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690Y1 - 밀폐형 유골함 - Google Patents

밀폐형 유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690Y1
KR200484690Y1 KR2020170000829U KR20170000829U KR200484690Y1 KR 200484690 Y1 KR200484690 Y1 KR 200484690Y1 KR 2020170000829 U KR2020170000829 U KR 2020170000829U KR 20170000829 U KR20170000829 U KR 20170000829U KR 200484690 Y1 KR200484690 Y1 KR 200484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lid
sealing
inner cylinder
li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창만
Original Assignee
주창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만 filed Critical 주창만
Priority to KR2020170000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6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5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B65D77/049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and retained at a distance of the inner side-wall of the outer container, e.g. within a bottle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2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골함이 개시되는 것으로, 외면이 호형으로 이루어진 외통체(10)와 상기 외통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통체(20)를 포함하는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10)와 내통체(20) 사이에는 공기단열층(30)이 구비되고, 상기 외통체(10)의 상면에는 안착면(11)이 구비되며, 상기 내통체(20)에는, 상기 외통체(10)의 안착면(11)측으로 위치되도록 돌출되는 제1나사체결부(21)와; 상기 내통체(20)의 상단으로부터 파여진 수용밀폐부(22)와; 상기 수용밀폐부(22)로부터 연장되는 걸림턱부(23)와; 상기 내통체(20)의 상단 내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가이드면(24)이 구비되며, 상기 내통체(20)의 상부를 덮는 제1밀폐덮개(40)가 구비되되, 상기 제1밀폐덮개(40)의 하면 둘레부에는, 상기 내통체(20)의 가이드면(24)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내통체(20)의 상단 내측에 위치되는 제1밀폐부(41)와; 상기 제1밀폐부(4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42)와; 상기 연장부(42)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밀폐부(22)에 인입 수용된 후 상기 걸림턱부(23)에 걸어지는 제2밀폐부(43)가 구비되며, 상기 외통체(10)의 안착면(11)에 안착되되 상기 제1밀폐덮개(40)를 덮어 밀착하고 상기 내통체(20)의 제1나사체결부(21)와 나사체결되는 제2나사체결부(51)가 하단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나사체결부(21)에 상기 제2나사체결부(51)가 나사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밀폐덮개(40)를 상기 내통체(20)측으로 강하게 눌러주어 상기 제1밀폐부(41)와 상기 가이드면(24) 및 상기 제2밀폐부(43)와 수용밀폐부(22)가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제2밀폐덮개(50)와; 상기 외통체(10)의 안착면(11)에 안착되고 상기 제2밀폐덮개(50)를 덮어 보호하는 제3밀폐덮개(60)와; 상기 제1밀폐덮개(40)와 상기 제2밀폐덮개(5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밀폐덮개(50)의 제2나사체결부(51)가 상기 외통체(10)의 제1나사체결부(21)에 나사체결될 때 상기 제1밀폐덮개(40)를 강하게 눌러 밀착시키는 밀착부(7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밀폐형 유골함{vacuum ashes box}
본 고안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통체와 외통체 및 내통체를 덮는 유골함 내부에 대한 밀폐성을 향상시킨 밀폐형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묘문화는 전통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매장(埋葬)방식을 이어오고 있었으며, 이러한 매장문화에 의해서 산야(山野)에 분묘(墳墓)가 난립하여 매년 여의도 면적의 2배 가까운 국토가 묘지로 바뀌는 묘지 대란과 함께, 핵가족화 및 개인주의, 편의주의에 의해서 버려지는 분묘가 현저히 늘어나는 등 후손들에게 온전히 물려주어야 할 우리의 소중한 금수강산이 이와 같은 매장문화에 의해서 국토가 황폐해지고 산림이 파괴되는 매우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자들어서는 유골을 유골함에 담아 납골당 또는 납골묘에 안치하는 화장방식의 장례문화가 증가되고 있으며 국가적으로도 이러한 제도의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납골식 장묘제도에서는 유골의 안치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유골함을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 유골함은 통상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유골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용기와 이 용기의 상부를 덮는 덮개로 구성되는 데, 종래 유골함들은 유골함 덮개가 용기의 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밀폐시키기 때문에 안치된 유골을 완벽하게 보존하는 데는 미흡하였다.
즉, 유골함 덮개의 밀폐력이 떨어지므로 쉽게 결로되어 유골이 변질되고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들을 안고 있어서 유골을 장기간 보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유골함을 납골묘에 안치시키는 매장 상태에서 수해를 입게 되는 경우에는 유골함이 부유될 염려가 있고, 덮개의 틈새를 통해 물이 스며들 우려가 있고, 납골묘가 파헤쳐지는 손상을 당하게 되면 유골함이 덮개가 유실될 수 있는 등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로 등록특허 10-1215544호인 봉안함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상부가 개방되어 유골을 담는 도자기 재질의 제1함과,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측면에 상기 제1함의 외측면이 밀착 고정되고 상단면의 높이가 상기 제1함의 상단면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2함과,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측면에 상기 제2함의 외측면이 밀착 고정되고 상단면의 높이가 상기 제2함의 상단면 보다 낮게 형성되는 도자기 재질의 제3함과, 상기 제1함의 상부를 덮는 제1함덮개와, 상기 제2함의 상부에 체결되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제2함덮개와, 상기 제3함의 상부를 덮는 도자기 재질의 제3함덮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제1함과 제2함 제3함에 의해 제1함에 담겨진 유골에 대한 밀폐성이 향상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제1함, 제2함, 제3함만으로는 제1함의 상부측으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또는 제1함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틈새를 완전히 밀폐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15544호(2012.12.18.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99524호(2016.02.25. 등록)
본 고안은 외통체와 내통체를 구비하고 외통체와 내통체의 상부를 각각 덮어 차단하고 내통체의 상부와 외통체의 상부를 각각 밀폐하여 내통체의 내부에 대한 밀폐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유골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밀폐형 유골함은, 외면이 호형으로 이루어진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통체를 포함하는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와 내통체 사이에는 공기단열층이 구비되고, 상기 외통체의 상면에는 안착면이 구비되며, 상기 내통체에는, 상기 외통체의 안착면측으로 위치되도록 돌출되는 제1나사체결부와; 상기 내통체의 상단으로부터 파여진 수용밀폐부와; 상기 수용밀폐부로부터 연장되는 걸림턱부와; 상기 내통체의 상단 내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가이드면이 구비되며, 상기 내통체의 상부를 덮는 제1밀폐덮개가 구비되되, 상기 제1밀폐덮개의 하면 둘레부에는, 상기 내통체의 가이드면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내통체의 상단 내측에 위치되는 제1밀폐부와; 상기 제1밀폐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밀폐부에 인입 수용된 후 상기 걸림턱부에 걸어지는 제2밀폐부가 구비되며, 상기 외통체의 안착면에 안착되되 상기 제1밀폐덮개를 덮어 밀착하고 상기 내통체의 제1나사체결부와 나사체결되는 제2나사체결부가 하단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나사체결부에 상기 제2나사체결부가 나사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밀폐덮개를 상기 내통체측으로 강하게 눌러주어 상기 제1밀폐부와 상기 가이드면 및 상기 제2밀폐부와 수용밀폐부가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제2밀폐덮개와; 상기 외통체의 안착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2밀폐덮개를 덮어 보호하는 제3밀폐덮개와; 상기 제1밀폐덮개와 상기 제2밀폐덮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밀폐덮개의 제2나사체결부가 상기 외통체의 제1나사체결부에 나사체결될 때 상기 제1밀폐덮개를 강하게 눌러 밀착시키는 밀착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내통체의 내부 바닥면에는 단턱을 갖는 판넬안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판넬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내통체에 넣어지는 유골의 변질을 방지하는 황토판넬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외통체와 내통체로 구비되어 내통체에 넣어지는 유골을 보호함은 물론 내통체의 내부를 완벽하게 밀폐할 수 있어 보관된 유골에 대한 변질을 방지하고 내통체의 내부측으로 습기나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통체와 내통체 사이에 구비된 공기단열층에 의해 보관된 유골이 기온차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밀폐형 유골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밀폐형 유골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밀폐형 유골함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밀폐형 유골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밀폐형 유골함의 제1밀폐덮개가 덮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밀폐형 유골함의 제1밀폐덮개가 덮어진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밀폐형 유골함의 제1밀폐덮개와 제2밀폐덮개 및 제3밀폐덮개가 덮어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밀폐형 유골함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밀폐형 유골함은, 외면이 호형으로 이루어진 외통체(10)와 상기 외통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통체(20)를 포함하는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상기 내통체(20)의 내부에는 유골함이 보관되고 상기 외통체(10)는 상기 내통체(20)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통체(10)의 표면에 다양한 형상이나 문양이 표현되어 유골함을 미려하게 연출한다.
상기 외통체(10)와 내통체(20) 사이에는 공기단열층(3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단열층(30)이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외통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이 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통체(20)의 외면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외통체(10)의 내부에 내통체(20)를 넣으면 상기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내통체(20)와 호형으로 이루어진 외통체(10) 사이에 자연스럽게 공기단열층(30)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구비되는 공기단열층(30)에 의해 보온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내통체(20)의 내부에 보관된 유골함이 기온차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인 밀폐형 유골함의 상기 외통체(10) 상면에는 안착면(11)이 구비되며, 상기 내통체(20)에는, 상기 외통체(10)의 안착면(11)측으로 위치되도록 돌출되는 제1나사체결부(21)와, 상기 내통체(20)의 상단으로부터 파여진 수용밀폐부(22)와, 상기 수용밀폐부(22)로부터 연장되는 걸림턱부(23)와, 상기 내통체(20)의 상단 내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가이드면(24)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통체(20)의 상부를 덮는 제1밀폐덮개(4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밀폐덮개(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내통체(20)의 내부 공기를 빼내어 내통체(2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진공부(부호 미표기)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밀폐덮개(40)를 내통체(20)의 상부에 덮은 후 상기 진공부를 이용하여 내통체(20)의 내부를 진공되도록 한다.
상기 제1밀폐덮개(40)의 하면 둘레부에는, 상기 내통체(20)의 가이드면(24)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내통체(20)의 상단 내측에 위치되는 제1밀폐부(41)와, 상기 제1밀폐부(4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42)와, 상기 연장부(42)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밀폐부(22)에 인입 수용된 후 상기 걸림턱부(23)에 걸어지는 제2밀폐부(4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상기 제1밀폐덮개(40)가 상기 내통체(20)의 상부에 덮어질 때 상기 내통체(20)에 구비되는 가이드면(24)을 따라 상기 제1밀폐덮개(40)의 제1밀폐부(41)가 가이드되어 내통체(20)측으로 내려가면서 제1밀폐부(41)가 가이드면(24)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제1밀폐덮개(40)의 제2밀폐부(43)가 상기 내통체(20)에 구비되는 수용밀폐부(22)측으로 인입되면서 끼워져 밀착된다.
이와 같이 제1밀폐부(41)가 가이드면(24)에 밀착되고 제2밀폐부(42)가 수용밀폐부(22)에 밀착되기 때문에 내통체(20)의 내부가 제1밀폐부(41)와 제2밀폐부(43)에 의해 1차 및 2차적으로 밀폐된다.
또한, 상기 외통체(10)의 안착면(11)에 안착되되 상기 제1밀폐덮개(40)를 덮어 밀착하고 상기 내통체(20)의 제1나사체결부(21)와 나사체결되는 제2나사체결부(51)가 하단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나사체결부(21)에 상기 제2나사체결부(51)가 나사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밀폐덮개(40)를 상기 내통체(20)측으로 강하게 눌러주어 상기 제1밀폐부(41)와 상기 가이드면(24) 및 상기 제2밀폐부(43)와 수용밀폐부(22)가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제2밀폐덮개(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2밀폐덮개(50)는, 제2밀폐덮개(50)의 제2나사체결부(51)가 상기 내통체(20)에 구비되는 제1나사체결부(21)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1밀폐덮개(40)를 덮어주는 것으로, 상기 제2밀폐덮개(50)가 제1밀폐덮개(40)에 덮어질 때 상기 제1밀폐덮개(40)를 상기 내통체(20)측으로 가압하여 눌러준다.
즉, 상기 제2밀폐덮개(50)의 제2나사체결부(51)가 상기 내통체(20)의 제1나사체결부(21)에 나사체결되면서 상기 내통체(20)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통체(20)의 상부를 덮어주는 제1밀폐덮개(40)를 가압하여 제1밀폐덮개(40)가 내통체(20)측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밀폐덮개(40)가 내통체(20)측으로 밀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밀폐덮개(40)에 구비된 제1밀폐부(41) 및 제2밀폐부(42)가 상기 가이드면(24) 및 수용밀폐부(22)에 더욱 강하게 밀착될 수 있어 내통체(20)의 내부에 대한 기밀성 및 밀폐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외통체(10)의 안착면(11)에 안착되고 상기 제2밀폐덮개(50)를 덮어 보호하는 제3밀폐덮개(60)와, 상기 제2밀폐덮개(50)와 상기 제3밀폐덮개(6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3밀폐덮개(60)가 제2밀폐덮개(50)에 덮어질 때 제2밀폐덮개(50)와 제3밀폐덮개(60) 사이에 밀착되어 상기 제2밀폐덮개(50)와 제3밀폐덮개(6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밀착부(7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3밀폐덮개(60)는 상기 제2밀폐덮개(50)를 덮어 보호함은 물론 제3밀폐덮개(60)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이나 형상을 표현하여 본 고안인 밀폐형 유골함의 외관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밀폐덮개(60)가 상기 제2밀폐덮개(50)를 덮어주는 과정에서 상기 밀착부(70)가 제2밀폐덮개(50)와 제3밀폐덮개(60) 사이를 강하게 밀착시켜 기밀성을 유지시킴에 따라 외부의 공기나 습기 또는 물기가 상기 내통체(2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내통체(20)의 내부 바닥면에는 단턱(25)을 갖는 판넬안착부(26)가 더 구비되고, 상기 판넬안착부(26)에 안착되어 상기 내통체(20)에 넣어지는 유골의 변질을 방지하는 황토판넬(8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황토판넬(80)은 상기 판넬안착부(26)에 구비되는 단턱(25)에 올려져 안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황토판넬(80)이 더 구비됨에 따라 내통체(20)의 내부에 넣어져 보관되는 유골에 대한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제2밀폐덮개(50)의 하단 외면에는 제3나사체결부(5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밀폐덮개(60)의 하단 내면에는 제4나사체결부(61)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2밀폐덮개(50)와 상기 제3밀폐덮개(60)는 나사체결방식으로 서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3나사체결부(52)가 제2밀폐덮개(50)의 하단에 더 구비되고 제4나사체결부(61)가 제3밀폐덮개(60)에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제3나사체결부(52)와 제4나사체결부(61)에 의해 상기 제2밀폐덮개(50)와 제3밀폐덮개(60)가 나사체결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제2밀폐덮개(50)의 제3나사체결부(52)와 상기 제3밀폐덮개(60)의 제4나사체결부(61)가 나사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밀착부(70)에 대한 가압이 더욱 향상될 수 있어 상기 밀착부(70)에 의한 제2밀폐덮개(50)와 제3밀폐덮개(60) 사이의 기밀성 및 밀폐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밀폐부(41)와 제2밀폐부(43) 및 밀착부(70)는 가압력이 작용했을 때 눌러짐이 가능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따라, 제1밀폐덮개(40)의 외측에 제2밀폐덮개(50)가 덮어지고 제2밀폐덮개(50)의 상부측에 제3밀폐덮개(60)가 덮어질 때, 상기 제1밀폐부(41)와 제2밀폐부(43) 및 밀착부(70)가 가압되어 눌러지기 때문에 밀폐성 및 기밀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외통체 11 : 안착면
20 : 내통체 21 : 제1나사체결부
22 : 수용밀폐부 23 : 걸림턱부
24 : 가이드면 25 : 단턱
26 : 판넬안착부 30 : 공기단열층
40 : 제1밀폐덮개 41 : 제1밀폐부
42 : 연장부 43 : 제2밀폐부
50 : 제2밀폐덮개 51 : 제2나사체결부
52 : 제3나사체결부 60 : 제3밀폐덮개
61 : 제4나사체결부 70 : 밀착부
80 : 황토판넬

Claims (3)

  1. 외면이 호형으로 이루어진 외통체(10)와 상기 외통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통체(20)를 포함하는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10)와 내통체(20) 사이에는 공기단열층(30)이 구비되고,
    상기 외통체(10)의 상면에는 안착면(11)이 구비되며,
    상기 내통체(20)에는,
    상기 외통체(10)의 상면에 구비된 안착면(11)측으로 위치되도록 돌출되는 제1나사체결부(21)와;
    상기 내통체(20)의 상단으로부터 파여진 수용밀폐부(22)와;
    상기 수용밀폐부(22)로부터 연장되는 걸림턱부(23)와;
    상기 내통체(20)의 상단 내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가이드면(24)이 구비되며,
    상기 내통체(20)의 상부를 덮는 제1밀폐덮개(40)가 구비되되,
    상기 제1밀폐덮개(40)의 하면 둘레부에는,
    상기 내통체(20)의 가이드면(24)을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내통체(20)의 상단 내측에 위치되는 제1밀폐부(41)와;
    상기 제1밀폐부(4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42)와;
    상기 연장부(42)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밀폐부(22)에 인입 수용된 후 상기 걸림턱부(23)에 걸어지는 제2밀폐부(43)가 구비되며,
    상기 외통체(10)의 안착면(11)에 안착되되 상기 제1밀폐덮개(40)를 덮어 밀착하고 상기 내통체(20)의 제1나사체결부(21)와 나사체결되는 제2나사체결부(51)가 하단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나사체결부(21)에 상기 제2나사체결부(51)가 나사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밀폐덮개(40)를 상기 내통체(20)측으로 강하게 눌러주어 상기 제1밀폐부(41)와 상기 가이드면(24) 및 상기 제2밀폐부(43)와 수용밀폐부(22)가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제2밀폐덮개(50)와;
    상기 외통체(10)의 안착면(11)에 안착되고 상기 제2밀폐덮개(50)를 덮어 보호하는 제3밀폐덮개(60)와;
    상기 제2밀폐덮개(50)와 상기 제3밀폐덮개(6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3밀폐덮개(60)가 제2밀폐덮개(50)에 덮어질 때 제2밀폐덮개(50)와 제3밀폐덮개(60) 사이에 밀착되어 상기 제2밀폐덮개(50)와 제3밀폐덮개(6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밀착부(7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유골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20)의 내부 바닥면에는 단턱(25)을 갖는 판넬안착부(26)가 더 구비되고,
    상기 판넬안착부(26)에 안착되어 상기 내통체(20)에 넣어지는 유골의 변질을 방지하는 황토판넬(8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유골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폐덮개(50)의 하단 외면에는 제3나사체결부(5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밀폐덮개(60)의 하단 내면에는 제4나사체결부(61)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2밀폐덮개(50)와 상기 제3밀폐덮개(60)는 나사체결방식으로 서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유골함.
KR2020170000829U 2017-02-18 2017-02-18 밀폐형 유골함 KR200484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829U KR200484690Y1 (ko) 2017-02-18 2017-02-18 밀폐형 유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829U KR200484690Y1 (ko) 2017-02-18 2017-02-18 밀폐형 유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690Y1 true KR200484690Y1 (ko) 2017-10-16

Family

ID=6040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829U KR200484690Y1 (ko) 2017-02-18 2017-02-18 밀폐형 유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6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122A (ko) * 2019-09-18 2021-03-26 전정일 진공납골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344A (ko) * 2001-10-09 2003-04-18 김일 유골함
KR20080000626U (ko) * 2006-10-19 2008-04-23 유종성 황토석을 이용한 유골함
KR101215544B1 (ko) 2010-11-12 2012-12-26 이현승 봉안함
KR101599524B1 (ko) 2015-07-31 2016-03-03 (주)기억되는 사람들 유골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344A (ko) * 2001-10-09 2003-04-18 김일 유골함
KR20080000626U (ko) * 2006-10-19 2008-04-23 유종성 황토석을 이용한 유골함
KR101215544B1 (ko) 2010-11-12 2012-12-26 이현승 봉안함
KR101599524B1 (ko) 2015-07-31 2016-03-03 (주)기억되는 사람들 유골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122A (ko) * 2019-09-18 2021-03-26 전정일 진공납골함
KR102319742B1 (ko) * 2019-09-18 2021-11-01 전정일 진공납골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583B1 (ko) 반도체 웨이퍼 수납용기
US20040099497A1 (en) Protective case
KR20150004424U (ko) 립스틱 화장품용기의 밀폐구조
KR960007383A (ko) 합성수지제 필퍼프루프 캡
KR20140076772A (ko) 진공 유골함
KR200484690Y1 (ko) 밀폐형 유골함
KR200439997Y1 (ko) 내부 씰링막 설치가 가능한 밀폐용기
KR101215544B1 (ko) 봉안함
KR101494254B1 (ko) 밀폐용기
JP4279028B2 (ja) 湿潤シート用容器
JP2007330574A (ja) 食品保温容器
KR200492279Y1 (ko) 개량형 유골함
KR101233087B1 (ko) 진공 납골함
KR101844115B1 (ko) 유골함
KR101162921B1 (ko)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20180031192A (ko) 순환식 평장묘
KR0121307Y1 (ko) 밀폐용기
KR101909641B1 (ko) 진공을 유지시켜 주는 덮개
KR200360020Y1 (ko) 납골단지
KR100778556B1 (ko) 봉안함 및 그를 이용한 납골방법
KR200256677Y1 (ko) 납골함 패킹구조
KR101450574B1 (ko) 음식물 저장용기
JPS6215149Y2 (ko)
KR20100019243A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0427353Y1 (ko) 납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