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475Y1 -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 - Google Patents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475Y1
KR200483475Y1 KR2020140006677U KR20140006677U KR200483475Y1 KR 200483475 Y1 KR200483475 Y1 KR 200483475Y1 KR 2020140006677 U KR2020140006677 U KR 2020140006677U KR 20140006677 U KR20140006677 U KR 20140006677U KR 200483475 Y1 KR200483475 Y1 KR 200483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wound
activity
opening mechanism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215U (ko
Inventor
양 청-린
Original Assignee
내셔널 타이완 유니버시티 호스피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셔널 타이완 유니버시티 호스피탈 filed Critical 내셔널 타이완 유니버시티 호스피탈
Publication of KR20150001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2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4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093Incision instruments for skin inci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64Surgical cutting instruments with tissue or sample retai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는 프레임체; 및 프레임체의 일단에 구비되고 고정 베이스 및 고정 베이스에 활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발유닛이 포함되어 있는 상처 오프닝 기구를 포함한다. 이로써, 기계식 상처 오프닝 기구를 이용하여 수술 개구 크기를 제어하고 두경부 내시경 기계 또는 로봇암 기계가 순조롭게 진입하여 병변부를 검사하도록 함으로써, 병변부 수술 절제를 진행한다. 이에 의해, 수술을 보조하고 수술의 상처를 작게 하며 수술 상처를 효과적으로 숨기는 효과를 달성한다.

Description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Device of Automatic Mechanical Wound Opener for Head and Neck Surgery}
본 고안은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계식 상처 오프닝 기구를 이용하여 수술 개구 크기를 제어하고 두경부 내시경 기계 또는 로봇암 기계가 순조롭게 진입하여 병변부를 검사하도록 함으로써, 병변부 수술 절제를 진행하여 수술을 보조하고 수술의 상처를 작게 하며 수술 상처를 효과적으로 숨기는 효과를 달성하는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종래의 두경부 수술은 반드시 절개 수술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두경부에 상처를 내어 연조직을 벌려야 만이 병변부를 절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두경부 수술 후 외관적으로 뚜렷한 수술 상처가 남게 되고, 이로 인해 수술 후의 관리 및 상처로 인한 미관상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현재, 수술 후의 관리 및 상처로 인한 미관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내시경 또는 로봇암에 따른 수술방법이 있지만, 내시경 또는 로봇암 수술에 있어서 우선 수술을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내시경 또는 로봇암이 순조롭게 병변부에 진입하여 검사하고 병변부에 대하여 절제 수술을 진행하도록 한다. 하지만, 인체의 두경부에는 많은 서로 다른 연조직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근육, 신경, 내분비선 및 복잡하게 뒤엉켜 있는 혈관 등이 있다. 이외에, 두경부는 상반신의 기타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해부 공간이 비교적 작다. 두경부에 대해 내시경 기계 또는 로봇암 기계로 수술을 진행할 경우, 두경부 병변부에 대하여 설계된 적절한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가 없으므로, 내시경 또는 로봇암 기계의 조작이 어렵고 수술의 난이도가 높아지며 또한 의사의 수술 진행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를 감안하여, 본안의 고안자는 상기의 기존의 고안에 따른 문제점에 대하여 깊이 연구하고 다년간 관련 업계에 종사한 연구 개발과 제조 노하우를 결부하여 이에 관한 해결책을 적극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장기간의 연구와 발전의 노력 끝에, 드디어 본 고안에 따른 "두경부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를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기존의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미국 특허공보 US4,989,587(1991.02.05.) 미국 특허공보 US7,654,954(2010.02.02.)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기계식 상처 오프닝 기구를 이용하여 수술 개구 크기를 제어하고 두경부 내시경 기계 또는 로봇암 기계가 순조롭게 진입하여 병변부를 검사하여 병변부 수술 절제를 진행함으로써, 수술을 보조하고 수술의 상처를 작게 하며 수술 상처를 효과적으로 숨기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는 프레임체; 및 프레임체의 일단에 구비되고 고정 베이스 및 고정 베이스에 활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발유닛이 포함되어 있는 상처 오프닝 기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체는 지지유닛 및 지지유닛과 활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처 오프닝 기구는 연결유닛의 일단에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유닛은 제1 조절 베이스 및 제1 조절 베이스에 구비되는 세로 막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유닛은 세로 막대에 활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조절 베이스 및 제2 조절 베이스에 구비되는 가로 막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처 오프닝 기구의 고정 베이스는 가로 막대의 일단에 구비되는 조절기 및 조절기에 활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활동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인발유닛은 각 활동 막대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활동 막대에 수직 조절판이 구비되어 그 중의 블레이드와 상기 수직 조절판이 연결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기에는 활동 막대가 활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활동 막대에는 각 블레이드와 활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잠금부재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외관 설명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평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상처 오프닝 기구의 외관 설명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설명도이다.
도1, 도2, 도3,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각각 본 고안의 외관 설명도, 본 고안의 측면도, 본 고안의 평면도, 본 고안의 상처 오프닝 기구의 외관 설명도 및 본 고안의 사용 상태 설명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장치는 적어도 프레임체(1) 및 상처 오프닝 기구(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프레임체(1)는 지지유닛(11) 및 지지유닛(11)과 활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유닛(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11)은 제1 조절 베이스(111) 및 제1 조절 베이스(111)에 구비되는 세로 막대(11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12)은 세로 막대(112)에 활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조절 베이스(121) 및 제2 조절 베이스(121)에 구비되는 가로 막대(122)를 포함한다.
상기 상처 오프닝 기구(2)는 프레임체(1)에 구비되는 연결유닛(12)의 가로 막대(122)의 일단에 구비되고, 고정 베이스(21) 및 고정 베이스(21)에 활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발유닛(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베이스(21)는 가로 막대(122)의 일단에 구비되는 조절기(211) 및 조절기(211)에 활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활동 막대(212)를 포함한다. 상기 인발유닛(22)은 각 활동 막대(212)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는 블레이드(221)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기(211)에는 활동 막대(212)가 활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213)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활동 막대(212)에는 각 블레이드(221)와 활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잠금부재(214)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활동 막대(212)에 수직 조절판(215)(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에 구비됨)이 구비되어 그 중의 블레이드(221)(상측의 블레이드)와 상기 수직 조절판(215)이 연결되도록 한다.
즉, 상기 활동 막대(212)의 적어도 하나에는 수직 조절판(215)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221) 중 하나는 상기 수직 조절판(215)의 타단에 연결되며, 다른 나머지 블레이드(221)는 상기 활동 막대(212)에 직접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직 조절판(215)의 타단에 연결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수직 조절판(215)의 타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나머지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가 상기 수직 조절판(215)이 연결되지 않은 부위의 활동 막대들 간의 거리에 비해 줄게 되며, 이로써 실제 수술시, 수직 조절판(215)을 벗어난 영역, 즉 수직 조절판(215)과 연결되지 않은 부위의 활동 막대들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유지되어 내시경 또는 로봇암 기계가 순조롭게 진입하여 보다 편리하게 수술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사용할 때, 상기 프레임체(1)에 구비되는 지지유닛(11)의 제1 조절 베이스(111)를 수술대(3)의 일측면에 설치하며 상기 상처 오프닝 기구(2)가 수술대(3)와 대응되게 하되, 설치 시에 제1 조절 베이스(111)를 이용하여 세로 막대(112)의 높이 및 수술대(3)에 대한 고정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시킨다. 또한, 제2 조절 베이스(121)를 이용하여 가로 막대(122)의 길이를 조절한 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처 오프닝 기구(2)가 환자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프레임체(1)가 상처 오프닝 기구(2)와 함께 수술대(3)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수술 과정에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수술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한다.
프레임체(1)의 지지유닛(11)과 연결유닛(12)을 적당한 위치로 조절시킨 후, 상처 오프닝 기구(2)에 구비되는 인발유닛(22)을 환자의 수술 개구의 피부 상처 부위에 설치하며 각 블레이드(221)가 외부에서 내부로 수술 상처에 진입하게 한다. 이로써 상하의 두경부 연조직을 잡고, 각 블레이드(221)가 움직이는 동시에 활동 막대(212)가 조절기(211)의 슬라이딩홈(213)에서 이동하도록 움직이게 하거나 또는 수직 조절판(215)을 이용하여 상측 블레이드(221)의 위치 조절을 진행한다. 각 블레이드(221)의 위치가 결정된 후, 조절기(211)로 다시 고정시켜 수술 상처의 크기를 결정하고 또한 각 블레이드(221)를 적당한 간격으로 조절하여 수술의 진행에 유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블레이드(221)를 이용하여 수술 상처 부위에 수술이 진행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내시경 기계 또는 로봇암 기계가 순조롭게 진입하여 병변부를 검사하도록 하는 바, 이로써 종래의 개방식 수술법을 대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처 오프닝 기구(2)는 의사를 보조하여 두경부 병변부의 절제를 실행함으로써 수술 상처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수술 상처를 효과적으로 숨겨 환자로 하여금 더이상 수술 후의 상처 자국으로 인해 고민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수술 자국으로 인해 옷치레를 걱정하지 않도록 한다.
실제적인 조작 과정에서, 각 환자의 상이한 요구에 따라 각 블레이드(221)를 교체할 수 있다. 교체할 시, 각 활동 막대(212)의 일단의 잠금부재(214)를 직접 해체하여 각 활동 막대(212)의 원 블레이드(221)들을 제거한 후, 적절한 블레이드를 각 활동 막대(212)에 설치하고 각 활동 막대(212)의 일단에 잠금부재(214)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각 블레이드(221)의 교체를 완성함으로써 상이한 환자의 수요를 충족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는 기존의 여러가지 흠결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바, 기계식 상처 오프닝 기구를 이용하여 수술 개구 크기를 제어하고 두경부 내시경 기계 또는 로봇암 기계가 순조롭게 진입하여 병변부를 검사하도록 함으로써 병변부 수술 절제를 진행한다. 이로써 수술을 보조하고 수술의 상처를 작게 하며 수술 상처를 효과적으로 숨기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더욱 진보적이고 더욱 실용적이며 소비자들의 요구에 더욱 적합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는 실용신안의 출원 요건에 부합되어 법에 따라 실용신안을 출원하는 바이다.
상기는 단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이로 인해 본 고안의 실시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청구서범위 및 명세서의 내용에 따라 진행되는 간단한 등가적 변화와 수식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1: 프레임체 11: 지지유닛 111: 제1 조절 베이스
112: 세로 막대 12: 연결유닛 121: 제2 조절 베이스
122: 가로 막대 2: 상처 오프닝 기구 21: 고정 베이스
211: 조절기 212: 활동 막대 213: 슬라이딩홈
214: 잠금부재 215: 수직 조절판 22: 인발유닛
221: 블레이드 3: 수술대

Claims (6)

  1. 두부 및 목 수술을 위한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로서,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프레임체; 및
    상기 프레임체의 일단에 구비되는 상처 오프닝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처 오프닝 기구는:
    고정 베이스와,
    상기 고정 베이스에 활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처 오프닝 기구의 고정 베이스는 조절기와 복수개의 활동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연결유닛의 가로 막대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활동 막대는 상기 조절기 상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인발유닛은 각 활동 막대의 각각의 단부에 각각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활동 막대의 적어도 하나에는 수직 조절판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 중 하나는 상기 수직 조절판의 타단에 연결되며, 다른 나머지 블레이드는 상기 활동 막대에 직접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직 조절판의 타단에 연결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수직 조절판의 타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나머지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가 상기 수직 조절판이 연결되지 않은 부위의 활동 막대들 간의 거리에 비해 줄게 되며,
    상기 수직 조절판은 상기 활동 막대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 중의 적어도 하나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에 활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처 오프닝 기구는 연결유닛의 일단에 구비되는,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제1 조절 베이스 및 상기 제1 조절 베이스에 구비되는 세로 막대를 포함하는,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제2 조절 베이스 및 상기 가로 막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절 베이스는 상기 세로 막대에 활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로 막대는 상기 제2 조절 베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가로 막대와 상기 세로 막대는 서로 직교하는,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에는 활동 막대가 활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이 구비되며, 각 활동 막대에는 각 블레이드와 활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잠금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
KR2020140006677U 2013-09-12 2014-09-12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 KR20048347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2217216 2013-09-12
TW102217216U TWM469040U (zh) 2013-09-12 2013-09-12 頭頸部軟組織自動開創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215U KR20150001215U (ko) 2015-03-20
KR200483475Y1 true KR200483475Y1 (ko) 2017-05-29

Family

ID=5034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677U KR200483475Y1 (ko) 2013-09-12 2014-09-12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194757U (ko)
KR (1) KR200483475Y1 (ko)
CN (1) CN204218945U (ko)
SG (1) SG10201405652WA (ko)
TW (1) TWM46904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2791A (zh) * 2021-02-19 2021-05-28 遵义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颈部手术机械分离手臂
CN114451939B (zh) * 2022-02-11 2023-11-24 浙江大学 一种骨科手术用的多功能推拉勾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8134A (ja) 2006-03-01 2009-08-06 ボス インストゥルメンツ, リミテッド 手術用開創器フレームシステム
US20090287062A1 (en) 2008-05-15 2009-11-19 Farley Daniel K Adjustable Rail Clamp
JP2010264130A (ja) 2009-05-15 2010-11-25 Koshiya Co Ltd アーム構造及び手術用具の保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9587A (en) 1989-04-26 1991-02-05 Farley Daniel K Sternal retractor
US7654954B1 (en) 2002-07-03 2010-02-02 Boss Instruments Ltd., Inc. Surgical retractor clamp connectable to an arm of the retra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8134A (ja) 2006-03-01 2009-08-06 ボス インストゥルメンツ, リミテッド 手術用開創器フレームシステム
US20090287062A1 (en) 2008-05-15 2009-11-19 Farley Daniel K Adjustable Rail Clamp
JP2010264130A (ja) 2009-05-15 2010-11-25 Koshiya Co Ltd アーム構造及び手術用具の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469040U (zh) 2014-01-01
CN204218945U (zh) 2015-03-25
JP3194757U (ja) 2014-12-11
KR20150001215U (ko) 2015-03-20
SG10201405652WA (en)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15924B (zh) 一种可全方位调整手术切口的拉钩装置
KR20180027540A (ko) 척추 수술을 위한 향상된 경막외 접근을 위한 경피적 시스템 및 방법
Lezrek et al. The split-leg modified lateral position for percutaneous renal surgery and optimal retrograde access to the upper urinary tract
CN105377166A (zh) 外科手术进入系统
KR200483475Y1 (ko) 두경부 연조직 자동 기계적 상처 오프너
Liu et al. A simple technique for pectus bar removal using a modified Nuss procedure
CN105853122A (zh) 一种输尿管结石治疗床
US9526485B2 (en) Device of automatic mechanical wound opener for head and neck surgery
CN214434481U (zh) 悬吊机构、手术机械臂装置以及手术机器人
CN211243501U (zh) 一种泌尿外科手术保护器
Singh et al. Endoscopic extrabursal excision of olecranon spur
RU2578355C1 (ru)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лапароскопического вмешательств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RU148218U1 (ru) Лапаролифт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лапароскопии
CN207837590U (zh) 一种用于关节镜手术的牵引架
KR20140109116A (ko) 동물용 수술대
RU13196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позиции костей таза
CN213250860U (zh) 用于骨科手术护理用固定装置
CN207270392U (zh) 一种可调式手术定位器
CN214761369U (zh) 一种微创手术穿针器
CN208481665U (zh) 一种3d打印手术俯卧位体位架
CN108567452A (zh) 用于关节镜手术的牵引架
CN214595977U (zh) 一种锁骨骨折闭合复位装置
CN214434479U (zh) 手术机械臂装置以及手术机器人
RU2801530C1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робот-ассистированной трансуретральной уретеропиелолитотрипсии
CN213697158U (zh) 一种骨科临床手术腿部预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