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859Y1 - 캔 용기 - Google Patents

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859Y1
KR200481859Y1 KR2020150004057U KR20150004057U KR200481859Y1 KR 200481859 Y1 KR200481859 Y1 KR 200481859Y1 KR 2020150004057 U KR2020150004057 U KR 2020150004057U KR 20150004057 U KR20150004057 U KR 20150004057U KR 200481859 Y1 KR200481859 Y1 KR 200481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kirt
container cover
opening member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헌
Original Assignee
평안제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안제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안제관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4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8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8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861Non-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 B65D2543/0087Non-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outside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커버의 개봉 시, 신체 부상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한 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캔 용기는,
내부에 상측 개구된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부 외주연에는 컬링부가 형성된 캔 용기본체;
상기 캔 용기본체의 수용부를 폐쇄하는 것으로, 테두리에 상기 용기본체의 컬링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 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연장형성되고 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등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스커트가 구비된 용기커버;
로 이루어진 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에는,
상호 결합된 용기본체의 컬링부와 용기커버의 결합부를 분리하는 개봉부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캔 용기의 용기커버를 개봉 시, 공구를 사용하지 않는 동시에, 용기커버의 날카로운 단부와 사용자의 신체가 접하지 않도록 한 캔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개봉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신체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캔 용기{Can container}
본 고안은 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캔 용기 본체와 결합된 용기커버의 개봉 시, 사용자의 신체 부상을 방지하고, 용기커버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한 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캔 용기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2846호(2000.08.31.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캔 용기의 뚜껑 안전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캔 용기의 개구 주연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상면 둘레를 따라 감합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감합돌출부의 하방으로 다수의 결합편이 연장 형성된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형성된 각 결합편의 말단부를 외향으로 절곡하거나 둥글게 말아서, 상기 각 결합편이 캔 용기의 개구 주연부 둘레에 클램핑 시, 결합편의 날카로운 말단부가 과도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뚜껑의 개봉 시, 상기 결합편의 말단부에 의한 사용자의 신체 부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뚜껑의 개봉 시, 결합편의 날카로운 말단부에 사용자의 신체가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하고는 있으나,
사용자가 결합편에 형성된 구멍에 공구(예;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뚜껑을 개봉 시, 공구에 의해 부상을 당하기도 하며, 선행기술의 도 3 및 도 4의 구조에서는 경우에 따라 말단부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가 부상을 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캔 용기의 용기커버를 개봉 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용기커버를 개봉하는 동시에, 용기커버의 날카로운 단부와 사용자의 신체가 접하지 않도록 한 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캔 용기는,
내부에 상측 개구된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부 외주연에는 컬링부가 형성된 캔 용기본체;
상기 캔 용기본체의 수용부를 폐쇄하는 것으로, 테두리에 상기 용기본체의 컬링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 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연장형성되고 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등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스커트가 구비된 용기커버;
로 이루어진 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에는,
상호 결합된 용기본체의 컬링부와 용기커버의 결합부를 분리하는 개봉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캔 용기의 용기커버를 개봉 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개봉을 하며, 용기커버의 날카로운 단부와 사용자의 신체가 접하지 않도록 한 캔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용기커버의 개봉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신체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캔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용기커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캔 용기의 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용기커버의 개봉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용기커버의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캔 용기는,
크게 용기본체(1) 및 용기커버(2)로 이루어지며, 용기커버(2)는 결합부(20), 스커트(21) 및 개봉부재(22)로 이루어진다.
용기본체(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재질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수용부(10)가 구비되고, 상부 외주연에는 그 둘레를 따라 컬링부(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컬링부(11)는 컬링(Curling) 가공에 의해 상방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용기본체(1)는 사각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용기커버(2)는,
상기 용기본체(1)의 수용부(10)를 폐쇄하는 것으로, 용기본체(1)와 마찬가지로 재질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크게 결합부(20), 스커트(21) 및 개봉부재(22)로 이루어진다.
결합부(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커버(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데, 용기커버(2)의 컬링부(11)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 된다.
따라서 결합부(20)는 용기커버(2)의 상판(23) 둘레를 따라 용기본체(1)의 컬링부(11)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컬링부(11)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용기커버(2)의 상판(23) 둘레와 접하고, 타단은 용기본체(1)의 둘레와 접하게 된다.
스커트(2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는데, 결합부(20)의 둘레를 따라 등 간격으로 다수가 배열된다.
이때 각 스커트(21)의 중앙부에는 관통공(211)이 형성된다.
개봉부재(2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된 용기본체(1)의 컬링부(11)와 용기커버(2)의 결합부(20)를 분리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커트(21)의 하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봉부재(22)는 상호 인접한 두 스커트(21)를 상방으로 꺾을 수 있도록, 상기 두 스커트(21)의 하부에 형성된 손잡이(221)로 이루어지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나란히 배치된 두 수직프레임(222), 상기 두 수직프레임(222)의 하측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프레임(223) 및 상기 두 수직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는 걸림프레임(224)으로 형성된다.
이때 각 걸림프레임(224)은 상호 인접한 각 스커트(21)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관통공(211)을 각각 통과한 후, 각 스커트(21)의 외면에 접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223)에는 그 둘레를 감싸면서 수평프레임(223)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그립부(225)가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용기커버(2)가 개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봉부재(22)에 형성된 그립부(225)를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개봉부재(22)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때 상기 그립부(225)로 인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봉부재(22)를 들어올릴 수 있다.
개봉부재(22)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스커트(2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수직프레임(222)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스커트(21)를 밀게 된다.
따라서 개봉부재(22)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스커트(21)가 동시에 이동을 하게 되어, 상기 용기커버(2)가 상기 용기본체(1)와 분리되면서 수용부(10)가 개방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뾰족한 공구를 스커트(21)에 형성된 관통공(211)에 넣고 들어올리면, 공구의 단부가 유동하는 경우가 많아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낀다.
또한 공구나 스커트(21)의 날카로운 단부에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런데 본 고안의 경우에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상호 인접한 두 스커트(21)에 견고하게 결합 되어 있는 개봉부재(22)가 유동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기커버(2)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군다나 본 고안의 경우에는 용기커버(2)의 개봉 시, 사용자의 신체가 스커트(21)의 날카로운 단부와 접하지 않은 구조이다.
따라서 용기커버(2)의 개봉작업이 용이한 동시에,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캔 용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캔 용기 본체
10 ; 수용부 11 ; 컬링부
2 ; 용기 커버
20 ; 결합부
21 ; 스커트
211 ; 관통공
22 ; 개봉부재
221 ; 손잡이 222 ; 수직프레임
223 ; 수평프레임 224 ; 걸림프레임
225 ; 그립부
23 ; 상판

Claims (4)

  1. 내부에 상측 개구된 수용부(10)가 구비되고 상부 외주연에는 컬링부(11)가 형성된 캔 용기본체(1);
    상기 캔 용기본체(1)의 수용부(10)를 폐쇄하는 것으로, 테두리에 상기 용기본체(1)의 컬링부(11)와 분리가능하게 결합 되는 결합부(20) 및 상기 결합부(2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고 결합부(20)의 둘레를 따라 등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스커트(21)가 구비된 용기커버(2);
    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커트(21)에는 상호 결합된 용기본체(1)의 컬링부(11)와 용기커버(2)의 결합부(20)를 분리하는 개봉부재(22)가 구비되며,
    상기 개봉부재(22)는 상호 인접한 두 스커트(21)를 상방으로 꺾을 수 있도록 상기 두 스커트(21)의 하부에 형성된 손잡이(221)로 이루어진 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21)에는 관통공(211)이 형성되고,
    상기 개봉부재(22)는,
    좌우 나란히 배치된 두 수직프레임(222);
    상기 두 수직프레임(222)의 하측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프레임(223); 및
    상기 두 수직프레임(222)의 상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스커트(21)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관통공(211)을 통과한 후, 스커트(21)의 외면에 접하도록 절곡된 걸림프레임(224);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재(22)는,
    수평프레임(223)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그립부(2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용기.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4057U 2015-06-19 2015-06-19 캔 용기 KR200481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057U KR200481859Y1 (ko) 2015-06-19 2015-06-19 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057U KR200481859Y1 (ko) 2015-06-19 2015-06-19 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859Y1 true KR200481859Y1 (ko) 2016-11-18

Family

ID=5770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057U KR200481859Y1 (ko) 2015-06-19 2015-06-19 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85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3599A (en) * 1980-12-17 1982-06-08 The Continental Group, Inc. Crimped-on drum cover handle
KR200202846Y1 (ko) * 2000-05-31 2000-11-15 김이현 캔 용기의 뚜껑안전 구조
JP2001130612A (ja) * 1999-11-09 2001-05-15 Kita Sangyo Kk キャップ
KR101029206B1 (ko) * 2010-03-09 2011-04-12 남아제관주식회사 부정개봉방지 기능이 구비되는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3599A (en) * 1980-12-17 1982-06-08 The Continental Group, Inc. Crimped-on drum cover handle
JP2001130612A (ja) * 1999-11-09 2001-05-15 Kita Sangyo Kk キャップ
KR200202846Y1 (ko) * 2000-05-31 2000-11-15 김이현 캔 용기의 뚜껑안전 구조
KR101029206B1 (ko) * 2010-03-09 2011-04-12 남아제관주식회사 부정개봉방지 기능이 구비되는 밀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56512S1 (en) Canister lid
USD813285S1 (en) Intelligent robot for commercial service
USD897849S1 (en) Container with child resistant closure
USD817090S1 (en) Chimney vent cap
RU2365527C1 (ru) Затвор для сосуда
USD871212S1 (en) Bag closure clip
USD855461S1 (en) Bottle cap having an inner lid
USD805363S1 (en) Container
USD838167S1 (en)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D869376S1 (en) Venting device
US20110283509A1 (en) Container Protector
USD837319S1 (en) Golf club head cover with closure
KR200481859Y1 (ko) 캔 용기
US20180002083A1 (en) Cup Sleeve and Cup Assembly
CN107334392A (zh) 壶盖及保温壶
US20150083740A1 (en) Container Protector
JP6715058B2 (ja) 容器本体
CA2749773C (en) Container assembly with removable lid
KR200459530Y1 (ko) 착탈식 일체형 캡
KR100953894B1 (ko)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
USD931721S1 (en) Vent plug
KR101193645B1 (ko) 안전 캔 용기
KR101181510B1 (ko) 조리용기 뚜껑
JP2017100756A (ja) 容器
KR102185069B1 (ko) 주방용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