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778Y1 - 플랜지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플랜지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778Y1
KR200481778Y1 KR2020160004405U KR20160004405U KR200481778Y1 KR 200481778 Y1 KR200481778 Y1 KR 200481778Y1 KR 2020160004405 U KR2020160004405 U KR 2020160004405U KR 20160004405 U KR20160004405 U KR 20160004405U KR 200481778 Y1 KR200481778 Y1 KR 200481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late
plate
coupling
bol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영
Original Assignee
윤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영 filed Critical 윤태영
Priority to KR2020160004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7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7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16L55/1152Caps fixed by screwing or by means of a screw-threaded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랜지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기본부재의 일측 끝으로 결합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링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 밀착되어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연결판 또는 결합판 중 어느 한 곳이나 양쪽 모두에 밀착되며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링형태로 형성되는 제1, 2보호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보호부재와 제2보호부재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2중 형태로 배열되는 보호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플랜지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볼트 머리 및 너트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부재를 직경이 다른 2개의 링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보호부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재료비, 가공비, 인건비 등의 절감을 통해 우수한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랜지의 체결구조{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flange}
본 고안은 플랜지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의 연결에 사용되는 볼트의 머리 부분과 너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볼트 및 너트의 파손이나 임의대로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보완성 등을 향상시키고, 플랜지를 분리형태로 형성하여 볼트의 크기에 따라 간편하게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가공비, 인건비, 재료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플랜지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플랜지의 체결구조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170277호와 같이 파이프의 일측으로 단면이 'S'자 형태로 이루어진 플랜지를 결합하여 상기 파이프와 플랜지 간의 결합이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S'자 형태의 플랜지를 파이프에 결합하여 사용하더라도 플랜지를 'S'자 형태로 절곡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되면서 플랜지를 제작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되며, 볼트 및 너트가 삽입되는 공간이 고정되어 있어 볼트와 너트의 사이즈마다 플랜지를 개별적으로 제작해야 하고, 볼트와 너트가 결합되는 공간이 파손되거나 찌그러져 있을 경우 볼트 및 너트를 제대로 결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랜지와 파이프를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 플랜지에 볼트가 결합되는 볼트구멍이 정해져 있어 해당 볼트구멍에 볼트를 결합해야만 플랜지 및 파이프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플랜지 간의 결합시 또는 플랜지와 가스켓과의 결합시에 볼트구멍이 일치하지 않거나 볼트가 틀어지면서 피치각도가 틀어졌을 경우 파이프 및 플랜지 간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플랜지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볼트 머리 및 너트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부재를 직경이 다른 2개의 링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보호부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재료비, 가공비, 인건비 등의 절감을 통해 우수한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볼트의 머리 및 너트를 보호하는 보호부재가 직경이 다른 2개의 구조로 분리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1, 2보호부재 간의 간격을 원활하게 조절하여 제1, 2보호부재의 사이로 다양한 크기의 볼트나 너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판, 결합판, 보호부재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선택권 및 편리성과 우수한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고, 제1, 2보호부재의 두께를 조절하여 볼트 및 너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에 의한 임의적인 분리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연결판 및 결합판의 결합시 제1, 2보호부재의 사이로 볼트가 고정되는 구멍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 제1, 2보호부재 사이의 임의의 지점마다 볼트를 위치시켜 연결판과 결합판을 고정결합시킬 수 있어,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 간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볼트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연결판, 결합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본부재의 일측 끝으로 결합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링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 밀착되어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결합판과, 상기 연결판 또는 결합판 중 어느 한 곳이나 양쪽 모두에 밀착되며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링형태로 형성되는 제1, 2보호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보호부재와 제2보호부재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2중 형태로 배열되는 보호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플랜지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볼트 머리 및 너트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부재를 직경이 다른 2개의 링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보호부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재료비, 가공비, 인건비 등의 절감을 통해 우수한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볼트의 머리 및 너트를 보호하는 보호부재가 직경이 다른 2개의 구조로 분리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1, 2보호부재 간의 간격을 원활하게 조절하여 제1, 2보호부재의 사이로 다양한 크기의 볼트나 너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판, 결합판, 보호부재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선택권 및 편리성과 우수한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고, 제1, 2보호부재의 두께를 조절하여 볼트 및 너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에 의한 임의적인 분리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연결판 및 결합판의 결합시 제1, 2보호부재의 사이로 볼트가 고정되는 구멍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 제1, 2보호부재 사이의 임의의 지점마다 볼트를 위치시켜 연결판과 결합판을 고정결합시킬 수 있어,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 간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볼트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연결판, 결합판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플랜지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3은 본 고안인 플랜지의 체결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5는 본 고안인 플랜지의 체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플랜지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인 플랜지의 체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인 플랜지의 체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인 플랜지의 체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플랜지의 체결구조(5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10), 결합판(20), 보호부재(3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연결판(10)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와 같은 기본부재(1)의 이음이나 마감을 위해 일반적인 플랜지의 연결과 같이 기본부재(1)의 일측 끝 외부로 용접 등의 의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링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판(10)은 기본부재(1)의 형상이나 사용자의 목적 또는 편의에 따라 원형상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10)의 외부와 내부의 형상을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외부와 내부의 형상을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와 내부의 형상을 모두 원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외부는 다각형상으로 형성하면서 내부는 파이프의 형상에 맞게 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부재(1)를 원형상의 파이프로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그 형상이나 형태 등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한편, 상기 결합판(20)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10)에 밀착되면서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고정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판(20)의 외부 둘레면의 형상은 연결판(10)과의 편리한 고정결합을 위해 연결판(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판(10)이 원형상의 링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결합판(20)의 외부 둘레면도 원형상의 링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판(20)은 내부가 막힌 판형태 또는 내부가 뚫린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기본부재(1)의 마감을 수행할 경우에는 판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며, 다른 기본부재(1) 또는 다른 부재(도면에 미도시)와의 이음을 수행할 경우에는 내부가 뚫린 링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더해, 상기 결합판(20)을 내부가 뚫린 형태로 형성할 경우 내부를 기본부재(1) 등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기본부재(1)와 동일한 원형상이나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10)과 결합판(20)은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결합되는데, 상기 연결판(10)과 결합판(20)에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구멍(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한편, 상기 보호부재(3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10)과 결합판(20) 중 어느 한 곳에만 형성되거나 양쪽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크기가 다른 이중인 제1보호부재(31) 및 제2보호부재(32)로 이루어지면서 제1, 2보호부재(31, 32) 모두 링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보호부재(31)가 제2보호부재(3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부재(30)는 연결판(10)과 결합판(20)의 결합시 너트의 사용여부에 따라 어느 한 곳이나 양쪽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3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연결판(10) 및 결합판(20)과 동일한 형상인 원형상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판(10), 결합판(20), 보호부재(30)를 모두 동일한 형상인 원형상이나 다각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판(10), 결합판(20), 보호부재(30)를 다각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2보호부재(31, 32)는 크기가 다른 2중 형태로 형성되는데, 제1, 2보호부재(31, 32) 간 크기의 차이는 연결판(10)과 결합판(20)을 고정결합시키는 볼트의 머리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2보호부재(31, 32)의 사이의 간격은 연결판(10), 결합판(20)의 고정을 위한 볼트가 삽입되기 위해 연결판(10), 결합판(20)에 형성되는 구멍과 동일한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2보호부재(31, 32)는 볼트의 직경 등에 따라 그 크기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호부재(30)는 제작의 편리성, 구조의 간단성 등에 따른 경제성 및 작업, 관리, 유지보수의 편리성 등을 위해 링형태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2보호부재(31, 32)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두께(t)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연결판(10) 및 결합판(20)을 결합시키는 볼트 머리나 너트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보호부재(30)이 두께(t)가 볼트의 머리 및 너트보다 낮을 경우 볼트 머리나 너트가 보호부재(30)의 외부로 노출되어 다른 사람들이 임의대로 볼트나 너트를 작동시커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볼트 등이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부재(30)의 두께(t)를 볼트의 머리나 너트보다 높게 하거나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재(30)의 원활한 설치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1보호부재(31)는 연결판(10) 및 결합판(20)과 동일하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연결판(10), 결합판(20), 보호부재(30)의 크기에 대한 설명은 그 형상에 따라 표현할 수 있는데, 상기 연결판(10), 결합판(20), 보호부재(30)가 원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직경 및 원 면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가로, 세로길이 및 다각형의 면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판(20) 및 보호부재(30)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분리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이프와 같은 기본부재(1)에는 링형태의 연결판(10)이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상기 기본부재(1)의 마감이나 다른 부재와의 이음을 위해 연결판(10)에 결합판(20)을 부착하도록 한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부재(1)와 결합된 연결판(10)에 보호부재(30)가 형성된 결합판(20)을 기본부재(1)의 마감을 위해 결합할 경우에는 결합판(20)의 내부가 막힌 판형태의 결합판(20a)을 밀착시키도록 하며, 기본부재(1)의 이음을 위해 결합할 경우에는 결합판(20)의 내부가 뚫린 링형태의 결합판(20b)을 밀착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판(10) 및 결합판(20)을 밀착시킬 때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하면서 밀착시키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한편, 상기 연결판(10)과 결합판(20)을 밀착고정시킬 때, 사용자의 편의 및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의 나사산여부에 따라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거나 결합하지 않을 수도 있게 되는데, 너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판(10)이나 결합판(20) 중 어느 한 곳에만 결합부재(30)를 결합하도록 하며, 너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너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연결판(10) 및 결합판(20)의 양쪽 모두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판(10) 또는 결합판(20) 중 어느 한 곳이나 양쪽 모두에 보호부재(30)를 결합할 경우, 용접 등의 방법으로 보호부재(30)를 밀착시켜 고정결합하도록 하고, 제1보호부재(31)와 제2보호부재(32)의 사이로 볼트를 결합시키면서 연결판(10) 및 결합판(20)에 형성된 구멍에 볼트를 통과시켜 연결판(10), 결합판(20), 보호부재(30)를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호부재(30)를 연결판(10)이나 결합판(20)에 결합시 볼트가 삽입되지 않는 지점마다 용접을 수행하여 볼트의 결합에 방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연결판(10), 결합판(20), 보호부재(30)의 결합순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부재(1)에 연결판(10) 및 내부가 막힌 결합판(20), 보호부재(30)의 순으로 결합하여 기본부재(1)의 일측을 마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부재(1)를 다른 기본부재(1) 또는 다른 부재와의 이음시에는 기본부재(1), 내부가 뚫린 결합판(20b)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열시키면서 너트의 결합여부에 따라 양측의 연결판(10) 중 어느 한 곳이나 양쪽 모든 방향에 보호부재(30)를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을 통해 기본부재(1), 연결판(10), 결합판(20), 보호부재(30)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보호부재(30)에 의해 볼트나 너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다른 사람들에 의한 볼트의 분해, 분실,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판(10), 결합판(20), 보호부재(30)의 결합시 보호부재(30)가 형성된 방향부터 볼트가 삽입하게 되는데, 제1, 2보호부재(31, 32) 간의 사이로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별도의 구멍이 없이 제1, 2보호부재(31, 32)의 사이 전체가 볼트가 결합되는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어, 볼트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연결판(10), 결합판(20)를 용이하게 고정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2보호부재(31, 32) 간의 사이로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보호부재(30)에 형성된 구멍, 결합판(20)에 형성된 구멍, 연결판(10)에 형성된 구멍의 위치를 모두 동일하게 형성하면서 볼트를 삽입시켜야만 연결판(10), 결합판(20), 보호부재(3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제1, 2보호부재(31, 32) 간에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별도의 구멍이 없기 때문에 연결판(10), 결합판(20)에 형성된 구멍만의 위치를 조절하여도 연결판(10), 결합판(20), 보호부재(30)를 원활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보호부재(30)를 통해 구멍의 위치나 나사 피치에 상관없이 볼트를 제1, 2보호부재(31, 32) 사이의 어느 지점에서나 원활하게 결합하면서 연결판(10), 결합판(20)을 고정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2보호부재(31, 32)의 간격은 사용자의 목적이나 볼트 등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한 크기로 설정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기본부재(1) 등의 마감작업이나 이음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2보호부재(31, 32)의 두께(t)가 볼트의 머리나 너트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 볼트의 머리 또는 너트가 제1, 2보호부재(31, 32)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관리자만이 특별한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 및 너트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 외에 다른 사람들이 쉽게 볼트를 풀거나 결합할 수 없게 되면서 볼트 등의 파손을 예방하고 보호부재(30)가 사용되는 장비의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연결판(10), 결합판(20), 보호부재(30)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쉬워 가공비, 인건비, 재료비 등의 절감으로 인해 우수한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및 관리의 편리함과 같은 작업 등의 우수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연결판
20 : 결합판
30 : 보호부재
31 : 제1보호부재 32 : 제2보호부재
50 : 플랜지의 체결구조

Claims (4)

  1. 기본부재의 일측 끝으로 결합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링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판(10);
    상기 연결판(10)에 밀착되어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결합판(20);
    상기 연결판(10) 또는 결합판(20) 중 어느 한 곳이나 양쪽 모두에 밀착되며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링형태로 형성되는 제1, 2보호부재(31, 3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보호부재(31)와 제2보호부재(32)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2중 형태로 배열되는 보호부재(30);
    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플랜지의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20)은 원형상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가 막힌 판 형태 또는 내부가 뚫린 링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플랜지의 체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30)에 형성된 제1보호부재(31)와 제2보호부재(32)의 크기차이는 연결판(10)과 결합판(20)을 고정시키는 볼트 머리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플랜지의 체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30)에 형성된 제1, 2보호부재(31, 32)는 서로 동일한 두께(t)로 형성되면서 볼트 머리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플랜지의 체결구조.
KR2020160004405U 2016-07-29 2016-07-29 플랜지의 체결구조 KR200481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05U KR200481778Y1 (ko) 2016-07-29 2016-07-29 플랜지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05U KR200481778Y1 (ko) 2016-07-29 2016-07-29 플랜지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778Y1 true KR200481778Y1 (ko) 2016-11-08

Family

ID=5748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405U KR200481778Y1 (ko) 2016-07-29 2016-07-29 플랜지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77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5698A (ko) * 1982-08-16 1984-11-15 에스.스미스 쟌 플랜지 보호장치
KR19990035369U (ko) * 1999-06-11 1999-09-06 김재현 배관용관의플랜지보호판
KR200170277Y1 (ko) * 1999-09-14 2000-02-15 윤행 밸브 연결용 플랜지 구조
JP2016020122A (ja) * 2014-07-14 2016-02-0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走行減速機保護構造及び装軌式作業機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5698A (ko) * 1982-08-16 1984-11-15 에스.스미스 쟌 플랜지 보호장치
KR19990035369U (ko) * 1999-06-11 1999-09-06 김재현 배관용관의플랜지보호판
KR200170277Y1 (ko) * 1999-09-14 2000-02-15 윤행 밸브 연결용 플랜지 구조
JP2016020122A (ja) * 2014-07-14 2016-02-0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走行減速機保護構造及び装軌式作業機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586B1 (ko) 이탈방지 압륜용 피복 강관
US20230204131A1 (en) Pipe clamp assembly
US10352343B2 (en) Mounting fixture of a connection fixture
JP4856744B2 (ja) 境界構造物の線形部材用連結機構
US9186785B2 (en) Bearing adjuster
US20140199112A1 (en) Connection fixture
JPWO2012066801A1 (ja) パイプジョイント
US20170268243A1 (en) Monolithic roof anchor
US20160377199A1 (en) Underwater pip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underwater pipes
KR101708477B1 (ko) 철근연결구
KR200481778Y1 (ko) 플랜지의 체결구조
JP2020509312A5 (ko)
KR101681908B1 (ko) 무용접 체결 방식의 연결장치 일체형 파형강관
EP3472477A1 (en) Tie wrap plastic anchor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y
JP2008525745A (ja) フランジ
USD856537S1 (en) Cord retaining member of a stanchion of a barrier assembly
US10344459B2 (en) Faucet mounting mechanism
KR101758642B1 (ko) 유로폼 모서리 클램프
JP2017145885A (ja) 接合部の補強治具および接合部の補強構造
US9915377B2 (en) Underwater pip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underwater pipes
JP2019090301A (ja) シールドセグメント用継手部材
KR101637991B1 (ko) 배선 파이프용 고정부재
JP5892439B2 (ja) 杭の無溶接継ぎ手
KR101078103B1 (ko) 파이프 고정장치
US6202639B1 (en) Switch assembly barbecue gr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