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726Y1 - 보호커버를 갖는 구형 유니버셜 조인트 - Google Patents

보호커버를 갖는 구형 유니버셜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726Y1
KR200482726Y1 KR2020160000832U KR20160000832U KR200482726Y1 KR 200482726 Y1 KR200482726 Y1 KR 200482726Y1 KR 2020160000832 U KR2020160000832 U KR 2020160000832U KR 20160000832 U KR20160000832 U KR 20160000832U KR 200482726 Y1 KR200482726 Y1 KR 200482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ortion
power transmitting
transmitting member
hole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487U (ko
Inventor
이준용
이석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60000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72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7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50/00Manufacturing; Assembly
    • F16D2250/0084Assembly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버셜 조인트의 꼬임현상을 방지하면서도 휘어짐으로 인한 유니버셜 조인트의 파손을 줄일 수 있어 사용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의 교체횟수를 절감할 수 있는 유니버셜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는 일측에 타구동부재가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1결합부를 구비하고, 타측은 원주방향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제1홈부를 구비하되, 제1홈부의 일방향 외주면에서 제1홈부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제1홈부의 반대방향 외주면까지 천공되는 제1삽입공을 구비한 제1동력전달부재와 제1홈부로 삽입되는 일측에 제1연결공이 천공된 제1구체를 구비하고 타측은 원주방향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제2홈부를 구비하되, 제1홈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2홈부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제2삽입공을 구비한 제2동력전달부재와 제2홈부로 삽입되는 일측에 제2연결공이 천공된 제2구체를 구비하고 타측은 타고정부재가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2결합부를 구비한 제3동력전달부재와 제1삽입공 및 제1연결공에 삽입되는 제1결합핀과 제2삽입공 및 제2연결공에 삽입되는 제2결합핀 및 일단부가 제1동력전달부재의 외면을 감싸고, 타단부가 제3동력전달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제1동력전달부재로부터 제3동력전달부재까지의 외면상에 장착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보호커버를 갖는 구형 유니버셜 조인트{Spherical Universal Joint with Protective Cover}
본 발명은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발생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형 유니버셜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3개 이상의 동력전달부재를 감싸는 보호커버를 구비하여 휘어진 상태에서도 파손 없이 정확하게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유니버셜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동력전달장치인 유니버셜 조인트는 구동부재와 종동부재가 일직선상이 아닌 소정각도로 휘어져 위치하는 경우에, 구동부재의 동력을 종동부재로 전달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유니버셜 조인트는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 기계의 구동장치, 전동 및 수동공구의 동력전달 등 동력발생장치의 발생동력을 타 부재에 전달해야 하는 환경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유니버셜 조인트는 사용환경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도 유연하게 휘어져 장착되어 구동부재의 동력공급각도를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장치들이 구비된 전투기의 협소한 공간으로 탄약을 공급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해야 하는 경우가 그러하다.
각도를 변경하여 구동부재의 동력을 종동부재에 전달하기 위하여, 와이어 형태의 플렉시블 조인트(Flexible joint)가 이용된다. 와이어 형태의 플렉시블 조인트는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용이하나, 반복 사용으로 인하여 휘어진 상태에서의 비틀림 토크로 인해 와이어가 파손되어 터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쉽다.
한편, 십자형 유니버셜 조인트를 사용하여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비틀림 토크로 인한 자재의 파손위험성은 감소되나, 비틀림 토크로 인해 구성각편의 꼬임현상이 발생하여 회전동력이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각 구성각편 사이의 마찰에 의한 마모현상에 의해 구성부재의 내구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생동력의 각도를 변경하면서도 휘어짐에 의해 파손되지 않고 구성각편의 꼬임현상을 최소화하여 구성부재의 내구성을 높인 유니버셜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니버셜 조인트는 일측에 타구동부재가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1결합부를 구비하고, 타측은 원주방향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제1홈부를 구비하되, 제1홈부의 일방향 외주면에서 제1홈부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제1홈부의 반대방향 외주면까지 천공되는 제1삽입공을 구비한 제1동력전달부재와 제1홈부로 삽입되는 일측에 제1연결공이 천공된 제1구체를 구비하고 타측은 원주방향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제2홈부를 구비하되, 제1홈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2홈부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제2삽입공을 구비한 제2동력전달부재와 제2홈부로 삽입되는 일측에 제2연결공이 천공된 제2구체를 구비하고 타측은 타고정부재가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2결합부를 구비한 제3동력전달부재와 제1삽입공 및 제1연결공에 삽입되는 제1결합핀과 제2삽입공 및 제2연결공에 삽입되는 제2결합핀 및 일단부가 제1동력전달부재의 외면을 감싸고, 타단부가 제3동력전달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제1동력전달부재로부터 제3동력전달부재까지의 외면상에 장착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홈부 및 제2홈부의 내측 폐쇄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를 수용하도록 폐쇄부에 형성된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연결공 및 제2연결공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연결공 및 제2연결공은 장축길이가 제1구체 및 제2구체의 구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감소하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니버셜 조인트는 또한, 탄성부재는 제1구체 및 제2구체의 구면을 수용하여 제1구체 및 제2구체를 탄력지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동력전달부재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연결공 및 제2연결공은 단축길이가 제1결합핀 및 제2결합핀의 지름과 같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연결공 및 제2연결공은 제1결합핀 및 제2결합핀이 제1연결공 및 제2연결공에 삽입되어 장축방향으로 30도까지 기울기가 변화하도록 제1구체 및 제2구체를 천공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니버셜 조인트의 꼬임현상을 방지하면서도 휘어짐으로 인한 유니버셜 조인트의 파손을 줄일 수 있어 사용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의 교체횟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니버셜 조인트에서 일부구성을 제외하고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의 제2동력전달부재의 내부를 바라본 후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유니버셜 조인트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가 휘어진 상태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의 분해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유니버셜 조인트에서 일부구성을 제외하고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의 제2동력전달부재의 내부를 바라본 후면도이다.
제1동력전달부재(100)는 일측이 제1결합부(101), 타측이 제1홈부(103)로 정의된 유니버셜조인트(10)의 구성이다.
제1결합부(101)는 타구동부재(미도시)가 결합하도록 수용공간을 갖는 원기둥형상으로, 타구동부재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원을 의미한다. 타구동부재가 결합하는 제1결합부(101)는 삽입핀을 통해 타구동부재와 연결되는 형태이거나, 타구동부재의 돌출형상에 끼움결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홈부(103)는 제1동력전달부재(100)의 타측에 구비되며, 제1동력전달부재(100)의 타측에서 외주방향의 안쪽으로 인입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제1홈부(103)에는 제1홈부(103)의 일방향 외주면으로부터 제1홈부(103)의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반대방향 외주면까지 천공되는 제1삽입공(1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삽입공(131)은 제1홈부(103)의 외주면 양 방향으로 한 쌍이 형성되어, 핀결합을 통해 제1동력전달부재(100)와 제2동력전달부재(110)를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제2동력전달부재(110)는 일측이 제1구체(111), 타측이 제2홈부(113)로 정의된 유니버셜조인트(10)의 구성이다. 제2동력전달부재(110)는 제1홈부(103)의 수용공간으로 삽입하여 제1동력전달부재(100)와 연결된다.
제1구체(111)는 제1홈부(103)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공 모양의 구체로, 구면(球面)으로부터 구체의 중심방향으로 천공된 제1연결공(141)이 구비된다. 제1구체(111)가 구형이므로 동력전달로 인한 동작에도 제2동력전달부재(110)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제2동력전달부재(110)의 제1구체(111)가 제1홈부(103)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면, 제1홈부(103)의 제1삽입공(131)과 제1구체(111)의 제1연결공(141)의 위치가 정렬된다. 제1결합핀(151)은 제1홈부(103)의 제1삽입공(131)과 제1구체(111)의 제1연결공(141)에 삽입되어 제1동력전달부재(100)와 제2동력전달부재(110)를 연결한다. 제1결합핀(151)이 제1동력전달부재(100)와 제2동력전달부재(110)를 연결하여 결합하도록, 제1결합핀(151)은 제1삽입공(131)과 끼움결합 되거나, 제1삽입공(131)의 폭과 제1결합핀(151)의 지름이 일치하여 마찰력을 극대화하는 것일 수 있다.
제2홈부(113)는 제2동력전달부재(110)의 타측에 구비되며, 제2동력전달부재(110)의 타측에서 외주방향의 안쪽으로 인입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제2홈부(113)에는 제2홈부(113)의 일방향 외주면으로부터 제2홈부(113)의 수용공간을 가로질러 반대방향 외주면까지 천공되는 제2삽입공(133)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삽입공(133)은 제2홈부(113)의 외주면 양 방향으로 한 쌍이 형성되어, 핀결합을 통해 제2동력전달부재(110)와 제3동력전달부재(120)를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제1홈부(103) 및 제2홈부(113)의 내측에는 수용공간이 막힌 폐쇄부가 형성된다. 폐쇄부에는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구체(111) 및 제2구체(121)를 지지한다.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제1구체(111) 및 제2구체(121)를 지지하면 유니버셜조인트(10)의 직립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1동력전달부재(100), 제2동력전달부재(110), 제3동력전달부재(120)가 회전동력을 전달하면서 꼬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제1구체(111) 및 제2구체(121)의 구면의 형상에 대응되면서 구면을 수용하여 탄력지지하는 코일스프링(171)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가 코일스프링(171)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제1홈부(103) 및 제2홈부(113)의 폐쇄부에는 코일스프링(171)이 놓이는 수용홈(173)이 형성된다. 코일스프링(171)은 제1구체(111) 및 제2구체(121)의 구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1구체(111) 및 제2구체(121)를 탄력지지하므로, 코일스프링(171)과 구면이 접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유니버셜조인트(10)에 다른 탄성부재보다 더 강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3동력전달부재(120)는 일측이 제2구체(121), 타측이 제2결합부(123)로 정의된 유니버셜조인트(10)의 구성이다. 제3동력전달부재(120)는 제2홈부(113)의 수용공간으로 삽입하여 제2동력전달부재(110)와 연결된다.
제2구체(121)는 제2홈부(113)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공 모양의 구체로, 구면(球面)으로부터 구체의 중심방향으로 천공된 제2연결공(143)이 구비된다. 제2구체(121)가 구형이므로 동력전달로 인한 동작에도 제3동력전달부재(120)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제3동력전달부재(120)의 제2구체(121)가 제2홈부(113)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면, 제2홈부(113)의 제2삽입공(133)과 제2구체(121)의 제2연결공(143)의 위치가 정렬된다. 제2결합핀(153)은 제2홈부(113)의 제2삽입공(133)과 제2구체(121)의 제2연결공(143)에 삽입되어 제2동력전달부재(110)와 제3동력전달부재(120)를 결합한다. 제2결합핀(153)이 제2동력전달부재(110)와 제3동력전달부재(120)를 연결하여 결합하도록 제2결합핀(153)은 제2삽입공(133)과 끼움결합 되거나, 제2삽입공(133)의 폭과 제2결합핀(153)의 지름이 일치하여 마찰력을 극대화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유니버셜 조인트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가 휘어진 상태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
제1연결공(141) 및 제2연결공(143)은 장축길이(W1)와 단축길이(W2)를 갖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공(141) 및 제2연결공(143)이 타원 형상으로 구비되면, 제1연결공(141) 및 제2연결공(143)에 삽입되는 제1결합핀(151) 및 제2결합핀(153)이 제1연결공(141) 및 제2연결공(143)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유니버셜조인트(10)가 외력에 따라 휘어질 수 있다.
제1연결공(141) 및 제2연결공(143)은 제1구체(111) 및 제2구체(121)의 구면(球面)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장축길이(W1)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1연결공(141) 및 제2연결공(143)의 장축길이(W1)가 제1구체(111) 및 제2구체(121)의 중심방향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면, 제1연결공(141) 및 제2연결공(143)은 도 6과 같이 제1구체(111) 및 제2구체(121)의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장축방향의 폭이 점점 더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제1연결공(141) 및 제2연결공(143)의 장축길이(W1)가 제1구체(111) 및 제2구체(121)의 중심방향으로 가면서 감소하는 비율은 제1결합핀(151) 및 제2결합핀(153)이 삽입되어 장축방향으로 30도까지 기울기가 변하도록 정해지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연결공(141) 및 제2연결공(143)으로 삽입되는 제1결합핀(151) 및 제2결합핀(153)은 제1구체(111) 및 제2구체(121)의 중심방향을 중심축으로 제1연결공(141) 및 제2연결공(143)의 장축방향으로 고정회전하며, 제1결합핀(151) 및 제2결합핀(153)은 장축방향의 양 측으로 각각 30도까지 고정회전할 수 있다.
제1연결공(141) 및 제2연결공(143)의 장축길이(W1)가 감소함에 따라, 제1구체(111) 및 제2구체(121)의 중심방향에서 제1연결공(141) 및 제2연결공(143)의 단면은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이 된다.
제1결합핀(151) 및 제2결합핀(153)이 제1연결공(141) 및 제2연결공(143)의 내부에서 장축방향으로 각각 30도까지 기울기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유니버셜조인트(10)는 제1동력전달부재(100)와 제3동력전달부재(120)가 도 7과 같이 60도만큼 휘어져 타구동부재와 타고정부재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연결공(141) 및 제2연결공(143)의 단축길이(W2)는 제1결합핀(151) 및 제2결합핀(153)의 지름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공(141) 및 제2연결공(143)의 단축길이(W2)가 제1결합핀(151) 및 제2결합핀(153)의 지름과 같게되어, 제1결합핀(151) 및 제2결합핀(153)은 장축방향으로만 고정회전할 수 있다.
제2결합부(123)는 타고정부재(미도시)가 결합하도록 수용공간을 갖는 원기둥형상으로, 타고정부재는 타구동부재의 종동부재를 의미한다. 종동부재는 구동부재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움직이는 부재를 의미하며, 타구동부재가 전달하는 동력에 따라 종동부재인 타고정부재가 동작한다. 타구동부재로부터 발생되거나 전달되는 동력은 유니버셜조인트(10)를 통해 각도가 변경되어 타고정부재에 전달된다. 타고정부재가 결합하는 제2결합부(123)는 삽입핀(미도시)을 통해 타고정부재와 연결되는 형태이거나, 타고정부재의 돌출형상에 끼움결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커버(180)는 제1동력전달부재(100) 및 제2동력전달부재(110)의 연결부와 제2동력전달부재(110) 및 제3동력전달부재(120)의 연결부를 감싸도록 일단부가 제1동력전달부재(100)의 외면을 감싸고, 타단부가 제3동력전달부재(120)의 외면을 감싸 제1동력전달부재(100)로부터 제3동력전달부재(120)까지의 외면상에 장착된다. 보호커버(180)가 구비되면 제1동력전달부재(100) 내지 제3동력전달부재(120)가 연결된 연결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1동력전달부재(100) 내지 제3동력전달부재(120)가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력이 보호커버(180) 자체의 물성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보호커버(18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보호커버(180)의 강도개선을 위해 PVC와 같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연성을 구비하여 커버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정 종류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니버셜조인트(10)는 제2동력전달부재(110)가 두 개 이상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제2동력전달부재(110)가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제2동력전달부재(110)가 한 개 구비된 유니버셜조인트(10)가 휘어질 수 있는 최대 각도인 60도 이상 휘어질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협소한 공간에 유니버셜조인트(10)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유니버셜조인트 100 : 제1동력전달부재
101 : 제1결합부 103 : 제1홈부
110 : 제2동력전달부재 111 : 제1구체
113 : 제2홈부 120 : 제3동력전달부재
121 : 제2구체 123 : 제2결합부
131 : 제1삽입공 133 : 제2삽입공
141 : 제1연결공 143 : 제2연결공
151 : 제1결합핀 153 : 제2결합핀
171 : 코일스프링 173 : 수용홈
180 : 보호커버
W1 : 장축길이 W2 : 단축길이

Claims (8)

  1. 일측에 타구동부재가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1결합부를 구비하고, 타측은 원주방향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제1홈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홈부의 일방향 외주면에서 상기 제1홈부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제1홈부의 반대방향 외주면까지 천공되는 제1삽입공을 구비한 제1동력전달부재;
    상기 제1홈부로 삽입되는 일측에 제1연결공이 천공된 제1구체를 구비하고 타측은 원주방향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제2홈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홈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2홈부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제2삽입공을 구비한 제2동력전달부재;
    상기 제2홈부로 삽입되는 일측에 제2연결공이 천공된 제2구체를 구비하고 타측은 타고정부재가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2결합부를 구비한 제3동력전달부재;
    상기 제1삽입공 및 상기 제1연결공에 삽입되는 제1결합핀;
    상기 제2삽입공 및 상기 제2연결공에 삽입되는 제2결합핀; 및
    일단부가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의 외면을 감싸고, 타단부가 상기 제3동력전달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로부터 상기 제3동력전달부재까지의 외면상에 장착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홈부 및 상기 제2홈부의 내측 폐쇄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폐쇄부에 형성된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공 및 상기 제2연결공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되, 장축길이가 상기 제1구체 및 상기 제2구체의 구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감소하면서 형성되고 단축길이가 상기 제1결합핀 및 상기 제2결합핀의 지름과 같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유니버셜 조인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구체 및 상기 제2구체의 구면을 수용하여 상기 제1구체 및 상기 제2구체를 탄력지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유니버셜 조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유니버셜 조인트.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공 및 상기 제2연결공은
    상기 제1결합핀 및 상기 제2결합핀이 상기 제1연결공 및 상기 제2연결공에 삽입되어 장축방향으로 30도까지 기울기가 변화하도록 상기 제1구체 및 상기 제2구체를 천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유니버셜 조인트.
KR2020160000832U 2016-02-17 2016-02-17 보호커버를 갖는 구형 유니버셜 조인트 KR200482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32U KR200482726Y1 (ko) 2016-02-17 2016-02-17 보호커버를 갖는 구형 유니버셜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32U KR200482726Y1 (ko) 2016-02-17 2016-02-17 보호커버를 갖는 구형 유니버셜 조인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526 Division 2015-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87U KR20160003487U (ko) 2016-10-10
KR200482726Y1 true KR200482726Y1 (ko) 2017-02-27

Family

ID=5713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832U KR200482726Y1 (ko) 2016-02-17 2016-02-17 보호커버를 갖는 구형 유니버셜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72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067B2 (ja) * 1993-06-30 2001-04-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空燃比検出装置の異常診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6721U (ko) * 1988-03-14 1989-09-19
JPH03157067A (ja) * 1989-11-01 1991-07-05 Yuzo Tsuruta ビデオカメラ照明用スイッチング装置
JPH094633A (ja) * 1995-06-19 1997-01-07 Honda Motor Co Ltd フレキシブルドライ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067B2 (ja) * 1993-06-30 2001-04-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空燃比検出装置の異常診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87U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5209B2 (ja) ボール継手
US9841079B2 (en) Device for guiding elongate object
US9694493B2 (en) Umbilical member arrangement structure of parallel link robot
CN102699904A (zh) 一种六自由度三支链并联机器人机构
CN102019619B (zh) 接头
KR102415855B1 (ko) 전방향 이동 바퀴 및 이를 이용한 로봇
JP5032714B1 (ja) ケーブル支持部材
KR200482726Y1 (ko) 보호커버를 갖는 구형 유니버셜 조인트
KR102009291B1 (ko) 로봇 관절 장치
US20140004963A1 (en) Telescopic universal joint
EP3306143B1 (en) Gear shift device for motor vehicles
KR101500442B1 (ko) 슬립부시
US9719553B2 (en) Rotation drive device
EP3279491A1 (en) Ball-type cross groove joint
CN109476438A (zh) 长条物的引导装置
WO2018161484A1 (zh) 一种柔性万向传动装置
KR20170020968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
CN106763128B (zh) 铰链和电子设备
TWI587986B (zh) Rotary wrench structure
BRPI1008605B1 (pt) Acoplamento elástico
KR100854785B1 (ko) 동력 전달용 축 및 이를 구비한 조향장치의 유니버설조인트
KR20100063690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유니버설 조인트
KR101289285B1 (ko) 등속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등속 구동축
KR100695447B1 (ko) 유니버설 조인트에 사용되는 슬립 조인트
CN107448467B (zh) 具有简化结构的万向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