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402Y1 - 얼굴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얼굴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402Y1
KR200481402Y1 KR2020160000219U KR20160000219U KR200481402Y1 KR 200481402 Y1 KR200481402 Y1 KR 200481402Y1 KR 2020160000219 U KR2020160000219 U KR 2020160000219U KR 20160000219 U KR20160000219 U KR 20160000219U KR 200481402 Y1 KR200481402 Y1 KR 200481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ace
image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모
리봉
조성만
Original Assignee
델리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리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델리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0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3B17/568

Landscapes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얼굴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부가 지면에 밀착되고 타측에 거치대지지부(11)가 마련된 받침대(10); 상기 받침대(10)의 거치대지지부(11)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에 복수의 카메라(30)가 장착되는 카메라거치대(20); 및 상기 카메라거치대(20) 상의 각 개소에 각각 장착되어 촬영대상자의 마주보는 정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촬영대상자의 전방에 복수개의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거치대를 배치하여 모든 카메라가 촬영대상자의 얼굴을 향하도록 한 후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대상자의 얼굴 전체 영역에 대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득 영상의 균질성을 통해 촬영대상자의 성별이나 나이 등의 파악이 용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영상을 필요로 하는 자에게 보다 명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면서 신뢰성 향상 등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얼굴촬영장치{APPARATUS FOR PHOTOGRAPHING FACE}
본 고안은 얼굴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대상자의 전방에 복수개의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거치대를 배치하여 모든 카메라가 촬영대상자의 얼굴을 향하도록 한 후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대상자의 얼굴 전체 영역에 대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얼굴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로 카메라를 주로 사용하는데, 보통 단일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얼굴을 촬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얼굴의 다양한 모습 촬영을 위해, 예를 들어 얼굴의 옆모습 등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촬영대상자가 직접 옆으로 돌아서 촬영에 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단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얼굴의 전면부만을 촬영하게 되면 촬영대상자의 정확한 성별이나 나이 등을 파악하기 어려워 보는 이로 하여금 주관적인 인식에 편중되도록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일 카메라만을 이용한 얼굴의 전면부 촬영은 얼굴 정보를 필요로 하는 곳에는 정보로써의 가치가 거의 없어 무용지물로 취급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단일 카메라를 통해서는 촬영대상자의 얼굴 전면부 내지는 측면부를 촬영하는게 고작이고, 그 밖에 얼굴의 상방 중앙에서 바라본 영상이나, 상방 양측에서 바라본 영상이나, 하방 중앙에서 바라본 영상이나, 하방 양측에서 바라본 영상 등은 촬영자가 직접 자세를 옮겨 가면서 촬영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 촬영이다 보니 매번 위치가 변하게 되면서 정확한 촬영도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서 이 역시 정보로써의 가치가 매우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9932호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촬영대상자의 전방에 복수개의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거치대를 배치하여 모든 카메라가 촬영대상자의 얼굴을 향하도록 한 후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대상자의 얼굴 전체 영역에 대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득 영상의 균질성을 통해 촬영대상자의 성별이나 나이 등의 파악이 용이하게 되는 얼굴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촬영장치는
일단부가 지면에 밀착되고 타측에 거치대지지부가 마련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거치대지지부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이 상향 연장되는 카메라거치대; 및
상기 카메라거치대 상의 각 개소에 각각 장착되어 촬영 대상자의 마주보는 정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거치대는,
서로 간에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평 배치되고 연결브래킷을 통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대;
상기 복수의 수평대 중앙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단일 수직대; 및
상기 복수의 수평대 중 최하단의 수평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받침대의 거치대지지부와 연결되는 연결대;
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 동작과 상하로 회전되는 틸팅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와 상기 연결브래킷 사이에 스윙 및 틸팅을 가능케 하는 볼조인트(32)가 개재되고,
상기 카메라거치대의 수평대는 그 중앙 및 양단부에 각각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고, 상기 양단부의 카메라는 촬영대상자의 얼굴 위치를 향해 수평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단부가 힌지조인트로 연결되어 각각 절첩되며,
상기 수직대는 촬영대상자의 얼굴 높이에 대응하여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낮이조절구조가 마련되되,
상기 수직대는 중앙수직대와 상, 하단수직대로 분리 구성되고, 이들의 결합구조는 이중관체 구조로서 이들 이중관체에는 각각 상하로 이격된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이들 이중관체 중 어느 하나의 관체를 상하로 승강시켜 서로간의 관통공을 일치시킨 후 별도의 고정핀을 일치된 관통공으로 관통 고정시켜서 승강조절을 정지시킴으로써 상하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상, 하단의 수평대의 중앙부에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상기 상, 하단수직대의 각각의 상, 하단부 및 연결대의 상단부는 영문 와이자(Y) 구조로 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촬영대상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수평대 양단부의 회전각도 조절 및 수직대를 이용하여 수평대의 높이 조절을 수행하여 모든 카메라가 촬영대상자의 얼굴 전 부위를 향하도록 한 후 얼굴의 좌우 30도 및 상하 15도로 촬영을 수행하여 얼굴 전체 영역의 영상인 피촬영자의 얼굴정면영상과, 이 정면영상을 기준으로 양측의 중앙을 바라보는 비스듬한 옆얼굴영상 한 쌍과, 정면영상 직상방의 상방영상과, 상방영상 양측의 비스듬한 상방영상 한 쌍과, 정면영상 직하방의 하방영상과, 하방영상 양측의 비스듬한 하방영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총 9장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얼굴촬영장치는 촬영대상자의 전방에 복수개의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거치대를 배치하여 모든 카메라가 촬영대상자의 얼굴을 향하도록 한 후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대상자의 얼굴 전체 영역에 대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득 영상의 균질성을 통해 촬영대상자의 성별이나 나이 등의 파악이 용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영상을 필요로 하는 자에게 보다 명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면서 신뢰성 향상 등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촬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촬영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촬영장치 중 카메라거치대의 수평대가 절첩되는 동작을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촬영장치 중 카메라거치대의 수직대의 높이 조절 동작을 나타낸 개략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촬영장치 중 카메라의 스윙 및 틸팅을 위한 볼조인트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촬영장치는 받침대(10)와, 카메라거치대(20)와, 복수의 카메라(3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10)는 하단부가 편평한 지면에 밀착되고 그 상측이 일정높이 상향 연장된 상태에서 그 상단부에 카메라거치대(20)의 연결대(23)가 연결되는 거치대지지부(11)가 마련된 다발이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지지부(11)는 카메라거치대(20)의 원관체 형상의 연결대(23)가 외부로 덮어씌워진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거치대(20) 전체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향 개방되고 하단부가 폐쇄된 원관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지지부(11)를 덮어씌운 연결대(23)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 상기 거치대지지부(11)와 연결대(23)를 일체형으로 조이는 조임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임수단은 일례로 상기 거치대지지부(11)와 연결대(23)의 일직선상에 놓이는 외주면을 관통시켜 이들의 관통공(11a,23a)으로 별도의 지지핀(24) 등을 장착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해, 상기 거치대지지부(11) 및 연결대(23)는 관통공(11a,23a)을 상하로 복수개 형성하여 연결대(23)를 상하 승강 조절하면서 원하는 소정 높이에서 다시 서로 간의 관통공(11a,23a)을 일치시켜 지지핀(24)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카메라거치대(20) 전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거치대(20)는 상기 받침대(10)의 거치대지지부(11)에 하단의 연결대(23)가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측에 복수의 카메라(30)가 장착되는 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카메라거치대(20)는, 서로 간에 상하로 일정간격(등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평 배치되는 파이프 구조의 복수의 수평대(21)와, 상기 복수의 수평대(21) 중앙을 가로질러 이들 복수의 수평대(21)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파이프 구조의 수직대(22) 및 상기 복수의 수평대(21) 중 최하단의 수평대(21)의 중앙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받침대(10)의 거치대지지부(11)와 연결되는 연결대(2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거치대(20)의 수평대(21)는 그 중앙 및 양단부에 각각 상기 카메라(30)가 장착되고, 상기 양단부의 카메라(30)는 촬영대상자의 얼굴 위치쪽을 향해 접히면서 수평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대(2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단부가 각각 절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절첩되는 기준점에는 힌지조인트(21a)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힌지조인트(21a)를 사용하여 원하는 각도만큼 양단부의 카메라(30)를 수평 상태로 축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대(22)는 촬영대상자의 얼굴 높이에 대응하여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낮이 조절구조가 마련되되, 일례로 상기 수직대(22)는 중앙수직대(22a)와 상, 하단수직대(22b,22c)로 분리 구성되고, 이들의 결합구조는 이중관체 구조로서 이들 이중관체에는 각각 상하로 이격된 복수개의 관통공(22a1,22b1,22c1)이 형성되며, 이들 이중관체 중 어느 하나의 관체를 상하로 승강시켜 서로간의 관통공(22a1,22b1,22c1)을 일치시킨 후 별도의 고정핀(25)을 일치된 관통공(22a1,22b1,22c1)으로 관통 고정시켜서 승강조절을 정지시킴으로써 상하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 하단의 수평대(21)의 중앙부에 카메라(3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상기 상, 하단수직대(22b,22c)의 각각의 상, 하단부 및 연결대(23)의 상단부는 영문 와이자(Y)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수평대(21)와 수직대(22) 간의 결합 및 수직대(23)와 연결대(23) 간의 결합은 용접 등을 이용하여 접착시킬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결합 수단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카메라(30)는 상기 카메라거치대(20) 상의 각 개소(각 수평대의 중앙 및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촬영 대상자의 마주보는 정면에 배치되는 복수개(본 발명에서는 9개를 사용)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30)는 그 저면에 수평대(21)와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브래킷(31)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브래킷(31)은 수평대(21)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별도의 체결구(32)로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영문 씨(c)자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 구조는 예를 들어 연결브래킷(31)의 일측과 대응되는 수평대(21)의 일측에 각각 관통공(31a,21b)을 형성하여 이들 관통공(31a,21b)을 일치시킨 후 체결구(32)를 체결하여 서로 연결시키는 구조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30)는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 동작과 상하로 회전되는 틸팅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30)와 연결브래킷(31) 사이에 스윙 및 틸팅을 가능케 하는 볼조인트(32)가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30)는 피사체와 직각을 이룰 수 있도록 별도의 각도기(미도시)를 장착하여 취득영상의 균질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얼굴촬영장치의 작동 과정을 살펴본다.
우선 본 고안의 얼굴촬영장치의 조립을 위해 카메라거치대(20)의 연결대(23)를 받침대(10)의 거치대지지부(11)로 덮어씌워 카메라거치대(20)를 받침대(10)에 조립한다.
이때 서로 간의 조립 상태를 견고히 하기 위해 별도의 조임수단을 통해 서로 간을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각 수평대(21) 상의 중앙부와 양단부에 각각 카메라(30)를 장착함으로써 본 고안의 얼굴촬영장치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렇게 완성된 본 고안의 얼굴촬영장치를 촬영대상자의 일정거리 이격된 전방에 배치한 상태에서 촬영대상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수평대(21) 양단부의 회전각도 조절 및 수직대(22)를 이용하여 수평대(21)의 높이 조절을 수행하여 모든 카메라가 촬영대상자의 얼굴 전 부위를 향하도록 한 후(바람직하게는 얼굴의 좌우 30도 및 상하 15도로 세팅) 촬영을 수행하여 얼굴 전체 영역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촬영에 의해 피촬영자의 얼굴정면영상과, 이 정면영상을 기준으로 양측의 중앙을 바라보는 비스듬한 옆얼굴영상 한 쌍과, 정면영상 직상방의 상방영상과, 상방영상 양측의 비스듬한 상방영상 한 쌍과, 정면영상 직하방의 하방영상과, 하방영상 양측의 비스듬한 하방영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총 9장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촬영장치는 촬영대상자의 전방에 복수개의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거치대를 배치하여 모든 카메라가 촬영대상자의 얼굴을 향하도록 한 후 촬영을 수행하여 촬영대상자의 얼굴 전체 영역에 대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득 영상의 균질성을 통해 촬영대상자의 성별이나 나이 등의 파악이 용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영상을 필요로 하는 자에게 보다 명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면서 신뢰성 향상 등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대 11 : 거치대지지부
11a : 관통공 20 : 카메라거치대
21 : 수평대 21a : 힌지조인트
21b : 관통공 22 : 수직대
22a : 중앙수직대 22a1 : 관통공
22b : 상단수직대 22b1 : 관통공
22c : 하단수직대 22c1 : 관통공
23 : 연결대 23a : 관통공
24 : 지지핀 25 : 고정핀
30 : 카메라 31 : 연결브래킷
31a : 관통공 32 : 체결구
33 : 볼조인트

Claims (4)

  1. 일단부가 지면에 밀착되고 타측에 거치대지지부가 마련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거치대지지부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이 상향 연장되는 카메라거치대; 및
    상기 카메라거치대 상의 각 개소에 각각 장착되어 촬영 대상자의 마주보는 정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거치대는,
    서로 간에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평 배치되고 연결브래킷을 통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대;
    상기 복수의 수평대 중앙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단일 수직대; 및
    상기 복수의 수평대 중 최하단의 수평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받침대의 거치대지지부와 연결되는 연결대;
    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좌우로 회전되는 스윙 동작과 상하로 회전되는 틸팅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와 상기 연결브래킷 사이에 스윙 및 틸팅을 가능케 하는 볼조인트(32)가 개재되고,
    상기 카메라거치대의 수평대는 그 중앙 및 양단부에 각각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고, 상기 양단부의 카메라는 촬영대상자의 얼굴 위치를 향해 수평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단부가 힌지조인트로 연결되어 각각 절첩되며,
    상기 수직대는 촬영대상자의 얼굴 높이에 대응하여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낮이조절구조가 마련되되,
    상기 수직대는 중앙수직대와 상, 하단수직대로 분리 구성되고, 이들의 결합구조는 이중관체 구조로서 이들 이중관체에는 각각 상하로 이격된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이들 이중관체 중 어느 하나의 관체를 상하로 승강시켜 서로간의 관통공을 일치시킨 후 별도의 고정핀을 일치된 관통공으로 관통 고정시켜서 승강조절을 정지시킴으로써 상하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상, 하단의 수평대의 중앙부에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상기 상, 하단수직대의 각각의 상, 하단부 및 연결대의 상단부는 영문 와이자(Y) 구조로 되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촬영대상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수평대 양단부의 회전각도 조절 및 수직대를 이용하여 수평대의 높이 조절을 수행하여 모든 카메라가 촬영대상자의 얼굴 전 부위를 향하도록 한 후 얼굴의 좌우 30도 및 상하 15도로 촬영을 수행하여 얼굴 전체 영역의 영상인 피촬영자의 얼굴정면영상과, 이 정면영상을 기준으로 양측의 중앙을 바라보는 비스듬한 옆얼굴영상 한 쌍과, 정면영상 직상방의 상방영상과, 상방영상 양측의 비스듬한 상방영상 한 쌍과, 정면영상 직하방의 하방영상과, 하방영상 양측의 비스듬한 하방영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총 9장의 영상을 취득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촬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60000219U 2016-01-14 2016-01-14 얼굴촬영장치 KR200481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19U KR200481402Y1 (ko) 2016-01-14 2016-01-14 얼굴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219U KR200481402Y1 (ko) 2016-01-14 2016-01-14 얼굴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402Y1 true KR200481402Y1 (ko) 2016-10-10

Family

ID=57139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219U KR200481402Y1 (ko) 2016-01-14 2016-01-14 얼굴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4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0395A (zh) * 2019-04-16 2019-07-26 南京奇偶创想人工智能研究院有限公司 幼儿园用人脸识别一体机
KR102448583B1 (ko) * 2022-02-24 2022-09-29 케비스전자 주식회사 멀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카메라의 각도 조절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932Y1 (ko) 2000-03-02 2000-07-15 강원형 얼굴 촬영 장치
JP2004266511A (ja) * 2003-02-28 2004-09-24 Sony Corp 撮像装置
KR20090114125A (ko) * 2008-04-29 2009-11-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평면용 입자영상유속 측정 장치
KR101311600B1 (ko) * 2012-10-26 2013-09-2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위치추적 기기
KR101392308B1 (ko) * 2013-11-11 2014-05-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다수의 직선대를 구비하는 복합단층 구조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932Y1 (ko) 2000-03-02 2000-07-15 강원형 얼굴 촬영 장치
JP2004266511A (ja) * 2003-02-28 2004-09-24 Sony Corp 撮像装置
KR20090114125A (ko) * 2008-04-29 2009-11-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평면용 입자영상유속 측정 장치
KR101311600B1 (ko) * 2012-10-26 2013-09-2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위치추적 기기
KR101392308B1 (ko) * 2013-11-11 2014-05-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다수의 직선대를 구비하는 복합단층 구조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0395A (zh) * 2019-04-16 2019-07-26 南京奇偶创想人工智能研究院有限公司 幼儿园用人脸识别一体机
KR102448583B1 (ko) * 2022-02-24 2022-09-29 케비스전자 주식회사 멀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카메라의 각도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2399B2 (en) Portable support system for projector and screen
ES2651905T3 (es) Estación de trabajo multimedia móvil
AU2013226071B2 (en) 360degrees imaging system
US8693093B2 (en) Portable projector and screen mounting system
TW200421009A (en) Panorama image capturing support device
KR200481402Y1 (ko) 얼굴촬영장치
US20070019949A1 (en) Stand apparatus for photographic uses
US9027900B2 (en) Universal bipod mount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JP2008244618A (ja) 表示装置用スタンド
CN109237265A (zh) 一种摄像机拍摄用可调节支架
KR101447233B1 (ko) 파노라마 촬영장치
KR101297835B1 (ko)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장착리그
US20170277019A1 (en) Imaging apparatus stand
JP5577486B2 (ja) 保定装置
CN205647719U (zh) 一种用于考场人脸检测识别的摄像头
US11020647B2 (en) Support stand for hands free use of electronic devices while using an exercise machine
JP7108344B2 (ja) 足底画像を取り込むシステム
KR100968365B1 (ko) 카메라용 지그
KR200467570Y1 (ko) 광축 보정이 가능한 카메라 거치대
KR200467210Y1 (ko) 안면 화상 데이터 획득장치
CN209845085U (zh) 图像拍摄系统
KR101686620B1 (ko) 얼굴영상을 통한 고령자판단시스템
CN205908976U (zh) 外骨骼
US7232265B1 (en) Seat with articulating camera support
TW201029450A (en) Visual prese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