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842Y1 - 용기 마크 식별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마크 식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842Y1
KR200480842Y1 KR2020160002396U KR20160002396U KR200480842Y1 KR 200480842 Y1 KR200480842 Y1 KR 200480842Y1 KR 2020160002396 U KR2020160002396 U KR 2020160002396U KR 20160002396 U KR20160002396 U KR 20160002396U KR 200480842 Y1 KR200480842 Y1 KR 200480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
container
information
c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다희
최재훈
Original Assignee
김다희
최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다희, 최재훈 filed Critical 김다희
Priority to KR2020160002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8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8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06K9/62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 마크 식별 장치가 제공되며, 용기의 하부면에 위치한 마크를 촬영 및 스캔하기 위한 촬영부, 촬영부의 스캔이 완료되는 경우, 스캔된 마크를 식별하는 식별부, 식별된 마크의 유해 또는 무해 여부와, 식별된 마크의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기 마크 식별 장치{APPARTUS FOR IDENTIFYING PLASTIC MARK}
본 고안은 용기 마크 식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 용기에 대한 유해 여부를 포함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용기 마크 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새롭게 등장한 미세먼지에 대한 보도는 빈번하여 국민들이 인지하고 있지만, 커피 전문점에서 사용하거나 쉽게 접하는 플라스틱으로 인한 유해물질은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플라스틱을 구분하는 방법은, 광학을 통하여 재질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556228호(2015.09.30 공고)에는, 한 개의 집광렌즈를 통하여 한 개의 조각난 플라스틱을 재질별 분석이 가능하여 집광렌즈를 직렬방식으로 복수개 설치하여 동시에 복수개의 종류의 플라스틱을 재질별로 분석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일반 사용자는 광학 장비를 구비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표시는 되어 있지만 인지는 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점이다. 즉, 사람이 볼 수는 있지만, 별도로 검색을 하지 않는 이상, 해당 표시가 재질 표시라는 것조차 모르고 지나갈 수도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플라스틱의 사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일반 사용자도 용이하게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플라스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재질 표시가 되어 있더라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까지 인지를 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함은 그대로 유지한 채 피해 가능성은 최소한으로 줄이도록 할 수 있는, 용기 마크 식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크 식별 장치는, 용기의 하부면에 위치한 마크를 촬영 및 스캔하기 위한 촬영부, 촬영부의 스캔이 완료되는 경우, 스캔된 마크를 식별하는 식별부, 식별된 마크의 유해 또는 무해 여부와, 식별된 마크의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일반 사용자도 용이하게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플라스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재질 표시가 되어 있더라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까지 인지를 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함은 그대로 유지한 채 피해 가능성은 최소한으로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크 식별 장치 및 용기 마크 식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 마크 식별 장치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기 마크 식별 장치가 용기 마크를 식별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용기 마크 식별 장치가 용기 마크를 감지 및 식별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고안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크 식별 장치 및 용기 마크 식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용기 마크 식별 장치(1)는, 촬영부(100), 식별부(200), 정보 출력부(300), 감지 패널(400) 및 마크 감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용기 마크 식별 장치(1)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고안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 마크 식별 장치(1)는, 용기에 부착된 재질 분류 마크를 식별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재질 식별 마크(SPI Code)는, 현재까지 총 7 개가 존재하며, 각각의 숫자는 각각의 재질을 의미하고, 삼각형의 화살표 표시는 재활용 가능 여부를 표시한다. 이때, 재질 식별 마크의 1 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생산된 제품이고, 2는, HDPE(high-density polyethylene)를, 3은 PVC(polyvinyl chloride), 4는, LDPE(low-density polyethylene), 5는 PP(polypropylene), 6은 PS(polystyrene), 7은 다른 플라스틱, 예를 들어 아크릴, 나일론, 폴리카보나이트, 폴리락틱산(PLA) 등이다. 여기서, 일반 사용자들은 플라스틱 용기를 활용하고자, 용기에 물품을 담아 보관하는 경우도 있고, 전자렌지에 돌려도 되는 플라스틱인지를 몰라, 용기 내의 내용물까지 망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와 더불어, 플라스틱이 어떠한 경우에 환경 호르몬 등 유해한 물질이 흘러나오는지를 알 수 없어, 몇 번 더 사용할 수 있는데도 사용하지 못하거나, 사용할 수 없는데도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크 식별 장치(1)는, 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어떠한 상황에서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재활용을 하고 있는지 등을 파악하여 더 이상 쓰면 안되거나, 어떠한 용도로 쓰면 안되는지를 정확히 알려줌으로써, 유해한 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크 식별 장치(1)는, 용기의 밑바닥에 위치하여 촬영이 어렵거나, 무심코 재사용하다가 잊고 있었다거나 하는 등의 경우에까지 사용자에게 플라스틱이 유해한지를 알려줄 수 있어, 플라스틱 용기의 편리함은 그대로 가져가면서, 안전도는 증가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용기 마크 식별 장치(1)는, 촬영부(100) 및 감지 패널(400) 등을 구비한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모바일 단말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용기 마크 식별 장치(1)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마크 식별 장치(1)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용기 마크 식별 장치(1)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를 참조하면, 촬영부(100)는, 용기의 하부면에 위치한 마크를 촬영 및 스캔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촬영부(100)는, 마크만을 인식하면 되므로, 해상도가 높거나 색상을 촬영할 수 있는 수단이 아닐 수도 있다. 그리고, 촬영부(100)는, 적외선을 통하여 마크를 스캔을 하는 스캐너일 수도 있으며, 마크를 인식하고 촬영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할 수 있다. 즉, 광학 마크 인식(Optical mark recognition 또는 Optical Mark Reader; OMR), 즉 객체에 빛을 조사하여 표시된 위치를 인식하여 데이터를 얻는 기술을 사용하는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마크가 돌출형으로 돌출되지 않고 필름형으로 인쇄되었다고 하더라도 명암차이에 의하여 마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용기 마크 식별 장치(1)가 카메라가 포함된 모바일 단말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에 포함된 카메라로 대체될 수 있다.
식별부(200)는, 촬영부(100)의 스캔이 완료되는 경우, 스캔된 마크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식별부(200)는, 용기 마크의 기준 데이터와 촬영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부(200)는, 숫자의 형태 유사도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 경우, 동일 마크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식별부(200)는, 마크가 포함된 기준 이미지 템플릿을 저장하고, 저장된 기준 이미지 템플릿과 스캔된 마크를 비교하여 스캔된 마크를 식별할 수 있다.
정보 출력부(300)는, 식별된 마크의 유해 또는 무해 여부와, 식별된 마크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출력부(300)에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은, 용기 마크 식별 장치(1)가 스피커만을 구비한 경우, 스피커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정보 출력부(300)는, 용기 마크 식별 장치(1)의 보유 자원 및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보 출력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촬영부(100)는, 용기의 상표 및 품목 정보를 스캔하고, 식별부(200)는, 상표 및 품목 정보에 따라 저장된 용도를 추출하고, 식별부(200)는, 촬영부(100)를 통하여 용기가 촬영되고, 용기가 용도에 벗어나도록 사용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출력부를 통하여 사용되는 용도에 따른 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렌지에 돌리면 유해물질이 검출되는 플라스틱인데 전자렌지에 돌리는 경우일 수 있다. 이때, 용기의 상표 및 품목 정보는 용기 마크 식별 장치(1)에 기 저장될 수 있고, 용기 마크 식별 장치(1)가 모바일 단말인 경우, 웹 크롤러를 통하여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는, 실시간으로 해당 정보를 검색하여 비교할 수 있다. 이때, 비교 방법은, 검색된 용도 등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와 동일 객체가 촬영 또는 패턴이 검출된 경우를 비교하는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도에 벗어나는 사용은, 전자렌지 사용, 재사용 및 가열 물체를 위치시키는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00)를 통하여 용기가 촬영되는 경우, 촬영부(100)는 용기가 재촬영되거나 재감지되는 경우, 출력부를 통하여 용기의 용도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재촬영되었다는 것은, 동일한 플라스틱 컵을 또 사용했다는 것일 수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재사용에 대한 경고 또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덧붙여서, 용기 마크 식별 장치(1)는, 용기가 상부면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감지 패널(400), 감지 패널(400)에서 감지 신호가 송출되는 경우, 용기의 하부면에 위치한 분류 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마크 감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는, 마크가 식별되는 경우, 식별된 마크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유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 패널(400)은, 감지 패널(400)의 상부면에 메쉬형(Mesh Type)으로 형성된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접촉 센서에 접촉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용기가 위치함을 감지한 후, 마크 감지부(500) 및 출력부를 활성화시키는 신호(Active Signal)를 출력할 수 있다.
정보 출력부(300)는, 식별부(200)에서 식별된 마크와, 촬영부(100)에서 촬영된 용기의 상표 및 품목에 따른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QR 코드를 생성하여, 용기 마크 식별 장치(1)와 연동된 프린터로 QR 코드가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QR 코드가 용기에 부착되고, QR 코드가 부착된 용기가 복수인 경우, 촬영부(100)는, 복수의 QR 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QR 코드의 좌표를 QR 코드와 저장한 후, QR 코드와 매핑된 상표 및 품목에 따른 정보를 정보 출력부(300)를 통하여 좌표에 대응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또는, QR 코드가 용기에 부착되는 경우, 촬영부(100)는 QR 코드를 실시간으로 스캔하여 촬영장면이 출력되는 화면에 용기의 상표 및 품목에 따른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증강현실(Augment Reality)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QR 코드가 스캔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된 후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스캔되는 경우, QR 코드에 매핑되어 저장된 사용 유효 기간 정보를 정보 출력부(30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내에 존재하는 플라스틱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기간을 두고 사용하는 물품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잊어버리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대부분의 마크는 바닥에 표시되어 있어 촬영하거나 스캔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QR 코드를 생성하여 스티커처럼 용기에 부착하도록 하고, 해당 부착된 QR 코드만을 스캔하는 것만으로도 어떤 것을 버려야 하고, 어떤 용기를 주의해야 하며, 어떤 용기는 괜찮은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 마크 식별 장치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기 마크 식별 장치가 용기 마크를 식별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용기 마크 식별 장치가 용기 마크를 감지 및 식별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 감지 패널(400)을 통하여 감지 패널(400)에 용기를 위치시키는 경우, 용기의 하부면에 재질 분류 기호가 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메쉬형 접촉 센서를 통하여 돌출되거나 음영으로 표시된 분류 기호를 좌표를 통하여 추출하도록 한다. 또는, 촬영부(100)를 통하여 촬영을 하여 분류 기호를 식별할 수도 있으며, 용기 마크 식별 장치(1)는, 식별된 분류 기호에 따른 정보를 출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에 4 개의 플라스틱 용기가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식별된 분류 기호에 대응하는 QR 코드가 부착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때, 냉장고 전체를 촬영부(100)에서 촬영하는 경우, 촬영한 QR 코드의 좌표에, 촬영된 QR 코드와 대응하는 정보를 증강현실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맨 윗칸에 위치한 용기는 재사용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데 8일간이나 재사용하고 있다는 정보, 둘째칸에 위치한 용기는 1일이 경과하였고, 전자렌지를 이용가능하니, 해동해도 된다는 정보 등과 같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감지 패널(400)은, 돌출형으로 용기 마크가 형성된 경우, 오목 또는 볼록한 부분을 구분하여 좌표값을 저장하고, 볼록 또는 오목한 부분을 기준으로 라인을 형성하여(에지점(Edge Point) 알고리즘) 그 형상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벅스 컵인 경우, 스타벅스의 컵이 밀봉되도록 되는 컵이 아닌데, 하부면의 마크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내용물을 모두 쏟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기 마크 식별 장치(1)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정 뿐만 아니라 재활용 분류 현장 또는 가게에서도 손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용기 마크 식별 장치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용기 마크 식별 장치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용기 마크 식별 장치에 있어서,
    용기의 하부면에 위치한 마크를 촬영 및 스캔하기 위한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스캔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스캔된 마크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된 마크의 유해 또는 무해 여부와, 상기 식별된 마크의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부는, 상기 용기의 상표 및 품목 정보를 스캔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상표 및 품목 정보에 따라 저장된 용도를 추출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상기 용기가 촬영되고, 상기 용기가 상기 용도에 벗어나도록 사용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되는 용도에 따른 위험을 경고하는 것인, 용기 마크 식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마크가 포함된 기준 이미지 템플릿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기준 이미지 템플릿과 스캔된 마크를 비교하여 스캔된 마크를 식별하는 것인, 용기 마크 식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재질 분류 마크이고,
    상기 재질 분류 마크는, 1 내지 7의 숫자로 표기되는 것인, 용기 마크 식별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도에 벗어나는 사용은, 전자렌지 사용, 재사용 및 가열 물체를 위치시키는 사용을 포함하는 것인, 용기 마크 식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를 통하여 상기 용기가 촬영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는 상기 용기가 재촬영되거나 재감지되는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용기의 용도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인, 용기 마크 식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용기가 상부면에 위치됨을 감지하는 감지 패널;
    상기 감지 패널에서 감지 신호가 송출되는 경우, 상기 용기의 하부면에 위치한 분류 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마크 감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마크가 식별되는 경우, 식별된 마크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유해 정보를 출력하는 것인, 용기 마크 식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패널은, 상기 감지 패널의 상부면에 메쉬형(Mesh Type)으로 형성된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센서에 접촉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용기가 위치함을 감지한 후, 상기 마크 감지부 및 출력부를 활성화시키는 신호(Active Signal)를 출력하는 것인, 용기 마크 식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상기 식별부에서 식별된 마크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용기의 상표 및 품목에 따른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QR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용기 마크 식별 장치와 연동된 프린터로 상기 QR 코드가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용기 마크 식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가 상기 용기에 부착되고, 상기 QR 코드가 부착된 용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촬영부는, 상기 복수의 QR 코드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QR 코드의 좌표를 상기 QR 코드와 저장한 후, 상기 QR 코드와 매핑된 상표 및 품목에 따른 정보를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좌표에 대응하도록 출력하는 것인, 용기 마크 식별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가 상기 용기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는 상기 QR 코드를 실시간으로 스캔하여 촬영장면이 출력되는 화면에 상기 용기의 상표 및 품목에 따른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증강현실(Augment Reality)로 출력하는 것인, 용기 마크 식별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가 스캔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된 후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스캔되는 경우, 상기 QR 코드에 매핑되어 저장된 사용 유효 기간 정보를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인, 용기 마크 식별 장치.
KR2020160002396U 2016-05-03 2016-05-03 용기 마크 식별 장치 KR200480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96U KR200480842Y1 (ko) 2016-05-03 2016-05-03 용기 마크 식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96U KR200480842Y1 (ko) 2016-05-03 2016-05-03 용기 마크 식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842Y1 true KR200480842Y1 (ko) 2016-07-22

Family

ID=56613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396U KR200480842Y1 (ko) 2016-05-03 2016-05-03 용기 마크 식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84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1564A (ja) * 1998-10-09 2000-04-28 Fuji Electric Co Ltd 容器回収処理機の容器材質判別方法
KR20140099602A (ko) * 2013-02-04 2014-08-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별마크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1564A (ja) * 1998-10-09 2000-04-28 Fuji Electric Co Ltd 容器回収処理機の容器材質判別方法
KR20140099602A (ko) * 2013-02-04 2014-08-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별마크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7427B2 (en) Position-based visual interpretation of device interfaces
CN106062783B (zh) 用于眼平扫描器和显示器的指针跟踪
KR101763891B1 (ko) 영역 추출 방법, 모델 트레이닝 방법 및 장치
US4958064A (en) Bar code locator for video scanner/reader system
US8994513B2 (en) Adaptive multi-sensor handheld computing device
JP2017518566A (ja) モバイルプラットフォームにおける空中および表面マルチタッチ検出
EP2165289A2 (en) Optical reader system for extracting information in a digital image
Olwal et al. SurfaceFusion: unobtrusive tracking of everyday objects in tangible user interfaces
KR20210098509A (ko) 정보 처리
US10552703B2 (en) Article recognition apparatus, settlement apparatus and article recognition method
JP5799817B2 (ja) 指位置検出装置、指位置検出方法及び指位置検出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047939B2 (ja) 評価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200480842Y1 (ko) 용기 마크 식별 장치
Abd Gani et al. A live-video automatic Number Plate Recognition (ANPR) system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with data labelling on an Android smartphone
US11941860B2 (en) Computational load mitigation for image-based item recognition
CN104205013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Jayashree et al. Voice based application as medicine spotter for visually impaired
Lie et al. Fall-down event detection for elderly based on motion history images and deep learning
KR20220083347A (ko) 영상을 이용한 물건 부피의 측정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elmi et al. A framework of text detection and recognition from natural images for mobile device
KR20140061009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17207B1 (en) Medication inventory system including image based boundary determination for generating a medication tray stocking list and related methods
JP6019888B2 (ja) 評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
US20230139490A1 (en) Automatic training data sample collection
Mendez et al. Facial recognition system for security access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