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326Y1 -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326Y1
KR200484326Y1 KR2020160003952U KR20160003952U KR200484326Y1 KR 200484326 Y1 KR200484326 Y1 KR 200484326Y1 KR 2020160003952 U KR2020160003952 U KR 2020160003952U KR 20160003952 U KR20160003952 U KR 20160003952U KR 200484326 Y1 KR200484326 Y1 KR 200484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ed
appearance
control signal
operation control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엽
진상범
김동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160003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3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3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Landscapes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는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기계적으로 접촉하여 온 또는 오프되는 기계적인 스위치들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무접점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포토센서부와, 릴레이부와, 제1,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1,IGBT2)들을 사용하여 스위칭 동작시 접점의 접촉불량의 발생을 방지하여 콘덴서 투입불량이나, 진공접촉기의 내부 코일, 기동용 리액터, 단권변압기의 소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operating status signal output apparatus of pressure control valve}
본 고안은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접촉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기계적으로 온 또는 오프되는 종래의 스위치들을 전기적으로 무접점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무접점 스위치들을 사용하여 스위칭 동작시 접점의 접촉불량의 발생을 방지하여 콘덴서 투입불량이나, 진공접촉기의 내부 코일, 기동용 리액터, 단권변압기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접촉기(Vcuum Contact Switch)는 스위치 접촉자간 절연을 진공으로 하여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개폐 동작인 정상 상태의 부하를 투입, 차단하기 위한 고압용 스위치로서, 역률개선용 콘덴서, 고압모터 기동시 기동전류 감소를 위한 리엑터 기동, 콘돌퍼 기동 등의 회로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진공접촉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기계적으로 온 또는 오프되는, 즉 기계적으로 동작하는 다수의 스위치들로 이루어진 보조스위칭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 진공접촉기의 보조스위칭 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86376호 "진공전자접촉기의 개폐용 보조스위치"(등록일자 :1998.12.29)에는 적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격실을 형성한 외함과, 상기 외함의 중앙으로부터 대향되도록 상기 격실에 각각 고정 배치되고 그 각 일단에는 고정접점이 구비된 고정단자와, 상기 외함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외함내에 탄성지지되고 각 격실위치마다 접압스프링이 내장되어 있는 굴곡부를 형성한 가동로드와, 상기 가동로드에 삽입 설치되어 인접되는 각 굴곡부와의 접촉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의 각 고정접점과 맞닿도록 가동접점이 구비된 가동단자로 구성되며, 접점수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된 진공전자접촉기의 개폐용 보조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진공전자접촉기의 개폐용 보조스위치는 진공접촉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기계적으로 접촉하는 다수의 스위치들로 이루진 것으로, 이와 같이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기계적으로 접촉하여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 스위치 내에 이물질이 발생되거나 기계적인 접촉에 따라 스위치에 손상이 발생되며, 스위칭 동작시 접촉불량에 따른 오동작이 야기되고, 이로 인해 콘덴서 투입불량이나, 진공접촉기의 내부 코일, 기동용 리액터, 단권변압기의 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86376호 "진공전자접촉기의 개폐용 보조스위치"(등록일자 :1998.12.29)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기계적으로 접촉하여 온 또는 오프되는 종래의 기계적인 스위치들을 전기적으로 무접점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무접점 스위치들을 사용하여 스위칭 동작시 접점의 접촉불량의 발생을 방지하여 콘덴서 투입불량이나, 진공접촉기의 내부 코일, 기동용 리액터, 단권변압기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는,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부하를 투입, 차단하기 위한 진공접촉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진공접촉기의 보조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제1직류전압을 공급받아 제1직류전압 보다 낮은 제2직류전압을 출력하는 공급전원발생부; 제1포토다이오드와 제1포토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출몰동작하는 동작제어출몰부(21)를 구비하여, 상기 제1포토다이오드는 제2직류전압에 의해 애노드로부터 캐소드로 전류가 흘러 광을 방출하고, 상기 동작제어출몰부의 출몰여부에 따라 상기 제1포토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신 또는 차단되어 상기 제1포토트랜지스터를 온 또는 오프되며, 상기 제1포토트랜지스터가 온되면 비활성화된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포토트랜지스터가 오프되면 활성화된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센서부; 상기 포토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제어신호를 반전시켜 반전된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상기 포토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동작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온되고, 상기 동작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오프되는 제1스위칭부; 상기 제1스위칭부가 온되면 애노드로부터 캐소드로 전류가 흐르는 제2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제2포토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면 온되는 제2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제1릴레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상기 제1스위칭부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상기 제2포토트랜지스터가 온 또는 오프되는 제1무접점스위칭부; 상기 인버터의 출력인 반전된 동작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애노드로부터 캐소드로 전류가 흐르는 제3포토다이오드와 상기 제3포토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면 온되는 제3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제2릴레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상기 반전된 동작제어신호의 활성화여부에 따라 상기 제3포토트랜지스터가 온 또는 오프되는 제2무접점스위칭부; 상기 진공접촉기의 투입동작을 위한 투입코일과, 투입제어신호에 따라 온되는 투입스위칭부와, 상기 반전된 동작제어신호의 활성화여부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1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상기 제1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가 온이고, 상기 투입스위칭부가 온되면 상기 투입코일에 제1직류전압이 공급되어 상기 진공접촉기는 투입 동작을 수행하는 투입동작수행부; 및 상기 진공접촉기의 트립동작을 위한 트립코일과, 트립제어신호에 따라 온되는 트립스위칭부와, 동작제어신호의 활성화여부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상기 제1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가 오프될 때 상기 제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가 온되며, 상기 제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가 온이고 상기 트립스위칭부가 온되면 상기 트립코일에 제1직류전압이 공급되어 상기 진공접촉기는 트립 동작을 수행하는 트립동작수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는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기계적으로 접촉하여 온 또는 오프되는 종래의 기계적인 스위치들을 전기적으로 무접점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무접점 스위치들을 사용하여 스위칭 동작시 접점의 접촉불량의 발생을 방지하여 콘덴서 투입불량이나, 진공접촉기의 내부 코일, 기동용 리액터, 단권변압기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는, 제1직류전압(Vdc1)을 공급받아 제1직류전압(Vdc1)보다 낮은 제2직류전압(Vdc2)을 출력하는 공급전원발생부(10)와, 제1포토다이오드(PD1)와 제1포토트랜지스터(PTR1)와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출몰동작하는 동작제어출몰부(21)를 구비하여, 제1포토다이오드(PD1)는 제2직류전압(Vdc2)에 의해 애노드로부터 캐소드로 전류가 흘러 광을 방출하고, 동작제어출몰부(21)의 출몰 여부에 따라 제1포토다이오드(PD1)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신 또는 차단되어 제1포토트랜지스터(PTR1)는 온 또는 오프되며, 제1포토트랜지스터(PTR1)가 온되면 비활성화된 동작제어신호(OS)를 출력하고, 제1포토트랜지스터(PTR1)가 오프되면 활성화된 동작제어신호(OS)를 출력하는 포토센서부(20)와, 포토센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제어신호(OS)를 반전시켜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를 출력하는 인버터(INV)와, 포토센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제어신호(OS)를 수신하여 동작제어신호(OS)가 활성화되면 온되고, 동작제어신호(OS)가 비활성화되면 오프되는 제1스위칭부(T1)와, 제1스위칭부(T1)가 온되면 애노드로부터 캐소드로 전류가 흐르는 제2포토다이오드(PD2)와 제2포토다이오드(PD2)에 전류가 흐르면 온되는 제2포토트랜지스터(PTR2)로 구성된 제1릴레이부(RL1a,RL1b)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제1스위칭부(T1)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제2포토트랜지스터(PTR2)가 온 또는 오프되는 제1무접점스위칭부(30)와, 인버터(INV)의 출력인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가 활성화되면 애노드로부터 캐소드로 전류가 흐르는 제3포토다이오드(PD3)와 제3포토다이오드(PD3)에 전류가 흐르면 온되는 제3포토트랜지스터(PTR3)로 구성된 제2릴레이부(RL2a,RL2b)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의 활성화여부에 따라 제3포토트랜지스터(PTR3)가 온 또는 오프되는 제2무접점스위칭부(40)와, 진공접촉기의 투입동작을 위한 투입코일(Cx)과, 투입제어신호(CS)에 따라 온되는 투입스위칭부(S1)와,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의 활성화여부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1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1)로 구성되어, 제1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1)가 온이고, 투입스위칭부(S1)가 온되면 투입코일(Cx)에 제1직류전압(Vdc1)이 공급되어 진공접촉기는 투입 동작을 수행하는 투입동작수행부(50)와, 진공접촉기의 트립동작을 위한 트립코일(Tx)과, 트립제어신호(TS)에 따라 온되는 트립스위칭부(S2)와, 동작제어신호(OS)의 활성화여부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2)로 구성되어, 제1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1)가 오프될 때 제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2)가 온되며, 제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2)가 온이고 트립스위칭부(S2)가 온되면 트립코일(Tx)에 제1직류전압(Vdc1)이 공급되어 진공접촉기는 트립 동작을 수행하는 트립동작수행부(60)로 구성된다.
또한, 투입동작수행부(50)는 제1직류전압(Vdc1)을 분배하여 제1분배전압(Va)을 출력하는 제1분배전압부(51)와,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를 수신하여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가 활성화되면 온되고,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가 비활성화되면 오프되는 제2스위칭부(T2)를 더 구비하여 제2스위칭부(T2)가 온되면 제1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1)는 오프되고, 제2스위칭부(T2)가 오프되면 제1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1)는 제1분배전압(Va)에 의해 온된다.
또한, 트립동작수행부(60)는 제1직류전압(Vdc1)을 분배하여 제2분배전압(Vb)을 출력하는 제2분배전압부(61)와, 동작제어신호(OS)를 수신하여 동작제어신호(OS)가 활성화되면 온되고, 동작제어신호(OS)가 비활성화되면 오프되는 제3스위칭부(T3)를 더 구비하여 제3스위칭부(T3)가 온되면 제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2)는 오프되고, 제3스위칭부(T3)가 오프되면 제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2)는 제2분배전압(Vb)에 의해 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무접점스위칭부(30)의 제1릴레이부(RL1a,RL1b)는 두개로 구성되고, 제2무접점스위칭부(40)의 제2릴레이부(RL2a,RL2b)는 두개로 구성된 것을 나타난 실시예이다.
공급전압발생부(10)는 100V의 고압의 전력을 공급받아, 직렬로 연결된 다이오드(D), 저항(R) 및 제너다이오드(ZD)에 의해 대략 5V의 낮은 제2직류전압(Vdc2)을 출력한다.
포토센서부(20)의 제1포토다이오드(PD1)의 애노드는 제2직류전압(Vdc2)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접지전압(Vss)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포토다이오드(PD1)는 항상 애노드로부터 캐소드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광을 방출한다.
포토센서부(20)의 동작제어출몰부(21)는 진공접촉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레버의 위치에 연동되어 포토센서부(20)의 내측 공간부로 출몰 동작되도록 하여, 진공접촉기가 정상 상태인 오프일때에는 구동레버는 보조스위칭 장치와는 이격되고, 동작제어출몰부(21)는 내측으로 이동되어 제1포토다이오드(PD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차단시켜 제1포토트랜지스터(PTR1)는 오프되어 포토센서부(20)의 출력인 동작제어신호(OS)는 접지전압(Vss)인 로우논리값을 갖는 비활성화된 신호를 출력한다.
반대로, 구동레버가 보조스위칭 장치 쪽으로 이동되어 진공접촉기가 온되면, 동작제어출몰부(21)는 외측으로 이동되어, 제1포토트랜지스터(PTR1)는 제1포토다이오드(PD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수신받아 온되고, 포토센서부(20)의 출력인 동작제어신호(OS)는 제2직류전압(Vdc2)인 하이논리값을 갖는 활성화된 신호를 출력한다.
인버터(INV)는 포토센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제어신호(OS)를 반전시켜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를 출력한다.
먼저, 진공접촉기가 정상상태인 오프상태에서 온투입될 때 본 고안의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출몰 동작하는 포토센서부(20)의 동작제어출몰부(21)에 의해 제1포토트랜지스터(PTR1)는 제1포토다이오드(PD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수신받아 온되며, 동작제어신호(OS)는 제2직류전압(Vdc2)인 활성화된 신호를 출력하고,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는 로우논리값을 갖는 비활성화된 신호를 출력한다.
활성화된 동작제어신호(OS)에 의해 제1스위칭부(T1)과 제3스위칭부(T3)는 온되고, 비활성화된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에 의해 제2스위칭부(T2)는 오프된다.
제1스위칭부(T1)의 온에 의해 제1무접점스위칭부(30)의 제2포토다이오드(PD2)는 제2직류전압(Vdc2)에 연결된 애노드로부터 접지전압(Vss)에 연결된 캐소드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제2포토트랜지스터(PTR2)는 온되어 두 개의 제1릴레이부(RL1a,RL1b)는 온되는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제2무접점스위칭부(40)의 제3포토다이오드(PD3)의 애노드는 비활성화된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와 연결되어 있어, 제3포토다이오드(PD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제3포토트랜지스터(PTR3)는 오프되고, 이로 인해 제2무접점스위칭부(40)의 제2릴레이부(RL2a,RL2b)는 오프된다.
제2스위칭부(T2)의 오프에 의해 투입동작수행부(50)의 제1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1)는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저항(R1,R2)들로 구성된 제1분배전압부(51)에 의해 제1직류전압(Vdc1)을 분배한 12V의 제1분배전압(Va)에 의해 온되며, 이때 활성화된 투입제어신호(CS)를 인가하여 투입스위칭부(S1)를 온시켜 투입코일(Cx)에는 제1직류전압(Vdc1)이 공급되게 되어. 투입동작수행부(50)는 진공접촉기는 투입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제3스위칭부(T3)의 온에 의해 트립동작수행부(60)의 제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2)는 오프되므로 트립 동작이 차단된다.
진공접촉기가 온 투입된 후, 오프일때의 본 고안의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포토센서부(20)의 동작제어출몰부(21)는 구동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포토센서부(20)의 내측 공간부로 이동되어 제1포토다이오드(PD1)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차단되고, 제1포토트랜지스터(PTR1)는 오프되며, 동작제어신호(OS)는 비활성화되고,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는 활성화된다.
비활성화된 동작제어신호(OS)에 의해 제1스위칭부(T1)과 제3스위칭부(T3)는 오프되고, 활성화된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에 의해 제2스위칭부(T2)는 온된다.
제1스위칭부(T1)의 오프에 의해 제1무접점스위칭부(30)의 제2포토다이오드(PD2)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제2포토트랜지스터(PTR2)는 오프되며, 이로 인해 제1무접점스위칭부(30)의 두 개의 제1릴레이부(RL1a,RL1b)는 오프된다.
활성화된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에 의해 제2무접점스위칭부(40)의 제3포토다이오드(PD3)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3포토트랜지스터(PTR3)는 온되고, 이로 인해 제2무접점스위칭부(40)의 제2릴레이부(RL2a,RL2b)는 온된다.
제3스위칭부(T3)의 오프에 의해 트립동작수행부(60)의 제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2)는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저항(R3,R4)들로 구성된 제2분배전압부(61)에 의해 제1직류전압(Vdc1)을 분배한 12V의 제2분배전압(Vb)에 의해 온되며, 이때 활성화된 트립제어신호(TS)를 인가하여 트립스위칭부(S2)를 온시켜 트립코일(Tx)에는 제1직류전압(Vdc1)이 공급되게 되어. 트립동작수행부(60)는 진공접촉기는 트립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제2스위칭부(T2)의 온에 의해 투입동작수행부(60)의 제1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1)는 오프되므로 투입 동작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는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무접점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포토센서부(20)와, 포토센서부(2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무접점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제1,2릴레이부(RL1a,RL1b,RL2a,RL2b)와 무접점에 의해 스위칭동작하는 제1,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1,IGBT2)들을 사용하여 스위칭 동작시 접점의 접촉불량의 발생을 방지하여 콘덴서 투입불량이나, 진공접촉기의 내부 코일, 기동용 리액터, 단권변압기의 소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10 : 공급전원발생부 20 : 포토센서부
30 : 제1무접점스위칭부 40 : 제2무접점스위칭부
50 : 투입동작수행부 60 : 트립동작수행부

Claims (3)

  1.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부하를 투입, 차단하기 위한 진공접촉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진공접촉기의 보조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제1직류전압(Vdc1)을 공급받아 제1직류전압(Vdc1)보다 낮은 제2직류전압(Vdc2)을 출력하는 공급전원발생부(10);
    제1포토다이오드(PD1)와 제1포토트랜지스터(PTR1)와 상기 구동레버에 연동되어 출몰동작하는 동작제어출몰부(21)를 구비하여, 상기 제1포토다이오드(PD1)는 제2직류전압(Vdc2)에 의해 애노드로부터 캐소드로 전류가 흘러 광을 방출하고, 상기 동작제어출몰부(21)의 출몰 여부에 따라 상기 제1포토다이오드(PD1)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신 또는 차단되어 상기 제1포토트랜지스터(PTR1)를 온 또는 오프되며, 상기 제1포토트랜지스터(PTR1)가 온되면 비활성화된 동작제어신호(OS)를 출력하고, 상기 제1포토트랜지스터(PTR1)가 오프되면 활성화된 동작제어신호(OS)를 출력하는 포토센서부(20);
    상기 포토센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제어신호(OS)를 반전시켜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를 출력하는 인버터(INV);
    상기 포토센서부(20)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제어신호(OS)를 수신하여 상기 동작제어신호(OS)가 활성화되면 온되고, 상기 동작제어신호(OS)가 비활성화되면 오프되는 제1스위칭부(T1);
    상기 제1스위칭부(T1)가 온되면 애노드로부터 캐소드로 전류가 흐르는 제2포토다이오드(PD2)와 상기 제2포토다이오드(PD2)에 전류가 흐르면 온되는 제2포토트랜지스터(PTR2)로 구성된 제1릴레이부(RL1a,RL1b)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상기 제1스위칭부(T1)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상기 제2포토트랜지스터(PTR2)가 온 또는 오프되는 제1무접점스위칭부(30);
    상기 인버터(INV)의 출력인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가 활성화되면 애노드로부터 캐소드로 전류가 흐르는 제3포토다이오드(PD3)와 상기 제3포토다이오드(PD3)에 전류가 흐르면 온되는 제3포토트랜지스터(PTR3)로 구성된 제2릴레이부(RL2a,RL2b)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상기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의 활성화여부에 따라 상기 제3포토트랜지스터(PTR3)가 온 또는 오프되는 제2무접점스위칭부(40);
    상기 진공접촉기의 투입동작을 위한 투입코일(Cx)과, 투입제어신호(CS)에 따라 온되는 투입스위칭부(S1)와, 상기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의 활성화여부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1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1)로 구성되어, 상기 제1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1)가 온이고, 상기 투입스위칭부(S1)가 온되면 상기 투입코일(Cx)에 제1직류전압(Vdc1)이 공급되어 상기 진공접촉기는 투입 동작을 수행하는 투입동작수행부(50); 및
    상기 진공접촉기의 트립동작을 위한 트립코일(Tx)과, 트립제어신호(TS)에 따라 온되는 트립스위칭부(S2)와, 동작제어신호(OS)의 활성화여부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2)로 구성되어, 상기 제1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1)가 오프될 때 상기 제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2)가 온되며, 상기 제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2)가 온이고 상기 트립스위칭부(S2)가 온되면 상기 트립코일(Tx)에 제1직류전압(Vdc1)이 공급되어 상기 진공접촉기는 트립 동작을 수행하는 트립동작수행부(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동작수행부(50)는,
    상기 제1직류전압(Vdc1)을 분배하여 제1분배전압(Va)을 출력하는 제1분배전압부(51); 및
    상기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를 수신하여 상기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가 활성화되면 온되고, 상기 반전된 동작제어신호(OSB)가 비활성화되면 오프되는 제2스위칭부(T2)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2스위칭부(T2)가 온되면 상기 제1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1)는 오프되고, 상기 제2스위칭부(T2)가 오프되면 상기 제1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1)는 상기 제1분배전압(Va)에 의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립동작수행부(60)는,
    상기 제1직류전압(Vdc1)을 분배하여 제2분배전압(Vb)을 출력하는 제2분배전압부(61); 및
    상기 동작제어신호(OS)를 수신하여 상기 동작제어신호(OS)가 활성화되면 온되고, 상기 동작제어신호(OS)가 비활성화되면 오프되는 제3스위칭부(T3)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3스위칭부(T3)가 온되면 상기 제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2)는 오프되고, 상기 제3스위칭부(T3)가 오프되면 상기 제2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2)는 상기 제2분배전압(Vb)에 의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
KR2020160003952U 2016-07-08 2016-07-08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 KR200484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952U KR200484326Y1 (ko) 2016-07-08 2016-07-08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952U KR200484326Y1 (ko) 2016-07-08 2016-07-08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326Y1 true KR200484326Y1 (ko) 2017-08-25

Family

ID=6062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952U KR200484326Y1 (ko) 2016-07-08 2016-07-08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32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376B1 (ko) 1996-11-15 1999-05-15 구자홍 진공전자접촉기의 개폐용 보조스위치
KR200178990Y1 (ko) * 1999-11-12 2000-04-15 한전기공주식회사 고압차단기의 무접점 보조 스위칭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376B1 (ko) 1996-11-15 1999-05-15 구자홍 진공전자접촉기의 개폐용 보조스위치
KR200178990Y1 (ko) * 1999-11-12 2000-04-15 한전기공주식회사 고압차단기의 무접점 보조 스위칭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2574B2 (en) DC breaker capable of blocking fault current generated in direct current lines
JP6348614B2 (ja) 容量結合型消弧回路及び装置
US7079363B2 (en) Hybrid DC electromagnetic contactor
KR100572163B1 (ko) 고전압 펄스 발생 회로
JP6042035B2 (ja) 直流遮断装置
JP2017527067A (ja) 直流遮断用遮断スイッチ
KR20120091134A (ko) 프리­휠링 회로
US20150124507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Actuating a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
JP6352745B2 (ja) ハイブリッド形開閉器
KR102037934B1 (ko) 갈바닉 직류 인터럽션을 위한 디스커넥터
KR101172740B1 (ko) 펄스전원장치의 반도체 스위치 구동회로
KR20140115666A (ko) 컨버터의 바이패스 스위치 장치
KR200484326Y1 (ko) 진공접촉기의 무접점 보조스위칭 장치
KR20150142546A (ko) 전자식 개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150789A1 (ja) スイッチ回路
JP6143615B2 (ja) 直流開閉器
JP2016072676A (ja) 半導体リレー
CN112053869A (zh) 一种控制器、控制方法和包括控制器的快速机械开关
JP2014150654A (ja) ゲート駆動回路
KR20240033002A (ko) 펄스-테스트 능력을 갖춘 직렬 z-소스 회로 차단기
CN110324028B (zh) 用于功率半导体开关的控制装置
JP6284827B2 (ja) 開閉器
WO2016199428A1 (ja) スイッチ装置
JP2018074619A (ja) ゲートパルス発生回路およびパルス電源装置
WO2019052458A1 (zh) 直流灭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