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730Y1 - 절토용 패널 - Google Patents

절토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730Y1
KR200481730Y1 KR2020140007927U KR20140007927U KR200481730Y1 KR 200481730 Y1 KR200481730 Y1 KR 200481730Y1 KR 2020140007927 U KR2020140007927 U KR 2020140007927U KR 20140007927 U KR20140007927 U KR 20140007927U KR 200481730 Y1 KR200481730 Y1 KR 200481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ut
panel body
fixing ring
wi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516U (ko
Inventor
김태열
김식원
Original Assignee
김태열
김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열, 김식원 filed Critical 김태열
Priority to KR2020140007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730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5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5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7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토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절토부의 높이에 대응 설치되는 패널 몸체에는 패널몸체들을 바닥에 적치시 견실한 받침역할을 하도록 된 복수개의 돌기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돌기들의 각각에는 임의의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절곡될 수 있게 한 와이어 고정링과 와이어 고정링에 삽탈(揷脫)되게 삽입되어 절토부에 대하여 수평으로 깔리는 부직포 혹은 망상(網狀)의 보강부재를 걸어서 지지할 수 있게 한 고정바로 이루어진 부등 침하 방지용 고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절토용 패널{Panel for Cutting Area}
본 고안은 절토(切土)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널몸체의 후면에는 패널을 보관하고자 적치(積置)시 받침 혹은 부등침하(不等沈下)방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돌기들을 설치하고, 또한 돌기들에는 부등침하 방지 수단이 구비된 절토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의 경사면 혹은 인위적으로 경사지게 조성한 절토(切土)부에는 자연재해에 따른 지반의 약화로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고자 패널을 이용하여 보강 옹벽을 구축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기존의 절토 보강을 위해 사용하는 패널들을 보면, 하기 특허 문헌들 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패널을 운반이나 보관하고자 바닥에 적치시 패널 몸체가 그대로 바닥에 직접적으로 닿는 상태로 위치됨은 물론 패널 위로 적치되는 패널 역시 패널 몸체들끼리 상호 맞닿아 부딪치는 상태로 적치되므로 인해, 상호 적치되는 패널몸체는 몸체끼리의 격심한 접촉 내지는 충돌로 인하여 항시 손상될 우려를 많이 내포하고 있다. 특히 우기(雨期)시 바닥과 직접적으로 면하는 형태로 쌓인 패널들은 바닥을 따라 흐르는 물을 차단하여 바닥에 빗물을 고이게 함으로써 바닥에 적치된 패널들을 물속에 잠기게 할 우려가 있다. 패널이 물속에 오래 잠겨 있게 되면 패널 자체의 강도저하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패널을 일시적으로 운반 혹은 보관하고자 바닥으로부터 적치시 패널몸체 상호 간에 직접적으로 부딪치게 하지 않으면서도 맨 하부의 바닥으로부터도 간극을 두고 적치할수 있게 하여 패널몸체 상호간의 충돌에 의한 손상방지와 아울러 야적(野積)시 통풍은 물론 배수기능을 발휘하여 빗물에 의한 침수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패널에 대하여 채워지는 채움 흙에 대한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패널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등록번호10-1378793 B1, KR 등록번호10-1151318 B1, KR 공개번호 10-2013-0096383 A.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바닥에 적치(積置)시 통풍기능과 배수기능을 발휘하는 안전성을 갖게 하였고, 또한 절토부에 설치시 채움흙에 대한 부등침하를 없게 하는 기능을 발휘하면서도 절토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밀려나오는 배부름 현상까지도 없게 하는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절토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절토용 패널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절토용 패널은, 콘크리트 재질로서 일정 두께를 이루게 형성되어 절토부의 높이에 대응하게 입설되며 중앙에는 절토부로 삽입고정되는 단부에 절토부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고정 지지하기 위한 정착제가 분리가능한 형태로 설치된 락 볼트(Lock Bolt)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설치된 소정형상의 패널몸체; 상기 패널몸체의 후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상기 패널몸체를 바닥으로부터 적치시 견실한 받침역할과 아울러 현장에 적용시 부등침하 방지 작용을 할 수 있게 한 복수개의 돌기; 상기 돌기의 각각으로 노출되게 매설되어 임의의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절곡될 수 있게 한 와이어 고정링과 상기 와이어 고정링들의 내부로부터 삽탈되게 삽입되어 수평으로 깔리는 부직포 혹은 망상(網狀)의 보강 부재를 걸어서 지지할 수 있게 한 고정바로 이루어진 부등 침하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삭제
본 고안에 의하면, 패널을 바닥에 적치(積置)시 통풍과 배수기능을 발휘하는 효과를 부여하고, 또한 절토부에 설치되는 경우 채움흙의 부등침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부여함과 아울러 절토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밀려나오는 배부름 현상까지도 없게 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토용 패널을 전면(前面)에서 보아 그 외관을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후면을 표시한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서 도면부호 116a로 표시된 돌기 부위만을 발췌하여 확대 표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토용 패널이 절토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서 도면부호 120으로 표시된 부분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확대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절토용 패널을 운반 혹은 보관시 바닥으로부터 적치된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1, 도2A 및 도2B의 표시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절토용 패널(100)은, 콘크리트 재질로서 일정 두께를 이루게 형성되어 절토부(1)(후술하는 도3참조)에 대응하는 높이로 입설되며 중앙으로는 절토부(1)로 삽입 고정되는 락 볼트(Lock Bolt)(10)(후술하는 도3 참조)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12)이 설치된 소정형상의 패널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1에서는 전면을 무모양으로 표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주위환경에 맞는 다양한 격자 혹은 원 모양이나 혹은 자연친화적인 암반모양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또, 패널몸체(110)의 상,하부면은 평탄하게 할수도 있으나, 도1,2의 표시와 같이, 패널몸체(110)의 전 길이에 걸쳐 끼움홈(113)과 끼움돌출부(115)를 형성하여 패널(100)들을 상,하부로 적층시 끼움돌출부(115)가 끼움홈(113)의 내부로 끼움 결합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패널몸체(110)의 후면에는, 패널몸체(110)를 바닥으로부터 적치시 견실한 받침역할과 아울러 도 3의 표시와 같은 절토부(1)에 시공시 부등침하 방지 기능을 실행하는 돌기들(116a,116b,116c,116d)이 적어도 4개소에 소정간격을 두고 패널몸체(110)로부터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또 돌기들(116a,116b,116c,116d)과 같이 부등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부등침하 방지수단(120)이 돌기들(116a,116b,116c,116d)에 설치되어 있다.
부등침하 방지 수단(120)은 돌기들(116a,116b,116c,116d)의 각각으로부터 매설하되 원형의 링 부분만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고정링들(121a,121b,121c ,121d)과 그리고 나란하게 대향 위치되는 고정링(121a) 및 (121b)와 고정링(121c)및 (121d)의 내부로 자유 자재롭게 삽입되는 고정바들(122a,122b) 및 보강부재들(124a,124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바들(122a,122b)은 강도 유지를 위해 금속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또 고정바들(122a,122b)의 직경은 고정링들(121a,121b,121c,121d)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고정링들(121a,121b,121c,121d)로부터 분리와 삽입을 자유롭게 할수 있도록 한다. 고정바들(122a,122b)은 평상시에는 고정링들(121a ,121b ,121c,121d)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있게 되고, 도3의 표시와 같이 패널(100)을 절토부에 시공시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바들(122a,122b)을 자유로이 삽탈할수 있게 형성한 고정링들(121a,121b,121c,121d)은 임의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절곡될 수 있도록 하고자, 절곡이 자유로우면서 복원력을 갖는 와이어로 형성되었다. 그 이유는 후술하는 도 5의 표시와 같이, 패널(100)을 운반 혹은 보관하고자 바닥에 적치시 돌기들(116a,116b ,116c,116d)의 각각에 설치된 고정링들(121a,121b,121c,121d)을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절곡된 상태로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돌기들의 전면에 고정링들(121a,121b,121c,121d)에 대응하는 홈을 설치하여 이 고정링들이 절곡시 홈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태로 위치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패널(100)을 절토부(1)에 사용하고자 적치되어 있던 패널(100)을 들어서 절토부(1)에 적용시 절곡 상태를 이루고 있던 고정링들(121a,121b,121c,121d)은 와이어로 인한 복원력으로 도 2B의 상태로 복원되어, 고정바들(122a,122b)을 안전하게 삽입할 수 있는 상태를 이룬다.
상기 보강부재들(124a,124b)은 부직포 혹은 망상체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도4의 표시와 같이, 고정링들(121a,121b,121c,121d)에 삽입되는 고정바들(122a, 122b)의 각각을 감싸는 형태로 걸어서 고정되어, 패널의 후측으로 채워지는 채움흙의 내부로 매립되면서 패널(100)이 제자리에 있도록 견실하게 잡아주는 역할과 아울러 패널(100)의 후측으로 채워지는 채움흙의 부등(不等)침하를 없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패널(100)을 인위적으로 형성한 절토부(1)에 시공하는 경우의 예를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의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패널(100)은 절토부(1)의 대면위치에서 바닥부에 설치한 기초블록(2)으로부터 절토부(1)의 높이에 대응하게 설치되는데, 기초블록(2)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패널(100)이 수직방향으로 놓여지면, 패널(100)이 전방으로 밀림 현상이 없이 원래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하고자 패널(100)의 체결공(112)을 통해 락볼트(10)를 삽입하여 체결공(112)의 앞쪽에서 견실하게 체결 고정함과 아울러 패널(100)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락볼트(10)의 후단은 절토부(1)쪽으로 삽입 고정되게 한다. 절토부(1)의 내부로 삽입 고정되는 락볼트(10)의 단부에는 락볼트(10)를 절토부(1)의 내측에 보다 견실하게 고정상태로 있게 지지하여 주는 정착체(定着體)(12)를 설치할 수 있다. 락볼트(10)에 결합되는 정착체(12)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절토부(1)의 내부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함에는 정착체(12)의 외주에 접촉면적을 넓혀주는 복수의 돌기(突起) 혹은 돌조(突條)들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락볼트(10)는 패널에 대하여 인발력과 인장력을 높이는 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패널(100)에 대한 고정지지용 락볼트(10)의 설치가 완료되면, 패널(100)의 후면에 구비된 돌기들(116a,116b,116c,116d)에 각각 설치된 고정링들(121a,121b,121c,121d)에 삽입되는 고정바들(122a,122b)의 각각에 기 준비한 부직포 혹은 망상체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들(124a,124b)을, 도4의 표시와 같이 고정바들(122a,122b)의 각각을 감싸는 형태로 걸어서 고정하게 되고, 이로부터 수평을 이루며 절토부(1)를 향하여 연장되면서 자연스럽게 채움흙의 상부로 위치되게 하는 겹층의 보강부재들(124a,124b)은 패널(100)과 절토부(1)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채워져 다져지는 채움흙의 내부로 견실하게 매립되는 상태로 위치하여 패널(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절토부(1)의 높이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조립 설치되는 패널(100)들이 절토부(1)의 전방으로 밀려나가게 될 우려가 있는 배부름 현상이나 혹은 패널(100)과 절토부(1)의 사이에 단단하게 다져지면서 채워지는 채움흙의 부등침하 현상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패널(100)의 후면으로 다져서 채워지는 채움흙에 대한 부등침하방지는 패널(100)의 후면에 돌출설치된 돌기들(116a,116b, 116c,116d)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보강부재들(124a,124b)의 설치는 패널(100)과 절토부(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채움흙이 채워진 후, 그 채움흙 위에 순차로 설치되면서 채움흙에 의하여 매립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작업이 반복되면서 절토부(1)에 대하여 패널(100)이 조립설치 할 수 있다.
도면 5의 표시는 본 고안의 패널(100)을 사용하지 않고 운반 혹은 보관하고자 적치시 패널(100)의 후면으로부터 설치된 돌기들(116a,116b,116c,116d)이 받침다리 역할을 하여, 패널몸체(110)의 상호 간은 물론 바닥과 직접적으로 충돌되거나 부딪치게 되는 우려를 없게하여 패널들이 손상됨이 없도록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며, 야적시에도 패널(100)의 돌기들(116a,116b,116c,116d)에 의한 바닥부의 사이에 존치되는 간극은 통풍기능과 배수기능을 발휘하여 패널들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한다. 패널(100)을 적치시에는 돌기들(116a,116b,116c,116d)의 각각에 고정링들(121a,121b,121c,121d)이 설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고정링들(121a,121b,121c, 121d)은 절곡 가능한 와이어로 만들어져 있어 어느 한쪽으로 접혀지는 상태를 이루거나 혹은 기 설치된 홈에 들어가게 되므로 패널(100)의 적치시 방해되는 일은 없다.
본 고안의 패널은 절토부와 같은 현장에 설치하는 경우에 패널과 절토부의 사이에 채워지는 채움흙에 대한 부등침하 우려 방지와 아울러 패널이 절토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밀려나오게 되는 배부름 현상을 없게 하는 이익을 주고, 또한 바닥에 적치시 패널몸체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부딪쳐서 패널이 손상되는 우려를 없게 하거나 혹은 통풍 및 배수기능을 발휘하여 패널들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익을 줄 수 있다.
1: 절토부
10: 락볼트
12 : 정착체
100 : 절토용 패널,
116a,116b,116c,116d : 돌기
120 : 부등침하방지수단

Claims (2)

  1. 콘크리트 재질로서 일정 두께를 이루게 형성되어 절토부의 높이에 대응하게 입설되며 중앙에는, 절토부로 삽입고정되는 단부에 절토부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고정 지지하기 위한 정착제가 분리가능한 형태로 설치된 락 볼트(Lock Bolt)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설치된 소정형상의 패널몸체;
    상기 패널몸체의 후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상기 패널몸체를 바닥으로부터 적치시 견실한 받침역할과 아울러 현장에 적용시에는 부등침하방지 기능을 하는 복수개의 돌기; 및
    상기 돌기의 각각으로부터 노출되게 매설되어 임의의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절곡될 수 있게 한 와이어 고정링과 상기 와이어 고정링의 내부로부터 삽탈되게 삽입되어 수평으로 깔리게 설치되는 부직포 혹은 망상(網狀)의 보강 부재를 걸어서 지지할 수 있게 한 고정바로 이루어진 부등 침하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절토용 패널.

  2. 삭제
KR2020140007927U 2014-10-31 2014-10-31 절토용 패널 KR200481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927U KR200481730Y1 (ko) 2014-10-31 2014-10-31 절토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927U KR200481730Y1 (ko) 2014-10-31 2014-10-31 절토용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16U KR20160001516U (ko) 2016-05-11
KR200481730Y1 true KR200481730Y1 (ko) 2016-11-03

Family

ID=5602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927U KR200481730Y1 (ko) 2014-10-31 2014-10-31 절토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73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654B1 (ko) * 2023-03-21 2023-07-12 휘성개발 주식회사 선택식 뒷채움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물
KR102554653B1 (ko) * 2023-03-21 2023-07-12 휘성개발 주식회사 변위억제 기능을 갖는 대형축조형 식생블럭 구조물
KR102554651B1 (ko) * 2023-03-21 2023-07-12 휘성개발 주식회사 수동저항체를 이용한 사면보강 옹벽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793B1 (ko) * 2008-03-24 2008-12-26 송준호 앞면 마감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옹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8814A (ja) * 1987-04-27 1988-11-07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構造物の壁面構造
KR101376534B1 (ko) * 2011-08-08 2014-03-19 김일신 암반용 락볼트형 앵커
KR101325384B1 (ko) 2012-02-22 2013-11-08 조영현 단위패널 조립식 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151318B1 (ko) 2012-03-05 2012-06-08 김희준 셋 앵커 형태의 락볼트 및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KR101378793B1 (ko) 2013-10-22 2014-03-27 김정태 나사 조립식 마감캡을 갖는 절토부 패널옹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793B1 (ko) * 2008-03-24 2008-12-26 송준호 앞면 마감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옹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16U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660B1 (ko)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90032B1 (ko) 지중 매입 파일을 이용한 주열식 벽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200481730Y1 (ko) 절토용 패널
KR101652163B1 (ko)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US9163418B2 (en) Removable and re-useable construction safety barrier
US94585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taining wall
EP3420138B1 (en) Anchoring device for a fence
US8418414B2 (en) Swimming pool brace assembly
US8764348B2 (en) Retaining wall systems and methods
WO2014208496A1 (ja) 配管の固定装置
KR101383624B1 (ko) 자연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01730B1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KR101881577B1 (ko) 강재와 콘크리트로 보강된 중공형 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603532B1 (ko) 비탈면의 옹벽구조
KR101018903B1 (ko) 사면의 토사 흐름 방지 및 녹화를 위한 안정화 조립체
KR101564352B1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20130003452U (ko) 법면보호망을 이용한 토류옹벽 설치구조
KR101355843B1 (ko) 블록 보와 보강 토압판을 이용한 지주 연속보강 구조물 및 그 지주 연속보강 구조물 설치방법
JP6514985B2 (ja) 土留め壁補強構造
KR101356816B1 (ko) 옹벽용 보강재의 고정방법
JP2018040235A (ja) 軽量盛土用側壁の施工方法
KR20130000667U (ko) 성토부의 지오그리드 설치 장치
KR102540299B1 (ko) 연장이음형 결속판조립체를 이용한 식생옹벽의 시공방법
KR200453240Y1 (ko) 관매설용 지지구
KR101077650B1 (ko) 도로의 비탈면에 설치되는 방음벽 겸용 낙석방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