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616Y1 -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616Y1
KR200482616Y1 KR2020160000897U KR20160000897U KR200482616Y1 KR 200482616 Y1 KR200482616 Y1 KR 200482616Y1 KR 2020160000897 U KR2020160000897 U KR 2020160000897U KR 20160000897 U KR20160000897 U KR 20160000897U KR 200482616 Y1 KR200482616 Y1 KR 200482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ray
large amount
storage case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기선
Original Assignee
문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기선 filed Critical 문기선
Priority to KR2020160000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6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8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liqu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와 같이 구성된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는 상기 좌대(2)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량의 물방울을 발생시키는 분무수단(10,20)과, 상기 좌대(2)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무수단(10,20)에 연결된 분무관(30)이 구비되며, 상기 분무관(30)에는 상기 변기본체(1)의 용변부(1a)를 향하도록 분무공(31)이 형성되어, 상기 분무수단(10,20)에서 발생된 다량의 물방울이 상기 분무관(30)을 통해 용변부(1a)로 공급되어, 악취를 제거한다.
따라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odor removing device for toilet bowl}
본 고안은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 중앙부에 오목한 용변부(1a)가 형성된 변기본체(1)와, 상기 변기본체(1)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는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의 상부에 전단부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대(2)와, 상기 좌대(2)의 상부를 덮도록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3)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는 상기 커버(3)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연 상태에서, 좌대(2)에 앉아 용변을 보게 된다.
한편, 최근 들어,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종류의 악취제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악취제거장치는 좌변기에 구비되어 악취를 제거하는 성분을 분사하거나, 상기 변기본체(1)에 연결되어 용변부(1a)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흡입하여 필터링함으로써,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악취제거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유지보수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특허 10-2005-0040657호, 등록실용신안 20-021437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 중앙부에 오목한 용변부(1a)가 형성된 변기본체(1)와, 상기 변기본체(1)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는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의 상부에 전단부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대(2)와, 상기 좌대(2)의 상부를 덮도록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3)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대(2)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량의 물방울을 발생시키는 분무수단(10,20)과, 상기 좌대(2)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무수단(10,20)에 연결된 분무관(30)을 포함하여, 상기 분무관(30)에는 상기 변기본체(1)의 용변부(1a)를 향하도록 분무공(31)이 형성되어, 상기 분무수단(10,20)에서 발생된 다량의 물방울을 상기 분무관(30)을 통해 용변부(1a)로 공급함으로써,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무수단(10,20)은 상기 분무관(30)에 연결되며 다량의 물방울을 발생시키는 물방울발생수단(10)과, 상기 분무관(30) 또는 물방울발생수단(10)에 연결되어 물방울발생수단(10)에 의해 발생된 다량의 물방울이 상기 분무관(30)의 분무공(31)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급기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물방울발생수단(10)은 상기 분무관(30)에 연결되는 저수케이스(11)와, 상기 저수케이스(11)에 연결되어 저수케이스(11)에 일정수위의 물이 저장되도록 하는 급수수단(12)과, 상기 저수케이스(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저수케이스(11)에 저장된 물을 진동시켜 다량의 물방울이 발생되도록 하는 초음파진동기(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무수단(10,20)은 상기 좌대(2)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분무관(30)은 상기 분무공(31)이 선단부에 형성된 튜브형태로 구성되어, 기단부가 상기 지수케이스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좌대(2)의 전단부에서 후방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와 같이 구성된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는 상기 좌대(2)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량의 물방울을 발생시키는 분무수단(10,20)과, 상기 좌대(2)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무수단(10,20)에 연결된 분무관(30)이 구비되며, 상기 분무관(30)에는 상기 변기본체(1)의 용변부(1a)를 향하도록 분무공(31)이 형성되어, 상기 분무수단(10,20)에서 발생된 다량의 물방울이 상기 분무관(30)을 통해 용변부(1a)로 공급되어, 악취를 제거한다.
따라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물방울발생수단(10)을 이용하여 물방울을 발생시키고, 이와 같이 발생된 물방울이 상기 분무공(31)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분무공(31)을 통해 배출되는 물방울은 연무상태이므로 물방울이 튀어서 좌대(2)에 앉은 사용자의 다리부분이나 옷에 직접 닿아 젖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변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좌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가 구비된 좌변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의 분무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좌변기는 상면 중앙부에 오목한 용변부(1a)가 형성된 변기본체(1)와, 상기 변기본체(1)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는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의 상부에 전단부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대(2)와, 상기 좌대(2)의 상부를 덮도록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3)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는 상기 좌대(2)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량의 물방울을 발생시키는 분무수단(10,20)과, 상기 좌대(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분무수단(10,20)에 연결되며 일측에는 상기 변기본체(1)의 용변부(1a)를 향하도록 분무공(31)이 형성된 분무관(3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분무수단(10,2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무수단(10,20)은 상기 분무관(30)에 연결되며 다량의 물방울을 발생시키는 물방울발생수단(10)과, 상기 분무관(30) 또는 물방울발생수단(10)에 연결되어 물방울발생수단(10)에 의해 발생된 다량의 물방울이 상기 분무관(30)의 분무공(31)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급기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물방울발생수단(10)은 상기 분무관(30)에 연결되는 저수케이스(11)와, 상기 저수케이스(11)에 연결되어 저수케이스(11)에 일정수위의 물이 저장되도록 하는 급수수단(12)과, 상기 저수케이스(11)의 내부에 구비된 초음파진동기(13)로 구성된다.
상기 저수케이스(11)는 합성수지재질의 사각 박스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면에는 상기 분무관(30)에 연결되는 배출구(11a)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수단(12)은 수도관과 상기 저수케이스(11)를 연결하여 수도관으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저수케이스(11)의 내부로 공급하는 급수관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급수관의 선단부에는 저수케이스(11)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기 급수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저수케이스(11)의 내부에 항상 일정한 수위의 물이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초음파진동기(13)는 상기 저수케이스(11)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구비되며 전원이 인가되면 저수케이스(11)에 저장된 물을 고속으로 진동시켜 다량의 미세한 물방울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초음파진동기(13)는 가습기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저수케이스(11)는 상기 좌대(2)의 후단부에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급기수단(20)은 상기 분무관(30)의 중간부에 연결된 압력케이스(21)와, 상기 압력케이스(21)에 구비된 급기팬(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압력케이스(21)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일측에는 흡기구(21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급기관(21b)을 통해 상기 분무관(30)의 중간부에 연결되는 배기구(21c)가 형성된다.
상기 급기팬(22)은 상기 압력케이스(21)의 내부에 구비된 팬본체(22a)와, 상기 팬본체(22a)에 연결되어 팬본체(22a)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2b)로 구성된다.
상기 팬본체(22a)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된 시로코팬을 이용한다.
이러한 시로코팬은 일반적인 것임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2b)로 팬본체(22a)를 회전시키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압력케이스(21)의 흡기구(21a)로 흡입된 후 상기 급기관(21b)을 통해 상기 분무관(30)으로 공급된다.
상기 분무관(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무공(31)이 선단부에 형성된 튜브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좌대(2)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분무관(30)의 기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배출공(11b)에 연결되며, 선단부는 상기 용변부(1a)를 향하도록 상기 좌대(2)의 전단부에서 후방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는, 상기 저수케이스(11)에 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진동기(13)와 급기팬(22)을 구동시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케이스(11)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서 다량의 미세한 물방울이 발생되며, 상기 급기팬(22)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분무관(30)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분무관(30)으로 공급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물방울발생수단(10)에서 발생된 다량의 물방울이 상기 분무관(30)을 따라 이동한 후 분무관(30) 선단부의 분무공(31)을 통해 변기의 용변부(1a) 상측으로 분무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용변부(1a)의 상측으로 다량의 물방울이 분무되면,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성분이 상기 용변부(1a)로 공급되는 물방울에 흡수되며, 이와 같이, 악취성분을 흡수한 물방울은 용변부(1a)로 낙하되어 제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는 상기 좌대(2)의 일측에 구비되며 다량의 물방울을 발생시키는 분무수단(10,20)과, 상기 좌대(2)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무수단(10,20)에 연결된 분무관(30)이 구비되며, 상기 분무관(30)에는 상기 변기본체(1)의 용변부(1a)를 향하도록 분무공(31)이 형성되어, 상기 분무수단(10,20)에서 발생된 다량의 물방울이 상기 분무관(30)을 통해 용변부(1a)로 공급되어, 악취를 제거한다.
따라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무수단(10,20)은 상기 분무관(30)에 연결되며 다량의 물방울을 발생시키는 물방울발생수단(10)과, 상기 분무관(30) 또는 물방울발생수단(10)에 연결되어 물방울발생수단(10)에 의해 발생된 다량의 물방울이 상기 분무관(30)의 분무공(31)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급기수단(20)으로 구성되어, 상기 물방울발생수단(10)에 의해 발생된 물방울이 상기 용변부(1a)로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물방울이 상측으로 튀어 좌대(2)에 앉은 사용자의 다리부분이나 옷이 젖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이러한 유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상기 분무관(30)에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분무관(30)에 직접 물을 공급하여 분사노즐을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방법을 강구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물이 튀어 사용자의 다리나 옷이 젖을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 상기 물방울발생수단(10)을 이용하여 물방울을 발생시키고, 이와 같이 발생된 물방울이 상기 분무공(31)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분무공(31)을 통해 배출되는 물방울은 연무상태이므로 물방울이 튀어서 좌대(2)에 앉은 사용자의 다리부분이나 옷에 직접 닿아 젖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급기수단(20)의 압력케이스(21)는 급기관(21b)을 통해 상기 분무관(30)의 중간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수단(20)의 급기관(21b)은 상기 물방울발생수단(10)의 저수케이스(11)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수단(12)은 수도관과 상기 저수케이스(11)를 연결하여 수도관으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저수케이스(11)의 내부로 공급하는 급수관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비데가 구비된 변기의 경우, 비데의 급수장치를 상기 급수수단(12)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방울발생수단(10)은 상기 저수케이스(11)의 내부에 구비된 초음파진동기(13)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히터 등과 같이,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10,20. 분무수단 10. 물방울발생수단
20. 급기수단 30. 분무관

Claims (4)

  1. 상면 중앙부에 오목한 용변부(1a)가 형성된 변기본체(1)와, 상기 변기본체(1)의 상면 테두리에 대응되는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변기본체(1)의 상부에 전단부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좌대(2)와, 상기 좌대(2)의 상부를 덮도록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3)를 포함하며,
    상기 좌대(2)의 일측에 구비되며 연무상태의 다량의 물방울을 발생시키는 분무수단(10,20)과,
    상기 좌대(2)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무수단(10,20)에 연결된 분무관(30)을 포함하여,
    상기 분무관(30)에는 상기 변기본체(1)의 용변부(1a)를 향하도록 분무공(31)이 형성되어,
    상기 분무수단(10,20)에서 발생된 다량의 물방울을 상기 분무관(30)을 통해 용변부(1a)로 공급함으로써,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분무수단(10,20)은,
    상기 분무관(30)에 연결되며 다량의 물방울을 발생시키는 물방울발생수단(10)과,
    상기 분무관(30) 또는 물방울발생수단(10)에 연결되어 물방울발생수단(10)에 의해 발생된 다량의 물방울이 상기 분무관(30)의 분무공(31)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급기수단(20)을 포함하고,
    상기 물방울발생수단(10)은,
    상기 분무관(30)에 연결되는 저수케이스(11)와,
    상기 저수케이스(11)에 연결되어 저수케이스(11)에 일정수위의 물이 저장되도록 하는 급수수단(12)과,
    상기 저수케이스(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저수케이스(11)에 저장된 물을 진동시켜 다량의 물방울이 발생되도록 하는 초음파진동기(13)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수단(20)은 분무관(30)의 중간부에 연결된 압력케이스(21)와, 압력케이스(21)에 구비된 급기팬(22)을 포함하는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기수단(20)의 압력케이스(21)는 급기관(21b)을 통해 상기 분무관(30)의 중간부에 연결되고,
    상기 분무수단(10,20)은 상기 좌대(2)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분무관(30)은 상기 분무공(31)이 선단부에 형성된 튜브형태로 구성되어 좌대(2)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되, 분무관(30)의 기단부가 상기 저수케이스(11)에 연결되고 선단부가 상기 좌대(2)의 전단부에서 후방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초음파진동기(13)와 급기팬(22)을 구동시키면, 상기 저수케이스(11)의 내부에 저장된 물에서 연무상태의 다량의 물방울이 발생되며, 상기 급기팬(22)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분무관(30)으로 공급되고, 분무관(30)으로 공급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연무상태의 다량의 물방울이 상기 분무관(30)을 따라 이동한 후 분무관(30) 선단부의 분무공(31)을 통해 변기의 용변부(1a) 상측으로 분무되어, 상기 용변부(1a)로 공급되는 연무상태의 다량의 물방울에 의해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성분이 흡수되며,
    상기 급기팬(22)은 상기 압력케이스(21)의 내부에 구비된 팬본체(22a)와, 상기 팬본체(22a)에 연결되어 팬본체(22a)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2b)로 구성되고,
    상기 팬본체(22a)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된 시로코팬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60000897U 2016-02-19 2016-02-19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KR200482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97U KR200482616Y1 (ko) 2016-02-19 2016-02-19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97U KR200482616Y1 (ko) 2016-02-19 2016-02-19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616Y1 true KR200482616Y1 (ko) 2017-02-13

Family

ID=5840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897U KR200482616Y1 (ko) 2016-02-19 2016-02-19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6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719Y1 (ko) 2021-11-04 2022-08-02 문기선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626A (ja) * 1991-08-06 1993-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便器脱臭装置
KR200262167Y1 (ko) * 2001-09-04 2002-03-18 권순영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20050040657A (ko) 2003-10-28 2005-05-03 (주)유성 양변기내의 악취 제거 장치
KR20100102953A (ko) * 2009-03-12 2010-09-27 주식회사 희람테크 물 비산 방지수단이 구비된 변기뚜껑
KR20120086891A (ko) * 2011-01-27 2012-08-06 김성태 악취제거용 분무노즐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626A (ja) * 1991-08-06 1993-0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便器脱臭装置
KR200262167Y1 (ko) * 2001-09-04 2002-03-18 권순영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20050040657A (ko) 2003-10-28 2005-05-03 (주)유성 양변기내의 악취 제거 장치
KR20100102953A (ko) * 2009-03-12 2010-09-27 주식회사 희람테크 물 비산 방지수단이 구비된 변기뚜껑
KR20120086891A (ko) * 2011-01-27 2012-08-06 김성태 악취제거용 분무노즐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719Y1 (ko) 2021-11-04 2022-08-02 문기선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9017B2 (en) Cleaning implement with mist generating system
US5502872A (e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steam discharge and cloth wiper
JP6699382B2 (ja) 温水洗浄便座装置
KR101977027B1 (ko) 버블공급기구를 구비한 도기세정장치 및 도기세정장치의 세정방법
JP2010242486A (ja) 殺菌水噴射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ビデ及び便座
JP2016050686A (ja) 超音波式加湿器
KR200482616Y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JP4747813B2 (ja) トイレ装置
JP2012019825A (ja) 洗顔器
JP2017125623A (ja) レンジフード
KR100784315B1 (ko) 가습기
KR20160012363A (ko) 변기시트의 세정장치
JP3139247U (ja) 噴霧鼻洗い器の装置
KR101679577B1 (ko) 상부급수식 초음파 가습기
US20220202161A1 (en)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 shaving device and shaving system including such a cleaning device
KR200360077Y1 (ko) 가습기의 분무장치
KR101423288B1 (ko) 습윤공기 분사장치
US20040177473A1 (en) Air exhaust system for a cleaning machine
JP2008221134A (ja) ミスト発生装置
CN206660244U (zh) 一种具有自净化功能的超声波雾化器
JP7492892B2 (ja) 便器装置
JP3993808B2 (ja) 乾燥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4197057B2 (ja) 負イオン発生装置
JP2003276575A (ja) 洗車具
JP2007130555A (ja) 噴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