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654Y1 - 고효율 침전조 - Google Patents

고효율 침전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654Y1
KR200484654Y1 KR2020170003629U KR20170003629U KR200484654Y1 KR 200484654 Y1 KR200484654 Y1 KR 200484654Y1 KR 2020170003629 U KR2020170003629 U KR 2020170003629U KR 20170003629 U KR20170003629 U KR 20170003629U KR 200484654 Y1 KR200484654 Y1 KR 2004846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ling
space
sedimentation
chamber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원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원플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원플랜트
Priority to KR2020170003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6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6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6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01D21/0033Vertical, perforated parti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고 콤팩트하면서도 슬러지의 제거효율이 우수하며, 운영비도 절감되어 경제적인 장점도 가지는 새로운 구성의 고효율 침전조에 관한 것으로서, 피처리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침전시켜 분리하기 위한 침전조에 있어서,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일측 면에는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02) 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처리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04)가 형성된 침전조 케이스(100); 상기 유입구(102 보다 높고 상기 배출구(104) 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상기 침전조 케이스(10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구획되는 다수개의 침전실(A1, A2, A3, A5, A6)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전실(A1, A2, A3, A5, A6) 중에서 상기 유입구(102)와 연통되는 침전실은 유입측 침전실(A1)을 이루고, 상기 침전실(A2, A3, A5, A6) 중에서 상기 유입측 침전실(A1)과 가장 먼 위치의 침전실은 배출측 침전실(A6)을 이루는 하부침전공간(A); 상기 하부침전공간(A) 상측에 구획형성되되, 상기 배출구(104)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부침전공간(B); 상기 상부침전공간(B) 상측에 구획형성되되, 상기 배출구(104)와 연통되는 최상부침전공간(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효율 침전조{High efficiency precipitation tank}
본 고안은 고효율 침전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피처리수에 함유된 슬러지의 제거효율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고효율 침전조에 관한 것이다.
폐수의 정수처리공정에 있어서, 폐수에 함유된 고형분, 즉 슬러지의 제거는 가장 기본적인 공정이다. 침전조는 침강에 의해 폐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분리제거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종류의 침전조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침전조들은 침전조의 침전효율을 높이기 위해 침전조의 구성을 복잡하게 구성하거나 또는 침전조의 크기가 과도하게 크게 제작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며, 또한, 침전조의 운행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는 등 경제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구성이 간단하고 콤팩트하면서도, 아울러 운영비가 적게 들어 경제적인 장점도 가지는 고효율의 침전조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0572호(2012. 07. 26.)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고 콤팩트하면서도 슬러지의 제거효율이 우수하며, 운영비도 절감되어 경제적인 장점도 가지는 새로운 구성의 고효율 침전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일측 면에는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02) 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처리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04)가 형성된 침전조 케이스(100); 상기 유입구(102) 보다 높고 상기 배출구(104) 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상기 침전조 케이스(10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구획되는 다수개의 침전실(A1, A2, A3, A5, A6)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전실(A1, A2, A3, A5, A6) 중에서 상기 유입구(102)와 연통되는 침전실은 유입측 침전실(A1)을 이루고, 상기 침전실(A2, A3, A5, A6) 중에서 상기 유입측 침전실(A1)과 가장 먼 위치의 침전실은 배출측 침전실(A6)을 이루는 하부침전공간(A); 상기 하부침전공간(A) 상측에 구획형성되되, 상기 배출구(104)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부침전공간(B); 상기 상부침전공간(B) 상측에 구획형성되되, 상기 배출구(104)와 연통되는 최상부침전공간(C);을 포함하며, 상기 각 침전실(A1, A2, A3, A5, A6)들은 연결배관(300)에 의해 상호 연통되어, 각 침전실(A1, A2, A3, A5, A6)의 상등수가 상기 연결배관(300)을 통해 상기 각 침전실(A2, A3, A5, A6)로 순차적으로 유입되고, 상기 배출측 침전실(A6) 상면에는 상기 상부침전공간(B)과 연통되는 제1통수공(222)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측 침전실(A6)의 상등수가 상기 상부침전공간(B)으로 유입되며, 상기 상부침전공간(B)과 최상부침전공간(C) 사이에는 제2통수공(412)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침전공간(B)의 상등수가 상기 최상부침전공간(C)으로 유입되고, 상기 각 침전실(A1, A2, A3, A5, A6)의 바닥에는 침전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슬러지드레인(11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침전공간(B)과 최상부침전공간(C)에는 각각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 침전실(A1, A2, A3, A5, A6) 중의 하나와, 상부침전공간(B)으로 배출시키는 슬러지지드레인(230, 4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침전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침전실(A1, A2, A3, A5, A6)은 침전실구획부재(200)에 의해 구획형성되며, 상기 침전실구획부재(200)는 수직부(210)와, 상기 수직부(210)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220)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직부(210)가 상기 침전조 케이스(100)의 유입구(102)가 형성된 측면(116)과 나란하도록 침전조 케이스(100) 내부에 다수개 연결설치하여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침전실(A1, A2, A3, A5, A6)은 침전실구획부재(200)에 의해 구획형성되며, 상기 침전실구획부재(200)는 상기 침전조 케이스(100)의 유입구(102)가 형성된 측면(116)과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침전조 케이스(100) 바닥면에 입설되는 다수개 수직구획판(240)과, 상기 침전조 케이스(100)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수직격판(240)들의 상단에 설치되는 가로구획판(250)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상기 가로구획판(250)이 상기 상부침전공간(B)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구획판(240)들은 상기 유입측 침전실(A1)에서 상기 배출츨 침전실(A6)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상기 가로구획판(250)은 상기 유입측 침전실(A1)에 근접되는 단부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가로구획판(250)의 유입측 침전실(A1)에 근접되는 단부에는 상기 상부침전공간(B)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상기 슬러지드레인(230)이 상기 유입측 침전실(A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통수공(412)은 상기 슬러지드레인(230)에 비해 상기 배출측 침전실(A6)에 이 근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침전조 내부공간의 하측부에는 수평으로 나란하도록 다수개의 침전실(A1,A2,A3,A4,A5,A6)로 구획형성되는 하부침전공간(A)이 형성되고, 하부침전공간(A)의 상측부는 침전조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04)와 연통되는 최상부침전조(C)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침전조(B)로 상하 구획된다.
따라서 침전조로 유입되는 피처리수는 상기 하부침전공간(A)의 각 침전실(A1,A2,A3,A4,A5,A6)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피처리수에 함유된 슬러지가 1차적으로 침전되어 제거되고, 하부침전공간(A)의 후단부를 이루는 배출측 침전실(A6)에서 피처리수의 상등수가 상기 상부침전공간(B) 및 최상부침전공간(C)으로 유입되어 상부침전공간(B)과 최상부침전공간(C)에서 피처리수에 함유된 슬러지가 추가적으로 침전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침전조는 피처리수가 침전조 하측부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슬러지가 1차적으로 제거된 다음, 상향으로 이송되는 흐름을 가지기 때문에 슬러지의 침전제거효율이 상당히 우수하며, 따라서 침전조를 콤팩트하게 구성하여도 높은 침전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침전조 내부가 침전실구획부재(200) 및 가로판(400)에 의해 구획되는 간단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조도 용이하며, 또한, 펌프에 의해 피처리수를 침전조 내부로 주입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운행도 용이하고 운영비용도 절감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침전실구획부재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침전실구획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의 사용상태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일 측면에는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2) 및 침전조 내부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04)가 형성된 침전조 케이스(100)와, 침전조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는 침전실구획부재(200)들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구획형성된 침전실(A1, A2, A3, A5, A6)로 이루어지는 하부침전공간(A)과, 각 침전실(A1, A2, A3, A5, A6)을 연통시키는 연결배관(300)과, 침전조 케이스(100)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침전실(A1, A2, A3, A5, A6) 상측에 설치되는 가로판(400)에 의해 침전실(A1, A2, A3, A5, A6) 상측에서 상하로 구획되는 상부침전공간(B) 및 최상부침전공간(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침전조 케이스(100)는 바닥면(112)과 상면(114), 이들 바닥면(112)과 상면(114)을 연결시키는 4개의 측면(116)들로 이루어져서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데, 일 측면(116)에는 침전조 케이스(100) 내부로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2)와 침전조 내부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04)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04)가 유입구(102)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유입구(102) 측에는 피처리수를 침전조 케이스(100) 내부로 공급시키기 위한 펌프(2)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침전실구획부재(200)는 수직부(210)와 수직부(210)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20)로 이루어져서, 단면이 ㄱ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침전실구획부재(200)는 전후 폭이 침전조 케이스(100)의 전후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높이는 상기 배출구(104)의 높이보다 낮고 유입구(10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침전실구획부재(200)의 수직부(210)가 침전조 케이스(100)의 유입구(102)가 형성된 측면(116)과 나란하도록 침전실구획부재(200)를 침전조 케이스(100) 바닥면(112)에 좌우 일렬로 연결설치하면, 침전조 케이스(100) 내부에는 유입구(102) 보다 높이가 높고 배출구(104)보다 높이가 낮은 다수개의 침전실(A1, A2, A3, A5, A6)이 좌우로 나란하게 일렬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02)는 침전조 케이스(100) 높이의 1/2 이상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이는 각 침전실(A1, A2, A3, A5, A6)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침전실구획부재(200)의 수직부(210) 상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212)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212)에는 각 침전실(A1, A2, A3, A5, A6)을 상호 연통시키는 연결배관(300)이 연결된다. 이 연결배관(300)은 상단부가 상기 관통공(212)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각 침전실(A1, A2, A3, A5, A6)의 바닥면(112)에 근접되도록 하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침전실(A1, A2, A3, A5, A6) 중에서 최선단에 위치되어 상기 유입구(102)와 연통되는 유입측 침전실(A1)로 피처리수가 유입되면 피처리수는 연결배관(300)을 통해 이웃되는 후단의 침전실(A2, A3, A5, A6)로 순차적으로 이송되고, 유입측 침전실(A1)에서 가장 먼 위치에 형성되는 침전실인 배출측 침전실(A6)로 피처리수가 이송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피처리수에 함유된 슬러지가 자중에 의해 각 침전실(A1, A2, A3, A5, A6)에 침전되는데, 피처리수가 각 침전실(A1, A2, A3, A5, A6)로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처리되는 과정에서 피처리수에 함유된 슬러지의 양이 점차 감소된다. 각 침전실(A1, A2, A3, A5, A6)에 침전된 슬러지는 침전실(A1, A2, A3, A5, A6) 별로 침전조 케이스(100) 바닥면(112)에 형성된 슬러지드레인(1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침전공간(A)이 6개의 침전실(A1, A2, A3, A5, A6)로 구획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침전조의 전체적인 크기에 침전실(A1, A2, A3, A5, A6)의 개수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침전실구획부재(200) 중에서 배출측 침전실(A6)을 구획하는 침전실구획부재(200)의 수평부(22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제1통수공(2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통수공(222)에 의해 배출측 침전실(A6)로 유입된 피처리수의 상등수가 상부침전공간(B)으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하부침전공간(A) 상측에는 침전조 케이스(100) 내부를 가로지도록 가로판(400)이 설치되고, 이 가로판(400)에 의해 상부침전공간(B)과 최상부침전공간(C)이 상하로 구획된다. 상기 가로판(400)은 배출구(104)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최상부침전공간(C)은 상기 배출구(104)와 연통되고, 최상부침전공간(C)과 하부침전공간(A) 사이에 상부침전공간(B)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로판(400)의 일측 단부에는 상부침전공간(B)과 최상부침전공간(C)을 연통시키는 제2통수공(420)이 형성되어 상부침전공간(B)의 상등수가 최상부침전공간(C)으로 유입된다.
이러한 상부침전공간(B)과 최상부침전공간(C)은 피처리수에 함유된 슬러리가 추가적으로 침전되는 공간이다. 미 설명후보 230은 상부침전공간(B)에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 침전실(A1,A2,A3,A4,A5,A6) 중 어느 하나로 배출시키는 슬러지드레인이고, 미설명 부호 430은 최상부 최상부침전공간(C)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상부침전공간(B)으로 배출시키는 슬러지드레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침전공간(A) 상측에 하나의 가로판(400)이 설치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침전공간(A) 상측에 상기 배출구(104) 보다 낮은 위치로 다수개의 가로판(40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하부침전공간(A)과 최상부침전공간(C) 사이에 다수개의 상부침전공간(B)이 구획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침전조는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립설치가 가능하도록 제작되며, 또한, 이러한 침전조는 내열성, 내약품성, 내식성 등이 우수한 합성수지소재로 제작되거나 또는 금속판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내약품성, 내식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것이 금속판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슬러지가 포함된 피처리수는 상기 유입구(102)를 통해 하부침전공간(A)의 유입측 침전실(A1)로 유입되고, 유입측 침전실(A1)로 유입된 피처리수는 상기 이송배관(300)을 통해 각각의 침전실(A2, A3, A5, A6)로 순차적으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구(102) 측에 연결된 펌프(2)에 의해 피처리수가 유입되는데,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피처리수가 각 침전실(A1, A2, A3, A5, A6)로 유입되고, 배출측 침전실(A6)로 유입된 피처리수는 상부침전공간(B)과 최상부침전공간(C)을 통과하여 배출구(104)로 배출되는 흐름이 발생된다.
한편, 원수에 함유된 슬러지는 자중에 의해 각 침전실(A1, A2, A3, A5, A6) 바닥에 침전되는데, 피처리수가 각 침전실(A1, A2, A3, A5, A6)을 통과하면서 피처리수에 함유된 슬러지의 양이 점차 감소된다. 각 침전실(A1, A2, A3, A5, A6)로 유입되는 피처리수는 상등수가 오버플로워되어 이웃되는 후단의 침전실(A2, A3, A5, A6)로 유입되는데, 상기 연결배관(300)의 하단부가 침전실(A1, A2, A3, A5, A6) 바닥에 근접되도록 하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기 때문에, 피처리수가 이웃되는 침전실(A1, A2, A3, A5, A6)로 유입될 때 폭기가 발생되지 않는다. 피처리수가 각 침전실(A1, A2, A3, A5, A6)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폭기가 발생되면 자중에 의해 침전실(A1, A2, A3, A5, A6)에 침전된 슬러지가 부상되어 슬러지의 침전효율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침전실(A1, A2, A3, A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가장 후단의 배출측 침전실(A6)로 유입된 피처리수의 상등수는 제1통수공(222)을 통해 상부침전공간(B)으로 상향으로 유입된다. 배출측 침전실(A6)로 유입된 피처리수의 상등수가 상부침전공간(B)으로 상향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상부침전공간(B)으로 슬러지가 유입되는 것이 최대한 제재될 것이나, 하부침전공간(A)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하고 상부침전공간(B)으로 유입되는 슬러지는 상부침전공간(B)에서 추가적으로 침전된다. 그리고 상부침전공간(B)으로 유입된 피처리수의 상등수는 제2통수공(412)을 통해 최상부침전공간(C)으로 유입되고, 최상부침전공간(C)에서 피처리수에 함유된 슬러지가 추가적으로 침전된 후, 최종적으로 상기 배출구(10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각 공간에 침전된 슬러지는 슬러지드레인(113,230,430)들을 통해 배출되는데, 각 침전실(A1, A2, A3, A5, A6)에 침전된 슬러지는 바닥면(112)에 형성된 슬러지드레인(113)을 통해 배외부로 배출되고, 최상부침전공간(C)에 침전된 슬러지는 슬러지드레인(430)을 통해 상부침전공간(B)으로 배출되고, 상부침전공간(B)에 침전된 슬러지는 슬러지드레인(230)을 통해 상기 침전실(A1, A2, A3, A5, A6) 중의 하나로 배출된다. 사용자는 침전조 운행시 주기적으로 상기 슬러지드레인(113,230,430)을 개방시켜 슬러지를 배출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을 가지는 침전조는 하부침전공간(A)이 수평방향으로 다수개의 침전실(A1, A2, A3, A5, A6)로 구획형성되어, 하부침전공간(A)에서는 피처리수가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슬러지의 침전이 이루어지고, 하부침전공간(A)의 후단부에서는 피처리수의 상등수가 상향으로 이송되어 상부침전공간(B) 및 최상부침전공간(A)에서 추가적으로 처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침전조는 하부침전공간(A)에서 1차적으로 슬러지가 침전되어 제거된 다음, 하부침전공간(A)의 후단부에서는 피처리수의 상등수가 상향으로 이송되는 상향흐름이 형성되기 때문에, 슬러지의 처리효율이 상당히 우수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침전조는 콤팩트한 크기로 제작되어도 처리효율이 우수하면, 특히, 침전조 내부를 침전실구획부재(200)와 가로판(400)로 구획하는 간단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작도 용이하고 코스트도 저렴하다. 뿐만 아니라, 펌프에 의해 피처리수를 침전조 내부로 주입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운행도 용이하고 운영비용도 절감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침전공간(A)을 형성하는 침전실구획부재(200)가 단면이 ㄱ형상을 가지기 이들 침전실구획부재(200)를 연결설치함에 따라 각 침전실(A1, A2, A3, A5, A6)과 상부침전공간의 구획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침전실구획부재(200)가 다수개의 수직구획판(240)과, 침전조 케이스(100)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수직구획판(24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가로구획판(25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구획판(240)들을 침전조 케이스(100)의 유입구(102)가 형성된 측면(116)에 나란하도록 다수개 이격설치하고, 이들 수직구획판(240) 위에 침전조 케이스(100)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가로구획판(250)을 설치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측침전공간(A)의 바닥면이 상기 유입측 침전실(A1)에 근접될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직구획판(240)들은 유입측 침전실(A1)에서 배출측 침전실(A6)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로구획판(250)을 수직구획판(240)들이 상단에 결합시키면, 가로구획판(250)의 유입측 침전실(A1)에 근접되는 단부가 배출측 침전실(A6)에 근접되는 단부에 비해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침전공간(B)의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슬러지드레인(230)이 가로구획판(250)의 유입측 침전실(A1)에 근접되는 단부에 형성되어 슬러지드레인(230)은 유입측 침전실(A1)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통수공(412)은 상부침전공간(B)의 상대적으로 상향으로 위치되는 바닥면에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드레인(430)과 대향되는 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상부침전공간(B)의 바닥이 유입측 침전실(A1)에 근접될수록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면 상부침전공간(B)에 침전되는 슬러지가 하향으로 오목한 부위, 즉, 유입측 침전실(A1) 상부 부위에 축적되므로 상기 제1통수공(222)에서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축적된다. 따라서 침전된 슬러지가 J제1통수공(222)을 통해 상부침전공간(B)으로 유입되는 흐름에 최대한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슬러지가 부유되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슬러지가 축적되는 부위에서 먼 위치에 제2통수공(412)이 형성됨에 따라 제2통수공(412)을 통해 슬러지가 최상부침전공간(C)으로 유입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A. 하부침전공간 A1, A2, A3, A5, A6. 침전실
B. 상부침전공간 C. 최상부침전공간
100. 침전조 케이스 102. 유입구
104. 배출구 112. 바닥면
113, 230,430. 슬러지드레인 114. 상부면
116. 측면 200. 침전실구획부재
210. 수직부 220. 수평부
212. 관통공 222. 제1통수공
240. 수직구획판 250. 가로구획판
400. 가로판 412. 제2통수공

Claims (4)

  1. 피처리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침전시켜 분리하기 위한 침전조에 있어서,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일측 면에는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02) 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처리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04)가 형성된 침전조 케이스(100);
    상기 유입구(102) 보다 높고 상기 배출구(104) 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상기 침전조 케이스(10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구획되는 다수개의 침전실(A1, A2, A3, A5, A6)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전실(A1, A2, A3, A5, A6) 중에서 상기 유입구(102)와 연통되는 침전실은 유입측 침전실(A1)을 이루고, 상기 침전실(A2, A3, A5, A6) 중에서 상기 유입측 침전실(A1)과 가장 먼 위치의 침전실은 배출측 침전실(A6)을 이루는 하부침전공간(A);
    상기 하부침전공간(A) 상측에 구획형성되되, 상기 배출구(104)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부침전공간(B);
    상기 상부침전공간(B) 상측에 구획형성되되, 상기 배출구(104)와 연통되는 최상부침전공간(C);을 포함하며,
    상기 각 침전실(A1, A2, A3, A5, A6)들은 연결배관(300)에 의해 상호 연통되어, 각 침전실(A1, A2, A3, A5, A6)의 상등수가 상기 연결배관(300)을 통해 상기 각 침전실(A2, A3, A5, A6)로 순차적으로 유입되고,
    상기 배출측 침전실(A6) 상면에는 상기 상부침전공간(B)과 연통되는 제1통수공(222)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측 침전실(A6)의 상등수가 상기 상부침전공간(B)으로 유입되며,
    상기 상부침전공간(B)과 최상부침전공간(C) 사이에는 제2통수공(412)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침전공간(B)의 상등수가 상기 최상부침전공간(C)으로 유입되고,
    상기 각 침전실(A1, A2, A3, A5, A6)의 바닥에는 침전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슬러지드레인(11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침전공간(B)과 최상부침전공간(C)에는 각각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 침전실(A1, A2, A3, A5, A6) 중의 하나와, 상부침전공간(B)으로 배출시키는 슬러지드레인(230, 4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침전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침전실(A1, A2, A3, A5, A6)은 침전실구획부재(200)에 의해 구획형성되며, 상기 침전실구획부재(200)는 수직부(210)와, 상기 수직부(210)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220)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직부(210)가 상기 침전조 케이스(100)의 유입구(102)가 형성된 측면(116)과 나란하도록 침전조 케이스(100) 내부에 다수개 연결설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침전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침전실(A1, A2, A3, A5, A6)은 침전실구획부재(200)에 의해 구획형성되며, 상기 침전실구획부재(200)는 상기 침전조 케이스(100)의 유입구(102)가 형성된 측면(116)과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침전조 케이스(100) 바닥면에 입설되는 다수개 수직구획판(240)과, 상기 침전조 케이스(100)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수직구획판(240)들의 상단에 설치되는 가로구획판(250)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상기 가로구획판(250)이 상기 상부침전공간(B)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침전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획판(240)들은 상기 유입측 침전실(A1)에서 상기 배출측 침전실(A6)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상기 가로구획판(250)은 상기 유입측 침전실(A1)에 근접되는 단부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가로구획판(250)의 유입측 침전실(A1)에 근접되는 단부에는 상기 상부침전공간(B)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상기 슬러지드레인(230)이 상기 유입측 침전실(A1)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통수공(412)은 상기 슬러지드레인(230)에 비해 상기 배출측 침전실(A6)에 근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침전조.

KR2020170003629U 2017-07-12 2017-07-12 고효율 침전조 KR2004846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629U KR200484654Y1 (ko) 2017-07-12 2017-07-12 고효율 침전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629U KR200484654Y1 (ko) 2017-07-12 2017-07-12 고효율 침전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654Y1 true KR200484654Y1 (ko) 2017-11-06

Family

ID=6040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629U KR200484654Y1 (ko) 2017-07-12 2017-07-12 고효율 침전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654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9992A (ja) * 2000-10-13 2002-04-23 Purio:Kk シートによる嫌気槽水面被覆汚水処理法
KR100796353B1 (ko) * 2006-09-25 2008-01-21 정동진 무필터 방식의 가공액 여과장치
KR100964784B1 (ko) * 2008-04-03 2010-06-21 최석규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KR101170572B1 (ko) 2003-12-26 2012-08-01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침전조
KR101358822B1 (ko) * 2013-09-23 2014-02-13 주식회사 성일엔텍 슬러지 부상 방지형 침전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9992A (ja) * 2000-10-13 2002-04-23 Purio:Kk シートによる嫌気槽水面被覆汚水処理法
KR101170572B1 (ko) 2003-12-26 2012-08-01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침전조
KR100796353B1 (ko) * 2006-09-25 2008-01-21 정동진 무필터 방식의 가공액 여과장치
KR100964784B1 (ko) * 2008-04-03 2010-06-21 최석규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KR101358822B1 (ko) * 2013-09-23 2014-02-13 주식회사 성일엔텍 슬러지 부상 방지형 침전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31358B2 (en) A separat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an influent
RU270665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чист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посредством фильтрующего слоя
KR101446272B1 (ko) 유수분리기
KR100803713B1 (ko)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KR20140053464A (ko) 침전 겸용 유입수 분배관을 갖는 오폐수 경사판 침전 장치
KR200484654Y1 (ko) 고효율 침전조
KR102173185B1 (ko) 경사판 침전장치
US7717275B2 (en) Integrated perforated flocculating baffle system
KR100717429B1 (ko) 고효율 멀티 침전조
US6982033B2 (en) Aerobic treatment plant with filter pipe
KR102367543B1 (ko)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가 적용된 여과지
CN102076616B (zh) 污水净化设备
KR200207675Y1 (ko) 복수의 여과실을 구비한 침전여과장치
CN102482128A (zh) 包括混合室的生物反应器
KR101038684B1 (ko) 다층 수평관 액체 침전장치
CN213077739U (zh) 污水泥沙过滤池
WO1990014313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filtering medium circulation type for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KR100652840B1 (ko) 사이클론을 이용한 물 정화장치
TWI712447B (zh) 分流式液體過濾器
CN107540049A (zh) 一种含油污水分离器
JP7072776B2 (ja) 分離装置
KR100964784B1 (ko) 간이 상수도 여과장치
KR102318251B1 (ko) 축산폐수 처리시설의 침전여과장치
US1750922A (en) Separating device
US832914A (en) Automatic water purifying and filt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