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705Y1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705Y1
KR200481705Y1 KR2020150000706U KR20150000706U KR200481705Y1 KR 200481705 Y1 KR200481705 Y1 KR 200481705Y1 KR 2020150000706 U KR2020150000706 U KR 2020150000706U KR 20150000706 U KR20150000706 U KR 20150000706U KR 200481705 Y1 KR200481705 Y1 KR 200481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fixing
power
plug
groun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759U (ko
Inventor
이강우
Original Assignee
이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우 filed Critical 이강우
Priority to KR2020150000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70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7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7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7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4Resiliently-mounted rigid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접지단자와 접지로드단자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도록 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삽입홈과 삽입홀이 형성되어 플러그를 삽입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삽입홈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의 삽입시 상기 플러그의 접지단자와 접촉되는 다수개의 플러그접지단자부; 상기 플러그접지단자부의 하부에서 상기 플러그접지단자부를 각각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로드단자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의 전원단자와 접촉되는 2개의 전원접지단자부; 및 상기 전원접지단자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지로드단자부와 상기 전원접지단자부 사이를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센트 {Concent}
본 고안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접지단자와 접지로드단자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도록 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Concent)는 전기의 옥내 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이다. 콘센트는 벽이나 바닥 등에 설치되고, 노출형과 매설형 등이 있다. 사용되는 전자전기기기에 따라 정격전압은 110V 또는 220V, 정격전류는 10~50A이고, 보통 10A용으로 하나 이상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콘센트는 세탁기 등의 감전방지를 위한 접지 단자붙이, 옥외나 목욕탕 등의 방수형, 냉장고 등에 사용되는 플러그가 빠지지 않게 하는 걸침형, 환풍기 등의 스위치붙이 등이 있고, 정격전류가 큰 20~50A용 등 종류가 다양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2347호(2012.08.31 등록)는 콘센트용 하부 케이스의 전원선 결속 안내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전원선 연결단자의 결속 체결부에 전원선의 와이어를 결속시 전원선의 와이어를 슬라이딩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딩 안내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턱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수평 상태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0864호(2012.06.01 등록)는 다공 콘센트의 단자 접속구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의 상면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안전핀이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삽입홈 내측에는 하부로부터 접지극핀단자가 삽입 고정되고, 이 접지극핀단자의 상면에는 플라스틱과 같은 부도체로 된 안전핀 덮개판이 설치되며, 이 안전핀 덮개판의 양측에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 케이스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플러그 단자 삽입공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전원선 연결단자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며, 이 전원선 연결단자의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접지극선단자가 길게 고정설치되고, 상기 접지극핀단자와 접지극선단자는 단자 접속수단에 의해 상호 접촉되며, 상기 접지극선단자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편이 돌출 형성되는 다공 콘센트의 단자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수단은 각각의 접지극핀단자 또는 접지극선단자의 하단 중앙 또는 상부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하되 상호 이격되어 대향된 'ㄷ'자 형상으로 중앙부가 개구되도록 절곡 형성된 받이편에 상기 접지극핀단자 또는 접지극선단자의 하단 중앙 또는 상부 양측에 상기 'ㄷ'자 형상의 받이편중앙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날형상의 접속편이 결속되어 상기 접지극선단자와 접지극핀단자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콘센트는,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전원접지단자와 접지로드단자가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하다가 전원선과 접지선의 피복이 벗겨지는 경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등에 의해 합선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콘센트를 사용하면서 전원선이 당겨져 움직이게 되면서 전원선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2347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0864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접지단자와 접지로드단자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콘센트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원접지단자와 연결되는 전원선을 하부케이스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콘센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다수개의 삽입홈과 삽입홀이 형성되어 플러그를 삽입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삽입홈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의 삽입시 상기 플러그의 접지단자와 접촉되는 다수개의 플러그접지단자부; 상기 플러그접지단자부의 하부에서 상기 플러그접지단자부를 각각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로드단자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의 전원단자와 접촉되는 2개의 전원접지단자부; 및 상기 전원접지단자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지로드단자부와 상기 전원접지단자부 사이를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판부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접지단자부는, 일측 가운데 부분이 바깥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원선과 연결시키기 위한 전원선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선연결부재는, 상기 전원접지단자부의 일측 가운데 부분에 바깥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과의 사이에 전원선의 말단부를 위치시키기 위한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과 상기 연결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전원선의 말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내부에 형성되어 전원선의 일부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라인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절연판부는,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전원선을 고정하기 위한 전원선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절연판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절연판부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접지로드단자부는, 일단 또는 양말단에 연장 형성되어, 접지선과 연결시키기 위한 접지선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접지선연결부재는, 상기 접지로드단자부의 일단 또는 양말단에 연장 형성된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과의 사이에 접지선의 말단부를 위치시키기 위한 고정판; 및 상기 연결판과 상기 고정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접지선의 말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접지로드단자부는, 일단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접지선과 연결시키기 위한 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원접지단자와 접지로드단자 사이에 절연판을 형성함으로써, 전원접지단자와 접지로드단자 사이를 분리시켜 절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라인홈을 형성함으로써, 콘센트를 사용하면서 전원선이 잡아당겨지더라도 전원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전원접지단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하부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전열판부 및 하부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접지로드단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전원접지단자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에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센트(10)는, 본체부(100), 플러그접지단자부(200), 접지로드단자부(300), 전원접지단자부(400), 절연판부(5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다수개의 삽입홈(111)과 삽입홀(112)이 형성되어 플러그를 삽입하는 상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20)를 구비한다.
플러그접지단자부(200)는, 삽입홈(111)의 하부면에 다수개로 형성되며, 플러그의 삽입시 플러그의 측면에 형성된 접지단자와 접촉한다.
접지로드단자부(300)는, 플러그접지단자부(200)의 하부에서 플러그접지단자부(200)를 각각 접지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접지로드단자부(300)는, 플러그접지단자부(200)를 각각 접지시킬 수 있도록 긴 바(bar)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접지로드단자부(300)는, 상부케이스(110)쪽으로 볼트를 체결하여, 플러그접지단자부(200)의 하부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므로 플러그접지단자부(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전원접지단자부(400)는, 하부케이스(120)의 내부에 2개로 형성되며, 플러그의 하부에 형성된 전원단자와 접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접지단자부(400)는, 플러스전원선이 연결되는 플러스전원단자부(400a)와 마이너스전원선이 연결되는 마이너스전원단자부(400b)로 형성할 수 있다.
절연판부(500)는, 전원접지단자부(4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접지로드단자부(300)와 전원접지단자부(400) 사이를 절연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절연판부(500)는, 길이가 상기 전원접지단자부(40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길게 형성되며, 접지로드단자부(300)와 전원접지단자부(400) 사이에 설치할 수 있도록 얇은 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절연판부(500)는, 삽입홀(112)로부터 삽입되는 플러그의 전원단자를 관통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절연판부(500)는, 절연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콘센트(10)는, 전원접지단자부(400)와 접지로드단자부(300) 사이에 형성된 절연판부(500)를 통해 접지로드단자부(400)를 절연판부(500)의 상부에 설치하고 전원접지단자부(400)를 절연판부(500)의 하부(하부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하여 전원접지단자부(400)와 접지로드단자부(300) 사이를 분리시킴으로써, 전원접지단자부(400)와 접지로드단자부(300)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전원접지단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러스전원단자부(400a)와 마이너스전원단자부(400b)는, 전원선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전원선연결부재는, 플러스전원단자부(400a)의 일측 가운데 부분의 바깥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러스전원선연결부재(410a)와 마이너스전원단자부(400b)의 일측 가운데 부분의 바깥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마이너스전원선연결부재(410b)로 구비되며, 각각에 플러스전원선과 마이너스전원선을 연결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플러스전원선연결부재(410a)는, 연결판(411a), 고정판(412a), 고정수단(413a)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판(411a)은, 플러스전원단자부(400a)의 일측 가운데 부분에 바깥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고정판(412a)은, 연결판(411a)의 상부에 형성되며, 연결판(411a)과의 사이에 플러스전원선의 말단부를 위치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판(412a)은, 연결판(411a)과 플러스전원선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에 연결판(411a)의 상부를 덮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외부와의 절연을 도모할 수 있다.
고정수단(413a)은, 고정판(412a)과 연결판(411a) 사이에 삽입되며, 고정판(412a)과 연결판(411a) 사이를 조아주어 고정판(412a)과 연결판(411a) 사이에 위치한 플러스전원선의 말단부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413a)은, 플러스전원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플러스전원선의 말단부를 감아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이너스전원선연결부재(410b)는, 연결판(411b), 고정판(412b), 고정수단(413b)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판(411b)은, 마이너스전원단자부(400b)의 일측 가운데 부분에 바깥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고정판(412b)은, 연결판(411b)의 상부에 형성되며, 연결판(411b)과의 사이에 마이너스전원선의 말단부를 위치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판(412b)은, 연결판(411b)과 마이너스전원선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에 연결판(411b)의 상부를 덮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외부와의 절연을 도모할 수 있다.
고정수단(413b)은, 고정판(412b)과 연결판(411b) 사이에 삽입되며, 고정판(412b)과 연결판(411b) 사이를 조아주어 연결판(411b)과 고정판(412b) 사이에 위치한 마이너스전원선의 말단부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413b)은, 마이너스전원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마이너스전원선의 말단부를 감아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선연결부재는, 커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고정수단(413a) 또는 고정수단(413b)의 상부를 덮어씌워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는, 절연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 플라스틱 등)로 형성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외부와의 절연을 도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하부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케이스(120)는, 라인홈(121)을 포함한다.
라인홈(121)은, 하부케이스(120)의 내부에 다수개로 형성되며, 플러스전원선과 마이너스전원선의 일부(피복이 형성된 부분)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인홈(121)은, 하부케이스(120)의 내부에 두 개로 돌출 형성되어 라인을 형성하며, 그 라인 내부에 플러스전원선과 마이너스전원선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인홈(121)은, 하부케이스(120)의 내부에 하부로 파인 형태의 홈을 형성하며, 그 홈 내부에 플러스전원선과 마이너스전원선의 일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인홈(121)은, 플러스전원선과 마이너스전원선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플러스전원선과 마이너스전원선을 끼워넣어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인홈(121)은, 플러스전원선과 마이너스전원선이 꺾이지 않도록 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을 라운드지게 곡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콘센트(10)는, 하부케이스(120)의 내부에 라인홈(121)을 형성함으로써, 사용하면서 플러스전원선과 마이너스전원선이 잡아당겨지더라도 라인홈(121)에 고정되어 움직이거나 빠져나가지 않는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전열판부 및 하부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케이스(120)는, 고정돌기(122)를 포함하며, 전열판부(500)는, 전원선고정부재(510), 고정홀(520)을 포함한다.
고정돌기(122)는, 하부케이스(120)의 상부방향으로 다수개로 돌출 형성되며, 고정홀(520)에 삽입되어 절연판부(500)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돌기(122)는, 상부케이스(110)의 삽입홈(111) 하부에 형성되어 고정홀(520)을 삽입되어 절연판부(50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전원선고정부재(510)는, 절연판부(50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플러스전원선과 마이너스전원선을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선고정부재(510)은, 플러스전원선과 마이너스전원선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플러스전원선과 마이너스전원선을 끼워넣어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홀(520)은, 고정돌기(122)에 대향하는 위치에 다수개로 형성되며, 고정돌기(122)에 삽입 고정된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접지로드단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지로드단자부(300)는, 접지선연결부재(310)를 포함한다.
접지선연결부재(310)는, 접지로드단자부(300)에 연장 형성되며, 접지선과 연결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접지선연결부재(310)는, 연결판(311), 고정판(312), 고정수단(313)을 포함한다.
연결판(311)은, 접지로드단자부(300)의 일단 또는 양말단에 연장 형성된다.
고정판(312)은, 연결판(311)의 하부에 형성되며, 연결판(311)과의 사이에 접지선의 말단부를 위치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판(312)은, 연결판(311)의 상부에 형성되어 접지로드단자부(300)를 하부케이스(120)쪽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고정수단(313)은, 연결판(311)과 고정판(312) 사이에 삽입되며, 접지선의 말단부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313)은, 고정판(312)이 연결판(311)의 상부에 형성된 경우에 하부방향으로 삽입되어 접지로드단자부(300)를 하부케이스(120)쪽에 설치할 수 있으며, 고정판(312)이 연결판(311)의 하부에 형성된 경우에 상부방향으로 삽입되어 접지로드단자부(300)를 상부케이스(110)쪽에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접지선연결부재(310)는, 전원접지단자부(400)에 형성되어 전원선과 연결되는 전원선연결부재와 유사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전원접지단자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원접지단자부(300)는, 돌기부재(320)를 포함한다.
돌기부재(320)는, 전원접지단자부(300)의 일단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하부케이스(120)에 설치된 접지선과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콘센트(1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선은 하부케이스(120)에 설치하고 접지선은 상부케이스(110)에 설치하는 것과 달리, 전원선과 접지선 모두 하부케이스(120)에 설치하는 것이다. 피복이 감긴 전선을 하부케이스(120)의 일단까지 위치시킨 후에 접지선은 하부케이스(120)의 일단 가운데 부분에 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하고 전원선은 양쪽으로 감아 플러스전원선연결부재(410a)와 마이너스전원선연결부재(410b)로 각각 연결한다. 그 다음에 절연판부(500)를 설치한 후에 접지로드단자부(300)를 상부케이스(110)쪽으로 설치하고,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를 서로 결합시키면 하부케이스(120)에 볼트로 고정 설치한 접지선 부분과 돌기부재(320)가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하부케이스(120)에 전원선과 접지선 모두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선 또는 접지선이 움직이거나, 피복이 벗겨지고 선이 끊어지는 등 여러 위험으로부터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하부케이스(120)에 전원선과 접지선을 설치한 후에 상부케이스(110)를 결합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콘센트
100 : 본체부
110 : 상부케이스
111 : 삽입홈
112 : 삽입홀
120 : 하부케이스121 : 라인홈
122 : 고정돌기
200 : 플러그접지단자부
300 : 접지로드단자부
310 : 접지선연결부재
311, 411a, 411b : 연결판
312, 412a, 412b : 고정판
313, 413a, 413b : 고정수단
320 : 돌기부재
400 : 전원접지단자부
400a : 플러스전원단자부
400b : 마이너스전원단자부
410a : 플러스전원선연결부재
410b : 마이너스전원선연결부재
500 : 절연판부
510 : 전원선고정부재
520 : 고정홀

Claims (10)

  1. 다수개의 삽입홈(111)과 삽입홀(112)이 형성되어 플러그를 삽입하는 상부케이스(110)와 상기 상부케이스부(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120)를 구비하는 본체부(100);
    상기 삽입홈(111)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의 삽입시 상기 플러그의 접지단자와 접촉되는 다수개의 플러그접지단자부(200);
    상기 플러그접지단자부(200)의 하부에서 상기 플러그접지단자부(200)를 각각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로드단자부(300);
    상기 하부케이스(12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의 전원단자와 접촉되는 2개의 전원접지단자부(400); 및
    상기 전원접지단자부(4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지로드단자부(300)와 상기 전원접지단자부(400) 사이를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판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절연판부(500)는,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전원선을 고정하기 위한 전원선고정부재(510)를 포함하며,
    상기 접지로드단자부(300)는,
    일단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접지선과 연결시키기 위한 돌기부재(32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접지단자부(400)는,
    일측 가운데 부분이 바깥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원선과 연결시키기 위한 전원선연결부재(410a, 410b)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선연결부재(410a, 410b)는,
    상기 전원접지단자부(400)의 일측 가운데 부분에 바깥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판(411a, 411b);
    상기 연결판(411a, 411b)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411a, 411b)과의 사이에 전원선의 말단부를 위치시키기 위한 고정판(412a, 412b);
    상기 고정판(412a, 412b)과 상기 연결판(411a, 411b)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전원선의 말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413a, 413b);
    상기 고정수단(413a, 413b)의 상부를 덮어씌워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20)는,
    내부에 형성되어 전원선의 일부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라인홈(1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20)는,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절연판부(500)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돌기(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부(500)는,
    상기 고정돌기(122)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122)에 삽입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홀(5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로드단자부(300)는,
    일단 또는 양말단에 연장 형성되어 접지선과 연결시키기 위한 접지선연결부재(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연결부재(310)는,
    상기 접지로드단자부(300)의 일단 또는 양말단에 연장 형성된 연결판(311);
    상기 연결판(3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311)과의 사이에 접지선의 말단부를 위치시키기 위한 고정판(312); 및
    상기 연결판(311)과 상기 고정판(312)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접지선의 말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3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10. 삭제
KR2020150000706U 2015-01-30 2015-01-30 콘센트 KR200481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06U KR200481705Y1 (ko) 2015-01-30 2015-01-30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706U KR200481705Y1 (ko) 2015-01-30 2015-01-30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759U KR20160002759U (ko) 2016-08-09
KR200481705Y1 true KR200481705Y1 (ko) 2016-11-01

Family

ID=56719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706U KR200481705Y1 (ko) 2015-01-30 2015-01-30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705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579Y1 (ko) 2001-06-26 2001-11-16 김상용 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66U (ko) * 1998-04-17 1998-07-25 박선우 무개방 전선연결 콘센트
KR101123986B1 (ko) * 2010-07-20 2012-03-23 정성인 회전식 멀티탭
KR200460864Y1 (ko) 2011-01-24 2012-06-08 곽판수 다공 콘센트의 단자 접속구조
KR200462347Y1 (ko) 2011-02-09 2012-09-06 곽판수 콘센트용 하부 케이스의 전원선 결속 안내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579Y1 (ko) 2001-06-26 2001-11-16 김상용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759U (ko)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0711A (ko) 이동식 소켓들을 위한 가압 레일의 배열
CN110190478B (zh) 一种便于连接的滑轨式插座
CN106129755A (zh) 一种电力转接器
KR20180068446A (ko) 콘센트 설치 구조
KR100965367B1 (ko) 전원 연결 기구
CN205646395U (zh) 一种电力转接器
KR200481705Y1 (ko) 콘센트
CN201667475U (zh) 多功能防灰插座
KR101205016B1 (ko) 전원 연결 기구
KR101391112B1 (ko) 플러그용 회전 접속형 콘센트
CN106450899A (zh) 一种多控结构的安全插座
CN210430304U (zh) 一种可调节电压的电子插接件
KR200451170Y1 (ko) 다공 콘센트의 단자 접속구조
CN214313697U (zh) 一种便于接线的漏电保护插头
CN216389868U (zh) 一种新型漏电保护插头
TWI589075B (zh) Turn the safety socket
CN216529525U (zh) 一种便携可调式排插
CN207542521U (zh) 一种组合式电源保护装置
CN220691848U (zh) 一种互感器结构
CN108565606A (zh) 一种短路连接器开关
CN216054230U (zh) 10kv配电变压器高压端子绝缘防护罩
CN217086413U (zh) 一种线上开关
KR200432556Y1 (ko) 감전방지용 전기플러그
KR102654073B1 (ko) 플러그-소켓 조립체
CN218850021U (zh) 一种电压指示连接器及电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