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321Y1 - 도어 체크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321Y1
KR200481321Y1 KR2020150007635U KR20150007635U KR200481321Y1 KR 200481321 Y1 KR200481321 Y1 KR 200481321Y1 KR 2020150007635 U KR2020150007635 U KR 2020150007635U KR 20150007635 U KR20150007635 U KR 20150007635U KR 200481321 Y1 KR200481321 Y1 KR 200481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door
main body
support plat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호길
Original Assignee
남호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호길 filed Critical 남호길
Priority to KR2020150007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축을 구비하는 본체; 문틀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힌지부; 상기 제1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문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로드; 상기 제1로드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힌지부; 상기 제2힌지부에 의해 일단이 상기 제1로드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타단이 설치되는 제2로드; 상기 본체가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면에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문틀에 회전 가능하고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체크장치 {APPARATUS FOR CLOSING DOOR}
본 고안은 도어 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설치되는 본체의 설치강도를 향상시켜 도어의 폐쇄작동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체크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도어 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체크는 손가락이 도어와 문틀 사이에 끼거나 혹은 도어가 문틀에 부딪혀 나는 소음을 방지함과 아울러 도어를 자동으로 폐문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 이러한 도어 체크는 2단계에 걸쳐 폐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먼저 1단계는 절반 정도까지 닫히는 속도를 조절하고, 2단계는 절반부터 완전히 닫힐 때까지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일반 가정은 물론 특히, 각종 대형 건축 구조물의 방화문에는 의무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최근에 시공되는 각종 대형 건축 구조물에는 화재 발생 시 불이 옮겨 붙는 것을 차단하거나 적어도 불이 옮겨 붙는 시간을 늘려주어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는 방화문이 건축법 및 소방법에 따라 의무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도어 체크 역시 이러한 방화문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화재발생 시 보다 효과적으로 방화문을 활용하기 위하여 개선된 도어 체크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431191호의 도어 체크에는 전자석을 이용한 로커가 구비되어 화재 발생 시 방화문을 폐쇄시키는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을 살펴보며 다음과 같다.
벽체의 일측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도어에 유압식 도어 체커를 구비하여 도어의 내면에 일측이 고정된 제1 작동봉의 타측이 회전축을 통하여 제2 작동봉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작동봉의 타측에는 축을 통해 기어를 결합하여 스프링의 탄성을 받는 유압실린더의 외면에 형성된 래크와 치합되도록 한 도어의 자동 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유압실린더는 상하로 이동하는 로커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동이 방지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정류회로를 경유한 AC전원이나 내부 배터리의 전원이 스위치의 접점을 통하여는 직접 전자석으로 공급되면서 접점을 통하여는 화재감지센서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의 화제감지센서를 경유한 전원은 역류방지용 다이오드를 통하여는 상기의 전자석으로 공급되면 직접 상기 도어의 일측에 부착한 램프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로커 즉 전자석이 유압 실린더를 직접 단속함으로써, 유압 실린더의 압력을 극복할 수 있는 대용량의 전자석이 필요하고, 로커가 도어 체크를 관통하여 설치됨에 따라 기밀을 요구하는 유압식 도어 체크의 고장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압 실린더를 단속하는 로커가 유압에 의해 부러지거나 휘어져 방화문을 폐쇄하는 본래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방화문의 상단에 설치되는 도어체크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체크는, 도어체크와 연결되어 항상 방화문의 폐문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회전축에 구비되며, 외주연에 걸림턱이 돌출된 걸림 원판과, 평상시에는 걸림 원판에 밀착되어 걸림턱이 걸리도록 함으로서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멈춤 원판과, 멈춤 원판이 설치되는 밀대와, 밀대의 양측면에 맞대어져 멈춤 원판과 밀대를 관통하는 결합핀에 의해 조립되고, 상부측에 구비된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밀대의 이동을 안내하는 링크와, 밀대의 후방측에 연결되며, 이 밀대를 이동시키는 중심축과, 중심축이 관통하여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 중심축을 당겨 멈춤 원판이 걸림턱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전자석과, 도어 체크에 입설된 브라켓트와 중심축에 구비된 와셔부 사이에 개재되어 평상시 밀대를 걸림 원판측으로 밀어 밀착되도록 하는 스프링과, 중심축의 단부에 구비되어 전자석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4384호(2009년 07월 07일 공개, 고안의 명칭 : 도어 체크용 폐문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 체크용 폐문 장치는, 폐문 작동을 행하는 장치를 도어에 설치할 때에 장치의 설치강도를 향상시키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오래되어 낡은 도어에 폐문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폐문작동이 진행되는 동안에 도어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도어에 설치되는 본체의 설치강도를 향상시켜 도어의 폐쇄작동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체크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도어 체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일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축을 구비하는 본체; 문틀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힌지부; 상기 제1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문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로드; 상기 제1로드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힌지부; 상기 제2힌지부에 의해 일단이 상기 제1로드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타단이 설치되는 제2로드; 상기 본체가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면에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문틀에 회전 가능하고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본체의 결합홀부를 통해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연결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부에는 상기 결합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가 거치되는 돌출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에는 상기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보강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연장플레이트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보강리브로부터 상기 연장플레이트로 연장되는 연장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체크장치는, 도어의 폐문작동을 행하는 본체가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도어의 테두리부에 지지될 수 있도록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와, 도어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연장부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와 도어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므로 폐문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가압력이 도어의 테두리부에 작동되므로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도어의 중앙부에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크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크장치가 도시된 설치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크장치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크장치의 지지플레이트 및 연장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체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크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크장치가 도시된 설치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크장치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크장치의 지지플레이트 및 연장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크장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축(14)을 구비하는 본체(10)와, 문틀(106)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12)에 설치되는 제1힌지부(50)와, 제1힌지부(5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문틀(106)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로드(30)와, 제1로드(30)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힌지부(56)와, 제2힌지부(56)에 의해 일단이 제1로드(3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축(14)에 타단이 설치되는 제2로드(38)와, 본체(10)가 지지되도록 본체(10)의 일면에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70)와, 지지플레이트(70)와 일체로 형성되고 문틀(106)에 회전 가능하고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00)의 테두리부(102)에 고정되는 연장부(80)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상면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구동축(14)은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도어(100)를 문틀 외측으로 당겨 개방하면 구동축(14)으로부터 제1로드(30), 제2로드(38) 및 지지플레이트(70)에 의해 도어(100)에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도어(100)는 폐쇄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구동축(14)의 회전력은 제1로드(30), 제2로드(38) 및 지지플레이트(70)를 따라 전달되어 도어(100)에 전달되는데, 본 실시예는 지지플레이트(70)와 일체로 형성되고 도어(100)의 테두리부(102) 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연장부(80)를 통해 회전력이 분사되어 전달되므로 도어(100)에 가해지는 외력이 분산되고, 도어(1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주로 도어(100)의 테두리부(102)에 작용된다.
목재 또는 철재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도어(100)는 문틀(106)에 접촉되는 도어(100)의 테두리부(102) 내부에 지지대가 구비되므로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고, 도어(100)의 중앙을 이루는 패널부(104)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도어(100)의 무게가 필요 이상으로 무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도어(100)의 테두리부(102)와 비교하여 도어(100)의 패널부(104)는 강도가 낮아지게 된다.
본 실시예는, 본체(1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이 도어(100)에 전달될 때에 지지플레이트(70)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80)에 의해 도어(100)의 테두리부(102) 측으로 분산되어 전달되므로 도어(100)의 폐쇄작동이 장기간 연속되어 도어(100)의 중앙부에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체(10)의 구동축(14)에 일 방향으로 회전력이 제공되는 실린더는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로드(30)는, 제1힌지부(50)를 이루는 고정축(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홀부(54)의 둘레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본체(32)와, 로드본체(32)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에 제2힌지부(56)가 연결되는 출몰로드(34)와, 출몰로드(34)를 로드본체(32)로부터 출몰시켜 제1로드(30)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길이가변부(36)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본체(10), 제1로드(30) 및 제2로드(38)를 문틀(106)과 도어(100)에 설치할 때에 길이가변부(36)를 조작하여 제1로드(30)의 길이를 가변시키면서 도어(100)와 문틀(106)의 구조적 특징에 호환되도록 체크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길이가변부(36)는, 로드본체(32)의 외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는 삽입홀부(36a)와, 삽입홀부(36a)에 형성되는 나선과 볼트결합되도록 출몰로드(34) 둘레면에 형성되는 나사산(36b)을 포함하므로 작업자가 로드본체(32) 및 출몰로드(34)를 설치할 때에 출몰로드(34)를 회전시키면서 로드본체(32)로부터 돌출되는 출몰로드(3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체(10)의 설치 위치, 도어(100)와 문틀(106)의 연결구조에 맞게 출몰로드(34)를 출몰시키면서 제1로드(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2힌지부(56)는, 제2로드(38)의 외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힌지축(56a)과, 힌지축(56a)을 감싸도록 굴곡되어 형성되고 출몰로드(34)에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56b)를 포함하므로 제2로드(38)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힌지축(56a)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회전플레이트(56b)를 배치시킨 후에 회전플레이트(56b)의 양단부를 출몰로드(34)에 연결하여 제1로드(30)와 제2로드(38)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지지플레이트(70)에는 본체(10)의 결합홀부를 통해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연결홀부(74)가 형성되고, 연결홀부(74)에는 결합홀부에 삽입되어 본체(10)가 거치되는 돌출리브(74a)가 형성된다.
지지플레이트(70)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본체(10)의 배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지지플레이트(70)의 양단부에는 본체(1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홀부를 통해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연결홀부(74)가 형성되므로 지지플레이트(70)의 전면에 본체(10)의 배면이 밀착되게 연결된다.
연결홀부(74)의 테두리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링 모양으로 형성되는 돌출리브(74a)가 형성되므로 지지플레이트(70) 및 연장부(80)를 도어(100)에 설치한 후에 본체(10)를 지지플레이트(70)에 설치하게 되면 본체(10)의 결합홀부 내측으로 돌출리브(74a)를 삽입하여 본체(10)가 어느 정도 거치된 상태를 이루도록 지지시키고, 본체(10)의 결합홀부 및 연결홀부(74)에 체결부재를 결합시켜 본체(10)와 지지플레이트(70)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돌출리브(74a)가 본체(10)의 결합홀부에 삽입되어 본체(10)가 어느 정도는 거치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작업자가 본체(10)를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체결작업을 행하여도 돌출리브(74a)가 본체(10)의 결합홀부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정확한 위치에 체결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70)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보강리브(72)가 형성되므로 지지플레이트(70)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본체(10)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될 때에 지지플레이트(7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연장부(80)는, 지지플레이트(7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지지플레이트(70)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플레이트(82)를 포함하고, 연장플레이트(82)에는 테두리부(102)에 고정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보강홀부(84)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연장플레이트(82)가 지지플레이트(7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도어(100)의 상단에 구비되는 테두리부(102)에 연결되므로 도어(10)의 상단 테두리부(102)에 연장플레이트(82)를 안착시켜 보강홀부(84)를 통해 체결부재를 도어(80)의 테두리부(102)에 결합시킨 후에 지지플레이트(70)에 본체(10)를 결합시키면 본체(1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이 도어(100)의 테두리부(102)에 전달되도록 체크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연장플레이트(82)는, 지지플레이트(70)와 비교하여 폭이 좁게 형성되고, 연장플레이트(82)의 상단부에는 다수 개의 보강홀부(84)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물론, 연장플레이트(82)는 지지플레이트(70)의 일측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어(100)의 측면을 이루는 테두리부(10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연장플레이트(82)에는 지지플레이트(70)의 보강리브(72)로부터 연장플레이트(82)로 연장되는 연장리브(86)가 형성된다.
연장리브(86)는 보강리브(72)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되고, 보강리브(72)와 연장리브(86)는 일체로 연결되므로 지지플레이트(70)와 연장플레이트(82) 사이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보강플레이트(82)가 지지플레이트(70)로부터 굴곡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1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이 지지플레이트(70)에 전달되어도 지지플레이트(70)에 가해지는 외력이 보강플레이트(82)에 전달되고, 보강리브(72) 및 연장리브(86)에 의해 연장플레이트(82)가 지지플레이트(70)로부터 굴곡되는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도어에 설치되는 본체의 설치강도를 향상시켜 도어의 폐쇄작동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체크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도어 체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어 체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도어 체크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고안의 체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30 : 제1로드
32 : 로드본체 34 : 출몰로드
36 : 길이가변부 36a : 삽입홀부
36b : 나사산 38 : 제2로드
50 : 제1힌지부 52 : 고정축
54 : 힌지홀부 56 : 제2힌지부
56a : 힌지축 56b : 회전플레이트
70 : 지지플레이트 72 : 보강리브
74 : 연결홀부 74a : 돌출리브
76 : 고정홀부 80 : 연장부
82 : 연장플레이트 84 : 보강홀부
86 : 연장리브 100 : 도어
102 : 테두리부 104 : 패널부
106 : 문틀

Claims (4)

  1. 일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축을 구비하는 본체; 문틀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이트에 설치되는 제1힌지부; 상기 제1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문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1로드; 상기 제1로드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힌지부; 상기 제2힌지부에 의해 일단이 상기 제1로드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타단이 설치되는 제2로드; 상기 본체가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면에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문틀에 회전 가능하고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의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도어 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본체의 결합홀부를 통해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연결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연장부를 도어에 설치한 후에 상기 본체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할 때에 상기 본체의 결합홀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본체가 거치된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연결홀부의 테두리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링 모양으로 형성되는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에는 상기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보강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플레이트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보강리브로부터 상기 연장플레이트로 연장되는 연장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연장플레이트 사이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보강플레이트가 상기 지지플레이트로부터 굴곡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장리브는 상기 보강리브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보강리브와 상기 연장리브는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로드는,
    상기 제1힌지부를 이루는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홀부의 둘레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본체;
    상기 로드본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에 상기 제2힌지부가 연결되는 출몰로드; 및
    상기 출몰로드를 상기 로드본체로부터 출몰시켜 상기 제1로드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길이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가변부는,
    상기 로드본체의 외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는 삽입홀부;
    상기 삽입홀부에 형성되는 나선과 볼트결합되도록 상기 출몰로드 둘레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체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50007635U 2015-11-24 2015-11-24 도어 체크장치 KR200481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35U KR200481321Y1 (ko) 2015-11-24 2015-11-24 도어 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35U KR200481321Y1 (ko) 2015-11-24 2015-11-24 도어 체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321Y1 true KR200481321Y1 (ko) 2016-09-22

Family

ID=57048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635U KR200481321Y1 (ko) 2015-11-24 2015-11-24 도어 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2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2178A (en) * 1961-02-27 1966-05-24 Yale & Towne Inc Mounting for door closer
US20020007564A1 (en) * 1999-02-09 2002-01-24 Schlage Lock Company Installation template for a door closer
JP3285328B2 (ja) * 1997-10-22 2002-05-27 リョービ株式会社 ドアクローザ及びドアクローザ取付具並びにドアクローザ取付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2178A (en) * 1961-02-27 1966-05-24 Yale & Towne Inc Mounting for door closer
JP3285328B2 (ja) * 1997-10-22 2002-05-27 リョービ株式会社 ドアクローザ及びドアクローザ取付具並びにドアクローザ取付方法
US20020007564A1 (en) * 1999-02-09 2002-01-24 Schlage Lock Company Installation template for a door clos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1949A (ko) 댐핑을 구비한 멀티-링크 힌지
CN104975466B (zh) 一种门体支撑结构及洗/干衣机
KR101585469B1 (ko)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US8151602B2 (en) Top-loading clothes washing machine with lid enterlock means
US20210238902A1 (en) Multi-link hinge device
US9382735B2 (en) Motor vehicle lock
KR20190113071A (ko) 자동 개방 구조가 적용된 래치 홀더 및 이를 적용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조리기기
CN107069521B (zh) 一种开关柜
JP2017511848A (ja) ドア用のベアリング装置
US10597807B2 (en) Front-loading washing machine having rotatable observation windowed door
JP4185141B2 (ja) 射出成形機の安全扉
KR200481321Y1 (ko) 도어 체크장치
KR102002244B1 (ko) 오븐용 도어 힌지
JPWO2018147322A1 (ja) 加熱調理器
CN211144129U (zh) 门铰链结构及具有该门铰链结构的食物料理机
WO2019015694A1 (zh) 联动开盖组件和顶开式滚筒洗衣机
ITTO20100625A1 (it) Dispositivo bloccaporta per un elettrodomestico, in particolare un forno pirolitico
CN110094116B (zh) 一种家用电器的门锁结构
KR102070117B1 (ko) 자동 개방 구조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
KR101525446B1 (ko) 도어 힌지
KR101493165B1 (ko) 도어 힌지
KR20140047074A (ko) 가전 기기용 도어 잠금 장치
KR102401368B1 (ko) 자동 개방 구조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도어 작동 제어방법
KR101526802B1 (ko) 도어 힌지
ITFI990018U1 (it) Dispositivo per l'ancoraggio della serratura in una porta di veicoli,in particolare camper,roulotte o simi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