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905Y1 -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 - Google Patents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905Y1
KR200480905Y1 KR2020160001251U KR20160001251U KR200480905Y1 KR 200480905 Y1 KR200480905 Y1 KR 200480905Y1 KR 2020160001251 U KR2020160001251 U KR 2020160001251U KR 20160001251 U KR20160001251 U KR 20160001251U KR 200480905 Y1 KR200480905 Y1 KR 200480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se
fixing nut
ope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귀출
Original Assignee
박귀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귀출 filed Critical 박귀출
Priority to KR2020160001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9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고안은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싱크대에 장착되는 싱크대붙이형 수전금구에 결합되는 온·냉수 공급호스와 거치식 스프레이 헤드호스를 개폐 방식으로 수전금구에 고정시켜 수전금구의 교체 및 시공작업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에 관한 것이다.
2. 구성 및 효과
본 고안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호스를 내부에 삽입시킨 후 폐쇄시켜 잠금시키는 개폐 방식으로, 호스를 내부에 삽입시켜 고정하는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를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링체 구조의 고정너트에 비해 수전금구의 교체 및 시공작업시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OPENING AND SHUTTING TYPE HOSE LOCK NUT FOR FAUCET}
본 고안은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싱크대에 장착되는 싱크대붙이형 수전금구에 결합되는 온·냉수 공급호스와 거치식 스프레이 헤드호스를 개폐 방식으로 수전금구에 고정시켜 수전금구의 교체 및 시공작업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붙이형 수전금구는 싱크대의 일단에 천공된 홀에 수전몸체가 직립식으로 설치되면서, 수전몸체에는 온수와 냉수를 공급하는 온·냉수 공급호스와, 수전을 샤워기처럼 줄을 당겨 사용할 수 있도록 싱크대 위쪽에서 호스를 간편하게 잡아 뺐다 넣었다 할 수 있도록 무게추가 장착된 거치식 스프레이 헤드호스를 내장시켜 벽붙이형 수전금구에 비해 외관이 깔끔하다는 장점으로 최근 많이 보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대붙이형 수전금구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대붙이형 수전금구는 수전몸체(2)의 하단부에 결합된 금속재질의 고정구(3)가 싱크대(1)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고정구(3)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원형 링체 구조로 이루어진 고정너트(6)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온·냉수 공급호스(4)와 거치식 스프레이 헤드호스(5)는 고정너트(6)와 고정구(3)를 관통하여 내부에 삽입되어 수전몸체(2)의 수전에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대붙이형 수전금구에서는 온·냉수 공급호스(4)와 거치식 스프레이 헤드호스(5)를 싱크대(1)에 고정하는 고정너트(6)가 원형 링체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총 4개의 호스를 원형 링체 구조의 고정너트(6)의 내부에 삽입시키는 작업이 어려워 수전금구 교체 및 시공작업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KR 20-2009-0002462 U, 2009. 03. 11. KR 20-0409569 Y1, 2006. 02. 16. KR 20-0276636 Y1, 2002. 05. 14.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싱크대에 장착되는 싱크대붙이형 수전금구에 결합되는 온·냉수 공급호스와 거치식 스프레이 헤드호스를 개폐 방식으로 고정하여 수전금구의 교체 및 시공작업시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내부에 수전몸체의 하단부에 결합된 고정구가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커버; 일측부가 상기 제1 커버의 일측부에 연결된 연결부; 상기 제1 커버와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제1 나사산과 대칭하도록 상기 고정구가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측부가 상기 연결부의 타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커버를 덮거나 개방하는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의 타측부와 상기 제2 커버의 타측부를 상호 결합시켜 잠금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커버, 상기 제2 커버,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잠금부는 사출성형공정을 통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커버가 상기 제1 커버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커버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나사산은 상기 제1 커버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 방향으로 10mm 내지 30mm로 이격되고,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제2 커버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 방향으로 10mm 내지 30mm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개방시킨 상태에서 호스를 내부에 삽입시킨 후 폐쇄시켜 잠금시키는 개폐 방식으로, 내부에 삽입시켜 고정하는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를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링체 구조의 고정너트에 비해 수전금구의 교체 및 시공작업시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대붙이형 수전금구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의 (a)는 도 2에 도시된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도시된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를 상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의 (c)는 도 3의 (b)에 도시된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에 호스를 삽입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의 내부에 호스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를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 전방측은 샤워기의 분사구에서 물이 분사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측은 분사구의 반대측을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의 (a)는 도 2에 도시된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도시된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를 상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의 (c)는 도 3의 (b)에 도시된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10)는 도 3의 (b)와 같이 개방시킨 상태에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온·냉수 공급호스(4)와 거치식 스프레이 헤드호스(5)를 내부에 삽입시킨 후 폐쇄시켜 잠금시키는 개폐 방식으로 호스(4, 5)를 내부에 삽입시켜 고정한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링체 구조의 고정너트(6)에 비해 교체 및 시공작업시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10)는 제1 커버(11), 연결부(12), 제2 커버(13) 및 잠금부(14)를 포함하고, 이들 각 구성(11, 12, 13, 14)은 사출성형공정을 통해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11)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전몸체의 하단부에 결합된 고정구(3, 도 4참조)가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산(111)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나사산(111)은 도 3의 (a)와 같이, 제1 커버(11)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L1)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 방향으로 10mm 내지 30mm, 바람직하게는 20mm로 이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12)는 도 3의 (a)와 같이, 일측부가 제1 커버(11)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타측부가 제2 커버(13)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커버(11, 13)를 상호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부(12)는 제1 및 제2 커버(11, 13)에 비해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및 제2 커버(11, 13)에 비해 얇은 두께, 예를 들면, 제1 및 제 커버(11, 13)의 두께에 비해 1/4 내지 1/2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혹은 반복적인 개폐 동작시 피로강도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재질(얇은 금속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12)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중사출성형공정을 통해 제1 및 제2 커버(11, 13)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연결부(12)의 중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절곡선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커버(13)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 커버(11)와 대칭하도록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전몸체의 하단부에 결합된 고정구(3, 도 4참조)가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131)이 형성된다. 이때, 제2 나사산(131)은 제1 나사산(111)과 마찬가지로, 도 3의 (a)와 같이, 제2 커버(13)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L2), 바람직하게는 10mm 내지 30mm, 바람직하게는 20mm로 이격시켜 형성한다.
제2 커버(13)는 도 2 및 도 3의 (c)와 같이, 연결부(12)에 의해 절곡되어 제2 커버(11)를 덮거나 개방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온·냉수 공급호스(4)와 거치식 스프레이 헤드호스(5)를 제1 커버(11)의 안착시킨 후 제2 커버(13)를 연결부(12)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절곡시켜 제1 커버(11)를 덮어 호스(4, 5)를 내부에 삽입 고정한다.
잠금부(14)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2 커버(13)가 연결부(12)를 중심으로 절곡되어 제1 커버(11)를 덮은 상태에서 제2 커버(13)가 제1 커버(11)로부터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커버(11, 13)의 타측부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다.
잠금부(14)는 일례로, 제1 커버(11)의 타측부 중앙부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잠금홈부(141)와, 잠금홈부(141)와 대응하여 제2 커버(13)의 타측부 중앙부에 구비되어 잠금홈부(141)에 마련된 잠금홈(141a)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잠금돌부(142)를 포함한다. 이때, 잠금돌부(142)에는 도 3의 (b)와 같이, 잠금홈(141a)에 걸림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42a)가 마련되어 안정적으로 잠금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에 호스를 삽입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의 내부에 호스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의 (b)와 같이, 제2 커버(13)를 제1 커버(11)로부터 분리시켜 호스 고정너트(1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도 4 및 도 5와 같이, 고정구(3)에 삽입된 온·냉수 공급호스(4)와 거치식 스프레이 헤드호스(5)를 제1 커버(11)의 내부에 안착시킨 후 연결부(12)를 중심으로 제2 커버(13)를 절곡시켜 제1 커버(11)를 닫은 다음, 잠금부(14)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커버(11, 13)를 상호 잠금한다. 그런 다음, 고정구(3)에 호스 고정너트(10)를 나사 결합시켜 고정구(3)에 호스 고정너트(10)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10)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너트(6)와 같이, 원형 링체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내부가 개방되는 개폐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 링체 구조의 고정너트(6)에 비해 교체 및 시공작업시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20)는 실시예1에 따른 호스 고정너트(10)와 마찬가지로 개폐형 구조로서, 제1 커버(21), 연결부(22), 제2 커버(23) 및 잠금부(24)를 포함한다. 다만, 잠금부(24)는 실시예1에 따른 호스 고정너트(10)의 잠금부(14)와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잠금부(24)는 제1 커버(21)의 타측부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잠금돌부(241)와, 잠금돌부(241)와 대응하여 제2 커버(23)의 타측부에 구비되어 잠금돌부(241)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잠금홈(242a)이 구비된 한 쌍의 잠금홈부(242)를 포함한다. 이때, 잠금돌부(241)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잠금홈(242a)에 걸림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미도시)가 마련되어 안정적으로 잠금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싱크대
2 : 수전몸체
3 : 고정구
4 : 온·냉수 공급호스
5 : 거치식 스프레이 헤드호스
6, 10 : 호스 고정너트
11, 21 : 제1 커버
12, 22 : 연결부
13, 23 : 제2 커버
14, 24 : 잠금부
141, 242 : 잠금홈부
142, 241 : 잠금돌부

Claims (4)

  1. 수전몸체의 하단부에 결합된 고정구가 싱크대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온·냉수 공급호스와 거치식 스프레이 헤드호스가 고정구를 관통하여 내부에 삽입되어 수전몸체의 수전에 결합되는 종래의 싱크대붙이형 수전금구에 적용되는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로서,
    내부에 상기 고정구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와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나사산과 대칭하도록 내부에 상기 고정구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커버;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커버의 타측부와 상기 제2 커버의 타측부를 상호 결합시켜 잠금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절곡되어, 온·냉수 공급호스와 거치식 스프레이 헤드호스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에 의해 상호 잠금되며, 상기 고정구가 상기 제1 커버의 제1 나사산 및 상기 제2 커버의 제2 나사산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구에 상기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상기 제2 커버,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잠금부는 사출성형공정을 통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커버가 상기 제1 커버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커버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산은 상기 제1 커버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 방향으로 10mm 내지 30mm로 이격되고,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제2 커버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 방향으로 10mm 내지 30mm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








KR2020160001251U 2016-03-09 2016-03-09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 KR200480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251U KR200480905Y1 (ko) 2016-03-09 2016-03-09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251U KR200480905Y1 (ko) 2016-03-09 2016-03-09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905Y1 true KR200480905Y1 (ko) 2016-07-20

Family

ID=5661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251U KR200480905Y1 (ko) 2016-03-09 2016-03-09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9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649Y1 (ko) 2022-09-20 2024-01-16 주식회사 제이시엘인더스트리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6560A (ja) * 1995-02-20 1996-09-03 Inax Corp 水栓の板状部材上面からの取付構造
JPH0926057A (ja) * 1995-07-13 1997-01-28 Cleanup Corp 水栓金具の取付具
KR200276636Y1 (ko) 2002-03-06 2002-05-25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수전 금구용 호스 고정구
KR200409569Y1 (ko) 2005-12-12 2006-02-22 주식회사 한도 상부에서 수전설치가 가능토록 된 고정구
JP2007092357A (ja) * 2005-09-28 2007-04-12 Mym Corp ホース用のストッパー
KR20090002462U (ko) 2007-09-07 2009-03-11 (주)뷰티바스 싱크대용 수도꼭지의 플라스틱재질 꼭지고정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6560A (ja) * 1995-02-20 1996-09-03 Inax Corp 水栓の板状部材上面からの取付構造
JPH0926057A (ja) * 1995-07-13 1997-01-28 Cleanup Corp 水栓金具の取付具
KR200276636Y1 (ko) 2002-03-06 2002-05-25 대신건기산업 주식회사 수전 금구용 호스 고정구
JP2007092357A (ja) * 2005-09-28 2007-04-12 Mym Corp ホース用のストッパー
KR200409569Y1 (ko) 2005-12-12 2006-02-22 주식회사 한도 상부에서 수전설치가 가능토록 된 고정구
KR20090002462U (ko) 2007-09-07 2009-03-11 (주)뷰티바스 싱크대용 수도꼭지의 플라스틱재질 꼭지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649Y1 (ko) 2022-09-20 2024-01-16 주식회사 제이시엘인더스트리 수전금구의 냉,온수 공급호스 고정용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571B2 (en) Fixing structure of a pull-out faucet
KR200480905Y1 (ko) 개폐형 수전금구용 호스 고정너트
KR101721067B1 (ko) 수전금구
JP6090640B2 (ja) 洗面化粧台
US10125479B2 (en) P-trap plumbing connection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P-trap plumbing connection
KR20110001154U (ko) 높이 조절용 원터치 클램프가 구비된 샤워기
KR200434950Y1 (ko) 수전금구 구조
PL2166908T3 (pl) Wanna kąpielowa z wejściem drzwiowym
KR200480895Y1 (ko) 수전금구 체결장치
KR101170126B1 (ko) 슬림형 오픈커버
KR101122661B1 (ko) 수전장치
KR200474840Y1 (ko) 분수 노즐을 갖는 세면기 밸브
KR101320437B1 (ko) 손잡이형 도어잠금장치
CN207768260U (zh) 一种简捷安全的挂墙镜柜
US9125531B2 (en) Sealing arrangement for bath bar
KR101779578B1 (ko) 선반형 세면기 수전
US20100084858A1 (en) Hose structure having a rotating unit
KR20100064202A (ko) 뚜껑분실방지 구조를 갖는 맨홀커버
KR200483192Y1 (ko) 싱크대 붙이형 수전금구용 고정너트 지지부재
JP3644027B2 (ja) 吐水具
KR20200082950A (ko) 위생기구용 관 조인트
JPH1136403A (ja) 排水装置
KR200490854Y1 (ko) 끼워맞춤형 수전레버
KR0125193Y1 (ko) 계량기함의 전면커버
KR20110010950U (ko) 내구성이 증진된 수전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