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248Y1 -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및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및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248Y1
KR200484248Y1 KR2020170001703U KR20170001703U KR200484248Y1 KR 200484248 Y1 KR200484248 Y1 KR 200484248Y1 KR 2020170001703 U KR2020170001703 U KR 2020170001703U KR 20170001703 U KR20170001703 U KR 20170001703U KR 200484248 Y1 KR200484248 Y1 KR 200484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uncture
roller
sensing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철
우병철
Original Assignee
유병철
우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철, 우병철 filed Critical 유병철
Priority to KR2020170001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2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2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12Puncture preventing arrangements
    • B60C19/122Puncture preventing arrangements disposed inside of the inner l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개시되는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가 1차 점착층과, 1차 스펀지를 포함함에 따라, 못 등의 뾰족한 이물질에 의해 타이어에 펑크 홀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1차 점착층을 이루는 물질이 상기 펑크 홀을 매움과 함께, 상기 이물질에 의해 상기 1차 스펀지가 찢어지지 않으면서 상기 펑크 홀을 덮게 되므로, 상기 펑크 홀을 통해 상기 1차 점착층을 이루는 물질이 상기 타이어 외부로 유실되지 않으면서, 상기 펑크 홀이 상기 1차 점착층을 이루는 물질 및 상기 1차 스펀지에 의해 2중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및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Tire puncture preventing member and combining apparatus of tire puncture preventing member and tire}
본 고안은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및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자동차 등의 운송 수단의 바퀴를 이루는 것으로,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서 노면과 직접 닿는 부분이다.
이러한 타이어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특성상, 노면에 놓인 못 등의 이물질에 의해 펑크가 날 수 있는데, 그러한 펑크 발생 시 운송 수단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에, 타이어의 펑크를 방지하기 위한 제안이 있어 왔다.
이러한 제안의 한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타이어 펑크방지를 위하여, 타이어 내면에 액상의 점착성 물질을 도포하는 방식에 의하였는데, 이 경우 타이어에 발생된 펑크 홀로 액상의 점착성 물질이 유입된 다음 그 펑크 홀에 머물지 못하고 그 펑크 홀을 통해 타이어 외부로 그 점착성 물질이 유실되어 버려서, 제대로 펑크 방지가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0277523호, 등록일자: 2000.10.11., 발명의 명칭: 타이어 펑크방지 조성물 및 그 도포방법
본 고안은 펑크 방지 물질이 펑크 홀을 통해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및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는 타이어가 펑크나는 경우 상기 타이어의 펑크 부분에 스며들어 상기 타이어의 펑크를 메우는 1차 점착층과, 상기 타이어가 펑크나는 경우에도 상기 타이어를 펑크나게 하는 물체에 의해 찢어지지 아니하면서 상기 타이어의 펑크 부분을 상기 1차 점착층과 함께 매울 수 있는 1차 스펀지를 포함하는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가 감겨 있고, 상기 타이어의 내면 쪽에 배치되는 펑크 방지 부재 롤러; 상기 타이어의 외면에 복수 개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롤러; 상기 타이어의 외면에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를 회전시켜주는 구동 롤러;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를 지지해주는 롤러 지지부; 상기 롤러 지지부를 회전시켜 줄 수 있는 지지부 회전 수단;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을 전후진시킬 수 있는 전후진 수단;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 및 상기 전후진 수단을 승강시켜 줄 수 있는 승강 수단; 및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의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가 상기 타이어의 내면 중 요구되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타이어가 회전되면, 상기 타이어는 상기 회전 롤러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타이어의 내면 쪽에서 상기 타이어의 내면과 접한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에서 공급되는 상기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가 상기 타이어의 내면에 연속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롤러 지지부는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롤러 지지체와, 상기 롤러 지지체에서 상기 타이어의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수평 연장체와, 상기 수평 연장체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되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과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는 수직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수단이 작동되면,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가 상기 타이어의 내부로 진입되고,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가 상기 타이어의 내부에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진 수단이 작동되면,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가 상기 타이어의 내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가 상기 타이어의 내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이 작동되면,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가 회전되면서 상기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가 상기 타이어의 내면에 연속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평 연장체에서 일 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말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곡률로 만곡된 관통 홀이 형성된 감지 연장체와, 상기 관통 홀을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감지 분지체와, 상기 각 감지 분지체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감지 경사체와, 상기 각 감지 경사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에서 휠과 접촉되는 림 부분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림 부분 접촉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각 감지 분지체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어 상기 각 감지 경사체에 배치된 상기 링 부분 접촉 감지 센서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및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에 의하면,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가 1차 점착층과, 1차 스펀지를 포함함에 따라, 못 등의 뾰족한 이물질에 의해 타이어에 펑크 홀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1차 점착층을 이루는 물질이 상기 펑크 홀을 매움과 함께, 상기 이물질에 의해 상기 1차 스펀지가 찢어지지 않으면서 상기 펑크 홀을 덮게 되므로, 상기 펑크 홀을 통해 상기 1차 점착층을 이루는 물질이 상기 타이어 외부로 유실되지 않으면서, 상기 펑크 홀이 상기 1차 점착층을 이루는 물질 및 상기 1차 스펀지에 의해 2중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가 타이어에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를 위에서 개략적으로 내려다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를 구성하는 감지부를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를 구성하는 감지부를 보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및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가 타이어에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를 위에서 개략적으로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를 구성하는 감지부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100)는 1차 점착층(110)과, 1차 스펀지(120)를 포함한다.
상기 1차 점착층(110)은 타이어(10)의 내면에 부착되어 상기 타이어(10)의 내면에 상기 1차 스펀지(12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상기 타이어(10)가 펑크나는 경우 상기 타이어(10)의 펑크 부분에 스며들어 상기 타이어(10)의 펑크를 1차적으로 메우는 것이다. 이러한 타이어(10) 펑크 매움이 가능하도록, 상기 1차 점착층(110)은 상기 타이어(10)의 펑크 홀을 매울 수 있는 물질, 예를 들어 본드가 액상 또는 겔(gel)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1차 스펀지(120)는 상기 타이어(10)가 펑크나는 경우에도 상기 타이어(10)를 펑크나게 하는 물체에 의해 찢어지지 아니하면서 상기 타이어(10)의 펑크 부분을 상기 1차 점착층(110)과 함께 매울 수 있도록, 상기 1차 점착층(110)을 덮는 형태로 상기 1차 점착층(110)에 의해 상기 타이어(10)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1차 스펀지(120)는 상기 타이어(10) 중 지면과 닿는 부분의 내면 전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못 등의 뾰족한 이물질에 의해 상기 타이어(10)에 펑크 홀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1차 점착층(110)을 이루는 물질이 상기 펑크 홀을 매움과 함께, 상기 이물질에 의해 상기 1차 스펀지(120)가 찢어지지 않으면서 상기 펑크 홀을 덮게 되므로, 상기 펑크 홀을 통해 상기 1차 점착층(110)을 이루는 물질이 상기 타이어(10)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펑크 홀이 상기 1차 점착층(110)을 이루는 물질 및 상기 1차 스펀지(120)에 의해 2중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스펀지(120)와 결합된 상기 1차 점착층(110) 표면에 이형지(115)가 부착되어 있다가, 상기 이형지(115)가 작업자 등에 의해 제거되면서 상기 1차 점착층(110)이 노출되어 상기 타이어(10)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이형지(115)는 상기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100)의 상기 1차 점착층(110)에 이물질이 묻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150)는 프레임(151)과,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와, 회전 롤러(152)와, 구동 롤러(15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150)는 롤러 지지부(161)와, 지지부 회전 수단(160)과, 전후진 수단(165)과, 승강 수단(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51)은 일정 면적의 넓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타이어(10)가 놓일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회전 롤러(152)와 상기 구동 롤러(153)가 각각 그 상단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는 상기 1차 점착층(110)과 상기 1차 스펀지(120)를 포함하는 상기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100)가 외면에 감겨 있고, 상기 타이어(10)의 내면 쪽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 롤러(152)는 상기 타이어(10)의 외면에 복수 개 맞물리도록 상기 프레임(151) 상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10)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 롤러(153)는 상기 타이어(10)의 외면에 맞물리도록 상기 프레임(151) 상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10)를 회전시켜주는 것이다.
도면 번호 154는 상기 프레임(151)에 고정되되, 상기 구동 롤러(153)를 회전시켜 주는 전기 모터 등의 롤러 구동 수단이다.
상기 프레임(151) 상에서 상기 타이어(10)의 외면에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회전 롤러(152) 및 상기 구동 롤러(153)가 배치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구동 롤러(153)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타이어(10)가 상기 구동 롤러(153) 및 복수 개의 상기 회전 롤러(152) 사이에서 자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 롤러(15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타이어(10)가 회전되면, 상기 타이어(10)는 상기 회전 롤러(152)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타이어(10)의 내면 쪽에서 상기 타이어(10)의 내면과 접한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에서 공급되는 상기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100)가 상기 타이어(10)의 내면에 연속적으로 부착된다.
상기 롤러 지지부(161)는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를 지지해주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롤러 지지부(161)는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롤러 지지체(164)와, 상기 롤러 지지체(164)에서 상기 타이어(10)의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수평 연장체(163)와, 상기 수평 연장체(163)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되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160)과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는 수직 회전체(16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160)은 상기 롤러 지지부(161)를 회전시켜 줄 수 있는 것으로, 전기 모터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전후진 수단(165)은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160)을 전후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수평 연장체(163) 또는 상기 수평 연장체(163)의 가상의 연장선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유공압 실린더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전후진 수단(165)의 피스톤(166)이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16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160)을 밀거나 당겨줌으로써,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160)이 전후진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 수단(170)은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160) 및 상기 전후진 수단(165)을 승강시켜 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수직 회전체(162)의 가상의 연장선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유공압 실린더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72는 상기 승강 수단(170)의 피스톤(171)의 말단에 연결된 승강 플레이트로, 상기 승강 플레이트(172)의 저면 일 측에 상기 전후진 수단(165)이 고정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172)의 저면 타 측에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160)이 서로 맞물리는 요철 구조 등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수단(170)이 작동되어 상기 전후진 수단(165)이 하강되면,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가 상기 타이어(10)의 내부로 진입되고,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가 상기 타이어(10)의 내부에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가 상기 타이어(10)의 내면으로 접근되도록 상기 전후진 수단(165) 및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160)이 작동되면,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가 상기 타이어(10)의 내면에 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100)가 상기 타이어(10) 내면에 자동적으로 부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150)는 감지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80)는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의 전측(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의 회전 시에,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보다 상대적으로 더 먼저 상기 타이어(10)의 내면에 닿는 쪽)에 배치되어,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가 상기 타이어(10)의 내면 중 요구되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감지부(180)는 상기 수평 연장체(163)에서 일 측(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의 전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감지 연장체(181)와, 상기 감지 연장체(181)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감지 분지체(182)와, 상기 각 감지 분지체(182)에서 각각 절곡되되 서로 수렴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감지 경사체(183)와, 상기 각 감지 경사체(183)가 수렴한 감지 수렴체(184)와, 상기 각 감지 경사체(183)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10)에서 휠과 접촉되는 림 부분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림 부분 접촉 감지 센서(190)와, 상기 감지 수렴체(184)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10)의 내면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내면 접촉 감지 센서(195)를 포함한다.
상기 림 부분 접촉 감지 센서(190)와 상기 내면 접촉 감지 센서(195)에 각각 상기 타이어(10)의 림 부분과 상기 타이어(10)의 내면이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둘 중의 어느 하나가 제대로 접촉되지 못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감지부(180)에서 상기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100)가 상기 타이어(10) 내면과 제대로 접촉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160), 상기 전후진 수단(165) 및 상기 승강 수단(170)이 조작되어, 상기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100)가 상기 타이어(10) 내면과 제대로 접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150)의 작동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100)가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에 감긴 상태로, 상기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100)가 상기 타이어(10) 내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160), 상기 전후진 수단(165) 및 상기 승강 수단(170)이 각각 작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승강 수단(170)이 하강되어,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가 상기 타이어(10) 내부로 인입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160)이 회전되어,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가 상기 타이어(10) 내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향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전후진 수단(165)의 피스톤(166)이 수축되도록 작동되어,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155)가 상기 타이어(10) 내면에 닿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 롤러(153)가 회전되면, 상기 타이어(10)가 상기 구동 롤러(153)와 복수 개의 상기 회전 롤러(152) 사이에서 자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100)가 상기 타이어(10) 내면에 연속적으로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100)가 상기 1차 점착층(110)과, 상기 1차 스펀지(120)를 포함함에 따라, 못 등의 뾰족한 이물질에 의해 상기 타이어(10)에 펑크 홀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1차 점착층(110)을 이루는 물질이 상기 펑크 홀을 매움과 함께, 상기 이물질에 의해 상기 1차 스펀지(120)가 찢어지지 않으면서 상기 펑크 홀을 덮게 되므로, 상기 펑크 홀을 통해 상기 1차 점착층(110)을 이루는 물질이 상기 타이어(10) 외부로 유실되지 않으면서, 상기 펑크 홀이 상기 1차 점착층(110)을 이루는 물질 및 상기 1차 스펀지(120)에 의해 2중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및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를 구성하는 감지부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부(280)는 감지 연장체(281)와, 한 쌍의 감지 분지체(282)와, 한 쌍의 감지 경사체(283)와, 원동 기어(287)와, 원동 구동 수단(288)과, 감지 수렴체(284)와, 림 부분 접촉 감지 센서(290)와, 내면 접촉 감지 센서(295)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 연장체(281)는 수평 연장체에서 일 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감지 연장체(281)의 말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곡률로 만곡된 관통 홀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각 감지 분지체(282)는 상기 관통 홀을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관통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나사산(286)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원동 기어(287)는 상기 각 감지 분지체(282)의 각 나사산(286)이 서로 대면되도록 맞물린 것이고, 상기 원동 구동 수단(288)은 상기 원동 기어(287)를 회전시켜줄 수 있는 것으로, 전기 모터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각 감지 경사체(283)는 상기 각 감지 분지체(282)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고, 상기 감지 수렴체(284)는 상기 각 감지 경사체(283)의 각 말단이 서로 수렴되어 만나는 것이고, 상기 감지 수렴체(284)에는 상기 각 감지 경사체(283)의 각 말단부가 회전축(28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림 부분 접촉 감지 센서(290)와 상기 내면 접촉 감지 센서(295)는 상기된 일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상기 원동 구동 수단(288)의 작동에 따라 상기 원동 기어(287)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원동 기어(287)에 맞물린 상기 각 감지 분지체(282)가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각 감지 경사체(283)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게 된다.
반면, 상기 원동 구동 수단(288)의 작동에 따라 상기 원동 기어(287)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원동 기어(287)에 맞물린 상기 각 감지 분지체(282)가 상기 관통 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각 감지 경사체(283)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각 감지 분지체(282)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각 감지 경사체(283)에 배치된 상기 각 림 부분 접촉 감지 센서(290)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림 사이즈에 대응되는 다양한 사이즈의 타이어에 상기 감지부(280)가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300)는 1차 점착층(310) 및 1차 스펀지(320)와 함께, 2차 점착층(330) 및 2차 스펀지(3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1차 스펀지(320)는 상기 2차 스펀지(3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1차 점착층(310)과 상기 2차 점착층(330)이 타이어 내부 공기 압력에 의해 상기 타이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아준다.
상기 2차 점착층(330)은 상기 1차 스펀지(320) 상에 부착되어, 상기 1차 스펀지(320) 상에 상기 2차 스펀지(340)를 부착시킴과 함께, 상기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2차 스펀지(340)는 상기 1차 스펀지(3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점착층(330)에 의해 상기 1차 스펀지(320) 상에 부착되어, 상기 1차 점착층(310) 및 상기 2차 점착층(330)를 덮어 상기 1차 점착층(310) 및 상기 2차 점착층(330)의 응고를 방지함과 함께, 상기 타이어 내부 공기압이 상기 2차 점착층(330), 상기 1차 스펀지(320) 및 상기 1차 점착층(310)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1차 스펀지(320)가 상기 2차 스펀지(3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스펀지(340)는 상기 1차 스펀지(3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스펀지(320) 하단에 상기 1차 점착층(310)이 배치되고, 상기 1차 스펀지(320)와 상기 2차 스펀지(340) 사이에 상기 2차 점착층(330)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타이어 내부 공기압이 상기 2차 스펀지(340), 상기 2차 점착층(330), 상기 1차 스펀지(320) 및 상기 1차 점착층(310)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타이어의 펑크 홀이 메워질 수 있고, 상기 1차 점착층(310), 상기 1차 스펀지(320), 상기 2차 점착층(330) 및 상기 2차 스펀지(340)에 의해 복합적으로 상기 타이어의 펑크 홀 메움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및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에 의하면, 펑크 방지 물질이 펑크 홀을 통해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110 : 1차 점착층
120 : 1차 스펀지
150 :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
151 : 프레임
152 : 회전 롤러
153 : 구동 롤
155 : 펑크 방지 부재 롤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타이어가 펑크나는 경우 상기 타이어의 펑크 부분에 스며들어 상기 타이어의 펑크를 메우는 1차 점착층과, 상기 타이어가 펑크나는 경우에도 상기 타이어를 펑크나게 하는 물체에 의해 찢어지지 아니하면서 상기 타이어의 펑크 부분을 상기 1차 점착층과 함께 매울 수 있는 1차 스펀지를 포함하는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가 감겨 있고, 상기 타이어의 내면 쪽에 배치되는 펑크 방지 부재 롤러;
    상기 타이어의 외면에 복수 개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가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롤러;
    상기 타이어의 외면에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를 회전시켜주는 구동 롤러;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를 지지해주는 롤러 지지부;
    상기 롤러 지지부를 회전시켜 줄 수 있는 지지부 회전 수단;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을 전후진시킬 수 있는 전후진 수단;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 및 상기 전후진 수단을 승강시켜 줄 수 있는 승강 수단; 및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의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가 상기 타이어의 내면 중 요구되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타이어가 회전되면, 상기 타이어는 상기 회전 롤러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타이어의 내면 쪽에서 상기 타이어의 내면과 접한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에서 공급되는 상기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가 상기 타이어의 내면에 연속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롤러 지지부는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롤러 지지체와, 상기 롤러 지지체에서 상기 타이어의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수평 연장체와, 상기 수평 연장체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되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과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는 수직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수단이 작동되면,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가 상기 타이어의 내부로 진입되고,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가 상기 타이어의 내부에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진 수단이 작동되면,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가 상기 타이어의 내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가 상기 타이어의 내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 회전 수단이 작동되면, 상기 펑크 방지 부재 롤러가 회전되면서 상기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가 상기 타이어의 내면에 연속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평 연장체에서 일 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말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곡률로 만곡된 관통 홀이 형성된 감지 연장체와, 상기 관통 홀을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감지 분지체와, 상기 각 감지 분지체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감지 경사체와, 상기 각 감지 경사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타이어에서 휠과 접촉되는 림 부분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림 부분 접촉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각 감지 분지체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어 상기 각 감지 경사체에 배치된 상기 림 부분 접촉 감지 센서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
  5. 삭제
  6. 삭제
KR2020170001703U 2017-04-06 2017-04-06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및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 KR200484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03U KR200484248Y1 (ko) 2017-04-06 2017-04-06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및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03U KR200484248Y1 (ko) 2017-04-06 2017-04-06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및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248Y1 true KR200484248Y1 (ko) 2017-08-30

Family

ID=6062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703U KR200484248Y1 (ko) 2017-04-06 2017-04-06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및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2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914B1 (ko) 2018-01-29 2019-02-27 우병철 수용성 이너라인 폴리머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KR102001059B1 (ko) * 2019-01-08 2019-10-01 우병철 정전기 방출 및 노면 소음 감소 기능을 갖는 펑크 방지 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359B2 (ja) * 1978-06-28 1984-02-10 株式会社東芝 高速増殖炉の中間熱交換器
KR100277523B1 (ko) 1998-05-30 2001-01-15 김호균 타이어 펑크방지 조성물 및 그 도포방법
JP2002347418A (ja) * 2001-03-19 2002-12-04 Yokohama Rubber Co Ltd:The セルフシ−ル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78442A (ja) * 2014-10-17 2016-05-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シート貼り付け装置及びシート付きシーラントタイヤ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359B2 (ja) * 1978-06-28 1984-02-10 株式会社東芝 高速増殖炉の中間熱交換器
KR100277523B1 (ko) 1998-05-30 2001-01-15 김호균 타이어 펑크방지 조성물 및 그 도포방법
JP2002347418A (ja) * 2001-03-19 2002-12-04 Yokohama Rubber Co Ltd:The セルフシ−ル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78442A (ja) * 2014-10-17 2016-05-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シート貼り付け装置及びシート付きシーラントタイヤ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914B1 (ko) 2018-01-29 2019-02-27 우병철 수용성 이너라인 폴리머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KR102001059B1 (ko) * 2019-01-08 2019-10-01 우병철 정전기 방출 및 노면 소음 감소 기능을 갖는 펑크 방지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248Y1 (ko)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 및 타이어 펑크 방지 부재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타이어 결합 장치
US20230278374A1 (en) Tire condition or vehicl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EP2232075B1 (fr) Pompe péristaltique perfectionnée
KR101498677B1 (ko) 파이프 고착물 제거장치
US20120132316A1 (en) Mobile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An Elongated Bag With Particulate Material
ES2223996T3 (es) Aparato para la aplicacion de una banda de estanqueizacion a la abertura de una botella o similares.
ES2532287T3 (es) Material de embalaje microestructurado y/o nanoestructurado
JP2019507838A (ja) 土壌保護
CA1328397C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revetir une feuille de verre au moyen d'une pellicule flexible
WO2015121355A1 (fr) Poche medicale flexible
CN105002937B (zh) 真空堆载预压密封膜破损的查找方法
US10987883B2 (en) Glass repair kit and method
FR2763094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protection de batiments et autres espaces contre les inondations
ES2555105T3 (es) Dispositivo y método para abrir una manga pastelera
CN212221136U (zh) 一种带有防潮功能的计算机硬件储存装置
CN218171652U (zh) 一种防渗漏式防水卷材
FR2872529A1 (fr) Equipement a poches de retenue de terr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equipement
WO1997001003A1 (en) Device for absorbing mois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3243067B2 (ja) パッカー及びそれを用いるアンカー打設方法
EP3480364B1 (fr) Dispositif et système de déploiement d'un barrage pour véhicule
FR2812311A1 (fr) Dispositif permettant d'arreter un vehicule sur trajectoire
JPH10286885A (ja) 遮水シート接合部の欠陥検査方法
FR3013752A1 (fr) Procede et ensemble pour la realisation d'un intervalle de separation entre deux parois paralleles
CN213543904U (zh) 建筑防水密封检测装备
EP0480022A1 (fr)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la fabrication d'une enveloppe protectrice de chaussures, bot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