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029Y1 - 선박 블록 연결 러그 - Google Patents

선박 블록 연결 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029Y1
KR200481029Y1 KR2020140005224U KR20140005224U KR200481029Y1 KR 200481029 Y1 KR200481029 Y1 KR 200481029Y1 KR 2020140005224 U KR2020140005224 U KR 2020140005224U KR 20140005224 U KR20140005224 U KR 20140005224U KR 200481029 Y1 KR200481029 Y1 KR 200481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block
hole
stopper
connecting lug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218U (ko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5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029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0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Abstract

선박 블록 연결 러그가 개시된다. 선박 블록 연결 러그는, 선박 블록에 형성된 리프팅 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연결부와 타측에는 선박 블록을 회전 견인하는 견인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 연결부가 형성되는 견인 바디와, 견인 바디의 측면을 따라 돌출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돌출된 측면은 선박 블록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가이드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블록 연결 러그{CONNECTING LUG FOR SHIP BLOCK}
본 고안은 선박 블록을 리프팅하는 선박 블록 연결 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 과정에서 복수개의 선박 블록을 다양한 각도로 배치한 상태로, 선박의 건조 작업이 진행된다.
이러한 선박 블록은 선박의 건조 작업 위치로 이송하기 위해, 선박 블록의 일측에 형성된 리프팅 홀에 와이어부재를 연결한다. 그리고, 와이어부재를 크레인에 연결하여 선박 블록을 작업 위치로 이송하여 선박의 건조 작업을 진행한다.
선박 블록은 모서리를 갖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되며, 선박의 건조 과정에서 적절한 위치로 배치를 위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일정 각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선박 블록의 이송 과정에서 와이어 부재와 선박 블록의 간섭이 발생하여 와이어부재가 단선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효율적이고 안전한 선박 블록의 이송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선박 블록의 이송 과정에서 와이어부재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선박 블록 연결 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선박 블록에 형성된 리프팅 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연결부와 타측에는 선박 블록을 회전 견인하는 견인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 연결부가 형성되는 견인 바디와, 견인 바디의 측면을 따라 돌출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돌출된 측면은 선박 블록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가이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는, 선박 블록의 리프팅 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선박 블록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관통홀과 리프팅 홀에 함께 삽입되는 회전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는, 견인 바디의 일측에서 돌출되며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돌출부와, 견인 바디에서 제1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며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지지부재는, 제1 관통홀과 리프팅 홀과 제2 관통홀에 함께 삽입되는 나사봉과, 나사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부재일 수 있다.
가이드 스토퍼는, 견인 바디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장자리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관이 돌출된 스토퍼 바디와, 견인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삽입관에 치합된 상태로 삽입되고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 바디에 슬라이딩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견인 바디에는 회전체에 치합된 상태로 견인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어, 회전에 따라 회전체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다이얼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 바디는 돌출된 측면에는 마그네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는, 견인 바디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홀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 블록에 와이어부재를 연결하여 크레인으로 견인하는 과정에서, 와이어부재를 선박 블록 연결 러그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와이어부재가 선박 블록에 간섭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와이어부재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연결 러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 블록 연결 러그가 선박 블록에 설치된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박 블록 연결 러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연결 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박 블록 연결 러그를 구성하는 스토퍼 바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선박 블록 연결 러그의 가이드 스토퍼가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연결 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연결 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선박 블록 연결 러그에서 제1 연결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연결 러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박 블록 연결 러그가 선박 블록에 설치된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선박 블록 연결 러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연결 러그(100)는, 선박 블록(11)에 형성된 리프팅 홀(11a)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견인 바디(10)와, 견인 바디(10)의 측면에 돌출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스토퍼(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선박 블록(11)은 선박의 건조 과정에서 조립되는 것으로서, 선박 블록(11)의 측면에는 와이어부재(12)의 연결을 위한 리프팅 홀(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팅 홀(11a)은 선박 블록(11)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선박 블록(11)에 돌출된 브라켓부(미도시)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선박 블록 연결 러그(100)는 리프팅 홀(11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부재(12)를 이용하여 선박 블록(11)을 견인 및 회전시키는 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연결 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 바디(10)는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면서 선박 블록(11)의 리프팅 홀(11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론, 견인 바디(10)는 직육면체 형상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장자리의 일부분에 라운드면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견인 바디(10)와 인접 설비와의 간섭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견인 바디(10)의 모서리의 일부분을 라운드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견인 바디(10)에는 리프팅 홀(11a)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0)는 본 실시예의 선박 블록 연결 러그(100)에서 선박 블록(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연결부(20)는, 선박 블록(11)의 리프팅 홀(11a)과 연통되는 관통홀(21)이 형성되어 선박 블록(11)에 삽입되는 삽입부(23)와, 관통홀(21)과 리프팅 홀(11a)에 함께 삽입되는 회전 지지부재(25)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3)는 선박 블록(11)의 리프팅 홀(11a)이 형성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삽입부(23)는, 견인 바디(10)의 일측에서 돌출되며 제1 관통홀(21a)이 형성된 제1 돌출부(23a)와, 견인 바디(10)에서 제1 돌출부(23a)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며 제2 관통홀(21b)이 형성된 제2 돌출부(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23a)는 견인 바디(10)의 일측에서 견인 바디(10)의 두께 보다 작은 두께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돌출부(23a)는 견인 바디(10)에 일체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부재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돌출부(23a)에는 회전 지지부재(25)가 설치되는 제1 관통홀(2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23b)는 견인 바디(10)의 측면에서 제1 돌출부(23a)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돌출된다. 제2 돌출부(23b)는 제1 돌출부(23a)와 동일한 두께의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돌출부(23b)에는 제1 관통홀(21a)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홀(21b)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23)는 선박 블록(11)의 리트팅 홀(11a) 부분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지지부재(25)에 의해 선박 블록(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지지부재(25)는, 제1 관통홀(21a)과 리프팅 홀(11a)과 제2 관통홀(21b)에 함께 삽입되는 나사봉(25a)과, 나사봉(25a)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부재(25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나사봉(25a)은 본 실시예의 선박 블록 연결 러그(100)의 회전축의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사봉(25a)이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힌지축 등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견인 바디(10)에는 와이어부재(12)가 연결되는 제2 연결부(30)가 형성된다. 제2 연결부(30)는 선박 블록(11)을 견인하기 위한 와이어부재(12)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 견인 바디(1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2 연결부와 삽입홀은 동일 참조 번호 30을 사용한다. 삽입홀(30)의 내주면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삽입홀(3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견인 바디(10)의 측면에는 견인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 스토퍼(4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스토퍼(40)는, 견인 바디(10)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장자리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관(41b)이 돌출된 스토퍼 바디(41)와, 견인 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삽입관(41b)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체(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선박 블록 연결 러그를 구성하는 스토퍼 바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바디(41)는, 경사면이 형성된 스토퍼 플레이트(41a)와, 스토퍼 플레이트(41a)의 측면에 돌출되는 삽입관(4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 바디(41)는 삽입관(41b)이 회전체(4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체(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체(43)는 원통형의 나사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견인 바디(10)에는 회전체(43)의 회전을 위한 다이얼부재(43a)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다이얼부재(43a)는 회전체(43)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으로 치합된 상태로 견인 바디(1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이얼부재(43)를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삽입관(41b)이 회전체(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삽입관(41b)과 일체로 연결된 스토퍼 바디(41)의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선박 블록 연결 러그의 가이드 스토퍼가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부재(43a)를 회전시키면 스토퍼 바디(41)는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 스토퍼(40)의 스토퍼 바디(41)가 견인 바디(10)의 측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은, 선박 블록(11)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여 견인 바디(10)가 선박 블록(1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박 블록(11)을 와이어부재(12)를 이용하여 견인하는 과정에서, 선박 블록(11)에 본 실시예의 선박 블록 연결 러그(100)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부재(12)가 선박 블록(11)과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와이어부재(12)는 리프팅 홀(11a)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리프팅 홀(11a)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견인 바디(10)의 제2 연결부(30)에 연결됨으로써, 와이어부재(12)가 선박 블록(11)에 접촉하여 단선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연결 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연결 러그(200)의 가이드 스토퍼(140)에는 스토퍼 플레이트(141b)에 마그네틱부재(141c)가 설치될 수 있다. 마그네틱부재(141c)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 블록(11)에 견인 바디(1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마그네틱부재(141c)가 선박 블록(11)의 표면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여, 선박 블록 연결 러그(200)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그네틱부재(141c)는 스토퍼 플레이트(141b)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고, 스토퍼 플레이트(141b)의 전체가 마그네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연결 러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선박 블록 연결 러그에서 제1 연결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연결 러그(100)의 제1 연결부(220)는 견인 바디(2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견인 바디(210)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23)에는 삽입홈(211)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221)가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 돌기(221)는 삽입홈(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223), 예를 들면 볼트부재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20)가 견인 바디(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박 블록(11)의 리프팅 홀(11a)이 형성된 위치의 크기가 변동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크기가 변동된 삽입부(23)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 210...견인 바디 11...선박 블록
11a..리프팅 홀 20, 220...제1 연결부
21...관통홀 21a..제1 관통홀
21b..제2 관통홀 23...삽입부
23a..제1 돌출부 23b..제2 돌출부
25...회전 지지부재 25a..나사봉
25b..너트부재 30...제2 연결부
40...가이드 스토퍼 41...스토퍼 바디
41a, 141b..스토퍼 플레이트
41b..삽입관 43...회전체
43a..다이얼부재 141c..마그네틱부재
211..삽입홈 221..삽입 돌기
223...체결부재

Claims (8)

  1. 선박 블록에 형성된 리프팅 홀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연결부와, 타측에는 상기 선박 블록을 회전 견인하는 견인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2 연결부가 형성되는 견인 바디; 및
    상기 견인 바디의 측면을 따라 돌출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돌출된 측면은 상기 선박 블록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가이드 스토퍼;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스토퍼는,
    상기 견인 바디의 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장자리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관이 돌출된 스토퍼 바디;
    상기 견인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관에 치합된 상태로 삽입되고,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 바디에 슬라이딩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체; 및
    상기 스토퍼바디의 측면에 설치되는 마그네틱부재;
    를 포함하는 선박 블록 연결 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선박 블록의 상기 리프팅 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선박 블록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관통홀과 상기 리프팅 홀에 함께 삽입되는 회전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선박 블록 연결 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견인 바디의 일측에서 돌출되며 제1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돌출부;
    상기 견인 바디에서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며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제2 돌출부;
    를 포함하는 선박 블록 연결 러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재는,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리프팅 홀과 상기 제2 관통홀에 함께 삽입되는 나사봉; 및
    상기 나사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부재인 선박 블록 연결 러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바디에는 상기 회전체에 치합된 상태로 상기 견인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체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다이얼부재가 설치되는 선박 블록 연결 러그.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견인 바디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삽입홀인 선박 블록 연결 러그.
KR2020140005224U 2014-07-11 2014-07-11 선박 블록 연결 러그 KR200481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224U KR200481029Y1 (ko) 2014-07-11 2014-07-11 선박 블록 연결 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224U KR200481029Y1 (ko) 2014-07-11 2014-07-11 선박 블록 연결 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18U KR20160000218U (ko) 2016-01-20
KR200481029Y1 true KR200481029Y1 (ko) 2016-08-05

Family

ID=5531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224U KR200481029Y1 (ko) 2014-07-11 2014-07-11 선박 블록 연결 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02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6124A (ja) * 2011-05-31 2012-12-13 Mitsubishi Heavy Ind Ltd 吊り治具及び翼環の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563A (ko) * 2010-06-17 2011-12-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러그
KR101304398B1 (ko) * 2011-11-16 2013-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이동용 러그
KR20130110467A (ko) * 2012-03-29 2013-10-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수직 브라켓 취부용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6124A (ja) * 2011-05-31 2012-12-13 Mitsubishi Heavy Ind Ltd 吊り治具及び翼環の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18U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3346B1 (en) Hinge and refrigerator provided with same
JP2017003023A5 (ko)
CN105291036A (zh) 一种航空插头快速装卸装置
KR200481029Y1 (ko) 선박 블록 연결 러그
CN203939849U (zh) 垫片
US11137096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pump body to a pipe of a hydraulic system
CN203879878U (zh) 卡扣、卡扣安装结构及车辆
CN205378150U (zh) Ca卡座结构及其机顶盒
CN204580306U (zh) 一种组合型阅览桌
JP2018069822A5 (ko)
CN205278132U (zh) 联轴器
KR101800778B1 (ko) 사료급이기 틸팅장치
CN205224826U (zh) 门锁把手装置
KR20160000280A (ko) 금속재 파이프 운반용 박스어셈블리
CN204635717U (zh) 一种婴儿座椅
CN204530872U (zh) 窗式龙头
JP2017003024A5 (ko)
CN102390439B (zh) 一种三轮车货箱尾门连接装置及三轮车货箱
KR101640128B1 (ko) 회전축의 분해가 용이한 베어링
CN208616498U (zh) 一种用于鸡蛋运输的转运箱
CN103952866B (zh) 一种缝纫机绕线器的快速拆装结构
CN203910625U (zh) 十字开关的把手组件
CN205278131U (zh) 联轴器
CN104799622A (zh) 一种婴儿座椅
CN104720275A (zh) 一种组合型阅览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