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184B1 - 화목 보일러 - Google Patents

화목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184B1
KR101821184B1 KR1020160086421A KR20160086421A KR101821184B1 KR 101821184 B1 KR101821184 B1 KR 101821184B1 KR 1020160086421 A KR1020160086421 A KR 1020160086421A KR 20160086421 A KR20160086421 A KR 20160086421A KR 101821184 B1 KR101821184 B1 KR 101821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flame
chamber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998A (ko
Inventor
김승태
Original Assignee
김승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태 filed Critical 김승태
Priority to KR1020160086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1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 F24H7/0275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using solid fuel
    • F24H7/0291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using solid fuel the transfer fluid be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실 내부에 형성된 화실과 연실 사이에 화염유도관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염을 유도하여 연실 내부로 솟아오르도록 하여 난방배관 내부에서 이동하는 난방수를 빠르게 열교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는 내부에 급수된 물이 저장되어 가열된 물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열교환실(110)과, 상기 열교환실(11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실(120)이 구비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연료를 연소시켜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화실(210)과, 상기 화실(210)과 이격되어 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화실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우회하면서 배기연도(400)로 배출되도록 연실(220)로 이루어진 연소실(200); 상기 화실(210)과 상기 연실(2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화실(210)에서 발생하는 화염이 상기 연실(220) 내부로 솟아오르게 함과 동시에 상기 화실(210)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연실(220) 내부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화염유도관(300); 및 상기 연실(220)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난방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난방배관(500);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목 보일러{WOOD BOILER}
본 발명은 화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실 내부에 형성된 화실과 연실 사이에 화염유도관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염을 유도하여 연실 내부로 솟아오르도록 하여 난방배관 내부에서 이동하는 난방수를 빠르게 열교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에너지원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상온의 물을 가열시키고, 가열된 물을 실내 바닥에 매설된 파이프를 따라 순환시켜 난방시키도록 하거나, 급탕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열에너지를 얻기 위해 연소시키는 에너지원에 따라서 전기보일러, 가스보일러 또는 기름보일러 등이 있다.
상기 가스보일러, 전기보일러 또는 기름보일러는 점화, 연소, 소화 등의 기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정이나 시설물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전기, 가스 및 기름 등의 에너지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고, 특히 국내는 에너지자원이 빈약하여 대부분을 외국에서 수입해야 하는 실정이므로, 상기와 같은 고비용의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보일러들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문헌 1) : 국내등록특허 제10-1613869호(2016년 04월 14일 등록) (문헌 2) : 국내등록특허 제10-1605289호(2016년 03월 15일 등록) (문헌 3) : 국내등록특허 제10-1595061호(2016년 02월 11일 등록) (문헌 4) :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78952호(2015년 11월 27일 등록)
본 발명은 연소실 내부에 형성된 화실과 연실 사이에 화염유도관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염을 유도하여 연실 내부로 솟아오르도록 하여 난방배관 내부에서 이동하는 난방수를 빠르게 열교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목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실에 형성된 제2에어조절부(223)를 사용함으로써, 장작 나무 등에 잔류하는 기름찌꺼기 또는 불순물 등에 의해 발생하는 황분, 질소, 이산화황 등을 포함하는 폐 가스를 배기연도로 배출하여 연실 내부가 팽창하면서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화목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는 내부에 급수된 물이 저장되어 가열된 물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열교환실(110)과, 상기 열교환실(11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실(120)이 구비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연료를 연소시켜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화실(210)과, 상기 화실(210)과 이격되어 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화실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우회하면서 배기연도(400)로 배출되도록 연실(220)로 이루어진 연소실(200); 상기 화실(210)과 상기 연실(2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화실(210)에서 발생하는 화염이 상기 연실(220) 내부로 솟아오르게 함과 동시에 상기 화실(210)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연실(220) 내부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화염유도관(300); 및 상기 연실(220)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난방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난방배관(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실(220) 외주면에 코일 형태로 감싸도록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직수를 열교환실(110)에서 온수로 변화시켜 공급하는 급탕배관(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염유도관(300)은 상기 연실(220)의 바닥면과 접하는 부분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형성되고, 연실(220) 내부로 이동된 열의 일부분이 순환되도록 하는 구멍(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실(220)은, 상기 연실(220)의 전면이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서브도어(221); 상기 서브도어(221)의 중간에 형성되고, 상기 연실(2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2에어조절부(223); 상기 화염유도관(300)과 이격되게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실(220)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화염유도관(300)을 통해 솟아오른 화염이 상기 연실(220)의 천장 부분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벽돌(224); 및 상기 연실(220)의 후방 중간에 수평 상태로 설치 고정되고, 하단면에 상기 난방배관(500)이 설치 고정되며, 표면이 관통되어 통공(226)이 형성된 고정판(225);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는 연소실 내부에 형성된 화실과 연실 사이에 화염유도관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염을 유도하여 연실 내부로 솟아오르도록 하여 난방배관 내부에서 이동하는 난방수를 빠르게 열교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는 연실에 형성된 제2에어조절부(223)를 사용함으로써, 장작 나무 등에 잔류하는 기름찌꺼기 또는 불순물 등에 의해 발생하는 황분, 질소, 이산화황 등을 포함하는 폐 가스를 배기연도로 배출하여 연실 내부가 팽창하면서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 내부의 연소가스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 내부의 연소가스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목 보일러는 몸체(100), 연소실(200), 화염유도관(300), 배기연도(400), 난방배관(500) 및 급탕배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급수된 물이 저장되어 가열된 물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열교환실(110)과, 열교환실(11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실(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실(110)은 연소실(200)을 감싸도록 몸체(100)의 상부, 중간, 하부 및 후방에 형성된 공간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연소실(200)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흡수하여 물의 온도를 높이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실(110)에 저장된 물의 온도는 약 64℃이상 70℃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교환실(110)의 하단에는 배수관(111)이 형성되어 열교환실(11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물탱크실(120)은 몸체(100)의 상단에 설치 고정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직수를 공급받아 열교환실(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물탱크실(120)은 열교환실(110) 내부로 유입된 물이 일정수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 조절부(121)와, 가열된 물에 의해 열교환실(11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오버플러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 들면, 열교환실(110)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 상태로 오버플러그(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경우 열교환실(110)에 저장된 물이 감소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감소되는 물을 자동으로 보충하기 위해 수위 조절부(121)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수위 조절부(121)는 부레에 의해 작동되는 볼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실(200)은 일정 크기의 나무 장작 등 연료를 연소시켜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곳으로, 몸체(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화실(210)과, 화실(210)과 이격되어 몸체(100) 상부에 위치하는 연실(220)을 포함할 수 있다.
화실(210)은 몸체(100) 내부에 나무 장작 등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부, 하부 및 후방 부분을 감싸고 있는 열교환실(110)로 열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화실(210)은 전면부에 설치 고정된 메인도어(211)와, 메인도어(211)의 하부에 형성된 제1에어조절부(212)와, 메인도어(211)의 외측면에 설치 고정된 송풍기(21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도어(211)는 화실(2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화실(210)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테두리 부분에 단열재로 마감처리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에어조절부(212)는 메인도어(211)의 중간 하부에 위치하고, 화실(210)로 유입되어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양을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화실(210)에서 발생하는 화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에어조절부(212)를 개방하여 사용하면, 화실(210) 내부의 연소량이 증가하여 화력이 높아지고, 제1에어조절부(212)를 밀폐하여 사용하면, 화실(210) 내부의 연소량이 감소하여 화력이 낮아지도록 한다.
송풍기(213)는 메인도어(211)의 외측면에 설치 고정되고,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며, 화실(2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화실(210) 내부의 특정 온도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어,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질 경우 송풍기(213)가 작동되어 연소량을 증가시켜 화실(210) 내부의 온도를 높이고,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아질 경우 송풍기(213)의 작동이 정지되어 화실(210)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
연실(220)은 화실(210)과 이격되게 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고, 화실(210)에서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우회하면서 배기연도(400)로 배출되도록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부, 하부 및 후방 부분을 감싸고 있는 열교환실(110)로 열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연실(220)은 서브도어(221), 제2에어조절부(223), 내화벽돌(224) 및 고정판(225)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도어(221)는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연실(220)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화실(210)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테두리 부분에 단열재로 마감처리 되어 형성되며, 연실(220) 내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쉽고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서브도어(221)의 하부 측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거나, 연실(220)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에 의해 발생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장작 나무가 연소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와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목초액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통기공(22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로 들면, 화실(210)에서 장작 나무가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연실(220)로 이동하면서 배기연도(400)를 통해 배출될 때, 통기공(222)으로 소량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서브도어(221)의 내측 벽을 타고 흐르는 목초액이 통기공(2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제2에어조절부(223)는 서브도어(221)의 중간에 형성되고, 연실(2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어, 제2에어조절부(223)를 개방하면, 연실(22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화실(210)에서 발생하는 연소량이 감소하고, 제2에어조절부(223)를 밀폐하면 화실(210)에서 발생하는 연소량이 증가하여 온도가 높아지도록 한다.
즉, 제1에어조절부(212)가 밀폐된 상태에서 제2에어조절부(223)가 개방되면, 연실(220) 배부에서만 공기순환이 이루어져 화실(210) 내부가 일정 진공상태가 되어 화력이 낮아지고, 제1에어조절부(2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에어조절부(223)가 밀폐되면, 화실(2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화력이 높아진다.
또한, 제2에어조절부(223)는 장작 나무 등에 잔류하는 기름찌꺼기 또는 불순물 등에 의해 발생하는 황분, 질소, 이산화황 등을 포함하는 폐 가스를 배기연도(40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예로 들면, 화실(210)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연실(220)로 이동되어 배기연도(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배기가스는 배기연도(4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지만 폐 가스는 배기가스보다 질량이 높아 연실(220) 내부에 잔류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 폐 가스가 연실(220) 내부에 쌓이게 되면 연실(220) 내부가 팽창하면서 폭발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서브도어(221)에 제2에어조절부(223)를 형성하여 사용한다.
즉, 제2에어조절부(223)를 개방하면 연실(220)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연실(220) 내부에 쌓인 폐가스를 순환시키면서 배기연도(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제1에어조절부(212) 및 제2에어조절부(223)는 동일한 형태로 중앙에 흰지 축이 형성되고, 흰지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메인도어(211) 및 서브도어(221)의 전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에 회전판을 힌지 결합한 다음 작업자가 회전판을 돌려 구멍을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다.
내화벽돌(224)은 화염유도관(300)과 이격되게 상부에 위치하고, 연실(220)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며, 화염유도관(300)을 통해 솟아오른 화염이 연실(220)의 천장 부분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고, 화염유도관(300)을 통해 이동하는 배기가스가 우회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고정판(225)은 일정 두께를 갖는 철판으로 형성되고, 연실(220)의 후방 중간에 수평 상태로 설치 고정되며, 난방배관(50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판(225)은 표면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226)이 형성될 수 있다.
예로 들면, 화염유도관(300)을 통해 솟아오른 화염의 열이 통공(226)으로 이동하면서 고정판(225)의 하부면에 고정된 난방배관(500)으로 열을 전달하여 난방배관(500)을 통해 이송되는 난방수의 온도가 빠르게 높아질 수 있도록 한다.
화염유도관(300)은 원통 형상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은 화실(210)에 연결되고, 상단은 연실(220) 내부를 관통하여 고정판(225)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화염유도관(300)은 화실(210)에서 발생하는 화염이 연실(220) 내부로 솟아오르게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면, 장작 나무의 연소에 의해 화실(210)에서 발생하는 열이 배기연도(400)로 직접 빠져나갈 경우 열 손실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화실(210)과 연실(220) 사이에 화염유도관(300)을 설치하여 화실(210)에서 발생하는 열이 연실(220) 내부로 우회하여 배기연도(40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화염유도관(300)은 연실(220)의 바닥면과 접하는 부분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한개 이상 구멍(3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로 들면, 화염유도관(300)을 통해 연실(220) 내부로 이동된 열의 일부분을 구멍(310)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순환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멍(310)을 통해 열을 순환시키면 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배기연도(400)는 연실(22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후방에 설치 고정되고, 화실(210) 및 연실(220) 내부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또는 폐 가스 등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난방배관(500)은 고정판(225) 하부면에 설치 고정되고, 가정용 또는 산업용 난방에 쓰이는 난방수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난방배관(500)은 외부에 설치된 순환모터에 의해 난방수가 이동되고, 연실(220) 내부 온도에 의해 난방수 온도가 높아지도록 한다.
예로 들면, 난방수의 온도가 70℃ 이하이면, 제어부에 의해 송풍기(213)가 작동되어 화실(210) 및 연실(220)의 내부 온도를 올려 난방수가 70℃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난방수의 온도가 80℃ 이상이면, 송풍기(213)의 작동을 정지시켜 화실(210) 및 연실(220)의 내부 온도를 내려 난방수가 80℃ 이하로 유지되도록 한다.
급탕배관(600)은 연실(220)의 외주면에 코일 형태로 감싸도록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직수를 온수로 변화시켜 가정용 또는 산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급탕배관(600)은 일측이 외부에 구비된 상수도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열교환실(110)에서 열교환된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몸체 110; 열교환실
111; 배수관 120; 물탱크실
121; 수위 조절부 122; 오버플러그
200; 연소실 210; 화실
211; 메인도어 212; 제1에어조절부
213; 송풍기 220; 연실
221; 서브도어 222; 통기공
223; 제2에어조절부 224; 내화벽돌
225; 고정판 226; 통공
300; 화염유도관 310; 구멍
400; 배기연도 500; 난방배관
600; 급탕배관

Claims (4)

  1. 내부에 급수된 물이 저장되어 가열된 물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열교환실(110)과, 상기 열교환실(11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실(120)이 구비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연료를 연소시켜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화실(210)과, 상기 화실(210)과 이격되어 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화실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우회하면서 배기연도(400)로 배출되도록 연실(220)로 이루어진 연소실(200);
    상기 화실(210)과 상기 연실(2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화실(210)에서 발생하는 화염이 상기 연실(220) 내부로 솟아오르게 함과 동시에 상기 화실(210)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연실(220) 내부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화염유도관(300); 및
    상기 연실(220)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난방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난방배관(500);을 포함하고,
    상기 화염유도관(300)은 상기 연실(220)의 바닥면과 접하는 부분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형성되고, 연실(220) 내부로 이동된 열의 일부분이 순환되도록 하는 구멍(3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실(220) 외주면에 코일 형태로 감싸도록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직수를 열교환실(110)에서 온수로 변화시켜 공급하는 급탕배관(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실(220)은,
    상기 연실(220)의 전면이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서브도어(221);
    상기 서브도어(221)의 중간에 형성되고, 상기 연실(2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2에어조절부(223);
    상기 화염유도관(300)과 이격되게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실(220)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화염유도관(300)을 통해 솟아오른 화염이 상기 연실(220)의 천장 부분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화벽돌(224); 및
    상기 연실(220)의 후방 중간에 수평 상태로 설치 고정되고, 하단면에 상기 난방배관(500)이 설치 고정되며, 표면이 관통되어 통공(226)이 형성된 고정판(2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KR1020160086421A 2016-07-07 2016-07-07 화목 보일러 KR101821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421A KR101821184B1 (ko) 2016-07-07 2016-07-07 화목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421A KR101821184B1 (ko) 2016-07-07 2016-07-07 화목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998A KR20180005998A (ko) 2018-01-17
KR101821184B1 true KR101821184B1 (ko) 2018-01-23

Family

ID=61025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421A KR101821184B1 (ko) 2016-07-07 2016-07-07 화목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1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408B1 (ko) * 2021-09-07 2022-09-19 김지훈 복합연료 보일러
KR102488755B1 (ko) * 2022-08-17 2023-01-18 (주)대광파워텍 친환경 고형연료 보일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130B1 (ko) * 2007-03-15 2008-03-17 신한보일러(주) 화목보일러
KR101026937B1 (ko) * 2008-09-26 2011-04-04 (주)귀뚜라미 하이브리드 타입 보일러
KR200468600Y1 (ko) 2011-12-28 2013-08-27 최달철 화목 보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130B1 (ko) * 2007-03-15 2008-03-17 신한보일러(주) 화목보일러
KR101026937B1 (ko) * 2008-09-26 2011-04-04 (주)귀뚜라미 하이브리드 타입 보일러
KR200468600Y1 (ko) 2011-12-28 2013-08-27 최달철 화목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998A (ko)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184B1 (ko) 화목 보일러
RU165769U1 (ru) Банно-отопительная печь
KR200267167Y1 (ko) 유류겸용화목보일러구조
KR20100102472A (ko) 전기겸용 화목 보일러
US2252784A (en)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unit
RU75714U1 (ru) Печь для бани
JP2010223539A (ja) 薪ストーブ装置及び薪ストーブ暖房システム
KR200338925Y1 (ko) 화목 및 갈탄 보일러
KR101535983B1 (ko) 화목온풍기
KR20150056936A (ko) 화목보일러
WO2010000913A1 (en) Sauna oven center boiler
KR101512968B1 (ko) 화목 보일러
KR200393657Y1 (ko) 열통기실이 구성된 나무 보일러
KR20100019836A (ko) 온풍기능을 구비한 화목형 벽난로
KR200261670Y1 (ko) 저.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온수 보일러
KR101289512B1 (ko) 주택용 화목 보일러
KR200389878Y1 (ko) 온수보일러
KR101773712B1 (ko) 가스 재순환 무연통 난로
RU2362093C1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KR200475915Y1 (ko) 화목난로용 연소장치
KR20200025607A (ko) 보일러 기능이 구비된 벽난로
KR102415579B1 (ko) 공극 형성 화목 보일러
CN208419196U (zh) 一种鼓风式燃气采暖热水炉
KR200320285Y1 (ko) 유류겸용연탄보일러장치
KR200423046Y1 (ko) 열풍기의 연소실 단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