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106Y1 - 가옥용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가옥용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106Y1
KR200481106Y1 KR2020150007607U KR20150007607U KR200481106Y1 KR 200481106 Y1 KR200481106 Y1 KR 200481106Y1 KR 2020150007607 U KR2020150007607 U KR 2020150007607U KR 20150007607 U KR20150007607 U KR 20150007607U KR 200481106 Y1 KR200481106 Y1 KR 200481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fuel
combustion chamber
heat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오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황토와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황토와문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황토와문화
Priority to KR2020150007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1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1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9/00Central heating systems employing combinations of heat transfer fluid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24D1/00 - F24D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5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아궁이(2)의 구조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효과적으로 온수를 만들거나 난방을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아궁이(2)용 난방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아궁이(2)용 난방설비는 아궁이(2)(1)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소케이스(10)가 전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호 측방향으로 연장된 측판(11)과 상기 측판(11)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면판(12)과 상기 측판(11)과 후면판(12)의 상부를 덮는 상판(13)로 구성되어, 내부에서 연료인 나무를 연소시킬 수 있음으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이 직접 연소케이스(10)에 전달되어 연소케이스(10)에 저장된 물을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소케이스(10)에 의해 연료인 목재를 투입하거나 점화된 목재의 불을 조절하는 것이 방해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옥용 난방장치{heating apparatus for house}
본 고안은 아궁이를 통해 구들을 직접 가열하는 방법과, 구들에 설치된 난방배관을 통해 온수를 순환시켜 난방을 하는 방법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가옥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가옥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들(1)의 하측면에 형성된 공간부(1a)에 연결되어, 연료를 투입한 후 연소시킬 수 있도록 된 종래의 아궁이(2)와, 상기 공간부(1a)에 연결된 굴뚝(3)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아궁이(2)에 연료인 목재 등을 공급하여 연소시키면,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가스가 상기 공간부(1a)로 유입되어 구들(1)을 가열한 후 상기 굴뚝(3)으로 배출되어 실내를 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아궁이(2)에서 연료를 연소시킬 경우, 연료의 연소시간이 길지 못함으로, 연료를 자주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아궁이(2)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난방을 하는 경우, 온수를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구들(1)에 추가로 난방배관(4)을 설치하고, 상기 난방배관(4)에 보일러(5)를 연결하여, 아궁이(2)에 불을 때서 난방을 하기 어려울 때, 또는 온수가 필요한 경우, 상기 보일러(5)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거나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아궁이(2)에 불을 때서 난방을 하는 중에는 온수의 사용이 어려움으로, 온수를 사용할 때는 아궁이(2)와 별도로 상기 보일러(5)를 작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궁이를 통해 구들)을 직접 가열하는 방법과, 구들에 설치된 난방배관을 통해 온수를 순환시켜 난방을 하는 방법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가옥용 난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측면에 공간부(1a)가 형성된 구들(1)과, 상기 공간부(1a)에 연결되며 내부에서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된 아궁이(2)와, 상기 공간부(1a)에 연결된 굴뚝(3)이 구비되며, 상기 구들(1)에는 난방배관(4)이 설치된 가옥에 있어서,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된 연소실(12)이 내부에 형성되고 후측면에는 상기 아궁이(2)에 연결되는 배기구(16)가 형성되어 내부에서 연료를 연소시킴에 따라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상기 배기구(16)를 통해 상기 아궁이(2)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본체(1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연소실(12)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된 물이 저장되는 온수저장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4)은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온수저장부(13)에 구비된 열교환기(14)에 연결되어, 상기 연소실(12)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상기 구들(1)을 가열하여 난방을 하거나,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온수 또는 상기 열교환기(14)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수를 상기 난방배관(4)으로 순환시켜 난방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옥용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온수저장부(13)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격판(11)에 의해 상기 연소실(12)과 구획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연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옥용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다르면, 상기 굴뚝(3)에 구비된 배기팬(30)과, 상기 배기팬(30)에 연결된 제어유닛(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배기팬(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굴뚝(3)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연소실(12)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옥용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기구(16)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궁이(2)의 입구부분을 통해 아궁이(2)의 내부로 연장되는 배기관(17)이 구비되며, 상기 배기관(17)의 외측둘레부와 상기 아궁이(2)의 내측 둘레부의 사이에는 틈(G)이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17)과 아궁이(2) 사이의 틈(G)을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아궁이(2)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옥용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난방배관(4)에 구비된 순환펌프(20)와,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지를 감지하는 연소감지수단(40)과, 상기 온수저장부(13)에 구비되어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수온도측정수단(50)과, 상기 가옥의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온도측정수단(60)과, 실내의 난방온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80)에는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되는 물의 가열온도가 입력되며,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연소감지수단(40)과 온수온도측정수단(50)과 실내온도측정수단(60)과 입력수단(70)의 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배기팬(30)과 순환펌프(2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소감지수단(40)에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실내온도측정수단(60)의 신호를 감시하고 상기 배기팬(30)의 속도를 조절하여 실내의 온도가 상기 입력수단(70)에 의해 입력된 난방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온수온도측정수단(50)에 의해 측정된 물의 온도가 미리 입력된 가열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배기팬(30)의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연소실(12) 내부의 연료가 최소한으로만 연소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순환펌프(20)를 제어하여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 또는 상기 열교환기(14)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물이 상기 난방배관(4)으로 순환되어 난방을 하도록 하며, 상기 연소실(12) 내부의 연료가 모두 연소된 것이 상기 연소감지수단(40)에 감지되면 상기 배기팬(30)을 정지시키고, 상기 순환펌프(20)를 제어하여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 또는 상기 열교환기(14)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물에 의해 난방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옥용 난방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가옥용 난방장치는 본체(10)에 아궁이(2)에 연결되는 연소실(12)과 난방배관(4)이 연결되는 온수저장부(13)가 형성되어, 아궁이(2)에 연결되어 연소실(12)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아궁이(2)로 공급하여 직접 구들(1)을 가열하여 난방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난방과 기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할 뿐 아니라, 연료가 모두 연소된 후에도,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고온의 물을 이용하여 난방을 할 수 있음으로, 상기 연소실(12)에 연료를 자주 공급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옥의 난방방법을 측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옥용 난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옥용 난방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옥용 난방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옥용 난방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가옥에는 구들(1)의 하측면에 형성된 공간부(1a)에 연결되는 아궁이(2)와, 상기 공간부(1a)에 연결된 굴뚝(3)이 구비되며, 상기 구들(1)에는 난방배관(4)이 설치된다.
이러한 가옥의 구조는 종래와 동일한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가옥용 난방장치는 상기 아궁이(2)에 연결되는 연소실(12)과 상기 난방배관(4)이 연결되는 온수저장부(13)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난방배관(4)에 구비된 순환펌프(20)와, 상기 굴뚝(3)에 구비된 배기팬(30)과,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지를 감지하는 연소감지수단(40)과, 상기 온수저장부(13)에 구비되어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수온도측정수단(50)과, 상기 가옥의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온도측정수단(60)과, 실내의 난방온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70)과, 상기 연소감지수단(40)과 온수온도측정수단(50)과 실내온도측정수단(60)과 입력수단(70)의 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배기팬(30)과 순환펌프(2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유닛(8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강도가 높고 열에 강한 사각 통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내부에 구비된 격판(11)에 의해 내부공간이 하측의 연소실(12)과 상측의 온수저장부(13)로 구획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전후면에는 상기 연소실(12)과 연결되는 투입구(15)와 배기구(16)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16)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궁이(2)의 입구부분을 통해 아궁이(2)의 내부로 연장되는 배기관(17)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온수저장부(13)의 일측에는 도시 안된 급수밸브가 연결되어 상기 온수저장부(13)의 내부에 일정한 수위의 물이 저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난방배관(4)은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연결되어, 상기 순환펌프(20)를 구동시키면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이 난방배관(4)으로 강제로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저장부(13)의 내부에는 열교환기(14)가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기(14)의 일단에는 수도관(14a)이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기(14)의 타단에는 실내에 구비된 수도밸브(14c)에 연결되는 온수관(14b)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15)를 통해 연소실(12)의 내부로 연료를 공급한 후, 점화시키면,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과, 상기 열교환기(14)를 통과하는 물이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는 상기 배기관(17)을 통해 아궁이(2)로 공급된 후, 상기 공간부(1a)를 통과하면서 상기 구들(1)을 가열하여 난방을 하고, 상기 굴뚝(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둘레부에는 단열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되는 열이 본체(10)의 둘레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온수저장부(13)의 내부에서 가열된 물이 식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기팬(30)은 상기 굴뚝(3)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굴뚝(3)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 투입된 연료가 연소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상태에서, 상기 배기팬(30)을 구동시키면, 상기 굴뚝(3)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투입구(15)를 통해 연소실(12)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이 증가되어, 상기 연소실(12) 내부의 연료가 더욱 강하게 연소된다.
반대로, 상기 배기팬(30)을 정지시키면, 상기 연소실(12)의 내부로 공급되는 외부공기의 흐름이 줄어들게 되어, 연소실(12) 내부의 연료가 천천히 연소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팬(30)의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연소실(12) 내부의 연료가 강하게 연소되거나 천천히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기팬(30)을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연료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을 조절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난로 등에서 급기구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연료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것과 동일함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배기관(17)의 외측둘레부와 상기 아궁이(2)의 내측 둘레부의 사이에는 틈(G)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배기관(17)의 외측 둘레부의 크기는 상기 아궁이(2)의 입구부분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팬(30)을 구동시키면, 상기 연소실(12)에서 연료가 연소된 열기가 상기 아궁이(2)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배기관(17)과 아궁이(2) 사이의 틈(G)을 통해 외부공기가 아궁이(2)로 유입된다.
상기 연소감지수단(40)은 상기 연소실(12)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온도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연소감지수단(40)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연소실(12)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예를 들어 300℃)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서 연소되어 열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연소실(12) 내부의 온도가 기준온도(300℃)이하로 하강되면, 연소실(12) 내부의 연료가 모두 연소되어 더 이상의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온수온도측정수단(50)과 상기 실내온도측정수단(60)은 상기 온수저장부(13)의 내부 일측과, 상기 가옥의 실내벽 일측에 구비된 온도센서를 이용한다.
상기 입력수단(70)은 상기 가옥의 실내에 구비된 것으로, 사용자가 조작을 하여, 실내의 난방온도, 즉, 사용자가 원하는 실내의 온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실내온도측정수단(60)과 입력수단(70)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유닛(80)에는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되는 물의 가열온도가 입력된다.
상기 가열온도는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이 몇 도까지 가열되어야 하는지를 미리 결정하여 입력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온도는 90℃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연소감지수단(40)에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실내온도측정수단(60)의 신호를 감시하고 상기 배기팬(30)의 속도를 조절하여 실내의 온도가 상기 입력수단(70)에 의해 입력된 난방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입력수단(70)을 이용하여 난방온도를 40℃로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연소실(12)에 연료를 공급한 후 점화시키면,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연소감지수단(40)의 신호를 감지하여 연료가 연소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배기팬(30)을 구동시켜 상기 연소실(12)로 다량의 외부공기가 공급되어 연료가 강하게 연소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온도측정수단(60)의 신호를 측정하여 실내의 온도가 입력된 난방온도, 즉 40℃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유닛(80)은 배기팬(30)의 속도를 낮추고, 실내의 온도가 저하되면 다시 배기팬(30)의 속도를 높여 실내의 온도가 40℃를 유지하도록 조절한다.
이때, 상기 연소실(12)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이 가열됨으로,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온수온도측정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미리 입력된 가열온도 즉, 90℃까지 상승되면, 상기 실내온도와 관계없이 상기 배기팬(30)의 속도를 낮추어 연소실(12) 내부의 연료가 꺼지지 않을 정도로만 연소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실내온도측정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실내의 온도가 난방온도(40℃)에 비해 낮게 저하되면, 상기 순환펌프(20)를 구동시켜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90℃의 물이 상기 난방배관(4)으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실내를 난방한다.
이때,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가열온도인 90℃이하로 하강되면,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순환펌프(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배기팬(30)의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연소실(12)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구들(1)이 가열되어 난방을 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90℃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배기팬(30)을 제어하여 연소실(12)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구들(1)과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어 난방이 되도록 하고, 상기 온수저장부(13)의 물이 가열온도인 90℃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배기팬(30)을 조절하여 연소실(12) 내부의 연료가 최소한으로 연소되도록 하고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고온의 물을 이용하여 난방을 한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 공급된 연료가 모두 연소되어 꺼지게 되면,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연소감지수단(40)을 통해 이를 확인한 후, 상기 배기팬(30)을 정지시키고, 상기 실내온도측정수단(60)에 의해 측정된 실내온도에 따라, 상기 순환펌프(2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고온의 물이 상기 난방배관(4)으로 순환되어 난방을 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수도밸브(14c)를 개방하면, 수도관(14a)을 통해 공급된 저온의 물이 상기 열교환기(14)를 통과하면서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고온의 물과 열교환하여 가열된 후 상기 온수관(14b)을 통해 수도밸브(14c)로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옥용 난방장치는 본체(10)에 아궁이(2)에 연결되는 연소실(12)과 난방배관(4)이 연결되는 온수저장부(13)가 형성되어, 아궁이(2)에 연결되어 연소실(12)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아궁이(2)로 공급하여 직접 구들(1)을 가열하여 난방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난방과 기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할 뿐 아니라, 연료가 모두 연소된 후에도,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고온의 물을 이용하여 난방을 할 수 있음으로, 상기 연소실(12)에 연료를 자주 공급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온수저장부(13)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격판(11)에 의해 상기 연소실(12)과 구획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연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도록 구성됨으로, 구조가 매우 간단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굴뚝(3)에는 제어유닛(80)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팬(30)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유닛(80)으로 상기 배기팬(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굴뚝(3)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연소실(12)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실(12)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정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16)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궁이(2)의 입구부분을 통해 아궁이(2)의 내부로 연장되는 배기관(17)이 구비되며, 상기 배기관(17)의 외측둘레부와 상기 아궁이(2)의 내측 둘레부의 사이에는 틈(G)이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17)과 아궁이(2) 사이의 틈(G)을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아궁이(2)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실(12)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상기 배기관(17)을 통해 아궁이(2)로 공급될 때, 외부의 공기가 아궁이(2)로 함께 공급되어, 연소가스가 아궁이(2)의 내부에서 다시 한번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됨으로써 완전연소를 하게 됨으로,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굴뚝(3)으로 불완전연소된 매연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지를 감지하는 연소감지수단(40)과, 상기 온수저장부(13)에 구비되어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수온도측정수단(50)과, 상기 가옥의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온도측정수단(60)과, 실내의 난방온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70)과, 상기 난방배관(4)에 구비된 순환펌프(20)가 더 구비되어, 제어유닛(80)이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지의 여부와, 실내온도 그리고,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배기팬(30)과 순환펌프(20)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내의 온도와 온수저장부(13)의 물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실(12)로 공급된 연료가 과도하게 강하게 연소되어 실내의 온도와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료의 연소시간을 증대시켜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온수저장부(13)는 상기 본체(10)에 일체로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온수저장부(13)는 상기 본체(10)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난방배관(4)은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연결되고, 상기 수도관(14a)과 온수관(14b)이 상기 열교환기(14)에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난방배관(4)을 상기 열교환기(14)에 연결하고, 상기 수도관(14a)과 온수관(14b)이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온도는 90℃로 설정되고 상기 난방온도는 40℃로 설정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가열온도와 난방온도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10. 본체 20. 순환펌프
30. 배기팬 40. 연소감지수단
50. 온수온도측정수단 60. 실내온도측정수단
70. 입력수단 80. 제어유닛

Claims (5)

  1. 구들(1)의 하측면에 형성된 공간부(1a)에 연결되는 아궁이(2)와, 상기 공간부(1a)에 연결된 굴뚝(3)이 구비되며, 상기 구들(1)에는 난방배관(4)이 설치된 가옥용 난방장치로서,
    내부에 구비된 격판(11)에 의해 내부공간이 하측의 연소실(12)과 상측의 온수저장부(13)로 구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소실(12)이 상기 아궁이(2)에 연결되고, 상기 온수저장부(13)가 상기 난방배관(4)에 연결되고, 상기 온수저장부(13)의 내부에는 열교환기(14)가 구비되어, 상기 연소실(12)의 내부로 연료를 공급한 후, 점화시키면,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과 상기 열교환기(14)를 통과하는 물이 가열되는 본체(10)와,
    상기 굴뚝(3)에 구비된 배기팬(30)과,
    상기 배기팬(30)에 연결된 제어유닛(8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배기팬(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굴뚝(3)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연소실(12)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가옥용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방배관(4)에 구비된 순환펌프(20)와,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지를 감지하는 연소감지수단(40)과,
    상기 온수저장부(13)에 구비되어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수온도측정수단(50)과,
    상기 가옥의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온도측정수단(60)과,
    실내의 난방온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80)에는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되는 물의 가열온도가 입력되며,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연소감지수단(40)과 온수온도측정수단(50)과 실내온도측정수단(60)과 입력수단(70)의 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배기팬(30)과 순환펌프(2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소감지수단(40)에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실내온도측정수단(60)의 신호를 감시하고 상기 배기팬(30)의 속도를 조절하여 실내의 온도가 상기 입력수단(70)에 의해 입력된 난방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온수온도측정수단(50)에 의해 측정된 물의 온도가 미리 입력된 가열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배기팬(30)의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연소실(12) 내부의 연료가 최소한으로만 연소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순환펌프(20)를 제어하여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 또는 상기 열교환기(14)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물이 상기 난방배관(4)으로 순환되어 난방을 하도록 하며, 상기 연소실(12) 내부의 연료가 모두 연소된 것이 상기 연소감지수단(40)에 감지되면 상기 배기팬(30)을 정지시키고, 상기 순환펌프(20)를 제어하여 상기 온수저장부(13)에 저장된 물 또는 상기 열교환기(14)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물에 의해 난방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옥용 난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배기구(16)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아궁이(2)의 입구부분을 통해 아궁이(2)의 내부로 연장되는 배기관(17)이 구비되며,
    상기 배기관(17)의 외측둘레부와 상기 아궁이(2)의 내측 둘레부의 사이에는 틈(G)이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17)과 아궁이(2) 사이의 틈(G)을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아궁이(2)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옥용 난방장치.
  5. 삭제
KR2020150007607U 2015-11-23 2015-11-23 가옥용 난방장치 KR2004811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07U KR200481106Y1 (ko) 2015-11-23 2015-11-23 가옥용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07U KR200481106Y1 (ko) 2015-11-23 2015-11-23 가옥용 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106Y1 true KR200481106Y1 (ko) 2016-08-23

Family

ID=5685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607U KR200481106Y1 (ko) 2015-11-23 2015-11-23 가옥용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10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810A (ko) * 2008-07-25 2010-02-03 김노식 온돌용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810A (ko) * 2008-07-25 2010-02-03 김노식 온돌용 난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6092B2 (en) Water heater
US20110174201A1 (en) Furnace, a method for operating a furnace and a furnace controller configured for the same
CN210035893U (zh) 燃烧装置、壁挂炉
KR101337203B1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배기가스 온도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KR200267167Y1 (ko) 유류겸용화목보일러구조
KR200481106Y1 (ko) 가옥용 난방장치
JP3878476B2 (ja) フロー式水加熱装置
KR100753596B1 (ko) 난방 제어시스템 및 난방 제어방법
KR101906218B1 (ko) 보일러의 급속 난방운전 제어방법
KR101824026B1 (ko) 난방공급 온도센서와 난방환수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난방연소 제어방법
KR101209962B1 (ko) 드레인 방지를 위한 보일러의 순환펌프 유량 제어방법
KR101821184B1 (ko) 화목 보일러
KR20200125027A (ko) 온풍기
KR101831619B1 (ko) 보일러용 에어순환공급식 연소로
KR101625577B1 (ko) 난방굴뚝을 갖는 펠릿 난방기
KR101636713B1 (ko) 펠릿을 이용한 난방장치
KR100243899B1 (ko) 가스보일러의 연소제어방법
KR20120105107A (ko) 횡형 다목적 보일러의 제어방법
KR20200025607A (ko) 보일러 기능이 구비된 벽난로
KR102189235B1 (ko) 화염조절버너 및 유량조절밸브를 이용한 세이빙시스템 보일러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이빙시스템 보일러
JP5557708B2 (ja) 施設園芸用温風暖房機およびその冷却制御方法
JP4827065B2 (ja) 暖炉型暖房機
JP2013160476A (ja) 無圧温水ヒータ
JP2018096565A (ja) 温風暖房機
KR20100091360A (ko) 이중온도센서를 구비한 보일러 및 온도센서 결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