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443Y1 - 응급처치장치 - Google Patents

응급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443Y1
KR200483443Y1 KR2020150008114U KR20150008114U KR200483443Y1 KR 200483443 Y1 KR200483443 Y1 KR 200483443Y1 KR 2020150008114 U KR2020150008114 U KR 2020150008114U KR 20150008114 U KR20150008114 U KR 20150008114U KR 200483443 Y1 KR200483443 Y1 KR 200483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abdomen
longitudinal direction
pair
abdome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환
Original Assignee
안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환 filed Critical 안중환
Priority to KR2020150008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4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4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61M2210/1032Trachea

Abstract

응급처치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응급처치장치는, 착용 벨트를 구비하여 복부 부분에 착용 가능하고,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복부 부분을 향하도록 관통 형성된 가이드공을 갖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어 가이드공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하고, 길이 방향 일측에 착용자의 복부 부분과 접하도록 마련된 가압부와, 길이 방향 타측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마련된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가압대를 포함한다. 이러한 응급처치장치는, 환자 스스로 하임리히법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 기도 폐쇄에 의한 응급 상황에서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응급처치장치 {EMERGENCY MEASURE DEVICE}
본 고안은 응급처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 스스로 하임리히법을 행할 수 있도록 된 응급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임리히법은 이물질에 의해 기도가 폐쇄되었을 때 행하는 응급 처치법이다. 하임리히법은 성인의 경우, 서 있는 환자 뒤에서 시술자가 양팔로 환자의 허리 부분을 감싸 잡고, 환자의 복부 부분, 상세하게는 검돌기와 배꼽 사이의 복부 부분을 반복적으로 위로 밀쳐 올리듯 가압함으로써 행하여 진다. 그러나 이러한 하임리히법은 시술자의 도움없이 환자 스스로 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환자 스스로 하임리히법을 행할 수 있도록 된 응급처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응급처치장치는, 착용 벨트를 구비하여 복부 부분에 착용 가능하고,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복부 부분을 향하도록 관통 형성된 가이드공을 갖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어 가이드공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하고, 길이방향 일측에 착용자의 복부 부분과 접하도록 마련된 가압부와, 길이방향 타측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마련된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가압대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압부는, 소정 곡률을 갖는 판 형태로 구비되어 착용자의 복부 부분과 밀착된다.
또한, 손잡이부는,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와, 한 쌍의 손잡이와 가압대를 연결하는 연결대 및, 한 쌍의 손잡이의 길이방향 타측 말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판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응급처치장치는, 환자 스스로 하임리히법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 기도 폐쇄에 의한 응급 상황에서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응급처치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응급처치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응급처치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응급 처치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응급처치장치(100)는 케이스 본체(110)와, 케이스 본체(110)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대(120)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11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또는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케이스 본체(110)는 타원기둥 형태로 도시하였다. 케이스 본체(110)는 착용 벨트(111)와 가이드공(112)을 구비한다. 착용 벨트(111)는 케이스 본체(110)를 복부 부분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착용 벨트(111)는 플렉시블한 연질한 합성수지 재질이고 소정 길이와 폭을 갖는 끈 형태로 마련된다. 착용 벨트(111)는 길이 방향 일측이 케이스 본체(110)의 길이 방향 일단 중심부에 결합되고, 길이 방향 타측이 케이스 본체(110)의 길이 방향 타단 중심부에 결합되어 케이스 본체(110)에 구비된다. 착용 벨트(111)는 길이 사이 일측에 길이조절용 버클(111a)을 구비한다. 길이조절용 버클(111a)은 착용 벨트(111)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길이조절용 버클(111a)은 현재 일반적인 가방끈 등에 채용되어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이드공(112)은 가압대(120)의 직선이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가이드공(112)은 케이스 본체(110)의 길이 방향 중심에 케이스 본체(110)의 폭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케이스 본체(110)는 케이스 본체(110)가 착용자의 복부 부분에 위치되고 착용 벨트(111)가 착용자의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착용 벨트(111)를 최대한 조여 케이스 본체(110)와 착용 벨트(111)가 착용자의 신체 부분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착용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공(112)의 길이 방향은 착용자의 복부 부분을 향하게 된다.
가압대(120)는 가이드공(112)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봉 형태로 마련된다. 가압대(120)는 길이 방향 일측이 가이드공(112)에 삽입되어 케이스 본체(110)에 설치되고 가이드공(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하다. 가압대(120)는 길이방향 일측 단부(착용자 방향 측 단부)에 구비되는 가압부(121)와, 길이방향 타측 단부(착용자의 반대 방향 측 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122)를 포함한다. 가압부(121)는 가압대(120)가 직선 이동함에 따라 착용자의 복부 부분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가압부(121)는 판 형태로 마련되되, 복부 부분의 굴곡과 대응하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어 착용자의 복부 부분과 밀착된다. 손잡이부(122)는 착용자가 가압대(120)를 용이하게 잡고 직선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손잡이부(122)는 손잡이(122a)와, 손잡이(122a)와 가압대(120)를 연결하는 연결대(122b) 및 손잡이(122a)에 구비되는 지지판(122c)을 포함한다. 손잡이(122a)는 파지가 용이한 크기의 원통 형태로 마련되고 한 쌍으로 구비된다. 연결대(122b)는 소정 길이를 갖는 봉 형태로 마련된다. 연결대(12b)는 길이 방향 중심이 가압대(120)의 길이 방향 타측 말단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손잡이(122a)가 결합된다. 이때 손잡이(122a)는 가압대(120)의 길이 방향과 대응하는 길이 방향을 갖는다. 지지판(122c)은 손잡이(122a)를 벽체(도시하지 않음) 등의 구조물에 기대어 가압대(120)를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지지판(122c)은 원판 형태로 마련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손잡이(122a)와 일대일 대응한다. 지지판(122c)는 일측면 중심이 대응하는 손잡이(122a)의 길이방향 타측 말단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응급처치장치(100)는 기도 폐쇄의 응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부 부분에 착용한 후, 한 쌍의 손잡이(122a)를 잡아 가압대(120)의 직선이동 방향이 착용자의 복부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이 되도록 케이스 본체(110)를 기울인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대(120)를 착용자 방향 측으로 강하게 당겨 가압부(121)를 통해 복부 부분을 밀쳐 올림으로써 착용자, 즉 환자 스스로 하임리히법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복부를 가압하는 힘이 비교적 약한 노약자의 경우에는 지지판(122c)을 벽체 등의 구조물에 기대어 가압대(120)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착용자 스스로 가압대(120)의 길이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움직임으로써 비교적 큰 힘으로 하임리히법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위에 도와줄 사람이 없더라도 환자 스스로 기도 폐쇄의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응급처치장치 110 : 케이스 본체
111 : 착용 벨트 111a : 길이조절용 버클
112 : 가이드공 120 : 가압대
121 : 가압부 122 : 손잡이부
122a : 손잡이 122b : 연결대
122c : 지지판

Claims (3)

  1. 응급처치장치로서,
    착용 벨트를 구비하여 복부 부분에 착용 가능하고,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복부 부분을 향하도록 관통 형성된 가이드공을 갖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하고,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착용자의 복부 부분과 접하도록 마련된 가압부와,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착용자의 복부 부분이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마련된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가압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와,
    상기 한 쌍의 손잡이와 상기 가압대를 연결하는 연결대 및
    일 측면이 상기 착용자의 복부 부분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손잡이의 길이방향 타측 말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판을 포함하는 응급처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소정 곡률을 갖는 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착용자의 복부 부분과 밀착하도록 된 응급처치장치.
  3. 삭제
KR2020150008114U 2015-12-10 2015-12-10 응급처치장치 KR200483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114U KR200483443Y1 (ko) 2015-12-10 2015-12-10 응급처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114U KR200483443Y1 (ko) 2015-12-10 2015-12-10 응급처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443Y1 true KR200483443Y1 (ko) 2017-05-16

Family

ID=5902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114U KR200483443Y1 (ko) 2015-12-10 2015-12-10 응급처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4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382B1 (ko) 2021-12-08 2022-06-23 이도현 기도 유지용 프레스장치
KR20220100775A (ko) 2021-01-08 2022-07-1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도 폐쇄 시 사용하는 응급 처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4216A (en) * 1978-01-26 1979-08-14 Person Orville W Throat obstruction expulsion device
US5722987A (en) * 1994-12-23 1998-03-03 Precious Lite Saving Products Inc. Resuscitator
US20020156405A1 (en) * 2001-04-18 2002-10-24 Karpel Louis M. Choking assistance device
JP2009501569A (ja) * 2005-07-15 2009-01-22 ラック・トーマス・イー 交差作動型心停止用胸部押圧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4216A (en) * 1978-01-26 1979-08-14 Person Orville W Throat obstruction expulsion device
US5722987A (en) * 1994-12-23 1998-03-03 Precious Lite Saving Products Inc. Resuscitator
US20020156405A1 (en) * 2001-04-18 2002-10-24 Karpel Louis M. Choking assistance device
JP2009501569A (ja) * 2005-07-15 2009-01-22 ラック・トーマス・イー 交差作動型心停止用胸部押圧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775A (ko) 2021-01-08 2022-07-1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도 폐쇄 시 사용하는 응급 처치 장치
KR102412382B1 (ko) 2021-12-08 2022-06-23 이도현 기도 유지용 프레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2761B1 (ko) 신체 마사지 장치
US8919620B2 (en) Long handled sock donning tool and method of use
US96300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emity rehabilitation
US10183189B2 (en) Physical therapy devices and system for rehabilitation of limbs
WO2007137295A2 (en) Jaw stretching device
KR200483443Y1 (ko) 응급처치장치
JP2018513763A (ja) 脊椎椎間板の減圧方法および装置
US20150025568A1 (en) Two-hand adjustable acupressure method and apparatus
JP2017528179A (ja) 携帯型頸椎牽引装置
US7901336B2 (en) Lower leg and foot rehabilitation apparatus
KR101271267B1 (ko)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것을 이용한 신장이완 운동기구
KR101666206B1 (ko) 어깨관절 외전보조기
US9254403B2 (en) Joint rehabilitation stra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4106956U (zh) 简易肢体康复器
CN204683868U (zh) 偏瘫后遗症肢体矫正治疗仪
US20160361221A1 (en) Device to Assist Chiropractic Manipulation and Mobilization
CN210121314U (zh) 一种用于膝关节活动度训练的康复器
CN215900727U (zh) 一种基于干扰电治疗仪的腰肌治疗装置
KR101588962B1 (ko) 양말 착용 보조장치
KR20110003591U (ko) 휴대용 지압기
KR101468147B1 (ko) 휴대용 지압기구
KR20180049283A (ko) 손 재활 운동 장치
KR20170031927A (ko) 수시 착용이 가능한 휴대형 척추 지지 및 스트레칭 장치
CN203539672U (zh) 一种穴位夹
KR20160020725A (ko) 안마 겸용 악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