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688Y1 - 배변용 발 거치대 - Google Patents

배변용 발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688Y1
KR200484688Y1 KR2020170003891U KR20170003891U KR200484688Y1 KR 200484688 Y1 KR200484688 Y1 KR 200484688Y1 KR 2020170003891 U KR2020170003891 U KR 2020170003891U KR 20170003891 U KR20170003891 U KR 20170003891U KR 200484688 Y1 KR200484688 Y1 KR 200484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sole
toe
heel
foot 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우
Original Assignee
조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창우 filed Critical 조창우
Priority to KR2020170003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6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6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는 좌변기에서 배변을 유도할 수 있는 배변용 발 거치대로서,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소정의 높이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발 거치부와, 상기 한쌍의 발 거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좌변기의 지지대와 대응하는 곡면을 가져 배변자의 발이 좌변기 안쪽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변용 발 거치대{Foot supporting device for toilet seat}
본 고안은 배변용 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변기의 앞쪽에 설치되어 배변자의 원활한 배변을 유도할 수 있는 배변용 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배변 시간이 길어지거나, 배변에 어려움을 겪는 변비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변비의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특히 잘못된 식습관(서구화된 음식습관, 불규칙한 음식섭취, 폭식, 과도한 다이어트방법, 불균형한 영양소섭취 등)이나 사회 환경적 요인(서구화되는 신체구조, 과도한 업무에 따른 스트레스, 잦은 술자리 등) 등이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배변에 어려움을 겪는 또 다른 이유는 배변 시의 자세에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가정이나 공공건물 화장실에 좌변기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러한 좌변기가 개발되기 전에는 쪼그려 앉아서 용변을 보는 방식의 변기를 이용하였는데 이러한 변기에서 용변을 보는 자세는 허리가 곧게 펴지고, 골반이 뒤로 빠져서 항문의 개방이 쉬워지고 골반이 펴지는 자세가 되어서 의학적으로는 용변을 보기 수월한 자세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쪼그려 앉아 용변을 보는 자세는 무릎에 무리를 주게 되는 단점을 가진다. 좌변기는 좌식문화의 보급과 함께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의자에 앉아 있는 자세로 용변을 보게 되므로, 무릎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에 용변을 용이하게 하는 자세와 차이가 있어서 원활한 배변의 측면에서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배변용 발 거치대는 좌변기의 이용할 때 용변 자세를 쪼그려 앉는 자세와 유사하게 유도하여 원활한 배변을 유도하는 장치이다. 배변용 발 거치대에 관한 선행문헌으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6-0122610호가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변기 굴곡에 맞는 형태의 반원형 받침대와 양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을 가지는 배변용 발거치대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한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발 거치대는 발거치면에 경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발 거치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용변이 용이한 자세를 유도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변 시에 배변자의 무게중심을 앞쪽으로 치우치게 하는 동시에 허벅지와 허리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복부에 적당한 압박을 가할 수 있고, 발바닥면의 지압을 유도하여 배변 활동을 도우며, 화장실에 설치된 상태에서 미끄럼이 방지되고 습기에 의한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배변용 발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좌변기에서 배변을 유도할 수 있는 배변용 발 거치대로서,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소정의 높이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발 거치부와, 상기 한쌍의 발 거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좌변기의 지지대와 대응하는 곡면을 가져 배변자의 발이 좌변기 안쪽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용 발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 거치부는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발뒤꿈치 거치면, 발바닥 거치면 및 발가락 거치면을 가지고, 상기 발뒤꿈치 거치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바닥 거치면은 배변 시에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쏠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발뒤꿈치 거치면과 14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35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정경사로 형성되며, 상기 발가락 거치면은 배변 시에 앞쪽으로 쏠린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발바닥 거치면과 13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1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역경사로 형성되고, 상기 발뒤꿈치 거치면에는 31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발바닥 거치면에는 108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발가락 거치면에는 50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되어 배변 시에 지압을 통하여 원활한 배변을 유도하며, 상기 발 거치부 및 연결부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발 거치부 및 연결부의 하부에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의 강도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 거치부에는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통풍부가 형성되며, 상기 발 거치부 및 연결부에는 바닥면과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발바닥 거치면은 발바닥의 패인 면에 대응하도록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발뒤꿈치 거치면에 형성된 31개의 지압돌기와 상기 발가락 거치면에 형성된 50개의 지압돌기는 각각 상기 발뒤꿈치 거치면과 상기 발가락 거치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발바닥 거치면에 형성된 108개의 지압돌기는 발바닥에 수직방향의 압력이 증가하도록 경사의 위쪽으로 지압점이 치우치도록 비대칭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발뒤꿈치 거치면, 발바닥 거치면 및 발가락 거치면에 형성된 지압돌기는 2 내지 4mm의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는 아래의 효과를 가진다.
1. 발 거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곡면을 가져 좌변기의 안쪽으로 배변용 발 거치대를 밀어 넣을 수 있으므로, 좌변기 안쪽으로 수납이 가능한 동시에, 배변자의 몸쪽으로 발 거치대를 당겨 허벅지와 허리의 각도를 배변에 편리한 자세로 유지하는데 용이하게 한다.
2. 발뒤꿈치 거치면이 수평의 각도를 가지고 발바닥 거치면이 수평면에 대하여 35도의 정경사를 가져 배변자의 무게중심을 앞쪽으로 쏠린 상태에서 허벅지와 허리의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배변 시에 복부에 적당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3. 발가락 거치면이 10도의 역경사를 가져 배변자의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쏠린 상태에서 더 이상 앞쪽으로 몸이 나아가는 것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4. 발뒤꿈치 거치면, 발바닥 거치면, 발가락 거치면에 각각 31개, 108개 및 50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되어서 배변 시에 지압을 통하여 배변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5. 발바닥 거치면에 형성된 지압돌기가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져 발바닥에 수직방향의 압력이 증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6. 발 거치대의 바닥면에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어서 배변자의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쏠린 상태에서 거치대가 앞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7. 발 거치부와 연결부에 일체로 형성된 빈 공간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통풍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빈 공간에서 습기에 의하여 곰팡이 등의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8. 발 거치대의 하부에 강도 보강부가 형성되어서 배변자의 몸무게에 의하여 발 거치대가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의 사시도와 지압돌기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의 발뒤꿈치 거치면, 발바닥 거치면, 발가락 거치면의 형성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에서 발뒤꿈치 거치면, 발바닥 거치면, 발가락 거치면에 형성된 지압돌기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를 좌변기의 앞쪽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를 사용한 경우에 배변자의 허벅지와 허리 각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는 좌변기에서 배변을 유도할 수 있는 배변용 발 거치대로서,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소정의 높이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발 거치부와, 상기 한쌍의 발 거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좌변기의 지지대와 대응하는 곡면을 가져 배변자의 발이 좌변기 안쪽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변용 발 거치대는 한쌍의 발 거치부(110, 120)와 상기 한쌍의 발 거치부(110, 1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발 거치부(110, 120)는 배변 시에 배변자의 발이 올라갈 수 있는 부분으로 발뒤꿈치 부분이 발가락 부분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30)는 양 발 거치부를 연결하여 형상을 유지하고, 좌변기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한 곡면은 좌변기의 지지대 부분에 안착되어서 수납 시에 발 거치대가 앞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배변 시에는 발 거치대가 배변자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의 사시도와 지압돌기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의 (가)를 참조하면, 발 거치부(110, 120)의 위쪽에는 발뒤꿈치 거치면(111, 121), 발바닥 거치면(112, 122), 발가락 거치면(113, 1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뒤꿈치 거치면(111, 121)은 수평면에 대하여 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바닥 거치면(112, 122)은 배변 시에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쏠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발뒤꿈치 거치면과 14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35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정경사로 형성되며, 상기 발가락 거치면(113, 123)은 배변 시에 앞쪽으로 쏠린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발바닥 거치면과 13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1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역경사로 형성되어 있다. 발뒤꿈치 거치면(111, 121), 발바닥 거치면(112, 122), 발가락 거치면(113, 123)에는 각각 31개, 108개 및 50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배변시에 지압을 통하여 원활한 배변이 유도되도록 한다. 발 거치부(110, 120)와 연결부(130)의 하부에는 강도 보강부(170)가 형성되어 있는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 발 거치부 및 연결부에서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여 배변자의 몸무게에 의하여 발 거치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바닥면와 맞닿는 부분에는 미끄럼 방지부(140)가 형성되어 있는데, 미끄럼 방지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바닥면에서 발 거치대가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발 거치부(110, 120)의 측면에는 통풍부(150)가 형성되어 있는데, 통풍부는 빈 공간이 형성된 발 거치부와 연결부의 내부로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여 빈 공간에서 습기에 의하여 곰팡이, 악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의 (나)를 참조하면, 발뒤꿈치 거치면(111, 121)에는 31개의 제1지압돌기(161)가 형성되어 있고, 발바닥 거치면(112, 122)에는 108개의 제2지압돌기(162) 및 제3지압돌기(16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발가락 거치면(113, 123)에는 50개의 제4지압돌기(164)가 형성되어 있다. 발바닥 거치면(112, 122)은 발바닥의 오목한 형상을 따라 발바닥 거치면 볼록부(122a)와 발바닥 거치면 평탄부(122b)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는 배변 시에 배변자의 허벅지 및 허리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유지하여 배변 활동을 돕는다. 즉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는 좌변기에 앉아 편리하게 배변을 보면서 재래식 배변 시와 같은 쪼그려 앉기 효과를 주어 배변을 촉진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의 발뒤꿈치 거치면, 발바닥 거치면, 발가락 거치면의 형성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뒤꿈치 거치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보조선 121'), 발바닥 거치면 발뒤꿈치 거치면과 14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35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정경사로 형성되며(보조선 122'), 발가락 거치면은 발바닥 거치면과 13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1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역경사로 형성되어 있다(보조선 123'). 발바닥 거치면의 정경사는 발뒤꿈치 거치면의 수평면과 함께 배변자의 무게 중심을 앞으로 쏠리게 하고, 쏠린 무게 중심을 보상하기 위하여 배변자의 허리가 앞쪽으로 굽어지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복부에 압박이 가해지도록 한다. 발가락 거치면의 역경사는 배변자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린 상태에서 발가락으로 그 쏠림을 버티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발 거치부의 경사각 효과는 도 6을 통하여 설명된다. 도 6의 (가)를 참조하면, 배변자는 먼저 좌변기에 엉덩이를 대고 편하게 앉는다. 이때는 정강이는 수직에 가깝고 허벅지는 수평에 가깝고 허리는 편 상태로 수직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6의 (나)를 참조하면, 발 거치대에 양 발을 올리면 정강이가 올라가면서 무릎쪽이 함께 올가가면서 허리와 허벅지의 각도가 좁혀지게 된다. 이어서 도 6의 (다)를 참조하면, 발 거치대의 발바닥 거치면 각도를 따라서 몸의 무게중심이 아앞으로 쏠리고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허리가 앞쪽으로 굽어지면서 허리와 허벅지의 각도가 보다 좁아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복부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힘을 주기 좋은 상태가 되어 배변이 유도된다. 이 자세에서 역경사를 가지는 발가락 거치면은 앞쪽으로 쏠리 무게 중심을 발가락이 버틸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는 발뒤꿈치 거치면, 발바닥 거치면 및 발가락 거치면에 지압돌기가 형성되어서 혈 자리를 자극하여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고 스트레스 해소, 피로회복의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에서 발뒤꿈치 거치면, 발바닥 거치면, 발가락 거치면에 형성된 지압돌기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뒤꿈치 거치면에 형성된 31개의 제1지압돌기(161)는 발뒤꿈치 거치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 형상을 가진다. 즉 제1지압돌기(161)의 뾰족한 부분이 돌기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배변자의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무게가 수직방향에 가깝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지압에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발바닥 거치면에 형성된 제2지압돌기(도면부호 미표시)와 제3지압돌기(163)는 발바닥에 수직방향의 압력(중력방향의 압력)이 증가하도록 경사의 위쪽으로 지압점이 치우치도록 비대칭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돌기의 뾰족한 부분이 돌기의 중앙부분이 아닌 위쪽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발바닥 거치면에 형성된 각도에 의하여 발바닥면이 수직방향(중력방향)의 압력을 크게 받고 있기 때문이고,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지압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발가락 거치면에 형성된 50개의 제4지압돌기는 발가락 거치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 형상을 가지는데, 이는 발가락 거치면의 경사가 발바닥 거치면에 비하여 크지 않고, 발가락 관절이 유연한 점을 고려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를 좌변기의 앞쪽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 거치대(100)는 좌변기(200)의 앞쪽에 설치되고, 발 거치재의 연결부가 좌변기(200)의 지지부(210)에 맞물려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형태는 배변자의 신체 구조에 맞추어 발 거치대가 좌변기 지지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발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좌변기 지지부 방향으로 끝까지 밀어넣어 수납 시에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배변용 발 거치대는 가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는 발뒷꿈치 거치면, 발바닥 거치면, 발가락 거치면에 소정의 열을 발생시켜 배변 시에 발바닥에 자극을 추가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고, 화장실 내부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배변자의 발을 따뜻하게 하여 쾌적한 배변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도 한다. 가열부는 열선이나 면저항체가 삽입된 가열시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변자의 발이 거치대에 놓이면서 생기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 및 스위치와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변자가 좌변기에 앉아 발 거치대 위에 발을 올리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스위치가 작동하여 전원부의 전원이 가열부의 가열시트로 전달되어 가열이 시작되고, 배변자가 발을 떼면 가열이 중단되는 방법으로 가열부가 작동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배변용 발 거치대
110, 120 : 발 거치부 130 : 연결부
111, 121 : 발뒷꿈치 거치면 112, 122 : 발바닥 거치면
113, 123 : 발가락 거치면 140 : 미끄럼 방지부
150 : 통풍부 161 : 제1지압돌기
162 : 제2지압돌기 163 : 제3지압돌기
164 : 제4지압돌기 170 : 강도 보강부
200 : 좌변기 210 : 좌변기 지지대

Claims (2)

  1. 좌변기에서 배변을 유도할 수 있는 배변용 발 거치대에 있어서,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소정의 높이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발 거치부; 및
    상기 한쌍의 발 거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좌변기의 지지대와 대응하는 곡면을 가져 배변자의 발이 좌변기 안쪽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발 거치부는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된 발뒤꿈치 거치면, 발바닥 거치면 및 발가락 거치면을 가지고,
    상기 발뒤꿈치 거치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바닥 거치면은 배변 시에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쏠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발뒤꿈치 거치면과 14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35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정경사로 형성되며, 상기 발가락 거치면은 배변 시에 앞쪽으로 쏠린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발바닥 거치면과 13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1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역경사로 형성되고,
    상기 발뒤꿈치 거치면에는 31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발바닥 거치면에는 108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발가락 거치면에는 50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되어 배변시에 지압을 통하여 원활한 배변을 유도하며,
    상기 발 거치부 및 연결부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발 거치부 및 연결부의 하부에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의 강도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 거치부에는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통풍부가 형성되며,
    상기 발 거치부 및 연결부에는 바닥면과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발바닥 거치면은 발바닥의 패인 면에 대응하도록 볼록한 면을 가지고,
    상기 발뒤꿈치 거치면에 형성된 31개의 지압돌기와 상기 발가락 거치면에 형성된 50개의 지압돌기는 각각 상기 발뒤꿈치 거치면과 상기 발가락 거치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발바닥 거치면에 형성된 108개의 지압돌기는 발바닥에 수직방향의 압력이 증가하도록 경사의 위쪽으로 지압점이 치우치도록 비대칭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발뒤꿈치 거치면, 발바닥 거치면 및 발가락 거치면에 형성된 지압돌기는 2 내지 4mm의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용 발 거치대.
  2. 삭제
KR2020170003891U 2017-07-26 2017-07-26 배변용 발 거치대 KR200484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891U KR200484688Y1 (ko) 2017-07-26 2017-07-26 배변용 발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891U KR200484688Y1 (ko) 2017-07-26 2017-07-26 배변용 발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688Y1 true KR200484688Y1 (ko) 2017-10-13

Family

ID=6040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891U KR200484688Y1 (ko) 2017-07-26 2017-07-26 배변용 발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68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9173A (zh) * 2018-11-19 2019-02-15 杜拉维特(中国)洁具有限公司 一种座便器
KR101958684B1 (ko) * 2017-12-29 2019-03-1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변 공간용 발판
KR20220081609A (ko) * 2020-12-09 2022-06-16 양우현 쾌변 유도용 발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280U (ko) * 1995-02-24 1996-09-17 이성재 좌변기의 배변 지지장치
KR20100007765U (ko) * 2009-01-23 2010-08-02 김재용 쾌변을 위한 좌변기용 발판
KR20160122610A (ko) * 2015-04-14 2016-10-24 김범 변기 아래에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발 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280U (ko) * 1995-02-24 1996-09-17 이성재 좌변기의 배변 지지장치
KR20100007765U (ko) * 2009-01-23 2010-08-02 김재용 쾌변을 위한 좌변기용 발판
KR20160122610A (ko) * 2015-04-14 2016-10-24 김범 변기 아래에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발 받침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684B1 (ko) * 2017-12-29 2019-03-1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변 공간용 발판
CN109339173A (zh) * 2018-11-19 2019-02-15 杜拉维特(中国)洁具有限公司 一种座便器
CN109339173B (zh) * 2018-11-19 2020-08-21 杜拉维特(中国)洁具有限公司 一种座便器
KR20220081609A (ko) * 2020-12-09 2022-06-16 양우현 쾌변 유도용 발판
KR102564886B1 (ko) * 2020-12-09 2023-08-09 양우현 쾌변 유도용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688Y1 (ko) 배변용 발 거치대
US5645914A (en) Anti-fatigue mat
US20190150648A1 (en) Mat for standing with raised features
US9545155B2 (en) Floor seat
US20100078979A1 (en) Auxiliary chair for improving posture for use with a chair
KR200460173Y1 (ko) 쾌변을 위한 좌변기용 발판
US20130090218A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20070252419A1 (en) Seating Mechanism and Chair
US20200359858A1 (en) Toilet footrest
US79886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plantar fasciitis
US20110061699A1 (en) Standing aid
US5374109A (en) Three point cross-legged support seat
US20080222783A1 (en) Sanitary article, in particular a toilet, designed to permit a physiologically correct position for defecation even for elderly or disabled persons
US6041523A (en) Method for weight-training using a shoe insert
JP2008220738A (ja) 健康履物
KR100940126B1 (ko) 포터블 무릎 의자
US10507357B2 (en) Foot stretching device
CN100577133C (zh) 足用按摩机
JP2003312352A (ja) フットレスト
TWM584618U (zh) 可調整式矯正鞋墊
KR200455300Y1 (ko) 다리받침
KR20130000030A (ko) 기능성 의자
KR200496116Y1 (ko) 다용도 쿠션
KR102190586B1 (ko) 배변자세 유도기
JP3220730U (ja) 腰痛改善用ストレッチベン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