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962B1 - 양말 착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양말 착용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962B1
KR101588962B1 KR1020140090888A KR20140090888A KR101588962B1 KR 101588962 B1 KR101588962 B1 KR 101588962B1 KR 1020140090888 A KR1020140090888 A KR 1020140090888A KR 20140090888 A KR20140090888 A KR 20140090888A KR 101588962 B1 KR101588962 B1 KR 101588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
arms
entrance
arm
op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0067A (ko
Inventor
장문영
신기석
윤지수
서예진
김신예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9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10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90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90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 A47G25/905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for stockings
    • A47G25/907Smooth and flexible temporary foot covers, e.g. sock-shaped

Abstract

본 발명은 양말 착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의 사용이 불편한 환자의 양말착용시 불편함을 덜어주기 위한 장치를 이용하여 한손으로 양말의 개구부위를 넓혀 원활하게 양말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양말 착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는, 양말(30)의 개구홈(32)을 통해 상기 양말(30)의 내부로 진입되는 한 쌍의 진입부(100); 및 상기 진입부(100)에 직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진입부(100)의 이격간격을 조절하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는 확장조절부(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말 착용 보조장치{ASSIST DEVICE FOR SOCK WEARING}
본 발명은 양말 착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의 사용이 불편한 환자의 양말착용시 불편함을 덜어주기 위한 장치를 이용하여 한손으로 양말의 개구부위를 넓혀 원활하게 양말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양말 착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실내에서 활동을 하거나 외출 시 양말을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양말을 신기 위해서는 앉은 상태에서 발을 앞으로 내밀고 두손을 이용하여 양말을 몸쪽으로 당겨서 신게 된다.
그러나, 무릎이 불편한 관절염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우 및 고도의 비만인 사람들, 그리고 임산부들은 허리를 굽히거나, 앉아서 팔을 내미는 동작이 어렵고, 대부분은 이러한 동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양말을 신고 벗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환자 중에서도 편마비 환자의 경우, 양말을 혼자 신는것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고, 이에 따라 항상 주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편마비 환자의 경우, 자신의 근력을 사용하여 ADL(일상생활능력)을 향상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타인의 도움을 받아 양말을 신는 것은 ADL의 능력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37615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는, 신체의 움직임이 불편한 환자가 타인의 도움없이 스스로 용이하게 양말을 신을 수 있도록 하는 양말 착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는, 매일 신어야 하는 양말을 몸이 불편한 환자가 스스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과정에서 환자가 근력을 사용함으로 인해 일상생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말 착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는, 양말(30)의 개구홈(32)을 통해 상기 양말(30)의 내부로 진입되는 한 쌍의 진입부(100); 및 상기 진입부(100)에 직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진입부(100)의 이격간격을 조절하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는 확장조절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확장조절부(200)는, 성가 진입부(100)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암(210)과, 각각의 상기 연결암(210)에서 외측으로 경사각을 갖으며 연장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파지암(220)과,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간격이 파지암(220) 간의 이격간격과 대항된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연결암(210)과 파지암(220)의 연결부위 내측에 형성되는 경첩(230)을 포함하고, 상기 진입부(100)는, 한 쌍의 상기 연결암(210)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홈(32)에 진입되는 봉 형태의 진입봉(110)을 포함한다.
상기 확장조절부(200)는, 상기 파지암(220) 간의 이격 간격이 작아지면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 간격이 커지고, 상기 파지암(220) 간의 이격 간격이 커지면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 간격이 작아지며, 상기 진입부(100)는, 상기 연결암(210)의 이격간격에 연동되어 상기 진입봉(110) 간의 이격 간격이 변경된다.
마주 보며 배치되는 상기 연결암(210)의 내측에는, 상기 진입봉(110)을 통해 개구홈(320)이 확장될 경우, 사용자의 발이 상기 연결암(210)의 내측을 통해 개구홈(320)으로 진입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완곡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곡면(250)이 포함된다.
상기 경첩(230)에는, 마주 보며 배치되는 상기 연결암(210)의 사이로 사용자의 발이 진입될 경우,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경첩(230)에 연장형성되는 간격유지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간격유지부(300)는, 상기 경첩(230)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고리 형태의 연결고리(310)와, 상기 연결고리(310)에 연결된 채로 회전되는 회전핀(320)과, 상기 회전핀(320)에 연결된 채로, 상기 연결암(210)의 내측면에 밀착 또는 이탈되어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간격이 유지 또는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이격간격유지편(330)이 포함된다.
상기 진입봉(110)에는, 상기 진입봉(1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진입봉(110)이 상기 양말(30)의 내부에 진입된 후, 양말(30)이 진입봉(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편(120)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는, 움직임이 불편한 환자가 타인의 도움없이 스스로 간편하게 양말을 신을 수 있도록 하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는, 움직임이 불편한 환자가 스스로 양말을 신으면서 근력을 사용하여 일상생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몸의 사용이 불편한 환자의 양말착용시 불편함을 덜어주기 위한 장치를 이용하여 한손으로 양말의 개구부위를 넓혀 원활하게 양말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양말 착용 보조장치 [특히, 진입부, 확장조절부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는, 개구홈(32)이 구비되는 양말(30)의 내부로 진입되는 한 쌍의 진입부(100)와, 상기 진입부(100)의 이격간격을 조절하는 확장조절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입부(100)는, 상기 양말(30)의 개구홈(32)을 통해 상기 양말(30)의 내부로 진입되고 한 쌍이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조절부(200)는, 상기 진입부(100)에 직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진입부(100)의 이격간격을 조절하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진입부(100)는 상기 확장조절부(200)의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개구홈(32)을 통해 양말(30)의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개구홈(32) 부위를 확장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조절부(200)는, 상기 진이부(100)가 동작되도록 하여 개구홈(32) 부위가 확장되는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확장조절부(200)는, 성가 진입부(100)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암(210)과, 각각의 상기 연결암(210)에서 외측으로 경사각을 갖으며 연장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파지암(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조절부(200)는,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간격이 파지암(220) 간의 이격간격과 대항된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연결암(210)과 파지암(220)의 연결부위 내측에 형성되는 경첩(23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진입부(100)는, 한 쌍의 상기 연결암(210)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홈(32)에 진입되는 봉 형태의 진입봉(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암(210)에서 연장형성되는 상기 파지암(220)은, 상기 연결암(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각각 외측으로 꺽여지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파지암(220)이 상기 연결암(210)에서 외측으로 경사각을 갖으며 연장형성되기 때문에, 한 쌍의 상기 연결암(210)이 상호 밀착된 상태로 배치될 경우, 상기 파지암(220)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연결암(210)이 상호 이격 된 상태로 배치될 경우, 상기 파지암(220)은 상호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확장조절부(200)는, 상기 파지암(220) 간의 이격 간격이 작아지면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 간격이 커지고, 상기 파지암(220) 간의 이격 간격이 커지면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 간격이 작아지며, 상기 진입부(100)는, 상기 연결암(210)의 이격간격에 연동되어 상기 진입봉(110) 간의 이격 간격이 변경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파지암(220)의 이격 간격과 연결암(210)의 이격간격이 형성되기 위하여 상기 파지암(220)과 연결암(210)은 상기 경첩(230)을 축으로 하여 유동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확장조절부(200)는, 전체적인 형태가 커팅 플라이어(cutting plier)의 형태를 갖으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한 쌍의 상기 파지암(220)을 한손으로 파지한 채로, 파지암(220)의 이격간격이 좁혀지도록 가압하게 되면, 상기 연결암(210)은 상기 파지암(220)에 대항되어 한 쌍의 연결암(210)의 사이 이격공간이 넓어지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연결암(210)의 사이 간격이 넓어지면, 그 넓어진 공간으로 사용자의 발이 진입될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한 쌍의 상기 연결암(210)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암(210)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상기 진입봉(110)이 상기 개구홈(32)을 통해 상기 양말(30)의 내부로 진입된 후, 상기 파지함(220)이 상호 밀착되도록 하면 상기 연결암(210)의 사이 이격공간이 넓어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연결암(210)의 사이 이격공간이 넓어지게 됨으로서, 상기 양말(30)의 개구홈(32) 부위는 상기 진입봉(110)에 의해 확장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태에서, 상기 개구홈(32) 부위가 확장된 양말(30)의 내부로 사용자의 발을 진입함으로써, 사용자가 양말(30)을 용이하게 신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의 발이 양말(30)의 내부로 진입되어 사용자가 양말(30)을 신게 되면 상기 양말(30)의 내부로 진입되었던 상기 진입봉(110)은 상기 개구홈(32)을 통해 양말(30)의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진입봉(110)이 상기 양말(30)의 내부로 진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파지암(220)을 파지한 후 가압하여 상기 연결암(210)의 이격 간격을 넓히게 되고, 그 이격 공간으로 사용자의 발이 진입되면서 개구홈(32)을 통해 양말(30)의 내부로 진입되어 사용자가 양말(30)을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3 및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는, 개구홈(32)이 구비되는 양말(30)의 내부로 진입되는 한 쌍의 진입부(100)와, 상기 진입부(100)의 이격간격을 조절하는 확장조절부(2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조절부(200)는, 성가 진입부(100)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암(210)과, 각각의 상기 연결암(210)에서 외측으로 경사각을 갖으며 연장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파지암(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조절부(200)는,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간격이 파지암(220) 간의 이격간격과 대항된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연결암(210)과 파지암(220)의 연결부위 내측에 형성되는 경첩(23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진입부(100)는, 한 쌍의 상기 연결암(210)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홈(32)에 진입되는 봉 형태의 진입봉(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첩(230)에는, 마주 보며 배치되는 상기 연결암(210)의 사이로 사용자의 발이 진입될 경우,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경첩(230)에 연장형성되는 간격유지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홈(32)을 통해 양말(30)의 내부로 상기 진입봉(110)이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간격이 넓어짐으로써, 양말(30)의 개구홈(32) 부위가 확장됨에 따라, 사용자의 발이 양말(30)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발이 상기 양말(30)의 내부로 진입되기 위해서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 공간 사이에 위치시, 사용자의 발이 연결암(210)의 유동에 의해 연결암(210)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상기 간격유지부(300)이다.
즉, 상기 간격유지부(300)는, 사용자의 발이 연결암(210)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사용자가 양말(30)을 모두 착용할 때까지 상기 연결암(210)의 이격간격이 좁혀지지 않고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암(210)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간격유지부(300)는, 상기 경첩(230)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고리 형태의 연결고리(310)와, 상기 연결고리(310)에 연결된 채로 회전되는 회전핀(3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부(300)는, 상기 회전핀(320)에 연결된 채로, 상기 연결암(210)의 내측면에 밀착 또는 이탈되어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간격이 유지 또는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이격간격유지편(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310)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경첩(23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천공되는 수평홀(312)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홀(312)에 상기 회전핀(320)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핀(320)은 상기 수평홀(312)에 연결된 채로, 수평홀(312)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핀(320)의 일단이 상기 수평홀(312)에 연결된다면, 회전핀(320)의 타단은 상기 이격간격유지편(330)과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핀(320)은 상기 수평홀(312)에 억지끼움 연결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상기 수평홀(312)에서 상기 회전핀(320)이 회전된 후, 사용자의 가압이 멈춘 위치에서 상기 회전핀(320)도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회전핀(320)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상기 이격간격유지편(330)은, 상기 연결암(210)의 사이 공간에 진입 및 이탈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격간격유지편(330)은, 한 쌍의 상기 연결암(210)의 이격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양말(30)의 개구홈(32)이 상기 진입봉(110)에 의해 확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핀(320)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암(210)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연결암(210)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발이 양말(30)의 확장된 개구홈(32)에 진입되면서도 연결암(210)에 부딪히거나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양말(30)을 착용한 후에는, 상기 회전핀(320)이 일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암(210)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서 상기 이격간격유지편(330)이 이탈되도록 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이격간격유지편(330)이 상기 연결암(210)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서 이탈되면 한 쌍의 상기 연결암(210)은 상호 이격간격을 좁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간격유지부(300)의 구성은 일 실시예일 뿐, 상기 간격유지부(300)는, 한 쌍의 상기 연결암(210)이 이격 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면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구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양말 착용 보조장치는, 개구홈(32)이 구비되는 양말(30)의 내부로 진입되는 한 쌍의 진입부(100)와, 상기 진입부(100)의 이격간격을 조절하는 확장조절부(200)를 포함한다.
마주 보며 배치되는 상기 연결암(210)의 내측에는, 상기 진입봉(110)을 통해 개구홈(320)이 확장될 경우, 사용자의 발이 상기 연결암(210)의 내측을 통해 개구홈(320)으로 진입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완곡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곡면(250)이 포함된다.
즉, 상기 연결암(210)의 내측에는 곡면(250)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이 상기 연결암(210)의 사이 공간을 오가면서도 연결암(210)에 의해 다치거나 상처를 입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곡면(250)에는, 사용자의 발을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섬유, 고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면(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입봉(110)에는, 상기 진입봉(1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진입봉(110)이 상기 양말(30)의 내부에 진입된 후, 양말(30)이 진입봉(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편(12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입봉(110)의 일단에는 상기 이탈방지편(120)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진입봉(110)의 타단에는 상기 연결암(21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탈방지편(120)은, 상기 진입봉(110)의 외면에 구비되어 양말(30)의 내면에 밀착면서 상기 양말(30)이 확장되는 과정에서 진입봉(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탈방지편(120)은, 밀착력이 높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편(120)은, 원형 띠 형태로 상기 진입봉(110)에 구비될 수 있고, 돌기 형태로 상기 진입봉(110)의 외면에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움직임이 불편한 환자가 타인의 도움없이 스스로 간편하게 양말을 신을 수 있도록 하는 사용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움직임이 불편한 환자가 스스로 양말을 신으면서 근력을 사용하여 일상생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30 : 양말 32 : 개구홈
100 : 진입부 110 : 진입봉
120 : 이탈방지편
200 : 확장조절부 210 : 연결암
220 : 파지암 230 : 경첩
250 : 곡면
300 : 간격유지부 310 : 연결고리
312 : 수평홀 320 : 회전핀
330 : 이격간격유지편

Claims (7)

  1. 양말(30)의 개구홈(32)을 통해 상기 양말(30)의 내부로 진입되는 한 쌍의 진입부(100);
    상기 진입부(100)에 직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진입부(100)의 이격간격을 조절하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는 확장조절부(200); 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조절부(200)는, 성기 진입부(100)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암(210)과, 각각의 상기 연결암(210)에서 외측으로 경사각을 갖으며 연장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파지암(220)과,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간격이 파지암(220) 간의 이격간격과 대항된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연결암(210)과 파지암(220)의 연결부위 내측에 형성되는 경첩(230)이 구비되고,
    상기 진입부(100)는, 한 쌍의 상기 연결암(210)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홈(32)에 진입되는 봉 형태의 진입봉(110)이 구비되며.
    상기 경첩(230)에는, 마주보며 배치되는 상기 연결암(210)의 사이로 사용자의 발이 진입될 경우,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경첩(230)에 연장형성되는 간격유지부(3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간격유지부(300)는, 상기 경첩(230)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고리 형태의 연결고리(310)와, 상기 연결고리(310)에 연결된 채로 회전되는 회전핀(320)과, 상기 회전핀(320)에 연결된 채로, 상기 연결암(210)의 내측면에 밀착 또는 이탈되어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간격이 유지 또는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이격간격유지편(330)이 포함되는 양말 착용 보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조절부(200)는,
    상기 파지암(220) 간의 이격 간격이 작아지면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 간격이 커지고, 상기 파지암(220) 간의 이격 간격이 커지면 상기 연결암(210) 간의 이격 간격이 작아지며,
    상기 진입부(100)는,
    상기 연결암(210)의 이격 간격에 연동되어 상기 진입봉(110) 간의 이격 간격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착용 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마주 보며 배치되는 상기 연결암(210)의 내측에는,
    상기 진입봉(110)을 통해 개구홈(320)이 확장될 경우, 사용자의 발이 상기 연결암(210)의 내측을 통해 개구홈(320)으로 진입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완곡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곡면(250)이 포함되는 양말 착용 보조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100)는,
    한 쌍의 상기 연결암(210)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홈(32)에 집입되는 봉 형태의 진입봉(110)과,
    상기 진입봉(1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진입봉(110)이 상기 양말(30)의 내부에 진입된 후, 양말(30)이 진입봉(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편(120)이 포함되는 양말 착용 보조장치.
KR1020140090888A 2014-07-18 2014-07-18 양말 착용 보조장치 KR101588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888A KR101588962B1 (ko) 2014-07-18 2014-07-18 양말 착용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888A KR101588962B1 (ko) 2014-07-18 2014-07-18 양말 착용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067A KR20160010067A (ko) 2016-01-27
KR101588962B1 true KR101588962B1 (ko) 2016-01-28

Family

ID=5530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888A KR101588962B1 (ko) 2014-07-18 2014-07-18 양말 착용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9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756A (ko)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위풋테크놀로지 양말 속지 삽입 보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9239A (ja) 2005-07-25 2007-02-08 Kosai Reinetsu:Kk 下半身下着や靴下等の装着補助具
JP2011050524A (ja) * 2009-09-01 2011-03-17 Hoden Sekiyu Hanbai Kk 靴下装着補助具及び付属品
KR200462924Y1 (ko) 2012-07-23 2012-10-16 송유온 발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양말 신는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3419A1 (en) 2007-07-09 2010-12-23 Aten Quentin T Methods and Devices for Charged Molecule Manipulation
KR101089806B1 (ko) * 2010-04-22 2011-12-08 배형진 양말 착용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9239A (ja) 2005-07-25 2007-02-08 Kosai Reinetsu:Kk 下半身下着や靴下等の装着補助具
JP2011050524A (ja) * 2009-09-01 2011-03-17 Hoden Sekiyu Hanbai Kk 靴下装着補助具及び付属品
KR200462924Y1 (ko) 2012-07-23 2012-10-16 송유온 발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양말 신는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756A (ko)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위풋테크놀로지 양말 속지 삽입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067A (ko)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22078A1 (en)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ZA201800021B (en) Device for performing electrotherapeutic massage and/or thermal treatment on a person's head, neck, and shoulders
KR102025625B1 (ko) 어깨 보조 기구
US20190117440A1 (en) Upper body garment with integrated internal pocket
KR102556937B1 (ko)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US20120228343A1 (en) Sock hand
MX2019001883A (es) Mascarilla de respirador con transductor integrado de conduccion osea.
KR101588962B1 (ko) 양말 착용 보조장치
JP2016083250A (ja) マスク用係止具
US9820521B2 (en) Bracing strut for preventing pants from slipping down
CN108742984A (zh) 一种手臂固定装置
WO2015085604A1 (zh) 一种摆位器
KR101447353B1 (ko) 허리보호대
US11071641B2 (en) Ostomy protective device
KR102222966B1 (ko) 뇌졸중 환자를 위한 비고정식 수동 어깨 보조기
CN106422049B (zh) 基于血循环临时复通使用的桥接支架及其加工方法
KR102093786B1 (ko)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CN106418809B (zh) 一种具有耳部保暖功能的设置有露嘴孔的口罩
JP2006218058A (ja) サポーター及びサポーター用ベルト
US10314729B2 (en) Knee brace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200022434A1 (en) Dressing aid
JP2010029580A (ja) 性補助具
KR102588951B1 (ko) 착좌각이 변경 가능한 착용식 의자
JP2014236759A (ja) 歩行補助具
KR200438247Y1 (ko) 지압용 엄지손가락 보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