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001Y1 -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001Y1
KR200481001Y1 KR2020150005488U KR20150005488U KR200481001Y1 KR 200481001 Y1 KR200481001 Y1 KR 200481001Y1 KR 2020150005488 U KR2020150005488 U KR 2020150005488U KR 20150005488 U KR20150005488 U KR 20150005488U KR 200481001 Y1 KR200481001 Y1 KR 200481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decorative plate
water
outlet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옥
류재협
Original Assignee
김기옥
류재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옥, 류재협 filed Critical 김기옥
Priority to KR2020150005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0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0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꼭지의 가공 시 수도꼭지의 배출구에 발생하는 외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 수도꼭지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수도꼭지는,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유로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유로를 개폐하여 물의 흐름을 차폐하는 손잡이;
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배출구는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직선공간부와 전방 및 상방이 개방되어 상기 직선공간부가 부분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개구부가 위치한 직선공간부 양측 내벽에 일정구간 형성된 결합요홈과 상기 몸체의 배출구 바닥면을 가리며 결합 되는 것으로, 양측단부에 상기 결합요홈과 결합 되는 결합돌기가 일정구간 형성된 장식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장식플레이트는,
상기 결합요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이루어진 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도꼭지의 가공 시 수도꼭지의 배출구에 발생하는 외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도꼭지{FAUCET}
본 고안은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꼭지의 가공 시 수도꼭지의 배출구 표면에 발생하는 외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 수도꼭지에 관한 기술이다.
수도꼭지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3538호(2011.10.7.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레버조절식 절수 수도꼭지"]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처럼,
일반적인 수도꼭지는 유체가 통과하도록 이루어진 유입구,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상호 연결하는 유로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유로를 개폐함으로써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수도꼭지는 더 이상 단순하게 수돗물을 배출하는 기능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주기 위해서 다양한 형상의 수도꼭지가 제공된다.
그리고 다양한 형상의 수도꼭지 중,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꼭지의 배출구(12)가 상방 및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수도꼭지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수도꼭지의 배출구(12)가 전방을 향해 길게 돌출되고, 특히 배출구(12)의 상방 및 전방이 개방된 구조로 인하여, 수돗물의 배출 시 마치 계곡물이 흐르는 듯한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과 같은 경우, 수도꼭지의 전체적인 형상을 성형한 후,수도꼭지를 도금하기 위해서는 먼저 밀링(milling)을 통해 수도꼭지 표면을 가공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밀링기의 구조상 배출구 내측면의 일부(A)는 가공이 어렵다.
따라서 가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A)은 도금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지며, 도금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진 부분은 부식이 잘되거나 도금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나아가서 상기 선행기술은 배출구(12)의 내부가 사용자에게 보이도록 이루어진 구성이기 때문에, 수도꼭지의 사용 시 사용자에게 깔끔하지 못한 외관을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수도꼭지의 가공 시 수도꼭지의 배출구에 발생하는 외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 수도꼭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수도꼭지는,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유로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유로를 개폐하여 물의 흐름을 차폐하는 손잡이;
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배출구는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직선공간부와 전방 및 상방이 개방되어 상기 직선공간부가 부분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개구부가 위치한 직선공간부 양측 내벽에 일정구간 형성된 결합요홈과 상기 몸체의 배출구 바닥면을 가리며 결합 되는 것으로, 양측단부에 상기 결합요홈과 결합 되는 결합돌기가 일정구간 형성된 장식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장식플레이트는,
상기 결합요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도꼭지의 가공 시 수도꼭지의 배출구에 발생하는 외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도꼭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도꼭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도꼭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수도꼭지의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를 기준으로 손잡이(30)측을 상방, 몸체(10)측을 하방, 배출구(12)측을 전방 그리고 몸체(10)를 기준으로 배출구(12)의 반대방향을 후방이라 정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수도꼭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수도꼭지는 크게 몸체(10), 장식플레이트(20) 및 손잡이(3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몸체(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2)를 갖는 유로(11)가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유로(11)를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배출구(12)를 제외한 유입구 및 유로(11)의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출구(12)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서 전방을 향해 길게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상기 몸체(10)의 유로(11)와 연통되는 직선공간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직선공간부(121)의 전방 및 상방이 개방되어 상기 직선공간부(121)가 부분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개구부(1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직선공간부(121)의 좌우측에는 내벽(123)이 각각 형성되고, 직선공간부(121)의 하측에는 바닥면(125)이 형성되며, 직선공간부(121)의 후방 상측에는 상면(1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개구부(122)가 위치한 직선공간부(121)의 양측 내벽(123)에는 일정구간에 걸쳐 결합요홈(124)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요홈(124)은 직선공간부(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내벽(123)에 함몰 형성된다.
장식플레이트(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기다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장식플레이트(20)의 좌우 양측단부에는 상기 배출구(12)의 결합요홈(124)과 결합 되는 결합돌기(21)가 장식플레이트(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식플레이트(20)는 상기 배출구(12)의 바닥면(125)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125)을 가리도록 상기 결합요홈(124)에 결합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식플레이트(20)는 그 재질이 주로 표면이 밀링(milling) 가공된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장식플레이트(20)는 그 후단부가 상기 배출구(12)의 상면(126) 하방에 위치한 바닥면(125)까지 배치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식플레이트(20)는 상기 결합요홈(124)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은 결합요홈(124) 및 장식플레이트(20)의 구성으로 인하여, 밀링 가공 시 밀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기 배출구(12) 바닥면(125)을 상기 장식플레이트(20)가 가리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깔끔한 외관의 수도꼭지를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장식플레이트(20)의 색상을 몸체(10)와 동일한 색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 및 재질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식플레이트(20)의 전단부에는,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부(22)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부(22)가 상기 직선공간부(121)의 전면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장식플레이트(20)의 전단부가 상기 직선공간부(121) 내측으로 후퇴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걸림부(22)를 전방을 향해 일정한 길이만큼 당김으로써, 물이 배출되는 구간을 필요한 만큼 연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식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는,
장식플레이트(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출유도로(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유도로(23)가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유도로(23)가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물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도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식플레이트(20)의 배출유도로(23)는,
경우에 따라 다단식(多段式)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장식플레이트(20)가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손잡이(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유로(11)를 개폐하여 물의 흐름을 차폐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몸체
11 ; 유로
12 ; 배출구
121 ; 직선공간부
122 ; 개구부
123 ; 내벽
124 ; 결합요홈
125 ; 바닥면
126 ; 상면
20 ; 장식플레이트
21 ; 결합돌기
22 ; 걸림부
23 ; 배출유도로
30 ; 손잡이

Claims (4)

  1.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2)를 갖는 유로(11)가 구비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유로(11)를 개폐하여 물의 흐름을 차폐하는 손잡이(3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0)의 배출구(12)는 상기 유로(11)와 연통되는 직선공간부(121)와 전방 및 상방이 개방되어 상기 직선공간부(121)가 부분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개구부(122)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개구부(122)가 위치한 직선공간부(121) 양측 내벽(123)에 일정구간 형성된 결합요홈(124)과 상기 몸체(10)의 배출구(12) 바닥면(125)을 가리며 결합 되는 것으로, 양측단부에 상기 결합요홈(124)과 결합 되는 결합돌기(21)가 일정구간 형성된 장식플레이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장식플레이트(20)는,
    상기 결합요홈(124)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플레이트(20)의 전단부에는,
    상기 직선공간부(121) 전면에 걸리는 걸림부(22)가 하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배출유도로(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4. 삭제
KR2020150005488U 2015-08-18 2015-08-18 수도꼭지 KR200481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488U KR200481001Y1 (ko) 2015-08-18 2015-08-18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488U KR200481001Y1 (ko) 2015-08-18 2015-08-18 수도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001Y1 true KR200481001Y1 (ko) 2016-08-02

Family

ID=5671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488U KR200481001Y1 (ko) 2015-08-18 2015-08-18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0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068B1 (ko) * 2017-04-14 2017-11-02 박가희 수도꼭지용 물줄기 전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3391A (ja) * 2000-11-20 2002-05-28 Yamaha Livingtec Corp 浴槽用吐水装置
US20080164336A1 (en) * 2005-03-07 2008-07-10 Hansa Metallwerke Ag Sanitary Fitting With an Illuminated Outlet Consisting of Transparent Material
KR100928369B1 (ko) * 2008-01-10 2009-11-23 대림통상 주식회사 토출수 안정화장치가 내장된 수도꼭지
KR101343215B1 (ko) * 2010-09-09 2013-12-18 수산나 리 수도꼭지 연장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3391A (ja) * 2000-11-20 2002-05-28 Yamaha Livingtec Corp 浴槽用吐水装置
US20080164336A1 (en) * 2005-03-07 2008-07-10 Hansa Metallwerke Ag Sanitary Fitting With an Illuminated Outlet Consisting of Transparent Material
KR100928369B1 (ko) * 2008-01-10 2009-11-23 대림통상 주식회사 토출수 안정화장치가 내장된 수도꼭지
KR101343215B1 (ko) * 2010-09-09 2013-12-18 수산나 리 수도꼭지 연장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068B1 (ko) * 2017-04-14 2017-11-02 박가희 수도꼭지용 물줄기 전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13085A (zh) 卫生单元
KR200481001Y1 (ko) 수도꼭지
JP5826960B1 (ja) 左右クリック型段操作手段を有する水道バルブカートリッジ
PT1576307E (pt) Torneira sanitaria de descarga
EP3118380B1 (en) Sprayhead for a faucet, with an improved containment casing
EP3272953B1 (en) Spray rod
KR101323625B1 (ko) 토출구 교체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KR200484225Y1 (ko) 온/오프 스위치식 샤워기 헤드
KR20180016776A (ko) 전기압력밥솥
JP6836715B2 (ja) 吐水装置
JP2015074937A (ja) 接続管カバー
KR101241464B1 (ko) 수도용 지수전
CN204805671U (zh) 多功能壁装水龙头
JP6104849B2 (ja) キッチン用シンク
CN215673735U (zh) 一种能排残留水的龙头
CN209918111U (zh) 一种人性化二合一组合花洒
CN208610638U (zh) 一种电饭锅排气阀组件
KR200470879Y1 (ko) 수돗물 분출 기구
CN100451219C (zh) 洗衣机的门组件
CN204805630U (zh) 多口出水龙头
JP2017125314A (ja) 防水床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シャワールームユニット
KR20220075830A (ko) 유브이 광원이 내장된 수전금구
KR20140079136A (ko) 유량 조절 밸브 조립체
KR200349639Y1 (ko) 두 개의 토수구로 구성된 수도꼭지
TWI418723B (zh) The swivel structure of the fauc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