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54Y1 -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 - Google Patents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154Y1
KR200484154Y1 KR2020150006478U KR20150006478U KR200484154Y1 KR 200484154 Y1 KR200484154 Y1 KR 200484154Y1 KR 2020150006478 U KR2020150006478 U KR 2020150006478U KR 20150006478 U KR20150006478 U KR 20150006478U KR 200484154 Y1 KR200484154 Y1 KR 200484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current delay
anode
tree rejection
i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484U (ko
Inventor
정용기
이강수
김성화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은행 filed Critical 한국산업은행
Priority to KR2020150006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5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4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9/021Current limitation using saturable 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3/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C23F13/02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cathodic; Selection of conditions, parameters or procedures for cathodic protection, e.g. of electrical cond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9/044Physical layout,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식전원공급부와 방식보호 대상물 사이에 설치되는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함체; 상기 함체에 수용되는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 상기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를 사이에 두고 횡방향으로 각각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스위칭 단락부 및 교류성분 방전부; 상기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를 사이에 두고 종방향으로 각각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스위칭 트리거부와 이상전압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스위칭 트리거부는 스위칭 단락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기계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이상전압방전부, 교류성분 방전부와도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하여, 타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스위칭 단락부, 스위칭트리거부, 이상전압방전부,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 간에 영향을 미쳐서 전기적 특성값이 변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결국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가 제품 제조시 설정한 동작 특성이 그대로 유지되어 설치 목적대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DC POWER NOISE LIMITER OF APPARATUS FOR PRVENTIN ELECTRIC CORROSION OF EQ BONDING }
본 고안은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낙뢰, DC 전력 노이즈 및 과전압이 정류기에 도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설비는 금속으로 구성되며, 금속은 1차 산물 광석, 즉 금속산화물 또는 금속염기 군에서 추출하여 만든다. 따라서 금속은 본연적으로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이 되고, 물과 반응하여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성향이 있다.
이와 같은 반응을 부식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부식으로는 쇠가 녹스는 현상이 있다. 부식은 전류가 발생하는 화학적 과정이며 금속이 금속산화물 또는 금속염기로 바뀌는 양극화 반응으로부터 시작된다.
즉, 금속은 전자를 내놓으며 스스로 +극을 갖는 염(Salt)이 되기 때문에 부식은 상대적으로 양극을 띄는 부분에서 발생하고 음극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호하고자 하는 금속 배관 외부에 음극을 연결하고 땅에 양극을 묻어 전류가 흐르게 함으로써, 보호하고자 하는 금속이 땅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음(-)이 되도록 하여 해당 금속의 부식을 방지한다.
이를 전기 방식법, 음극화 보호 또는 통전 보호(Cathodic Protection)라고 한다.
이 경우, 낙뢰, DC 전력 노이즈, 과전압이 외부 전원공급장치의 정류기에 유입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가 외부 전원공급장치와 금속 배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는, 스위칭 단락부, 스위칭트리거부, 이상전압방전부,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가 함체 내부에서 노출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스위칭 단락부, 스위칭트리거부, 이상전압방전부,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는 전력 노이즈(낙뢰에 기인하는 서지, 이상전압, 교류성분 DC 전력 노이즈 등 방식전원 공급장치에서 생성되지 아니하고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유도되어 인입되는 모든 전력 성분을 의미하며, 본 고안에서는 이들을 "DC 전력 노이즈"로 통칭함)의 유입시 발열하고, 이러한 발열에 의하여 상기한 스위칭 단락부, 스위칭트리거부, 이상전압방전부,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 간에 상호 작용하여 전기적 특성값(저항값, 임피던스 값, 도통개시 문턱전압, 트리거 개시전압 등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는 "전기적 특성값"이라 함)이 변하게 되며, 결국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가 제품 제조시 설정한 동작 특성이 변하여 설치 목적대로 동작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나타난 전기부식 방지장치에서 기준치 이상의 전류를 방전시키는 정류부는 전원부 양단에 유입되는 기준치 이상의 전압이 정류부를 구성하는 다이오드의 문턱전압 크기 이상인 경우에 동작되는 것으로, 이는 다이오드를 공급하는 회사마다의 문턱전압의 차이뿐만 아니라 동일 모델의 동일규격의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하여도 다이오드 제품간의 문턱전압의 차이로 인하여 동작 전압이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과 조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 10-1279836
본 고안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밀폐구조의 스위칭 단락부의 도통을 제어하는 스위칭 트리거부는 스위칭 단락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기계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이상전압방전부, 교류성분 방전부와도 상호 이격시켜 타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에 영향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이상전압방전부가 폭발 시 폭발 충격이 전달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는,
방식전원공급부와 방식보호 대상물 사이에 설치되는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로서,
함체;
상기 함체에 수용되는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
상기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를 사이에 두고 횡방향으로 각각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스위칭 단락부 및 교류성분 방전부;
상기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를 사이에 두고 종방향으로 각각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스위칭 트리거부와 이상전압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는,
밀폐함;
상기 밀폐함 내에 배치되는 인덕터 에어코일;
상기 밀폐함 내에 충전되는 규사;
상기 밀폐함 내에서 상기 규사와 인덕터 에어코일을 동시에 몰딩하는 몰딩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스위칭 트리거부는 제1방향의 스위칭 트리거부와 제2 방향 트리거부로 구성 되며
제1방향의 스위칭 트리거부를 구성하는 다이오드(43)의 캐소드는 SCR(35)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되고, 다이오드(43)의 애노드는 제너다이오드(44)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제너다이오드(44)의 캐소드는 저항(45)에 일단에 연결되며 저항(45)의 타단은 방식보호 대상물(24)인 금속관과 연결되는 연결단자(32)에 연결되고
제2방향의 스위칭트리거부를 구성하는 다이오드(39)의 캐소드는 SCR(34)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되고, 다이오드(39)의 애노드는 제너다이오드(40)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제너다이오드(40)의 캐소드는 저항(41)에 일단에 연결되며 저항(41)의 타단은 방식전원 공급부(37)와 연결되는 연결단자(31)에 연결되어 저항(41,45)에 의하여 안정적인 동장과 동작새시전압 조정이 가능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함체 내부에 개방된 상태로 노출된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를 밀폐시키는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 용 밀폐함 내부에 고정 배치하고,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의 밀폐함 내부에 규사를 채우고 절연성이며 내열성이 에폭시수지 등과 같은 수지를 충진하여 몰딩한 후 밀폐함으로써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에서 발생하는 열이 차단되도록 하고, 충격전류가 발생될 경우 진동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 내부에 구비한 밀폐함이 MOV(Metal Oxide Varistor)등으로 이루어진 이상전압방전부와 스위칭 트리거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MOV(Metal Oxide Varistor) 등이 폭발하거나 소손시 충격이 스위칭 트리거부에 전달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스위칭 트리거부는 스위칭 단락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기계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이상전압방전부, 교류성분 방전부와도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하여, 타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스위칭 단락부, 스위칭트리거부, 이상전압방전부,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 간에 영향을 미쳐서 전기적 특성값이 변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결국 전기방식 장치의 전력노이즈 차단기가 제품 제조시 설정한 동작 특성이 그대로 유지되어 설치 목적대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이상전압방전부가 폭발 시 폭발 충격이 다른 부품에 전달되지 아니함으로 제품의 내구성향상 및 안전성을 향상하고, SCR, 제너다이오드, 다이오드의 제품 간 편차에 의한 본 고안의 동작편차를 최소화한 균일한 품질의 전기방식 장치의 전력노이즈 차단기(100)를 생산할 수 있고, SCR, 제너다이오드, 다이오드의 선택의 폭이 확대되므로 생산단가 감소 및 생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SCR(34)와 제2 SCR(35)가 정역방향으로 병렬 연결된 일체형 구조이고 각각의 SCR을 트리거하는 각각의 게이트 단자가 별도로 구비된 스위칭 트리거부(41 등)에 연결됨으로 인하여 SCR(34)(35), 스위칭 트리거부(41 등)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된 경우 교체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커버가 개방된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를 회로도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 도 5d는 도 3에 따른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 중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100)는, 밀폐구조의 스위칭 단락부(34)(35)(SEMIKRON 사에서 생산되는 모델번호 SKKT570)이며, 정역방향 도통과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SCR(34)와 제2 SCR(35)가 정역방향으로 병렬 연결된 구조이고, 각각의 SCR을 트리거하는 각각의 게이트 단자가 별도로 구비된 스위칭 트리거부(41, 40, 39 및 43, 44, 45)에 연결된다.
밀폐구조의 스위칭 단락부(34)(35)의 도통을 제어하는 스위칭 트리거부(41등)는 스위칭 단락부(34)(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기계적으로 분리시키고, 이상전압방전부(47),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와도 상호 이격시켜 타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에 영향을 최소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상전압방전부(47)가 폭발 시 폭발 충격이 전달되지 아니하도록 열차단과 밀폐구조의 밀폐함(48a)을 구비한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구조로 배치하였다.
또한, 함체(60) 내부에 개방된 상태로 노출된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를 밀폐시키는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 용 밀폐함(48a) 내부에 고정 배치하고,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의 밀폐함(48a) 내부에 규사(주성분 SiO2이고 녹는점이 1300도 이상)를 채우고 절연성이며 내열성이 에폭시수지 등과 같은 수지를 충진하여 몰딩한 후 밀폐함으로써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에서 발생하는 열이 차단되도록 하고, 충격전류가 발생될 경우 진동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 내부에 구비한 밀폐함(48a)이 MOV(Metal Oxide Varistor )등으로 이루어진 이상전압방전부(47)와 스위칭 트리거부(41등)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MOV(Metal Oxide Varistor) 등이 폭발하거나 소손시 충격이 스위칭 트리거부(41 등)전달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스위칭 트리거부(41 등)는 SCR등으로 이루어진 소자로서 스위칭 단락부(34)(35)의 케이트에 상기 스위칭 단락부(34)(35)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트리거 신호를 공급하는 것으로, 정역방향으로 직렬 연결된 다이오드(43, 44 및 39, 40)와 저항(45, 41)으로 구성된다.
제1방향의 스위칭 트리거부에서 다이오드(43)의 캐소드는 SCR(35)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되고, 다이오드(43)의 애노드는 제너다이오드(44)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제너다이오드(44)의 캐소드는 저항(45)에 일단에 연결되며 저항(45)의 타단은 방식보호 대상물(24)인 금속관과 연결되는 연결단자(32)에 연결된다.
또한, 제2방향의 스위칭트리거부에서 다이오드(39)의 캐소드는 SCR(34)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되고, 다이오드(39)의 애노드는 제너다이오드(40)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제너다이오드(40)의 캐소드는 저항(41)에 일단에 연결되며 저항(41)의 타단은 방식전원 공급부(37)와 연결되는 연결단자(31)에 연결된다.
제1방향의 스위칭트리거부 및 제2방향의 스위칭트리거부는 방식전원 공급부(37)와 연결되는 연결단자(31)와 방식보호 대상물(24)인 금속관과 연결되는 연결단자(32) 사이에 일정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도통되어 SCR을 on시키고 일정전압 이하가 공급되면 SCR을 off시킨다.
본 고안의 구성도인 도 2에서, "P"와 저항(24)은 본 고안의 전력 노이즈 차단기(100)와 방식보호 대상물(24)인 금속 파이프 간 전기적 저항을 의미하는 것이며, 저항(24)은 회로의 설명을 위하여 등가적으로 표시 한것이다.
즉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100)와 방식보호 대상물(24)인 금속 파이프 간에는 대지를 매개로 하여 전기 적으로 연결 된 것이다.
하나 실제시공 현장 및 제품의 본 고안의 안정적 동작을 위하여 일정한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소자를 저항(24)로 실물 연결도 가능 함은 자명하다 할것이다.
여기서, 제1방향의 스위칭트리거부 및 제2방향의 스위칭트리거부가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됨으로 인하여 본 고안의 제조시 저항(41 또는 45)의 크기를 선택하거나 조정하여 SCR, 제너다이오드, 다이오드의 소자특성에 따른 온오프(on/off) 동작 전압을 조정할 수 있어, 본 고안의 생산시 SCR, 제너다이오드, 다이오드의 제품 간 편차에 의한 본 고안의 동작편차를 최소화한 균일한 품질의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100)를 생산할 수 있고, SCR, 제너다이오드, 다이오드의 선택의 폭이 확대되므로 생산단가 감소 및 생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SCR(34)와 제2 SCR(35)가 정역방향으로 병렬 연결된 일체형 구조이고 각각의 SCR을 트리거하는 각각의 게이트 단자가 별도로 구비된 스위칭 트리거부(41 등)에 연결됨으로 인하여 SCR(34)(35). 스위칭 트리거부(41 등)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된 경우 교체가 용이하다.
도 2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실제 외부 구성을 한층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100)는 방식전원공급부(37)와 방식보호 대상물(24)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100)는 함체(60), 상기 함체(60)에 수용되는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 상기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를 사이에 두고 횡방향으로 각각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스위칭 단락부(34) 및 교류성분 방전부(49), 및 상기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를 사이에 두고 종방향으로 각각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스위칭 트리거부(41 등)와 이상전압방전부(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 트리거부(41 등)는 스위칭 단락부(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상기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에 의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이상전압방전부(47), 교류성분 방전부(49)와도 상호 이격되어 타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에 영향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이상전압방전부(47)가 폭발 시 폭발 충격이 전달되지 아니한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는, 밀폐함(48a), 상기 밀폐함(48a) 내에 배치되는 인덕터 에어코일(48c), 상기 밀폐함(48a) 내에 충전되는 규사(48b); 및, 상기 밀폐함(48a) 내에서 상기 규사(48b)와 인덕터 에어코일(48c)를 동시에 몰딩하는 몰딩부(48d)를 포함한다.
도 3에는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를 제작하는 순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밀폐함(48a)을 준비하고 인덕터 에어코일(48c)을 배치한다.
다음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함(48a) 내에 규사(48b)를 채워넣는다.
마지막으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로 이루어진 몰딩액을 주입하여 인덕터 에어코일(48c)과 규사를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커버(48e)를 씌워서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를 완성한다.
상기 규사의 주성분은 SiO2로 녹는점이 1,300℃ 이상에 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규사는 순간적인 아크열을 흡수하여 밀폐함(48a) 전체를 보호하며 내부의 구조물을 전기적으로 절연을 유지하면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함체(60) 내부에 개방된 상태로 노출된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를 밀폐시키는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 용 밀폐함(48a) 내부에 고정 배치하고,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의 밀폐함(48a) 내부에 규사(48b)를 채우고 절연성이며 내열성이 에폭시수지 등과 같은 수지를 충진하여 몰딩한 후 밀폐함으로써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에서 발생하는 열이 차단되도록 하고, 충격전류가 발생될 경우 진동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48) 내부에 구비한 밀폐함(48a)이 MOV(Metal Oxide Varistor)등으로 이루어진 이상전압방전부(47)와 스위칭 트리거부(41 등)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MOV(Metal Oxide Varistor) 등이 폭발하거나 소손시 충격이 스위칭 트리거부(41 등)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4... 방식보호 대상물
34, 35... 스위칭 단락부
37... 방식전원공급부
41, 40, 39 및 43, 44, 45... 스위칭 트리거부
47... 이상전압방전부
48...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
48a... 밀폐함
48b... 규사
48c... 인덕터 에어코일
48d... 몰딩부
49... 교류성분 방전부
60... 함체
100...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

Claims (2)

  1. 방식전원공급부와 방식보호 대상물 사이에 설치되는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에 있어서,
    함체;
    상기 함체에 수용되는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
    상기 함체에 수용되고, 밀폐구조로 구성되는 스위칭 단락부;
    상기 함체에 수용되고, 상기 스위칭 단락부를 트리거하는 스위칭 트리거부;
    상기 함체에 수용되고, 과전압을 보호하는 이상전압방전부; 및,
    상기 함체에 수용되고, 교류전류를 방전시키는 교류성분 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는,
    밀폐함;
    상기 밀폐함 내에 배치되는 인덕터 에어코일;
    상기 밀폐함 내에 충진되는 규사;
    상기 밀폐함 내에서 상기 규사와 인덕터 에어코일을 동시에 몰딩하는 몰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단락부와 상기 교류성분 방전부는 상기 함체 내에서, 상기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를 사이에 두고 횡방향으로 각각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스위칭 트리거부와 이상전압방전부는 상기 함체 내에서, 상기 인입전류 지연 인덕터를 사이에 두고 종방향으로 각각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스위칭 트리거부와 상기 스위칭 단락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함체 내에서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되고,
    스위칭 트리거부는 제1방향의 스위칭 트리거부와 제2 방향 트리거부로 구성 되며
    제1방향의 스위칭 트리거부를 구성하는 다이오드(43)의 캐소드는 SCR(35)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되고, 다이오드(43)의 애노드는 제너다이오드(44)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제너다이오드(44)의 캐소드는 저항(45)에 일단에 연결되며 저항(45)의 타단은 방식보호 대상물(24)인 금속관과 연결되는 연결단자(32)에 연결되고
    제2방향의 스위칭트리거부를 구성하는 다이오드(39)의 캐소드는 SCR(34)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되고, 다이오드(39)의 애노드는 제너다이오드(40)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제너다이오드(40)의 캐소드는 저항(41)에 일단에 연결되며 저항(41)의 타단은 방식전원 공급부(37)와 연결되는 연결단자(31)에 연결되고,
    상기 이상전압방전부는 MOV(Metal Oxide Varis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
  2. 삭제
KR2020150006478U 2015-10-01 2015-10-01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 KR200484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478U KR200484154Y1 (ko) 2015-10-01 2015-10-01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478U KR200484154Y1 (ko) 2015-10-01 2015-10-01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228 Division 2015-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84U KR20160003484U (ko) 2016-10-10
KR200484154Y1 true KR200484154Y1 (ko) 2017-08-07

Family

ID=5713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478U KR200484154Y1 (ko) 2015-10-01 2015-10-01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5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683B1 (ko) * 2022-10-21 2023-05-31 주식회사 그리다에너지 원격전력검침 검증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836B1 (ko) * 2012-12-26 2013-07-01 주식회사 그라운드 전기부식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6164A (en) * 1979-11-02 1981-06-04 Hitachi Ltd Molded coil
KR20140118485A (ko) * 2013-03-29 2014-10-08 (주)일우인터내셔날 형광램프용 안정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led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836B1 (ko) * 2012-12-26 2013-07-01 주식회사 그라운드 전기부식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84U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7879B2 (en) Devices for overvoltage, overcurrent and arc flash protection
US11881704B2 (en) Devices for active overvoltage protection including varistors and thyristors
US5220480A (en) Low voltage, high energy surge arrester for secondary applications
US8743525B2 (e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s including wafer of varistor material
US7787230B2 (en) Spark gap protection device
KR101354017B1 (ko) 갭리스 타입의 애자형 피뢰기
KR101679722B1 (ko) Dc 차단기
US9728362B2 (en) Dead tank circuit breaker with surge arrester connected across the bushing tops of each pole
KR20060046368A (ko) 캡슐형 서지 피뢰기용 능동부
CN104716563A (zh) 一种自斩续流避雷器
KR200484154Y1 (ko) 등전위 본딩용 전기방식 장치의 dc 전력 노이즈 차단기
US20070183112A1 (en) Spark gap arrestor
KR102612691B1 (ko) 열 차단을 구비한 과도 전압 억제 장치
KR101000484B1 (ko) 방전제어전극을 갖는 방전소자 및 제어장치
CN210091838U (zh) 一种提高氧化锌非线性电阻阀片耐压水平的保护套
KR100622573B1 (ko) 피뢰기용 단로기
CN219575544U (zh) 一种轨道交通专用熔断器
KR200389394Y1 (ko) 피뢰기용 단로기
EP3640958B1 (en)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s including wafer of varistor material
WO2022189347A1 (en) Bimetallic spark gap arrangement
KR101719181B1 (ko) 안정적인 방전 및 절연이 보장되는 불활성가스가 충진된 결로방지 아크 방전봉
JPH09148110A (ja) 低圧用サージアブソーバ
JPS5850758A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