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988Y1 -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988Y1
KR200480988Y1 KR2020140009393U KR20140009393U KR200480988Y1 KR 200480988 Y1 KR200480988 Y1 KR 200480988Y1 KR 2020140009393 U KR2020140009393 U KR 2020140009393U KR 20140009393 U KR20140009393 U KR 20140009393U KR 200480988 Y1 KR200480988 Y1 KR 200480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line
temperature
state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268U (ko
Inventor
이재진
김민건
김용주
Original Assignee
(주) 텔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텔트론 filed Critical (주) 텔트론
Priority to KR2020140009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98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2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2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2Hea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urnaces
    • H05B3/64Hea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urnaces using ribbon, rod, or wire he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열선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열선 제어 장치의 한 특징은 배관의 온도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온도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상기 온도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된 온도와 제1 설정 온도 및 제2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 감지부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지를 판정하고, 구동되는 발열선으로부터 피드백 되는 발열선 상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발열선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부의 판정 결과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판정 결과를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판정 결과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2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판정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여 출력하는 감시 제어부 및 상기 감시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APPARATUS FOR MONITORING OPERATION STATE OF HEAT WIRE}
본 고안은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열선은 정온 전선으로 불리는 가열 케이블(cable)로서 기존의 가열 케이블과는 달리 금속 발열선이 아니라 카본(carbon)이 함유된 플라스틱 반도체(plastic semiconductor)에 의해 발열되는 제품으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지니고 있다.
PTC 특성이란 일종의 자연현상으로 주위 온도의 변화에 따라 발열량이 자동으로 증감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온 전선은 도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연속적 병렬회로 구조를 갖는 특수한 발열체로서 주위 온도 변화에 따라 내부저항을 스스로 제어하여 발열량을 자동으로 증감 시키도록 설계된 자율 온도 제어형 가열 케이블(Self-Regulating Heating Cable)이다.
정온 전선은 PTC원리를 응용하여 개발된 자기 제어형 히터로 날씨가 추우면 많이 발열하고 더우면 적게 발열하므로 전기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정온 전선인 발열선은 개별난방용 보일러, 옥외에 설치된 상하수관의 단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외부에 위치하는 방화수관, 또는 주차장 진출입구 바닥에 설치되어 해당 배관의 동파나 빙판 제거용 발열선 등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감지된 배관 등의 온도에 따라 발열선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여, 정해진 온도 범위에 도달하면 발열선을 동작시켜 동파로부터 해당 배관을 보호하게 된다.
이처럼,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는 배관이 설치된 곳에 장착되어 있는데, 배관의 설치 위치는 관리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도로변이나 집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지만, 아파트나 주택의 천정 속, 하수도 내 등과 같이 관리자가 용이하게 발열선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곤란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해당 발열선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게 되어, 발열선의 동작 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하지 못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발열선에 대한 점검이 늦어져 동파 사고 등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발열선의 단락과 같이 발열선의 정확한 동작 상태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장치가 없으므로, 발열선의 관리자는 별도의 테스터(tester) 등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발열선의 고장 여부를 진단해야 하므로, 점검 시간과 점검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035415(공개일자: 2012년 04월 16일, 발명의 명칭: 수도관 동결 방지 장치)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열선의 동작 상태를 신속하게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른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은 배관의 온도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온도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온도 감지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상기 온도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된 온도와 제1 설정 온도 및 제2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 감지부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지를 판정하고, 구동되는 발열선으로부터 피드백 되는 발열선 상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발열선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의 판정 결과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동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판정 결과를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판정 결과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2 통신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판정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여 출력하는 감시 제어부 및 상기 감시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감시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열선 상태 감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판정된 상기 배관의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상기 제1 설정 온도와 낮은 제2 설정 온도 이하일 때 상기 온도 감지부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발열선 상태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된 저항값이 설정 저항값 이상일 경우, 상기 발열선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는 전원과 연결되어 있고 대기 온도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온도 스위치, 그리고 상기 온도 스위치와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온도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는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온도 감지부의 비정상 상태를 표시하는 제1 경고등과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열선의 비정상 상태를 표시하는 제2 경고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와 상기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 간의 통신은 블루투스, 지그비, 랜 또는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온도 감지부의 단선과 단락 여부, 발열선의 단선 여부와 비정상 상태가 자동으로 판정되어 관리자에게 전송되므로, 비정상 상태로 동작하는 온도 감지부와 발열선의 위치 파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져 점검 시간이 크게 줄어들고 고장 원이 파악이 용이해진다.
온도 감지부를 이용하여 발열선이 감겨있는 배관의 온도를 감지하여 발열선의 동작을 제어하므로, 발열선의 동작을 좀더 효율적으로 제어한다. 이로 인해, 동파 상황이나 배관의 내용물이 얼 수 있는 상황이 아닌 불필요한 상황에서 발열선이 불필요하게 동작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발열선의 동작으로 인한 소비 전력이 감소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선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선 구동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에서 발열선 구동 장치와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 간의 판정 결과 전송 상태를 도시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은 복수의 발열선(1) 각각으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발열선(1)의 동작을 제어하고 각 발열선(1)과 같은 구성 요소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여 정상 여부에 관한 판정 결과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발열선 구동 장치(100)와 복수의 발열선 구동 장치(100) 각각과 통신하여 각 발열선 구동 장치(100)에서 생성된 판정 결과를 전송 받아 각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발열선 상태 감지 장치(200)를 구비한다.
복수의 발열선 구동 장치(100)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각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한 예는 일측 단자로 전원(AC)이 공급되는 온도 스위치(SW1), 온도 스위치(SW1)의 타측 단자와 연결된 전원부(110), 온도 감지부(120), 전원부(110)와 온도 감지부(120)에 연결된 동작 제어부(130), 동작 제어부(130)에 연결된 저장부(예, 제1 저장부)(131), 동작 제어부(130)와 발열선(1)에 연결된 발열선 구동부(140), 동작 제어부(130)에 연결된 경고부(150), 그리고 동작 제어부(130)에 연결된 통신부(예, 제1 통신부)(160)를 구비한다.
온도 스위치(SW1)는 보일러실과 같이 발열선(1)이 설치되는 설치실의 주변 온도, 즉, 대기 온도에 따라 동작 상태가 달라져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스위치로서, 바이메탈 스위치(bimetal switch)일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스위치(SW1)는 주변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가 되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주변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한 예로, 설정 온도는 5oC일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설정 온도의 크기는 변경 가능하다.
온도 스위치(SW1)가 온 상태를 유지하면 온된 온도 스위치(SW1)를 통하여 전원부(110)로 전원(AC)이 공급되고, 온도 스위치(SW1)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면 온도 스위치(SW1)로 공급되는 전원(AC)은 전원부(110)로 인가되지 못하고 온도 스위치(SW1)에 의해 차단되어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동작은 중지된다.
이러한 온도 스위치(SW1)는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온도 스위치(SW1)가 생략될 때, 전원부(110)로의 전원(AC) 공급은 상시 행해지며, 발열선(1)의 동작 제어부(130)는 온도 감지부(120)에서 출력되는 온도 감지 신호에 따라 발열선(1)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원부(110)는 온도 스위치(SW1)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AC), 즉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경하는 교류-직류 변환기와 과전류를 차단하는 과전류 차단기[즉, 휴즈(fuse) 등]을 구비하고 있고,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압을 생성하여 해당 구성요소로 인가한다. 이로 인해,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전원부(110)로 인가되는 전원(AC)은 80V~240V이고 50Hz 또는 60Hz의 주파수를 갖는 상용전원일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스위치(SW1)의 동작에 의해 전원부(110)의 동작 여부가 제어되므로, 동작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할 경우 전원부(110)의 전력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로의 구동 전압의 인가가 중단되므로,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서 소비되는 대기 전력의 낭비가 방지되어 발열선 구동 장치(100)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온도 감지부(120)는 발열선(1)이 설치되는 배관에 직접 위치하여, 배관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한 온도의 크기에 해당하는 상태의 온도 감지 신호를 동작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이러한 온도 감지부(120)는 서미스터(thermistor)일 수 있다.
동작 제어부(130)는 온도 스위치(SW1)의 동작에 의해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어, 온도 감지부(120)에서 인가되는 온도 감지 신호를 읽어, 온도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배관의 온도를 판정한다.
따라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예, 제3 설정 온도) 이하로 판정되면, 발열선(1)으로의 전원 공급을 실시하여, 발열선(1)의 발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예에서, 발열선(1)의 동작을 위한 설정 온도는 영하 2oC이지만, 이 온도의 크기 역시 주변 환경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동작 제어부(130)는 온도 감지부(120)에 의해 판정된 온도에 의해 온도 감지부(120)의 동작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판정한다.
즉, 온도 감지부(120)에 의해 판정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인 제1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제2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온도 감지부(120)가 단락되거나 단선된 상태로 판정하여 온도 감지부(120)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한다.
제1 설정 온도는 온도 감지부(120)의 단락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온도이고 제2 설정 온도는 온도 감지부(120)의 단선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온도이며, 제1 설정 온도와 제2 설정 온도는 서로 상이하다.
저장부(131)는 메모리(memory)로서 자신에 속해 있는 발열선 구동 장치(100)에 대한 식별 번호(ID), 온도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온도, 제1 내지 제3 설정 온도, 온도 감지부(120)과 발열선(1)의 정상 여부에 대한 판정 결과 등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생성된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저장부(131)는 도 2와 같이 동작 제어부(130)와 이격되게 위치하지만, 이와는 달리 동작 제어부(13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발열선 구동부(140)는 트라이악(triac, triode alternating current switch)와 같은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발열선 구동부(140)의 제어 단자는 동작 제어부(130)에 연결되고 출력 단자는 발열선(1)에 연결되며 입력 단자는 전원부(110)에서 생성된 구동 전압에 연결된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130)는 온도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제3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발열선 구동부(14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발열선(1)으로 전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열선(1)의 발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동작 제어부(130)는 온도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발열선 구동부(140)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크기[예, 발열선 구동부(140)의 턴온 시간이나 제어 신호인 전압의 크기]를 제어한다.
본 예의 경우, 온도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낮을수록 발열선 구동부(140)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켜 발열선(1)에 의한 발열 정도를 증가시켜 발열 온도가 증가하여 배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예로서, 발열선 구동부(140)가 트라이악으로 이루어질 경우, 릴레이(relay)로 이루어질 경우에 비해 화재 발생이나 폭발 위험이 방지된다.
즉, 릴레이를 이용할 경우, 릴레이의 물리적인 스위칭 접점 동작 시에 불꽃(spark)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발열성 구동부(140)가 설치되는 보일러 등의 장치가 연소 재료가 가스 등과 같이 가연성(可燃性)이 양호한 재료일 경우 적은 양의 불꽃으로도 화재나 폭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발열선 구동부(140)를 반도체 소자인 트라이악을 이용할 경우, 이러한 불꽃 발생 가능성이 없으므로, 안전 사고의 발생 위험이 해소된다. 또한, 트라이악을 이용한 위상 제어를 실시하므로 발열선(1)으로의 급격한 전류 흐름이 방지되어 발열선(1)의 수명 역시 증가한다.
이러한 발열선 구동부(140)의 동작에 의해 발열선(1)으로 전류가 흐르면 발열선(1)을 흐르는 피드백 전류가 동작 제어부(130)로 인가된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130)는 인가되는 피드백 전류를 이용하여 발열선(1)의 상태(즉, 저항값)을 판정하여 발열선(1)의 단선 여부를 판정한다.
본 예의 경우, 동작 제어부(130)는 발열선(1)을 흐르는 전류를 바로 피드백 전류로 인가받아 발열선(1)의 단선 여부를 판정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발열선(1)에 흐르는 전류를 별도로 감지하는 전류 센서를 발열선(1)에 장착하고, 동작 제어부(130)는 전류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발열선(1)을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발열선(1)의 단선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발열선(1)의 동작 상태에 대한 판정 결과 역시 저장부(131)에 저장된다.
경고부(150)는 온도 감지부(120)와 발열선(1)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 상태일 때 사용자에게 비정상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경고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경고부(150)는 온도 감지부(120)의 비정상 상태 시 동작하는 제1 경고등(151)과 발열선(1)의 비정상 상태 시 동작하는 제2 경고등(152)을 구비한다.
통신부(160)는 저장부(131)에 저장되어 있는 온도 감지부(120)와 발열선(1)의 동작 상태를 판정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로서, 동작 제어부(130)에 의해 해당 상태의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거나 또는 필요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통신부(160)에 의해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200)와의 통신이 행해진다.
통신부(16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랜(LAN) 또는 초광대역 통신(UWB, ultra wideband)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거나 RS232, RS485, 또는 CAN 통신 등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발열선(1)은 자율온도 제어형 히팅 케이블(Self-Regulating Heating Cable)로 배관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감겨있어, 발생하는 열을 배관으로 전달하여 배관의 동파를 방지한다.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200)는 통신부(예, 제2 통신부)(210), 통신부(210)와 연결된 감시 제어부(220), 감시 제어부(220)에 연결된 저장부(예, 제2 저장부)(230), 그리고 감시 제어부(220)에 연결된 동작 상태 표시부(240)를 구비한다.
통신부(210) 역시 통신부(160)와 같이, 복수의 발열선 구동 장치(1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랜(LAN) 또는 초광대역 통신(UWB, ultra wideband)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거나 RS232, RS485, 또는 CAN 통신 등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감시 제어부(220)는 정해진 주기마다 통신부(210)를 통해 복수의 발열선 구동장치(100)의 판정 결과를 요청하여, 각 복수의 발열선 구동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판정 결과를 해당 식별 번호와 함께 수신해 각 발열선 구동 장치(100)에 의해 동작 상태가 판정된 발열선(1)의 동작 상태와 온도 감지부(120)의 동작 상태를 판정한다.
그런 다음, 판정된 발열선(1)와 온도 감지부(120)의 판정 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동작 상태 표시부(240)로 출력하여 각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발열선(1)의 동작 상태와 온도 감지부(12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저장부(230) 역시 메모리로서 감지 제어부(220)의 동작과 복수의 발열선 구동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판정 결과 등을 저장해 놓는다.
동작 상태 표시부(240)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 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의 표시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이러한 동작 상태 표시부(240)는 감시 제어부(220)의 제어 동작에 의해 복수의 발열선 구동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판정 결과(예, 온도 감지부(120)에 의해 판정된 배관 온도, 온도 감지부(120)의 정상 여부, 발열선(1)의 상태(즉, 단선 여부)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에서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개수는 복 수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개 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에서, 먼저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먼저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이때, 복수의 발열선 구동 장치(100) 각각의 동작 제어부(130)에 대한 동작은 모두 동일하다.
먼저, 온도 스위치(SW1)가 설치된 공간의 대기 온도가 설정 온도(예, 제4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온도 스위치(SW1)는 오프 상태를 동작하므로, 전원부(110)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전원부(110)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열선 제어 장치의 각 구성요소(120-160)로의 구동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때, 각 구성 요소(120-160)로 구동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각 구성 요소(120-160)에서 소모되는 대기 전력이 발생하지 않아, 전력 소비가 크게 줄어든다.
하지만, 온도 스위치(SW1)가 온 상태일 경우, 전원부(110)의 동작이 이루어져 발열선 제어 장치는 동작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동작 제어부(130)의 동작 역시 시작된다(S10).
이처럼, 동작 제어부(130)의 동작이 시작되면, 동작 제어부(130)는 온도 감지부(120)에서 출력되는 온도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S11) 발열선(1)이 설치되어 있는 배관의 온도를 판정한다(S12).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130)는 저장부(131)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설정온도를 읽어와 판정된 배관의 온도와 각각 비교한다(S13).
판정된 배관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제2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동작 제어부(130)는 온도 감지부(120)가 단락 상태 또는 단선 상태와 같이 온도 감지부(120)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한 후 비정상 상태로 판정된 온도 감지부(120)의 상태를 저장부(131)에 저장한다(S14). 이때, 제1 설정 온도와 제2 설정 온도는 온도 감지부(120)의 정상 여부를 판정하게 위한 온도로서, 제1 설정 온도는 제2 설정 온도보다 크다.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130)는 경고부(150) 중 제1 경고등(151)을 동작시켜(S15) 해당 발열선 구동 장치(100)에 설치된 온도 감지부(120)의 비정상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130)는 온도 감지부(120)에 대한 비정상 상태의 판정 결과를 통신부(160)를 통해 해당 온도 감지부(120)가 속해 있는 해당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식별 번호와 함께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200)로 전송하여(S16), 해당 온도 감지부(120)의 비정상 상태를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200)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단계(S13)에서, 온도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배관 온도가 제1 및 제2 설정 온도에 의해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할 경우, 동작 제어부(130)는 온도 감지부(120)의 동작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한 후 판정 결과를 저장부(131)에 저장한다(S17).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130)는 단계(S12)에서 판정된 배관 온도를 제3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배관 온도가 제3 설정 온도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8). 이때, 제3 설정 온도는 제1 설정 온도보다 작고 제2 설정 온도보다 큰 온도로서, 제1 설정 온도와 제2 설정 온도 사이에 존재하는 온도이다.
판정된 배관 온도가 제3 설정 온도를 초과할 경우, 동작 제어부(130)는 현재 배관의 온도 상태가 동파가 발생할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하여 발열선(1)을 구동시킬 상태가 아닌 것을 판정한다.
따라서, 판정된 배관 온도가 제3 설정 온도를 초과할 경우, 동작 제어부(130)는 단계(S11)로 넘어가 온도 감지부(120)에 의해 판정된 배관 온도를 판정하게 된다.
하지만, 판정된 배관 온도가 제3 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동작 제어부(130)는 현재 배관의 온도 상태가 배관의 동파가 발생할 수 있는 상태로 판정하고, 배관의 동파 방지를 위해 발열선(1)의 구동이 필요한 상태로 판단한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130)는 판정된 온도에 따른 해당 크기의 제어 신호를 발열선 구동부(140)로 출력하여 발열선 구동부(140)를 동작시킨다(S19).
이로 인해, 발열선 구동부(410)는 동작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의 크기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여 제어 신호의 크기에 비례한 크기의 전류가 발열선(1)으로 흐르도록 하여 발열선(1)의 발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동작 제어부(130)에서 발열선 구동부(140)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크기는 판정된 배관 온도에 반비례하여 배관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130)는 발열선(1)으로부터 인가되는 피드백 신호(예, 피드백 전류)인 발열선 상태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발열선(1)의 단선 여부를 판정한다(S110, S111).
이때, 발열선 상태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된 발열선(1)의 저항값이 설정 저항값 이상일 경우, 동작 제어부(130)는 발열선(1)의 상태를 단선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발열선 상태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된 저항값이 설정 저항값 이상일 경우, 동작 제어부(130)는 발열선(1)의 상태를 단선 상태로 판정하고 이러한 발열선(1)의 단선 상태를 저장부(131)에 저장한다(S112).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130)는 경고부(150)의 제2 경고등(152)을 동작시켜(S113), 발열선(1)의 단선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여 발열선(1)의 상태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도록 있다.
하지만, 발열선 상태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된 저항값이 설정 저항값 미만일 경우, 동작 제어부(130)는 발열선(1)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저장부(131)에 저장한다(S114).
그런 다음, 단계(S11)로 넘어가,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처럼, 온도 감지부(120)를 이용하여 발열선(1)이 감겨있는 배관의 온도를 감지하여 발열선(1)의 동작을 제어하므로, 발열선(1)의 동작을 좀더 효율적으로 제어한다. 이로 인해, 동파 상황이나 배관의 내용물이 얼 수 상황이 아닌 불필요한 상황에서 발열선(1)이 불필요하게 동작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발열선(1)의 동작으로 인한 소비 전력이 감소한다.
더욱이, 발열선(1)을 동작시키기 위한 발열선 구동부(140)로 릴레이 대신 트라이악을 사용하므로, 스위칭 시 불꽃의 발생 위험이 줄어들어 발열선 구동부(140)의 동작으로 인한 화재나 폭발 위험과 같은 안전 사고의 발생 원인이 제거된다.
이러한 각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동작 제어부(130)의 동작에 의해 각 발열선 구동 장치(100)에 속한 온도 감지부(120)와 발열선(1)의 비정상 여부(즉, 고장 여부)가 자동 판정되므로, 일일이 점검자가 수동으로 각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점검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수고스러움이 크게 줄어든다.
다음, 도 4를 참고로 하여, 각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동작을 통해 온도 감지부(120)와 발열선(1)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동작이 행해질 때, 온도 감지부(120)와 발열선(1)의 동작 상태에 대한 판정 결과를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200)가 수신하여 확인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200)의 감시 제어부(220)는 동작이 시작되면(S20), 발열선 구동 장치(100)로부터 판정 결과가 수신되었는지 판정한다(S21).
발열선 구동 장치(100)로부터 판정 결과가 수신되면, 감시 제어부(220)는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발열선 구동 장치(100) 중에서 온도 감지부(120)와 발열선(1)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 상태로 판정된 발열선 구동 장치(100)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이용해, 온도 감지부(120)와 발열선(1) 중 어느 곳이 비정상 상태로 동작되는지를 판정한다(S22).
그런 다음, 감시 제어부(220)는 판정 결과를 동작 상태 표시부(240)로 출력하고 저장부(230)에 저장하여(S23), 복수의 발열선 구동 장치(100) 중에서 해당 발열선 구동 장치(100)에 속해 있는 온도 감지부(120)와 발열선(1) 중 적어도 하나가 이상 상태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고, 또한 온도 감지부(120)와 발열선(1)의 이상 상태의 종류, 즉 온도 감지부(120)가 단락 상태인지 단선 상태이지 발열선(1)이 단선되었는지를 표시한다.
따라서,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200)의 관리자는 동작 상태 표시부(240)로 표시되는 표시 상태를 확인하여 고장이 발생한 발열선 구동 장치(100)와 발열선(1)의 위치를 확인하게 되며, 또한 고장의 종류 역시 신속하게 파악하게 된다.
본 예와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판정 결과는 주기적으로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감시 제어부(220)는 내장된 타이머(timer) 등을 이용하여 설정 시간이 도달하면(S31), 복수의 발열선 구동 장치(100)로 판정 결과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32), 복수의 발열선 구동 장치(100)는 판정 결과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부(131)에 저장된 판정 결과와 해당 식별 번호를 읽어와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200)의 감시 제어부(220)로 전송한다(S33).
따라서,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200)는 복수의 발열선 구동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판정 결과를 이용하여 각 발열선 구동 장치(100)의 온도 감지부(120)와 발열선(1)의 동작 상태, 그리고 온도 감지부(120)와 발열선(1)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 상태일 때 이상 상태의 종류를 판정한 후(S34) 동작 상태 표시부(240)로 출력하고 저장한다(S35).
이로 인해, 발열선 상태 감지 장치(200)의 관리자는 동작 상태 표시부(240)의 표시 상태를 이용하여 복수의 온도 감지부(120)와 복수의 발열선(1) 중에서 정상 상태를 유지하는 온도 감지부(120)와 발열선(1)의 위치 그리고 비정상 상태를 유지하는 온도 감지부(120)와 발열선(1)의 위치가 신속해 파악되므로,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200)의 관리자가 고장이 발생한 발열선 구동 장치(100)와 발열선(1)의 위치와 고장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발열선 구동 장치 200: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
SW1: 온도스위치 1: 발열선
110: 전원부 120: 온도 감지부
130: 동작 제어부 140: 발열선 구동부
150: 경고부 160, 210: 통신부
220: 감시 제어부 131, 230: 저장부
240: 동작 상태 표시부

Claims (6)

  1. 배관을 동파로부터 보호하는 발열선의 상태를 감시하는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에서,
    배관의 온도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온도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온도 감지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상기 온도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된 온도와 제1 설정 온도 및 제2 설정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 감지부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지를 판정하고, 구동되는 발열선으로부터 피드백 되는 발열선 상태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된 저항값이 설정 저항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발열선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의 판정 결과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동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판정 결과를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판정 결과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제2 통신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판정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여 출력하는 감시 제어부 및 상기 감시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감시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
    를 포함하는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판정된 상기 배관의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이거나 상기 제1 설정 온도보다 낮은 제2 설정 온도 이하일 때 상기 온도 감지부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는,
    전원과 연결되어 있고 대기 온도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온도 스위치, 그리고
    상기 온도 스위치와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온도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는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는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온도 감지부의 비정상 상태를 표시하는 제1 경고등과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열선의 비정상 상태를 표시하는 제2 경고등을 더 포함하는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열선 구동 장치와 상기 발열선 상태 감시 장치 간의 통신은 블루투스, 지그비, 랜 또는 초광대역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
KR2020140009393U 2014-12-19 2014-12-19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 KR200480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393U KR200480988Y1 (ko) 2014-12-19 2014-12-19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393U KR200480988Y1 (ko) 2014-12-19 2014-12-19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68U KR20160002268U (ko) 2016-06-30
KR200480988Y1 true KR200480988Y1 (ko) 2016-08-02

Family

ID=5634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393U KR200480988Y1 (ko) 2014-12-19 2014-12-19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9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558B1 (ko) * 2019-12-09 2022-03-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피드백 로직을 구비하는 차량의 드라이버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441815B1 (ko) * 2022-05-02 2022-09-08 주식회사 이엘 도로 결빙 방지 시설물의 모듈 타입 운영 및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630B1 (ko) * 2011-01-31 2011-04-20 김광열 자동 전압조절부가 구비된 배관파이프 동파 방지용 발열장치의 제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6986A (ja) * 1990-01-19 1991-09-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己温度制御型発熱体の異常検出方法
KR20120035415A (ko) 2010-10-05 2012-04-16 김진 수도관 동결 방지 장치
KR20140127394A (ko) * 2013-04-24 2014-11-04 유한회사 엔텍코리아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630B1 (ko) * 2011-01-31 2011-04-20 김광열 자동 전압조절부가 구비된 배관파이프 동파 방지용 발열장치의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68U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7724B2 (en) Water heat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A288437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electricity meter failure
US20170131117A1 (en) Method and appartus for monitoring a condition of a meter
KR101607666B1 (ko) 동파방지용 스마트 절전형 온도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온도컨트롤시스템
US201300203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heating/cooling systems
KR101456428B1 (ko) 공동주택 발열선 제어시스템
KR20140000885A (ko) 배관파이프 동파방지용 발열장치의 원격 감시 및 작동시스템
KR200480988Y1 (ko) 발열선 상태 감시 시스템
US9888526B2 (en) Detecting heater failure in a group of electric heaters in a process equipment heating system
KR20150042766A (ko) 용수 배관 동결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170009310A (ko) 절전 및 안전 기능이 구비된 시트형 전열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57663B1 (ko) IoT 결합형 열선을 이용한 결로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030630B1 (ko) 자동 전압조절부가 구비된 배관파이프 동파 방지용 발열장치의 제어시스템
CA2927734C (en) Method and apparatus to optimize generator start delay and runtime following outage
KR101516747B1 (ko) 발열선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041836A (ko) IoT 결합형 열선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085494A (ja) 凍結防止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装置
CN113757478A (zh) 一种温控分布式船用管路防冻装置及其敷设方法
US10365009B2 (en) Systems and methods to detect heater malfunction and prevent dry burning
KR101539990B1 (ko) 산업용 히팅 케이블 시스템에 설치되는 엔드 램프 장치
JP4442759B2 (ja) 配管凍結防止装置
KR200398108Y1 (ko) 온수 보일러의 제어장치
JP4277153B2 (ja) 断線/短絡検出装置を備えた温水装置
KR102531692B1 (ko) 동결 방지용 제어장치
JP2012246059A (ja) 冷温水器および浄水器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