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293Y1 -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293Y1
KR200482293Y1 KR2020160004089U KR20160004089U KR200482293Y1 KR 200482293 Y1 KR200482293 Y1 KR 200482293Y1 KR 2020160004089 U KR2020160004089 U KR 2020160004089U KR 20160004089 U KR20160004089 U KR 20160004089U KR 200482293 Y1 KR200482293 Y1 KR 200482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esign
lamp
light emitting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민
Original Assignee
백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민 filed Critical 백승민
Priority to KR2020160004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2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74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5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mov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21W210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은, 복수의 발광소자들로 이루어진 발광소자 배열판으로 구현되어, 차량의 외관에 마련되는 차량용 램프;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어 CAN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외부의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로서, 운전자가 선택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수신하는 차량 통신 유닛; 및 차량의 내부에 마련된 차량 제어 모듈로서, 상기 차량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가지도록 상기 발광소자 배열판의 발광소자들을 개별 발광시키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System for vehicle light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으로서,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을 손쉽게 바꿀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램프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빛을 방사하는 광원(10)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빛을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한 패턴을 갖고 조사되도록 하는 반사경(20)과 렌즈(30)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존의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통상 광원(10)은 필라멘트의 발열에 의하여 빛을 내는 점광원(10)이 사용되며, 포물면을 갖는 반사경의 초점 상에 놓인다. 또한, 반사경(20)과 렌즈(30)는 적절히 설계되어 램프의 광선 패턴, 즉 원하는 조도의 분포 및 광선의 출사각을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프론트 램프(front lamp), 브레이크등과 같이 차량의 후미에 마련되는 테일 램프(tail lamp) 등에 적용될 수 있는데, 차량의 종류마다 각각 다른 디자인을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디자인에 따라서 램프의 디자인이 변경될 경우, 요구되는 램프의 디자인 설계 및 제작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차량 운전자 입장에서도 차량의 프론트 램프, 테일 램프 등의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이 획일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에 대하여 쉽게 싫증을 느끼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021474호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프론트 램프, 테일 램프 등의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을 손쉽게 바꿀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은, 복수의 발광소자들로 이루어진 발광소자 배열판으로 구현되어, 차량의 외관에 마련되는 차량용 램프;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어 CAN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외부의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로서, 운전자가 선택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수신하는 차량 통신 유닛; 및 차량의 내부에 마련된 차량 제어 모듈로서, 상기 차량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가지도록 상기 발광소자 배열판의 발광소자들을 개별 발광시키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은, 운전석의 대쉬보드에 마련되어, 운전자로부터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선택받아, 선택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상기 CAN 통신을 통하여 상기 차량 통신 유닛에 전송하는 운전석 조작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은, 운전자가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서, 운전자로부터 선택되는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상기 이동통신을 통하여 차량 통신 유닛에 전송하는 운전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단말기는,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을 하는 단말기 RF 통신부; 차량용 램프 디자인의 후보 디자인들의 리스트인 디자인 후보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디자인 후보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후보 디자인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는 입력부; 및 운전자로부터 선택된 후보 디자인을 상기 이동통신을 통하여 상기 차량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는 차량용 램프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주간 시간대에는 디자인 제1크기가 할당되어 저장되며, 미리 설정된 야간 시간대에는 디자인 제2크기가 할당되어 저장되어 있는 시간대별 디자인크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주간 시간대가 도래하면 상기 차량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의 크기가 상기 디자인 제1크기가 되도록 상기 발광소자 배열판의 발광소자들을 개별 발광시키며, 상기 야간 시간대가 도래하면 상기 차량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의 크기가 상기 디자인 제2크기가 되도록 상기 발광소자 배열판의 발광소자들을 개별 발광시킬 수 있다.
상기 디자인 제1크기가 상기 디자인 제2크기보다 더 큼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의 프론트 램프, 테일 램프 등의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을 운전자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바꿀 수 있어, 운전자의 운전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 예시를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조작 패널을 통하여 차량용 램프 디자인이 선택되어 제공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를 통하여 차량용 램프 디자인이 선택되어 제공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후보 리스트가 운전자 단말기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시간대별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의 크기가 달라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고안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 예시를 도시한 그림이다.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램프(110), 차량 통신 유닛(120), 및 전자제어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시간대별 디자인 크기 데이터베이스(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10), 차량 통신 유닛(120), 및 전자제어유닛(140)간은 CAN 통신과 같이 차량 내부의 통신망을 통하여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참고로 CAN 통신(Controller Area Network)이라 함은, 차량 내에서 호스트 컴퓨터 없이 마이크로 콘트롤러나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 통신 규격이다. CAN 통신은 메시지 기반 프로토콜로서, OBD-II라고 불리는 차량 진단용 통신 표준의 5대 프로토콜 중 하나로 포함되어 있다.
차량용 램프(110)는, 복수의 발광소자들로 이루어진 발광소자 배열판으로 구현되어, 차량의 외관에 마련된다. 발광소자는, LED, OLED 등의 발광소자가 해당될 수 있으며, 그밖에 공지된 다양한 발광소자가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110)의 예시 설명을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미에 마련되는 후미등과 같은 테일 램프(tail lamp)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테일 램프(front lamp) 등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할 것이다.
차량 통신 유닛(120)은,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어 CAN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외부의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로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는 단말로부터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수신한다.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선택받는 단말이 차량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면 차량 표준 통신 규격인 CAN 통신을 통하여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수신하며,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선택받는 단말이 차량 외부의 단말이라면 이동통신(3G,4G/LTE 등)을 통하여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수신할 수 있다.
차량전자제어유닛(140)은, 차량의 내부에 마련된 차량 제어 모듈로서, 차량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가지도록 발광소자 배열판의 발광소자들을 개별 발광시킨다. 예를 들어, 수신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이 제1디자인이라면 차량에 마련된 차량용 램프(110)를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디자인의 램프를 가지도록 발광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이 제2디자인이라면 차량에 마련된 차량용 램프(110)를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디자인의 램프를 가지도록 발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의 램프를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 형태로 손쉽게 선택하여,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서 차량용 램프(110)를 발광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차량용 램프(110)의 디자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어 CAN 통신을 통하여 또는 외부의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운전자가 선택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수신하는데, 이러한 운전자의 선택 수단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와 함께 상술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조작 패널을 통하여 차량용 램프 디자인이 선택되어 제공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를 통하여 차량용 램프 디자인이 선택되어 제공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후보 리스트가 운전자 단말기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시간대별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의 크기가 달라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운전자가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선택함에 있어서, 두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하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조작 패널(200)을 통하여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선택하는 것이다. 운전석 조작 패널(200)은, 운전석의 대쉬보드에 마련되어, 운전자로부터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선택받아, 선택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CAN 통신을 통하여 차량 통신 유닛(120)에 전송한다.
운전자가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선택하는 다른 하나의 방식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운전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선택하는 것이다. 운전자 단말기(300)는, 운전자가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서, 운전자로부터 선택되는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이동통신을 통하여 차량 통신 유닛(120)에 전송한다. 다만, 운전자 단말기(300)와 차량 통신 유닛(120)은, 각각 고유한 식별정보를 차량용 램프 디자인 서버(미도시)에 등록하고 있어, 운전자 단말기(300)가 차량용 램프 디자인 서버(미도시)를 경유하여 운전자 단말기(300)에 할당된 차량 통신 유닛(120)에 운전자로부터 선택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전송할 수 있다.
참고로, 운전자 단말기(300)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이동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운전자 단말기(3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RF 통신부(320), 표시부(330), 입력부(340), 및 차량용 램프 디자인 어플리케이션(31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RF 통신부(320)는,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을 하는 모듈이다. 3G, 4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330)는, 차량용 램프 디자인의 후보 디자인들의 리스트인 디자인 후보 리스트를 표시하는 모듈이다. 도 8과 같이 디자인 후보 리스트들이 표시부(330)에 표시된다.
입력부(340)는, 디자인 후보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후보 디자인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는 모듈이다. 표시부(330)와 입력부(340)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단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운전자와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차량용 램프 디자인 어플리케이션(310)은, 운전자로부터 선택된 후보 디자인을 이동통신을 통하여 차량 통신 유닛(120)으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310)이다. 즉, 차량용 램프 디자인 어플리케이션(310)이 실행되면, 차량용 램프 디자인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한다. 그리고 차량용 램프 디자인 서버(미도시)에서 제공하는 디자인 후보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부(330)에 표시하며, 운전자로부터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선택받는다. 그리고, 선택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차량용 램프 디자인 서버(미도시)를 거쳐 차량 통신 유닛(120)에 전송한다.
참고로, 스마트폰(smart phone) 등으로 구현되는 운전자 단말기(300)는,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310)(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310)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마켓, 애플스토어 등에서 차량용 램프 디자인 어플리케이션(310)을 다운로드받아 운전자 단말기(300)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대낮과 같은 주간 시간대는 주변이 밝기 때문에 차량용 램프(110)를 식별함에 있어서, 어두운 야간 시간대보다 더 곤란한 경우가 많다. 이에 본 고안은, 운전자로부터 선택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이라 할지라도 주간 시간대와 야간 시간대에 따라서 각각 다른 크기로 발광하도록 구현한다.
이를 위해,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10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주간 시간대에는 디자인 제1크기가 할당되어 저장되며, 미리 설정된 야간 시간대에는 디자인 제2크기가 할당되어 저장되어 있는 시간대별 디자인 크기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DB;Database)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전자제어유닛(140)은, 주간 시간대(예컨대, 06:00~18:00)가 도래하면 차량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의 크기가 디자인 제1크기가 되도록 발광소자 배열판의 발광소자들을 개별 발광시킨다.
또한 전자제어유닛(140)은, 야간 시간대(예컨대, 18:00~익일06:00)가 도래하면 차량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의 크기가 상기 디자인 제2크기가 되도록 발광소자 배열판의 발광소자들을 개별 발광시킨다.
이러한 디자인 제1크기와 디자인 제2크기는 서로 다른 크기로 할당되는데, 주간 시간대에 할당된 디자인 제1크기가 야간 시간대에 할당된 디자인 제2크기보다 더 크게 할당될 수 있다. 주간에는 주변이 밝기 때문에 차량용 램프 디자인의 크기를 야간보다 더 크게 하여 인식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디자인 제1크기를 발광소자 배열판의 전체면적의 80% 크기가 되도록 발광시키며, 디자인 제2크기를 발광소자 배열판의 전체면적의 50% 크기가 되도록 발광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차량용 발광 램프 시스템 110:차량용 램프
120:차량통신유닛
130:시간대별 디자인 크기 데이터베이스
140:전자제어유닛
300:운전자 단말기

Claims (6)

  1. 복수의 발광소자들로 이루어진 발광소자 배열판으로 구현되어, 차량의 외관에 마련되는 차량용 램프;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어 CAN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외부의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로서, 운전자가 선택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수신하는 차량 통신 유닛; 및
    차량의 내부에 마련된 차량 제어 모듈로서, 상기 차량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가지도록 상기 발광소자 배열판의 발광소자들을 개별 발광시키는 전자제어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주간 시간대에는 디자인 제1크기가 할당되어 저장되며, 미리 설정된 야간 시간대에는 디자인 제2크기가 할당되어 저장되어 있는 시간대별 디자인크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주간 시간대가 도래하면 상기 차량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의 크기가 상기 디자인 제1크기가 되도록 상기 발광소자 배열판의 발광소자들을 개별 발광시키며, 상기 야간 시간대가 도래하면 상기 차량 통신 유닛을 통해 수신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의 크기가 상기 디자인 제2크기가 되도록 상기 발광소자 배열판의 발광소자들을 개별 발광시키는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은,
    운전석의 대쉬보드에 마련되어, 운전자로부터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선택받아, 선택된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상기 CAN 통신을 통하여 상기 차량 통신 유닛에 전송하는 운전석 조작 패널;
    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은,
    운전자가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서, 운전자로부터 선택되는 차량용 램프 디자인을 상기 이동통신을 통하여 차량 통신 유닛에 전송하는 운전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단말기는,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을 하는 단말기 RF 통신부;
    차량용 램프 디자인의 후보 디자인들의 리스트인 디자인 후보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디자인 후보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후보 디자인을 운전자로부터 선택받는 입력부; 및
    운전자로부터 선택된 후보 디자인을 상기 이동통신을 통하여 상기 차량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는 차량용 램프 디자인 어플리케이션;
    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제1크기가 상기 디자인 제2크기보다 더 큼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
KR2020160004089U 2016-07-15 2016-07-15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 KR200482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89U KR200482293Y1 (ko) 2016-07-15 2016-07-15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89U KR200482293Y1 (ko) 2016-07-15 2016-07-15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293Y1 true KR200482293Y1 (ko) 2017-01-23

Family

ID=57963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089U KR200482293Y1 (ko) 2016-07-15 2016-07-15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2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482B1 (ko) * 2020-10-21 2021-05-12 마준성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7055B1 (ko) * 2022-08-25 2023-04-28 주식회사 유닉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0411B1 (ko) * 2022-03-07 2023-05-10 금문산업(주) 차량용 조명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5765A (ja) * 2004-12-28 2006-07-13 Yoshiro Mizuno 自立制御機能を備えたユニットからなる照明システム、電飾システムおよび表示システム
JP2009224191A (ja) * 2008-03-17 2009-10-01 Stanley Electric Co Ltd 照明装置
KR20110021474A (ko) 2009-08-26 2011-03-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JP2012183863A (ja) * 2011-03-03 2012-09-27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照明装置
JP2015053183A (ja) * 2013-09-06 2015-03-19 豊田合成株式会社 Led発光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5765A (ja) * 2004-12-28 2006-07-13 Yoshiro Mizuno 自立制御機能を備えたユニットからなる照明システム、電飾システムおよび表示システム
JP2009224191A (ja) * 2008-03-17 2009-10-01 Stanley Electric Co Ltd 照明装置
KR20110021474A (ko) 2009-08-26 2011-03-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JP2012183863A (ja) * 2011-03-03 2012-09-27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照明装置
JP2015053183A (ja) * 2013-09-06 2015-03-19 豊田合成株式会社 Led発光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482B1 (ko) * 2020-10-21 2021-05-12 마준성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0411B1 (ko) * 2022-03-07 2023-05-10 금문산업(주) 차량용 조명장치
KR102527055B1 (ko) * 2022-08-25 2023-04-28 주식회사 유닉트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35567B (zh) 发光控制系统
US20230194055A1 (en)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US10046637B2 (en) In-vehicle component control user interface
KR200482293Y1 (ko) 차량용 램프 발광 시스템
US20120299709A1 (en)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and medium to be attached to electrical device
US11338722B2 (en) Control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 lighting
CN104296116A (zh) 一种具有音频播放功能的无线控制照明装置
US11470705B2 (en) Vehicle smart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5209969A (zh) 公演演出方法及利用其的公演演出系统
US20160337565A1 (en) Image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KR20130093853A (ko) 멀티비전에서의 아이디 할당 방법
KR20190016530A (ko)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KR102376722B1 (ko)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KR20240052007A (ko) 투영 led 광원을 갖는 led 레트로핏 차량 시그널링 램프, 이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폰 앱 및 대응하는 시스템
KR102093280B1 (ko)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US20240152308A1 (en) Multi-display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EP3132658A1 (en) Adaptive roadway light
KR20170142155A (ko) 전자 코드 정보를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KR102410046B1 (ko)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KR20200032078A (ko)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TW201826852A (zh) 可攜式無線通訊裝置、包含可攜式無線通訊裝置的無線定位系統及其定位方法
KR101811622B1 (ko)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JP2022184086A (ja) 灯具システム、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70070036A1 (en) Electronic presentation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170101485A (ko) 전자 코드 정보를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