(61b)과; 상기 제 2 수직격벽(62)의 일측에 돌출성형되며 제 1 수직격벽(61)의 제 1 삽입홈(61b)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2 삽입돌기(62a)와; 상기 제 2 수직격벽(62)의 제 2 삽입돌기(62a)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수직격벽(61)의 제 1 삽입돌기(61a)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2 삽입홈(62b)과; 상기 제 2 수직격벽(62)의 제 2 삽입홈(62b)에 설치되며 제 1 수직격벽(61)의 제 1 삽입돌기(61a)가 제 2 삽입홈(62b)에 결합시 탄발지지하여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여 제 1 수직격벽(61)과 제 2 수직격벽(62)이 고정형 격벽(50) 내측에 밀착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탄발지지수단(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가변형 격벽에는, 직사각형 패널 또는 고정형 격벽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 보조용 핀(80)을 더 설치하고, 상기 결합 보조용 핀에는 가변형 격벽이 직사각형 패널 또는 고정형 격벽에 결합후 쉽게 분리되지 않토록 쐐기(81)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가변형 격벽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자석(90)과; 상기 직사각형 패널 또는 고정형 격벽의 일측에 설치하되 자석이 위치되는 대향면에 위치되어 자석을 판독하기 위한 자기센서(91)와; 상기 자기센서(9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자기센서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가변형 격벽이 제대로 결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3차원 구조의 보온 식판을 다수개의 고정형 격벽으로 분리하여 공간부를 갖도록함으로서 밥 수납부와 국 수납부와 반찬 수납부를 갖는 보온 식판을 구비하되, 상기 보온 식판의 공간부를 임의로 분할하는 가변형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을 밥 수납부와 국 수납부와 반찬 수납부에 적절히 삽입 설치하여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가변형 격벽을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하여 조립이 간편해지도록하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보온 도시락 제 1 실시예도.
도 2는 종래 보온 도시락 제 2 실시예도.
도 3은 본 고안의 보온 식판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보온 식판에 적용되는 가변형 격벽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가변형 격벽 결합전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가변형 격벽 결합후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가변형 격벽 결합 확인 소자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10 도 10의 요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고안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고안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고안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보온 식판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보온 식판에 적용되는 가변형 격벽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가변형 격벽 결합전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가변형 격벽 결합후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가변형 격벽 결합 확인 소자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10 도 10의 요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는 크게 3차원 입체 구조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패널(100)과, 밥 수납부(10)와, 국 수납부(20)와, 반찬 수납부(30)와, 숫가락 및 젓가락 수납부(40)와, 고정형 격벽(50)과, 가변형 격벽(60) 및, 적층용 돌출라인(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사각형 패널(100)은 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각종 공간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밥 수납부(10)는 상기 직사각형 패널의 하단 좌측 공간부에 형성되며, 취식할 밥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왼쪽 하단 모서리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직사각형 패널의 강성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왼쪽 하단 모서리면(11)은 직사각형 패널의 강성을 보조하여 휨을 방지하고 지지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국 수납부(20)는 상기 직사각형 패널의 하단 우측 공간부에 형성되며, 취식할 국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오른쪽 하단 모서리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직사각형 패널의 강성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오른쪽 하단 모서리면(21)은 직사각형 패널의 강성을 보조하여 휨을 방지하고 지지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반찬 수납부(30)는 상기 직사각형 패널의 상단 공간부에 형성되며, 취식할 반찬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왼쪽 상단부와 오른쪽 상단부 모서리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직사각형 패널의 강성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왼쪽 상단부와 오른쪽 상단부 모서리면(31, 32)은 직사각형 패널의 강성을 보조하여 휨을 방지하고 지지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숫가락 및 젓가락 수납부(40)는 밥 수납부와 반찬 수납부 사이에 위치되며 숫가락과 젓가락을 삽입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고정형 격벽(50)은 밥 수납부와 국 수납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호 분리시키고, 또한 밥 수납부와 숫가락 및 젓가각 수납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호 분리시키며, 또한 숫가락 및 젓가락 수납부와 반찬 수납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호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고, 또한 반찬 수납부 사이 사이에 위치되어 상호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변형 격벽(60)은 밥 수납부에 경사지게 삽입 설치되어 밥 수납부를 이분할하여 일측 공간부에는 밥을 탑재하고 다른 일측의 공간부에는 다른 종류의 밥 또는 다른 종류의 반찬을 탑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국 수납부에 수직하게 삽입 설치되어 국 수납부를 이분할하여 일측 공간부에는 국을 탑재하고 다른 일측 공간부에는 다른 종류의 국 또는 다른 종류의 반찬을 탑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형 격벽에는 직사각형 패널 또는 고정형 격벽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 보조용 핀(80)을 더 설치하고, 상기 결합 보조용 핀에는 가변형 격벽이 직사각형 패널 또는 고정형 격벽에 결합후 쉽게 분리되지 않토록 쐐기(81)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적층용 돌출라인(70)은 상기 직사각형 패널의 날개부 상부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다른 직사각형 패널을 적층시에 다른 직사각형 패널의 저면에 형성되는 홈라인에 삽입 결합되는 것이며, 다수개의 직사각형 패널을 적층시에 상기 적층용 돌출라인을 이용하여 상호 겹쳐지도록함으로서 다수개의 보온 용기가 안정적으로 적층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직사각형 패널(100)과, 밥 수납부(10)와, 국 수납부(20)와, 반찬 수납부(30)와, 숫가락 및 젓가락 수납부(40)와, 고정형 격벽(50)과, 가변형 격벽(60) 및, 적층용 돌출라인(70)으로 이루어는바, 직사각형 패널(100)을 구비하되 그 내측에는 밥 수납부(10)와, 국 수납부(20)와, 반찬 수납부(30)와, 숫가락 및 젓가락 수납부(40)가 형성되도록 충분한 공간부를 확보한다.
그리고, 상기 밥 수납부(10)와, 국 수납부(20)와, 반찬 수납부(30)와, 숫가락 및 젓가락 수납부(40)가 형성되도록하기 위해 고정형 격벽(50)을 갖도록하며, 이때 상기 고정형 격벽(50)은 그 모양을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밥 수납부(10)와, 국 수납부(20)와, 반찬 수납부(30)와, 숫가락 및 젓가락 수납부(40)의 저장 용량에 변함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형 격벽(50)은 직사각형 패널의 모양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강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밥 수납부(10)와, 국 수납부(20)와, 반찬 수납부(30)의 일측 모서리에는 경사면(11, 21, 31, 32)을 형성하여 직사각형 패널의 강성이 보조됨으로서 직사각형 패널이 휘지 않고 오래도록 사용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가변형 격벽(60)은 밥 수납부(10)와 국 수납부(20)를 각각 이분할하여 다른 반찬이나 밥 또는 국을 탑재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가변형 격벽(60)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삽입하거나 또는 분리하여 밥 수납부(10)와 국 수납부(20)의 공간부가 적절히 조절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가변형 격벽(60)을 이용하여 밥 수납부(10)와 국 수납부(20)를 적절히 분리하여 다양한 종류의 밥이나 국 또는 반찬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이용하게 되면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밥이나 국이나 반찬을 더 직사각형 패널에 탑재할 수 있게 되어 고급화된 도시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가변형 격벽(60)은 그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바, 이하에서 상기 가변형 격벽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변형 격벽(60)은 밥 수납부(10)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국 수납부(20)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하여 상호 공간부를 분할하여 다른 종류의 반찬이나 밥 또는 국이 탑재가능하게 하는바, 본 고안에서는 일개의 가변형 격벽(60)의 종류를 이용하여 밥 수납부와 국 수납부에 모두 사용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밥 수납부(10)에 삽입되는 가변형 격벽(60)과 국 수납부에 삽입되는 가변형 격벽(60a)은 그 길이가 다를 수 밖에 없는바, 한 종류의 길이를 갖는 가변형 격벽을 활용하여 밥 수납부와 국 수납부에 모두 맞는 길이 가변형 격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가변형 격벽(60)은 제 1 수직격벽(61)과, 제 2 수직격벽(62)과, 제 1 삽입돌기(61a)와, 제 1 삽입홈(61b)과, 제 2 삽입돌기(62a)와, 제 2 삽입홈(62b)과, 탄발지지수단(6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수직격벽(61)은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서 밥 수납부(10) 또는 국 수납부(20)의 일측에 삽입 설치하되 고정형 격벽(50)에 고정된다.
상기 제 2 수직격벽(62)은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서 밥 수납부(10) 또는 국 수납부(20)의 타측에 삽입 설치하여 고정형 격벽(50)에 고정하되, 제 1 수직격벽(61)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길이가 가변된다.
상기 제 1 삽입돌기(61a)는 상기 제 1 수직격벽(61)의 일측에 돌출성형되며 제 2 수직격벽(62)의 일측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제 1 삽입홈(61b)은 제 1 수직격벽(61)의 제 1 삽입돌기(61a) 사이에 형성되며 제 2 수직격벽(62)의 일측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제 2 삽입돌기(62a)는 제 2 수직격벽(62)의 일측에 돌출성형되며 제 1 수직격벽(61)의 제 1 삽입홈(61b)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제 2 삽입홈(62b)은 제 2 수직격벽(62)의 제 2 삽입돌기(62a)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수직격벽(61)의 제 1 삽입돌기(61a)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탄발지지수단(63)은 제 2 수직격벽(62)의 제 2 삽입홈(62b)에 설치되며 제 1 수직격벽(61)의 제 1 삽입돌기(61a)가 제 2 삽입홈(62b)에 결합시 탄발지지하여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여 제 1 수직격벽(61)과 제 2 수직격벽(62)이 고정형 격벽(50) 내측에 밀착 결합되도록 유도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탄발지지수단(60)을 스프링으로 구성하였으며, 상기 스프링은 제 1 수직격벽(61)과 제 2 수직격벽(62)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탄발 지지되도록 하였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가변형 격벽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가변형 격벽은 제 1 수직격벽(61)과, 제 2 수직격벽(62)과, 제 1 삽입돌기(61a)와, 제 1 삽입홈(61b)과, 제 2 삽입돌기(62a)와, 제 2 삽입홈(62b)과, 탄발지지수단(63)으로 이루어지는바, 먼저 제 1 수직격벽(61)과 제 2 수직격벽(62)을 결합시에는 제 1 수직격벽(61)의 제 1 삽입돌기(61a)가 제 2 수직격벽(62)의 제 2 삽입홈(62b)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수직격벽(61)의 제 1 삽입홈(61b)은 제 2 수직격벽(62)의 제 2 삽입돌기(62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제 2 수직격벽(62)의 제 2 삽입홈(62b)에 탄발지지수단(63)을 탑재하는바, 상기 탄발지지수단(63)이 제 1 수직격벽(61)과 제 2 수직격벽(62)을 밀어내기 때문에 적적한 길이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탄발지지수단(63)을 탑재하는 이유는 밥 수납부(10)와 국 수납부(20)에 삽입되는 가변형 격벽(60, 60a)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이다.
즉, 밥 수납부(10)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가변형 격벽(60)이 국 수납부에 삽입되는 수직한 가변형 격벽(60a)보다 그 길이가 길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가변형 격벽(60)을 적용시에 밥 수납부(10)에는 길이가 길어진 상태의 가변형 격벽(60)을 적용하고, 국 수납부(20)에는 제 1 수직격벽(61)과 제 2 수직격벽(62)을 밀어서 길이가 짧아진 상태의 가변형 격벽(60a)을 적용한다.
즉, 제 1 수직격벽(61)과 제 2 수직격벽(62)을 손으로 상호 밀쳐서 그 길이를 가변시킨 상태에서 밥 수납부(10)나 국 수납부(20)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제 1 수직격벽(61)과 제 2 수직격벽(62)이 탄발 지지수단(63)에 의해서 상호 밀려나면서 적절하게 고정되는 되는 것이다.
실제로는 밥 수납부(10)에 들어가는 가변형 격벽(60)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더 많이 벌어진 상태로 가변형 격벽(60)이 밥 수납부(10)에 삽입 결합되고, 국 수납부(20)에 들어가는 가변형 격벽(60a)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덜 벌어진 상태로 가변형 격벽(60a)이 국 수납부(20)에 삽입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형 격벽이 직사각형 패널 또는 고정형 격벽에 정확히 결합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가변형 격벽에는 자석(90)을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직사각형 패널 또는 고정형 격벽에는 자기센서(91)를 설치하며, 상기 자기센서는 제어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부에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자기센서(91)에 자석(90)이 검출되지 않으면 가변형 격벽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것이므로 이를 제어부(200)에서 파악하여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가변형 격벽을 제대로 설치토록 유도한다.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경보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RY1)는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RY2)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RY3)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보 제어부(1120)는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간극제(1134a)와,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
상기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특히,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은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간격제(1134a)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제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몸체와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몸체가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제를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 주변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이때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만약에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까지 감싸게 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간격제의 방해에 의해서 밀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격상태 유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에만 간격제를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자기적으로 결합시에는 인접한 서로다른 극의 배치로 인하여 상호 용이하게 자기적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실제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출력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보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경보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경보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경보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경보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
즉,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 및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경보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경보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경보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10: 밥 수납부
20: 국 수납부
30: 반찬 수납부
40: 숫가락 및 젓가락 수납부
50: 고정형 격벽
60: 가변형 격벽
70: 적층용 돌출라인
80: 보조용 핀
81: 쐐기
90: 자석
91: 자기센서
100: 직사각형 패널
200: 제어부
1000: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Claims (3)

  1. 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각종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패널(100)과; 상기 직사각형 패널의 하단 좌측 공간부에 형성되며, 취식할 밥을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밥 수납부(10)와; 상기 직사각형 패널의 하단 우측 공간부에 형성되며, 취식할 국을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국 수납부(20)와; 상기 직사각형 패널의 상단 공간부에 형성되며, 취식할 반찬을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반찬 수납부(30)와; 상기 밥 수납부와 반찬 수납부 사이에 위치되며 숫가락과 젓가락을 삽입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숫가락 및 젓가락 수납부(40)와; 상기 밥 수납부와, 국 수납부와, 반찬 수납부와, 숫가락 및 적사락 수납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호 분리시키며 고정형 격벽(50)과; 상기 밥 수납부에 경사지게 삽입 설치되어 밥 수납부를 이분할하여 일측 공간부에는 밥을 탑재하고 다른 일측의 공간부에는 다른 종류의 밥 또는 다른 종류의 반찬을 탑재하는 역할을 하며, 국 수납부에 수직하게 삽입 설치되어 국 수납부를 이분할하여 일측 공간부에는 국을 탑재하고 다른 일측 공간부에는 다른 종류의 국 또는 다른 종류의 반찬을 탑재하는 역할을 하는 가변형 격벽(60, 60a)을 포함하여 이루어고;
    상기 가변형 격벽은,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서 밥 수납부(10) 또는 국 수납부(20)의 일측에 삽입 설치하되 고정형 격벽(50)에 고정되는 제 1 수직격벽(61)과;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서 밥 수납부(10) 또는 국 수납부(20)의 타측에 삽입 설치하여 고정형 격벽(50)에 고정하되, 제 1 수직격벽(61)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제 2 수직격벽(62)과;
    상기 제 1 수직격벽(61)의 일측에 돌출성형되며 제 2 수직격벽(62)의 일측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1 삽입돌기(61a)와;
    상기 제 1 수직격벽(61)의 제 1 삽입돌기(61a) 사이에 형성되며 제 2 수직격벽(62)의 일측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1 삽입홈(61b)과;
    상기 제 2 수직격벽(62)의 일측에 돌출성형되며 제 1 수직격벽(61)의 제 1 삽입홈(61b)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2 삽입돌기(62a)와;
    상기 제 2 수직격벽(62)의 제 2 삽입돌기(62a)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수직격벽(61)의 제 1 삽입돌기(61a)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2 삽입홈(62b)과;
    상기 제 2 수직격벽(62)의 제 2 삽입홈(62b)에 설치되며 제 1 수직격벽(61)의 제 1 삽입돌기(61a)가 제 2 삽입홈(62b)에 결합시 탄발지지하여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여 제 1 수직격벽(61)과 제 2 수직격벽(62)이 고정형 격벽(50) 내측에 밀착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탄발지지수단(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형 격벽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자석(90)과;
    상기 직사각형 패널 또는 고정형 격벽의 일측에 설치하되 자석이 위치되는 대향면에 위치되어 자석을 판독하기 위한 자기센서(91)와;
    상기 자기센서(9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자기센서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가변형 격벽이 제대로 결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격벽에는,
    직사각형 패널 또는 고정형 격벽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 보조용 핀(80)을 더 설치하고, 상기 결합 보조용 핀에는 가변형 격벽이 직사각형 패널 또는 고정형 격벽에 결합후 쉽게 분리되지 않토록 쐐기(81)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
  3. 삭제
KR2020170004287U 2017-08-11 2017-08-11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 KR200484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287U KR200484880Y1 (ko) 2017-08-11 2017-08-11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287U KR200484880Y1 (ko) 2017-08-11 2017-08-11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880Y1 true KR200484880Y1 (ko) 2017-11-02

Family

ID=6040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287U KR200484880Y1 (ko) 2017-08-11 2017-08-11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88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08Y1 (ko) * 2012-01-12 2012-05-21 주식회사 예림푸드 위생도시락용기
KR20120007072U (ko) * 2011-04-05 2012-10-15 김태열 칸막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072U (ko) * 2011-04-05 2012-10-15 김태열 칸막이
KR200460308Y1 (ko) * 2012-01-12 2012-05-21 주식회사 예림푸드 위생도시락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0876B1 (en) Ice making device,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refrigerator
US10519020B2 (en) Beverage server
US3111166A (en) Portable heating and cooling appliance
US10451338B2 (en) Door storage bin assembly for a refrigerator
KR101491539B1 (ko) 트레이 밀봉 장치 및 그것의 히터 유닛
JPH0716162A (ja) 熱電式容器
KR200484880Y1 (ko)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
KR200484881Y1 (ko)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용기
KR20180125753A (ko) 보관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도시락 보온용기
US8025083B2 (en) Tumbler carrier for a refrigerator with a beverage dispenser
KR200466792Y1 (ko) 배식대
KR200490787Y1 (ko) 사계절 다목적 배달용 가방
KR20180120314A (ko)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용기 제조장치
JP5945647B1 (ja) 飲料サーバー
KR20180003154U (ko)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
CN215281942U (zh) 一种配送机器人
JPH0485168A (ja) 食膳運搬車
CN204520369U (zh) 用于电饭煲的线圈盘和具有该线圈盘的电饭煲
KR20180003155U (ko)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용기
KR101867442B1 (ko) 패스트푸드 매장용 다목적 수납 받침테이블
CN104990345A (zh) 制冷设备门体及具有其的冰箱
JPH0733103Y2 (ja) 観光バス用車内サ−ビス装置
JP6062590B1 (ja) 飲料サーバー
KR101585628B1 (ko) 음료용기 보관함
CN217932830U (zh) 桌面式漱口水售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