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794Y1 -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794Y1
KR200481794Y1 KR2020160002191U KR20160002191U KR200481794Y1 KR 200481794 Y1 KR200481794 Y1 KR 200481794Y1 KR 2020160002191 U KR2020160002191 U KR 2020160002191U KR 20160002191 U KR20160002191 U KR 20160002191U KR 200481794 Y1 KR200481794 Y1 KR 200481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olishing
elastic
hybrid cutting
glos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철
Original Assignee
안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철 filed Critical 안동철
Priority to KR2020160002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7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7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14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 front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3/00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 B24D13/14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 front face
    • B24D13/147Wheels having flexibly-acting working parts, e.g. buffing wheels; Mountings therefor acting by the front face comprising assemblies of felted or spongy material; comprising pads surrounded by a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Abstract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가 개시된다.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는, 일측면에는 광택 대상 표면에 회전 접촉되는 복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패브릭 재질을 포함하는 광택 패드와, 광택 패드의 타측면에 접착되며 광택 패드과 동일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되며 폴리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 패드와, 일측면은 탄성 패드의 측면에 접착되며 타측면은 회전 구동체에 부착되는 접착 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HYBRID CUTTING PAD}
본 고안은 페인트 등의 도장면의 불균일한 부분의 광택 작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하는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페인트 도장면의 표면에는 먼지나 오물이 묻거나 흠집이 생기게 되면 미관에도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차체 표면이 쉽게 부식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 외부 표면을 보호하고 자동차 외관의 청결과 미관을 위해 물을 이용하여 세차하고, 물기를 제거한 다음에 차체 표면을 컴파운드 등의 왁스(wax)를 칠하고 광택(polish)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페인트 도장면의 표면이 코팅되면 미관상으로도 좋을 뿐 아니라, 상당 기간 동안은 먼지 떨이개로 자동차 표면에 묻어있는 먼지나 오물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세차를 자주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차체 표면에 광택을 내기 위해서는 부드러운 천을 이용하여 차체 표면을 반복적으로 마찰해주어야 하는데, 이를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힘이 드는 고된 작업이다.
또한 넓은 차체 표면을 균일하게 광택내기 쉽지 않다. 따라서 전문적인 광택장비를 보유한 세차장이나 카센타, 정비 공장과 같은 곳에 세차및 광택을 맡기게 되는데 이것이 상당한 경제적 부담이 된다.
아울러, 광택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컴파운드 등의 왁스로부터 발생되는 찌꺼기 이물질에 의해 차량 페인트 도장면에 스크래치 등의 흠이 발생될 수 있어, 원활한 광택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4-0111732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페인트 도장면 등의 표면 광택 작업 과정에서 스크래치 등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인 광택 작업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일측면에는 광택 대상 표면에 회전 접촉되는 복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패브릭 재질을 포함하는 광택 패드와, 광택 패드의 타측면에 접착되며 광택 패드과 동일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되며 폴리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 패드와, 일측면은 탄성 패드의 측면에 접착되며 타측면은 회전 구동체에 부착되는 접착 패드를 포함한다.
광택 패드와 상기 광택 대상 표면의 사이에는 광택제가 도포될 수 있다.
돌기부들의 사이 부분에는 광택 패드의 내부로 인입되어 형성되어 회전 구동체의 회전 작동시 광택제로부 발생되는 이물질이 인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인입홈은 광택 패드의 표면에 복수개의 열과 복수개의 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택 패드와 탄성 패드와 접착 패드에는 서로간에 연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광택 패드는, 패브릭 재질과 폴리우레탄 재질이 혼합되어 경화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택 패드와 탄성 패드와 접착 패드의 적층된 가장자리 부분에는 복수개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접착 패드는 회전 구동체에 부착되는 벨크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브릭 재질이 부직포 재질과 폴리우레탄 재질이 혼합된 재질의 광택 패드가 페인트 도장면에 회전 접촉되고, 광택 패드의 인입홈에 컴파운드 이물질이 유입되는 바, 스크래치 등의 결함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광택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광택 패드에 돌기부와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인입홈에 이물질이 유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의 돌기부와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100)는, 일측면에는 광택 대상의 표면에 회전 접촉되는 복수개의 돌기부(11)가 형성되며 패브릭 재질의 광택 패드(10)와, 광택 패드(10)의 타측면에 접착되며 광택 패드(10)과 동일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되며 폴리 우레탄 폼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 패드(20)와, 일측면은 탄성 패드(20)의 측면에 접착되며 타측면은 회전 구동체에 부착되는 접착 패드(30)를 포함한다.
광택 패드(10)는 차량의 페인트 도장면과 같이 표면이 거친면에 접촉되어, 거친면을 편평하도록 연마 작업이 실시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광택 패드(10)는 회전 구동체의 회전 작동과 함께 회전되는 바, 거친면에 회전 접촉되어 거친면이 편평하게 작업될 수 있다.
광택 패드(10)는 거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거친면의 돌출된 부분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편평하게 하도록 패브릭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광택 패드(10)는 패브릭 재질이 부직포 타입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폴리우레탄 재질이 혼합된 상태로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광택 패드(10)는 패브릭 재질의 부직포 타입이 적층된 상태에서 폴리우레탄 재질이 혼합되어 하드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광택 패드에 돌기부와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인입홈에 이물질이 유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택 패드(10)의 표면에는 거친면에 접촉되는 일측에 복수개의 돌기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1)는 광택 패드(10)의 표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거친면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돌기부(11)가 광택 패드(10)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은, 광택 패드(10)의 표면에 가로 및 세로로 교차되게 인입홈(13)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광택 패드(1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1)는 본 실시예에서 거친면에 면접촉되도록 돌출된 선단 부분이 편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다. 그러나, 돌기부(11)는 돌출된 선단이 편평면을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돌기부(11)는 본 실시예에서 광택 패드(10)의 표면에 복수개의 열과 복수개의 행을 이루면서 광택 패드(10)에 돌출될 수 있다.
즉, 돌기부(11)는 광택 패드(10) 표면의 전체 면적에 대해 등간격의 복수개로 돌출되는 바, 광택 패드(10)가 페인트 도장의 거친면에 효과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광택 패드(10)의 표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입홈(13)이 돌기부(11)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바, 거친면의 광택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입홈(13)은, 패브릭 재질의 부직포 타입이 적층된 상태에서 폴리우레탄 재질이 혼합되고 하드 타입으로 경화된 표면의 일부분이 광택 패드(10)의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입홈(13)은 광택 패드(10)의 내부로 라운드 형상의 단면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입홈(13)은 광택 패드(10)의 직경 방향을 따라 인입된 깊이를 달리하면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인입홈(13)이 광택 패드(10)에 형성되는 것은 광택 패드(10)가 거친면에 접촉되어, 거친면의 불균일한 부분들을 연마하는 과정에서 스크래치 등의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광택 패드(10)의 광택 작업 과정에서, 광택 패드(10)와 거친면의 사이 부분에는, 광택 작업을 위한 컴파운드 등의 연마제가 도포되어 광택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광택 패드(10)와 거친면의 사이에는 컴파운드 등의 연마제로부터 발생되는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광택 패드(10)의 회전 작동 과정에서 인입홈(13)의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이물질은 광택 패드(10)의 회전 작동 과정에서 거친면과 접촉되어 표면이 스크래치 등의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유발하지 않고 인입홈(13)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친면의 표면 광택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광택 작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광택 패드(10)에는 탄성 패드(20)가 부착된다.
탄성 패드(20)는, 광택 패드(10)의 측면에 접착되는 것으로 탄성 패드(20)의 형상과 동일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탄성 패드(20)의 측면에 접착될 수 있다.
탄성 패드(20)는 회전 구동체의 회전 작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광택 패드(10)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패드(20)는 폴리 우레탄 폼 재질로 형성되어 탄성 패드(20)의 측면에 양면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탄성 패드(20)는 회전 구동체 또는 외부 충격을 안정적으로 완충하여 광택 패드(10)의 광택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탄성 패드(20)의 두께 보다 큰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패드(20)의 측면에는 접착 패드(30)가 접착된다.
접착 패드(30)는, 일측면은 탄성 패드(20)의 측면에 접착되며 타측면은 회전 구동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접착 패드(30)는 탄성 패드(20)와 회전 구동체의 사이 부분을 연결하도록 부착되는 것으로 회전 구동체의 회전 작동시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100)의 회전 작동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접착 패드(30)는 본 실시예에서 일측면이 탄성 패드(20)에 접착제(31)에 의해 부착되고, 타측면에는 벨크로부재(33)가 부착되어 회전 구동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접착 패드(30)는 탄성 패드(20)와 동일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탄성 패드(20)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접착 패드(30)는 탄성 패드(20)의 전체 면적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착 패드(3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회전 구동체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1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1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소정의 구동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것으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100)는, 패브릭 재질이 부직포 재질과 폴리우레탄 재질이 혼합된 재질의 광택 패드(10)가 페인트 도장면 등의 거친면에 회전 접촉되고, 광택 패드(10)의 인입홈(13)에 컴파운드 이물질이 유입되는 바, 스크래치 등의 결함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광택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200)에는 관통부(110)가 형성된다.
관통부(110)는 광택 패드(10)와 탄성 패드(20)와 접착 패드(30)에는 서로간에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110)는 광택 패드(10)와 탄성 패드(20)와 접착 패드(30)들을 관통하는 원형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부(110)가 광택 패드(10)와 탄성 패드(20)와 접착 패드(3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것은, 광택 작업을 위한 회전 작동 과정에서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관통부(110)는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100)의 회전 작동 과정에서 보다 유연한 변형에 따른 충격 흡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페인트 도장면에 유연한 접촉에 의해 광택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관통부(110)는 본 실시예에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 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300)에는 슬릿홀(210)이 형성된다.
슬릿홀(210)은 광택 패드(10)와 탄성 패드(20) 및 접착 패드(30)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릿홀(210)은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100)에 서로간에 평행한 방향으로 긴길이를 갖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슬릿홀(210)은 복수개가 평행하게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간에 엇갈리는 방향으로 긴길이를 갖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슬릿홀(210)은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100)에 형성되는 바, 회전 구동체의 회전 작동 과정에서 보다 유연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여, 페인트 도장면의 광택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의 돌기부와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의 인입홈(313)은 광택 패드(10)의 내부에 확관부(313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인입홈(13)에는 광택 패드(10)의 내부에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확관부(313a)가 형성되는 바, 컴파운드 등의 연마제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의 유입량이 보다 증재되는 것이 가능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500)의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홈부(410)가 형성된다.
홈부(410)는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로 인입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10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보다 유연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여, 광택 작업 과정에서 유연한 광택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광택 패드 11...돌기부
13, 313...인입홈 20...탄성 패드
30...접착 패드 31...접착제
33...벨크로부재 110..관통부
210..슬릿홀 313a..확관부
410..홈부

Claims (5)

  1. 일측면에는 광택 대상 표면에 회전 접촉되는 복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패브릭 재질을 포함하는 광택 패드;
    상기 광택 패드의 타측면에 접착되며, 상기 광택 패드과 동일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되며 폴리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 패드; 및
    일측면은 상기 탄성 패드의 측면에 접착되며, 타측면은 회전 구동체에 부착되는 접착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광택 패드와 상기 광택 대상 표면의 사이에는 광택제가 도포되고,
    상기 광택 패드와 상기 탄성 패드와 상기 접착 패드에는 서로간에 연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에 있어서,
    상기 광택 패드의 돌기부들의 사이 부분에는 상기 광택 패드의 내부로 인입되어 형성되어 상기 회전 구동체의 회전 작동시 상기 광택제로부터 발생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은 상기 광택 패드의 표면에 복수개의 열과 복수개의 행으로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 패드는, 패브릭 재질과 폴리우레탄 재질이 혼합되어 경화된 재질로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 패드와 상기 탄성 패드와 상기 접착 패드의 적층된 가장자리 부분에는 복수개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 패드는 상기 회전 구동체에 부착되는 벨크로부재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


KR2020160002191U 2016-04-22 2016-04-22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 KR200481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191U KR200481794Y1 (ko) 2016-04-22 2016-04-22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191U KR200481794Y1 (ko) 2016-04-22 2016-04-22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794Y1 true KR200481794Y1 (ko) 2016-11-09

Family

ID=5748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191U KR200481794Y1 (ko) 2016-04-22 2016-04-22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7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298B1 (ko) 2016-12-02 2018-04-09 이혜영 자동차 광택용 패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9447A (ko) * 1986-03-25 1987-10-26 원본미기재 연삭, 랍핑 및 광택용 패드재료
US7927092B2 (en) * 2007-12-31 2011-04-19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for forming a slurry polishing pad
KR101100864B1 (ko) * 2009-06-12 2012-01-02 양준호 자동차 광택기용 광택패드
KR101143173B1 (ko) * 2010-09-13 2012-05-08 오세열 연마 패드
KR20140111732A (ko) 2013-03-12 2014-09-22 정성택 휴대형 차량 광택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9447A (ko) * 1986-03-25 1987-10-26 원본미기재 연삭, 랍핑 및 광택용 패드재료
US7927092B2 (en) * 2007-12-31 2011-04-19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for forming a slurry polishing pad
KR101100864B1 (ko) * 2009-06-12 2012-01-02 양준호 자동차 광택기용 광택패드
KR101143173B1 (ko) * 2010-09-13 2012-05-08 오세열 연마 패드
KR20140111732A (ko) 2013-03-12 2014-09-22 정성택 휴대형 차량 광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298B1 (ko) 2016-12-02 2018-04-09 이혜영 자동차 광택용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57749T3 (es) Método para el mantenimiento de superficies duras
EP2310236B1 (en) Improved cleaning blade strip element for making motor vehicle washing system rotary brush assemblies
US20110300784A1 (en) Flexible and interchangeable multi-head floor polishing disk assembly
US3418675A (en) Buffing wheel
JP5887227B2 (ja) ドレッサーディスク洗浄用ブラシ、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WO2002006010A1 (fr) Dispositif de polissage
KR200481794Y1 (ko) 하이브리드 컷팅 패드
CN108698190B (zh) 将刷式研磨头用于加工工件的表面的应用
US20120258652A1 (en) Rotary buffing pad
US20120220207A1 (en) Substrate preparation tool system and method
KR102126727B1 (ko) 자동차 표면 광택방법
JP2007062003A (ja) ホイールブラシ
US9682461B2 (en) Sloped polishing pad with hybrid cloth and foam surface
US20070054609A1 (en) Dual purpose sanding and collecting abrading device
US9687964B2 (en) Polishing pad with hybrid cloth and foam surface
JP2009067164A5 (ko)
JP3904619B2 (ja) バフ盤
JP3111854U (ja) バフドライクリーナー
CN211332806U (zh) 一种打磨刷
US200501669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flooring scuffs
TWI677301B (zh) 刷子
JP2008302724A5 (ko)
JP5386831B2 (ja) 塗膜研磨方法
EP1698434A1 (en) Geinder
KR101847298B1 (ko) 자동차 광택용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