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64Y1 -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164Y1
KR200484164Y1 KR2020150005175U KR20150005175U KR200484164Y1 KR 200484164 Y1 KR200484164 Y1 KR 200484164Y1 KR 2020150005175 U KR2020150005175 U KR 2020150005175U KR 20150005175 U KR20150005175 U KR 20150005175U KR 200484164 Y1 KR200484164 Y1 KR 200484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cover body
outside air
receptacl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559U (ko
Inventor
황만수
Original Assignee
황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만수 filed Critical 황만수
Priority to KR2020150005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64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5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가 개시되는 것으로, 전면(11)에 개방부(12)가 구비되고 전면 가장자리 및 측면에 각각 외기유입부(13)가 구비되며 일측면에 제1접철부(14)가 구비되며 타측면에 제1가이드홈(15)이 구비되는 커버체(10)와; 상기 커버체(10)의 제1접철부(14)와 연결되는 제2접철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가이드홈(22)이 구비되며 상기 외기유입부(13)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배출되는 외기배출부(23)가 구비되며 상면에 목걸이줄이 걸어지는 걸이부(24)를 갖는 수용체(20)와; 상기 수용체(20)의 외기배출부(23)를 통해 외기가 배출될 때 배출되는 외기에 의해 상기 외기배출부(23)를 통해 외부로 바이러스차단제를 배출하여 사용자의 주변 공기에 분포되어 있는 각종 바이러스를 차단하고 호흡기를 통해 사용자가 바이러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바이러스차단제(31)가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체(30)와; 상기 커버체(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커버체(10)의 전면(11)에 구비되는 개방부(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수용체(20)에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체(30)의 바이러스차단제(31)가 표면에 묻어지는 보관체(40)로 구비되고, 상기 보관체(40)는, 사용자를 타인에게 알려주는 명찰 또는 명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interception tool of virus}
본 고안은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에 걸어 휴대함이 용이하고 내부에 구비되는 이산화염소 차단제에 의해 감기 등의 각종 바이러스가 접근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살균이나 소독 및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명함이나 명찰을 같이 구비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는 여러 가지 세균이 서식하고 있는 바, 일상생활 중에서 공기 중에 분포되어 있는 세균을 아무런 여과 없이 그대로 흡입하고 있으며, 어린아이들이나 노약자들의 건강에 매우 나쁜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감기나 메르스의 경우, 코나 목구멍 기관 등의 호흡기 계통에 의해 생기는 질병으로 원인이 바이러스나 세균 또는 먼지 등의 자극, 체온 분포의 불균형, 알레르기원인 등에 의해 발생되고 있으며, 심할 경우 환자의 생명까지 위협받게 된다.
특히, 공기 중에 분포하고 있는 바이러스 중 리노바이러스(rhinovirus)나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는 감기를 발생하는 주된 바이러스로 대개, 재채기나 기침 등에 의해 공기 중에 분포하고 있다가 타인의 코나 입과 같은 호흡기를 통해 타인에게 유입되어 감기를 유발시키고 있다.
또한,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ronavirus)는, 치사율이 30% 정도로 높은 편으로 대개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고 고열, 흉통과 함께 기침, 호흡곤란, 폐렴 등의 심한 호흡기 증상을 일으키며 신장기능 손상으로 인한 급성 신부전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공기 중의 바이러스나 세균이 인체에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일예로, 등록실용 20-0317757호인 공기 중의 부유세균 및 약품내성세균 살균 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공기를 흡입시키기 위한 부로와, 상기 부로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프리필터, 흡입되는 공기와 마찰하면서 정전기를 발생시켜 공기의 전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정전기 발생필름이 제1챔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정전기 발생필름을 통하여 전위가 상승된 공기가 이동하는 이동통로 높은 압력으로 공기중에 서식하는 세균의 세포보호막에 압력을 가하며 내부의 순동으로부터 동이온을 발생시키는 압력실 상기 압력실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 상기 자외선 램프의 하단에 설치되어 광촉매 산화티탄을 반응시키기 위한 광촉매 세라믹필터 공기 및 양이온의 밀도를 높이기 위한 압력밸브로 구성되는 동일 구성을 각각 갖는 제1챔버 및 제2챔버와, 상기 제2챔버의 일측에 설치되며, 이전공정의 반응에 의해 산화되었던 공기를 다시 환원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원 세라믹이 설치된 제3챔버와, 상기 제1챔버 내지 제3챔버의 하부측에 설치되며,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센서 전자변 및 물 공급 전자변, 수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연결헤드, 물의 온도를 높여 살균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투입히터가 포함된 물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레지오넬라, 황색포도상구균, 장구균, 대장균, 녹농균, 등의 약품 내성이 있는 세균 및 공기층 부유세균 등을 살균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구성이 너무 많고 복잡하여 사람이 쉽게 휴대하고 다니기 어렵고 하나의 실내 공간에 비치되어 있어야 함에 따라 사용 공간에 제한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기술은 자외선램프와 세라믹필터, 정전기발생필름 등에 의해 세균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질 수 밖에는 없고 이에 따른 생산단가의 증대는 물론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가 간편하고 사람이 언제 어디서든 착용할 수 있으며, 공기 중의 바이러스를 차단하여 인체에 바이러스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17757호(2003.06.13. 등록)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5-0068053호(2005.07.05. 공개)
본 고안은 사용자에 목에 걸어 휴대하도록 하여 장소에 관계없이 인체에 유해한 바이러스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부를 전면에 구비하고 유입된 외기가 통기되는 통기부를 후면에 구비하여 외기의 통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이산화염소 차단제 성분이 배출됨이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명찰이나 명함을 같이 보관하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는, 전면(11)에 개방부(12)가 구비되고 전면 가장자리 및 측면에 각각 외기유입부(13)가 구비되며 일측면에 제1접철부(14)가 구비되며 타측면에 제1가이드홈(15)이 구비되는 커버체(10)와;
상기 커버체(10)가 열어지거나 닫혀지도록 상기 커버체(10)의 제1접철부(14)와 연결되는 제2접철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가이드홈(22)이 구비되며 상기 외기유입부(13)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배출되는 외기배출부(23)가 구비되며 상면에 목걸이줄이 걸어지는 걸이부(24)가 구비되며 내부에 차단제끼움부(25)를 갖는 수용체(20)와;
상기 수용체(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체(10)의 외기유입부(13)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수용체(20)의 외기배출부(23)를 통해 배출될 때 배출되는 외기에 의해 상기 외기배출부(23)를 통해 외부로 바이러스차단제를 배출하여 사용자의 주변 공기에 분포되어 있는 각종 바이러스를 차단하고 호흡기를 통해 사용자가 바이러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바이러스차단제(31)가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체(30)와;
상기 커버체(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커버체(10)의 전면(11)에 구비되는 개방부(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수용체(20)에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체(30)의 바이러스차단제(31)가 표면에 묻어지는 보관체(40)로 구비되고,
상기 보관체(40)는,
사용자를 타인에게 알려주는 명찰 또는 명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제끼움부(25)는 수용체(20)의 양측면 선단부에 배치되되 수용체(20)의 양측면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연장되고 서로 전후간격을 갖는 단면이 'ㄷ'자 형상인 한 쌍의 벽체 구조로 되어,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의 양측부가 상하 양 방향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각각 상기 한 쌍의 벽체 사이 틈새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체(10)와 수용체(20)를 구획하되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가 외기배출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공간(S)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수용체(20)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의 바이러스차단제(31)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외기배출부(23)는,
상기 수용체(20) 중앙에 통공되는 제1배출구멍(231)과;
상기 제1배출구멍(23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와류형으로 통공되는 복수개의 제2배출구멍(2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체(20)의 내면에는 일단부가 제1배출구멍(231)에서 시작해서 타단부가 방사상으로 최외곽 제2배출구멍(232)까지 연장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2배출구멍(232) 사이를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되어 상기 제2배출구멍(232)을 통해 바이러스차단제(31)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와류형 가이드돌기(26)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바이러스차단제는,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차단분말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인체에 유해한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바이러스차단제가 구비된 바이러스차단체를 수용체에 수용하여 휴대하도록 하고 목에 걸어 다닐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휴대성이 용이하며, 커버체에 명찰 또는 명함을 넣어 보관하도록 하여 바이러스차단 효과와 함께 명찰 또는 명함을 보관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보관되는 명찰 또는 명함에 수용체에 수용되는 바이러스차단체의 바이러스차단제가 묻어남에 따라 명함을 타인에게 건낼 때 바이러스 차단효과를 더불어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의 커버체와 수용체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는, 커버체(10)와, 수용체(20), 바이러스차단체(30), 보관체(4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체(10)와 수용체(20)는 서로에 대해 열리거나 닫혀지도록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상기 커버체(10)를 수용체(20)로부터 열은 후 보관체(40)를 넣어 보관한 다음, 다시 열어진 커버체(10)를 수용체(20)에 덮어 줌으로써 보관체(40)를 커버체(10)의 내부에 보관한다.
본 고안의 커버체(10)는, 전면(11)에 개방부(12)가 구비되고 전면 가장자리 및 측면에 각각 외기유입부(13)가 구비되며 일측면에 제1접철부(14)가 구비되며 타측면에 제1가이드홈(15)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개방부(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체(10)의 전면(11)을 개방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개방부(12)에 의해 상기 커버체(10)에 보관되는 보관체(40)가 외부로 노출됨이 가능하다.
상기 제1가이드홈(15)은, 커버체(10)의 타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제1가이드홈(15)에 사용자의 손가락 끝부분을 넣은 후 커버체(10)를 수용체(20)로부터 열어주면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제1가이드홈(15)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커버체(10)를 수용체(20)로부터 열어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외기유입부(13)는, 외기가 상기 커버체(10)를 통해 수용체(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10)의 전면(11) 가장자리는 물론 커버체(10)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커버체(10)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이루어짐이 당연하다. 이 때, 상기 외기유입부(13)의 형상을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본 고안의 수용체(20)는, 상기 커버체(10)가 열어지거나 닫혀지도록 상기 커버체(10)의 제1접철부(14)와 연결되는 제2접철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가이드홈(22)이 구비되며 상기 외기유입부(13)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배출되는 외기배출부(23)가 구비되며 상면에 목걸이줄이 걸어지는 걸이부(24)가 구비되며 내부에 차단제끼움부(25)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2접철부(21)는 상기 커버체(10)의 제1접철부(14)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접철부(14)와 제2접철부(21)가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커버체(10)가 수용체(20)로부터 열어지거나 닫혀짐이 가능하다.
상기 걸이부(24)는 본 고안인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를 사용자가 목에 걸어 휴대하도록 목걸이줄이 연결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목걸이줄이 상기 걸이부(24)에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는 본 고안인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를 목에 걸어 휴대할 수 있으며, 목걸이줄을 상기 걸이부(24)에 연결하지 않을 경우에는 바지주머니나 상의주머니에 넣어 휴대하면 된다.
상기 제2가이드홈(22)은, 수용체(20)의 타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되 상기 커버체(10)의 제1가이드홈(15)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서로 대응되게 마주보는 상기 제1가이드홈(15)과 상기 제2가이드홈(22)에 사용자의 손가락 끝부분을 넣은 후 커버체(10)를 수용체(20)로부터 젖혀주면 커버체(10)가 쉽게 열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쉽게 커버체(10)를 수용체(20)로부터 열어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외기배출부(23)는, 상기 커버체(10)의 외기유입부(13)를 통해 수용체(20)의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배출되는 수단으로 외기배출부(23) 역시 외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체(20)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비됨이 당연하다.
상기 차단제끼움부(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체(20)의 내부에서 이 수용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2개의 차단제끼움부(25)가 상기 수용체(20)의 내부 양측에 각각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차단제끼움부(25)에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의 양측을 각각 끼움결합하여 바이러스차단체(30)를 수용체(20)의 내부에 구비하면 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차단제끼움부(25)에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의 양측이 각각 끼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고 난 후의 바이러스차단체(30)의 교체가 가능하다.
결국 상기 차단제끼움부(25)는 수용체(20)의 양측면 선단부에 배치되되 수용체(20)의 양측면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연장되고 서로 전후간격을 갖는 한 쌍의 벽체 구조로 되어,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의 양측부가 상하 양 방향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각각 상기 한 쌍의 벽체 사이 틈새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체(10)와 수용체(20)를 구획하되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가 외기배출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공간(S)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바이러스차단체(30)는, 상기 수용체(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체(10)의 외기유입부(13)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수용체(20)의 외기배출부(23)를 통해 배출될 때 배출되는 외기에 의해 상기 외기배출부(23)를 통해 외부로 바이러스차단제를 배출하여 사용자의 주변 공기에 분포되어 있는 각종 바이러스를 차단하고 호흡기를 통해 사용자가 바이러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바이러스차단제(3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는 내부에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제(31)가 상기 외기유입부(13)를 통해 유입되어 외기배출부(23)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에 의해 쉽게 배출됨이 가능하도록 미세구멍(미도시)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바이러스차단제(31)는,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311)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차단분말(312)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바이러스차단분말(312)에 이산화염소(311)를 포함하는 방법은, 가스발생장치를 사용하여 이산화염소를 공기로 희석하여 즉시 스크류 컨베이어식 교반기에 공급하여 소맥분과 접촉 첨가시킴으로서 이산화염소(311)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차단분말(312)을 얻을 수 있다.
이산화염소는 주지된 바와 같이, 환경부에서 고시한 수처리제의 기준과 규격에서 살균, 소독제로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먹는 물에 대한 소독제로 사용하고 있는 중이며, 할로겐원소 함유 유기화합물이 없으며 할로겐원소 비함유 유기화합물도 현재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미국 퍼듀대학(Purdue Univ.)의 연구에 의하면 과일 및 야채로부터 치명적인 유해 세균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며 탄저균, 리스테이라균, 대장균, 살모네라균을 최소 10만분의 1수준까지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바 있다.
구분 이산화염소 염소(차아염소산나트륨 등)
반응성
(pH 살균력)
넓은 pH(2-10) 범위내에서 살균력 유지 pH가 증가하면 살균력 급격히 감소
차아염소산은 pH에 따라 해리되어 차아염소산염이온으로 변함
선택성 이산화염소는 유기물과 거의 반응하지 않아 부산물이 생성되지 않음 염소는 거의 모든 화합물과 반응하여 산화반응, 치환반응, 첨가반응이 일어나므로 오염도가 높은 곳에서 활용력이 떨어짐
소독지속성 박테리아 등의 재 번식을 크게 억제하고 미생물의 멤브레인 침투력이 강하여 세균막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음 박테리아가 재번식하는 현상이 많이 나타남
소독부산물 소독부산물이 거의 생성되지 않음 발암성 소독부산물인 트리알로페만(THMs), 할로아세틱에시드(HAAs), 할로아세토니트릴(HANs) 등 600여종 생성
원생생물 및 중금속 제거능력 미생물 제어능력은 염소에 비해 5배 정도 강함, 식품에 잔류하는 농약 등을 분해하며 철, 망간, 페놀 및 독성물질 제거함 원생생물불활성화 및 중금속 제거능력 미미함 또한 페놀에 염소소독제 사용시 악취를 유발함
* 녹색환경 블로그 발췌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greene&logNo=140175587920)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효과를 갖고 있는 이산화염소를 상기 바이러스차단제(31)를 구비하는 바이러스차단분말(312)에 포함함에 따라 바이러스차단체(30)의 바이러스차단제(31)에 의해 사용자의 주변 공기에 분포되어 있는 각종 바이러스를 차단할 수 있어 호흡기를 통해 사용자가 바이러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보관체(40)는, 상기 커버체(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커버체(10)의 전면(11)에 구비되는 개방부(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수용체(20)에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체(30)의 바이러스차단제(31)가 표면에 묻어지는 것으로, 상기 보관체(40)는, 사용자를 타인에게 알려주는 명찰 또는 명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명찰로 이루어지는 보관체(40)를, 상기 수용체(20)를 덮고 있는 커버체(10) 내부에 넣어 보관함에 따라 명찰의 전면 즉, 사용자의 이름과 직위 및 부서가 표기된 명찰의 전면이 상기 커버체(10)의 전면(11)에 구비된 개방부(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사용자가 수용체(20)에 구비되는 걸이부(24)에 목걸이줄을 연결하여 목에 걸어 착용할 경우 타인에게 자신을 알리는 명찰의 기능은 물론 수용체(20)에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체(30)에 의한 바이러스 차단효과를 같이 얻을 수 있다.
또한, 명함으로 이루어지는 보관체(40)를 상기 수용체(20)를 덮고 있는 커버체(10) 내부에 넣어 보관함에 따라 명함보관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걸이부(24)에 목걸이줄을 연결하지 않고 주머니에 넣어 휴대하여도 무방하다.
물론, 상기 수용체(20)를 덮고 있는 커버체(10) 내부에 명함과 명찰을 모두 넣어 보관하여도 관계치 않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이름과 직위 및 부서가 표기된 명찰의 전면이 상기 커버체(10)의 전면(11)에 구비된 개방부(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기 수용체(20)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의 바이러스차단제(31)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외기배출부(23)는, 상기 수용체(20) 중앙에 통공되는 제1배출구멍(231)과, 상기 제1배출구멍(23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와류형으로 통공되는 복수개의 제2배출구멍(23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체(20)의 내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2배출구멍(232)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구멍(232)을 통해 바이러스차단제(31)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와류형 가이드돌기(26)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기유입부(13)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외기배출부(23)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개의 와류형 가이드돌기(26)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와류형으로 통공되는 복수개의 제2배출구멍(232)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외기배출부(23)를 통해 외기에 의해 배출되는 바이러스차단체(30)의 바이러스차단제(31)의 배출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관체(40)의 명함이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체(10)의 내부에는 상기 보관체(40)가 수용되고 상기 개방부(12)와 연결되는 수납공간(16)이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16)은 겹겹이 쌓인 다수개의 명함이 이루는 두께와 상응한 공간크기(W)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관된 명함에는 바이러스차단제가 묻어 있고, 특히 상기 커버체(10)를 개방한 후 상기 커버체(10) 폐쇄 시 바이러스차단제 측에 위치했던 명함, 즉 겹겹이 쌓인 다수개의 명함 중 상기 커버체(10)를 개방하였을 때 제일 위에 놓은 명함을 꺼내어 타인에게 건낼 때에 바이러스 차단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커버체 11 : 커버체 전면
12 : 개방부 13 : 외기유입부
14 : 제1접철부 15 : 제1가이드홈
20 : 수용체 21 : 제2접철부
22 : 제2가이드홈 23 : 외기배출부
24 : 걸이부 25 : 차단제끼움부
26 : 가이드돌기 30 : 바이러스차단체
31 : 바이러스차단제 40 : 보관체

Claims (3)

  1. 전면(11)에 구비되는 개방부(12), 전면 가장자리 및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외기유입부(13),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접철부(14), 그리고 타측면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홈(15)을 포함하는 커버체(10);
    상기 커버체(10)가 열어지거나 닫혀지도록 상기 커버체(10)의 제1접철부(14)와 연결되게 구비되는 제2접철부(21), 상기 제1가이드홈(15)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홈(22), 상기 외기유입부(13)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배출되게 구비되는 외기배출부(23), 상면에 목걸이줄이 걸어지게 구비되는 걸이부(24), 그리고 내부에 구비되는 차단제끼움부(25)를 포함하는 수용체(20);
    상기 수용체(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체(10)의 외기유입부(13)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수용체(20)의 외기배출부(23)를 통해 배출될 때 배출되는 외기에 의해 상기 외기배출부(23)를 통해 외부로 바이러스차단제를 배출하여 사용자의 주변 공기에 분포되어 있는 각종 바이러스를 차단하고 호흡기를 통해 사용자가 바이러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제(31)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차단체(30); 및
    상기 커버체(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커버체(10)의 전면(11)에 구비되는 개방부(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수용체(20)에 구비되는 바이러스차단체(30)의 바이러스차단제(31)가 표면에 묻어지는 보관체(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관체(40)는 사용자를 타인에게 알려주는 명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제끼움부(25)는 수용체(20)의 양측면 선단부에 배치되되 수용체(20)의 양측면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연장되고 서로 전후간격을 갖는 단면이 'ㄷ'자 형상인 한 쌍의 벽체 구조로 되어,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의 양측부가 상하 양 방향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각각 상기 한 쌍의 벽체 사이 틈새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체(10)와 수용체(20)를 구획하되 상기 바이러스차단체(30)가 외기배출부(23)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공간(S)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외기배출부(23)는 상기 수용체(20) 중앙에 통공되는 제1배출구멍(231)과, 상기 제1배출구멍(23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와류형으로 통공되는 복수개의 제2배출구멍(2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체(20)의 내면에는 일단부가 제1배출구멍(231)에서 시작해서 타단부가 방사상으로 최외곽 제2배출구멍(232)까지 연장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2배출구멍(232) 사이를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되어 상기 제2배출구멍(232)을 통해 바이러스차단제(31)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와류형 가이드돌기(26)가 구비되고,
    상기 보관체(40)의 명함이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체(10)의 내부에는 상기 보관체(40)가 수용되고 상기 개방부(12)와 연결되는 수납공간(16)이 형성되되, 상기 수납공간(16)은 겹겹이 쌓인 다수개의 명함이 이루는 두께와 상응한 공간크기(W)를 갖고,
    상기 바이러스차단제(31)는 이산화염소(Chlorine Dioxide)(311)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차단분말(312)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
  2. 삭제
  3. 삭제
KR2020150005175U 2015-08-03 2015-08-03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 KR200484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75U KR200484164Y1 (ko) 2015-08-03 2015-08-03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75U KR200484164Y1 (ko) 2015-08-03 2015-08-03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59U KR20170000559U (ko) 2017-02-13
KR200484164Y1 true KR200484164Y1 (ko) 2017-08-08

Family

ID=5840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175U KR200484164Y1 (ko) 2015-08-03 2015-08-03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066A (ko) * 2020-12-18 2022-06-27 박병권 소독제 이취를 제거한 휴대형 생활공간 살균 및 탈취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268B1 (ko) * 2020-05-15 2020-09-11 권혁철 바이러스 차단능을 갖는 열쇠고리용 캐릭터 탄성패드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180B2 (ja) * 1999-04-28 2001-07-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Ti−Wの選択的エッチング液及びそのエッチング方法
KR101528110B1 (ko) 2014-10-27 2015-06-11 황만수 휴대용 바이러스 차단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80U (ko) * 1988-10-19 1991-01-10
KR200317757Y1 (ko) 2003-03-21 2003-06-25 서정수 공기중의 부유세균 및 약품내성세균 살균 장치
KR20050068053A (ko) 2003-12-29 2005-07-05 이원철 냄새와 세균 번식을 방지하는 다용도 항균방취재
JP3184180U (ja) * 2013-04-05 2013-06-13 株式会社 プライス 空気浄化用具
JP3186240U (ja) * 2013-07-12 2013-09-26 株式会社グローバル プロダクト プランニング 二酸化塩素ガス徐放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180B2 (ja) * 1999-04-28 2001-07-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Ti−Wの選択的エッチング液及びそのエッチング方法
KR101528110B1 (ko) 2014-10-27 2015-06-11 황만수 휴대용 바이러스 차단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066A (ko) * 2020-12-18 2022-06-27 박병권 소독제 이취를 제거한 휴대형 생활공간 살균 및 탈취 유닛
KR102583237B1 (ko) * 2020-12-18 2023-09-26 박병권 소독제 이취를 제거한 휴대형 생활공간 살균 및 탈취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59U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100228A4 (en) Filter Mask with UVC LED
AU2020100503A4 (en) Filter Mask with UV LED
US11511013B2 (en) Air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CN205106453U (zh) 一种具有灭活病原微生物功能的防护口罩
JP6835904B2 (ja) 二酸化塩素ガス発生システム、二酸化塩素ガス発生装置及び二酸化塩素ガス発生方法
KR101703922B1 (ko) 액체식 공기청정기가 구비된 공기 청정 마스크
KR200484164Y1 (ko) 다용도 바이러스 차단구
EP4149574A1 (en) Ultraviolet disinfecting cartridge system
TWM481375U (zh) 空氣清淨裝置
US20210379232A1 (en) Device to provide personal, portable, and continuous supply of sterilized/purified breathable air and to disinfect exhaled air
CN115768529A (zh) 呼吸器面罩
WO2021183932A1 (en) Mask
KR101528110B1 (ko) 휴대용 바이러스 차단구
US20210275713A1 (en) Personal air purification mask sterilizing insert
WO2021206913A1 (en) Disinfecting systems for a respirator and respirator comprising disinfecting systems
KR20210156175A (ko) 자외선 살균이 가능한 마스크 보관 장치
CN112056651A (zh) 紫外消杀口罩
KR200482618Y1 (ko) 바이러스 차단구
CN102639193B (zh) 具有过滤器的呼吸装置
CN113519960A (zh) 一体式动力送风防护头盔
ES1273251U (es) Mascarilla impermeable
WO2021191867A1 (en) Device for personal protection and insulation against pollutants and microorganisms and filtering group for devices for protection and insulation
CN206138992U (zh) 一种甲醛清除装置
CN207520469U (zh) 一种内科临床呼吸消毒过滤装置
TWM500101U (zh) 次氯酸殺菌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