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636Y1 - 조립식 매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636Y1
KR200480636Y1 KR2020140000450U KR20140000450U KR200480636Y1 KR 200480636 Y1 KR200480636 Y1 KR 200480636Y1 KR 2020140000450 U KR2020140000450 U KR 2020140000450U KR 20140000450 U KR20140000450 U KR 20140000450U KR 200480636 Y1 KR200480636 Y1 KR 200480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block
magnet
corner
ma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928U (ko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주)생활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생활낙원 filed Critical (주)생활낙원
Priority to KR2020140000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636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9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9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6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인접하는 매트 블록들의 측면이 서로 결합 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판형의 매트 블록; 및 상기 매트 블록의 측면에 구비되며 자력으로 서로 다른 매트 블록의 측면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로서, 동일한 형상과 면적을 가지는 서로 다른 매트 블록의 각 측면이 서로 일치되도록 자력에 의해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매트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자석이 형성되어 있는 매트 블록을 사용함에 있어서, 조립은 물론 분리가 간편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매트{ASSEMBLING-TYPE MAT}
본 고안(Disclosure)은 전체적으로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측면에 자석을 구비함으로써,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자력으로 결합 되는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고안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은 주로 운동장, 공원 또는 놀이터 등과같은 실외공간 및 유치원, 체육시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공간에서 체육활동을 한다.
그러나, 공원 운동장, 놀이터 등과 같은 실외공간은 대부분 시멘트 또는 아스팔트와 같이 거친 노면이 대부분이 고, 유치원, 체육시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공간 역시 대부분 콘크리트와 같은 딱딱한 재질의 바닥으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어린이들이 체육활동을 하는 대부분의 공간은 바닥이 딱딱하거나 거칠어서, 어린이는 물론 성인이 체육활동을 하다가 넘어지게 되면, 타박상 또는 찰과상과 같은 부상을 당하기 십상이었다.
한편, 일반주택 또는 빌라등과 같은 복층건물에서 어린이들이 체육활동을 할 경우에는, 층간소음을 유발할 수 있고, 아래층의 거주자에게 소음 공해 피해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어린이를 비롯하여 누구나 체육활동을 할 때에는 부상을 당할 위험을 줄이고, 실내에서는 층간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바닥에 완충효과가 있는 매트를 깔아서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체육활동용 매트는 그 부피가 크고, 분해되거나 접히지 않아서 휴대성이 없고, 사용하거나 보관하는 데에 불편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매트를 접이식으로 제작하여 체육활동을 할 때에는 펼쳐서 바닥에 깔아놓고, 보관시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나아가서는 매트를 블럭형태로 제작하여 조립과 분해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게 제작하는 등, 매트의 사용에 있어서 편의성을 추구하는 각종 제품이 시중에서 널리 판매되고 있다.
종래의 조립식 매트의 일 예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7-0109754호에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매트 블록(110)의 측면에 요철부(120)가 형성되어, 퍼즐과 같이 조립되는 형태의 조립식 매트 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조립식 매트 블록은, 그 가장자리에 인접하는 조립식 매트 블록들이 서로 조립가능하도록 요철결합부가 형성되며, 하부 면에는 바닥면과 접촉시 공기층을 형성하는 요철 면이 형성되고 완충 및 흡음 가능한 합성수지 발포 성형체로 형성되는 제 1 완충 흡음층이 형성되어, 복층건물의 방바닥 또는 거실바닥 상에 배열되어 상층으로부터 하층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조립형 매트에 대하여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0437호에는, 하부 면에 물이 배수되는 터널부가 형성되고, 상면에 보행시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구가 형성되며, 조립돌기와 조립홈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이 마주보는 변에 암, 수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용 고무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조립식 매트 블록과 및 바닥용 고무매트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각 매트의 결합수단을 일일이 맞추어 조립해야 하고, 분리를 할 때에도 조립할 때와 마찬가지로 결합수단을 모두 수동으로 분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조립식 매트를 바닥에 배치하였을 때,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매트 블록은 별도의 모서리마감용 매트 부재를 필요로 하고, 별도의 모서리마감용 매트 부재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에는 가장자리의 형상이 깔끔하게 보이지 않고, 미감 또한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측면에 자석이 형성되어 있는 매트를 간편하게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보관이 편리한 자력으로 결합 되는 조립식 매트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로 인접하는 매트 블록들의 측면이 서로 결합 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매트에 있어서,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판형의 매트 블록; 및 상기 매트 블록의 측면에 구비되며 자력으로 서로 다른 매트 블록의 측면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로서, 동일한 형상과 면적을 가지는 서로 다른 매트 블록의 각 측면이 서로 일치되도록 자력에 의해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매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매트 블록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매트 블록의 외부를 향하여 N극과 S극의 극성을 모두 가지도록 구비되는 자석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 부재는 막대형상의 하나의 자석으로 구비되며, N극과 S극의 경계가 상기 매트 블록의 측면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 부재는 띠 형상의 자석으로 구비되며, 상기 매트 블록의 측면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 부재는, 두 개의 자석으로 구비되고, 상기 매트 블록의 외부를 향하여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매트 블록의 측면 양 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만큼 떨어져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 부재는 상기 매트 블록의 측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매트 블록의 측면에 의해 차폐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트 블록의 복수의 코너 중 적어도 하나의 코너에 구비되며, 상기 하나의 코너를 포함하는 영역이 절단되어 구비되는 회전 블록;으로써, 상기 회전 블록은 상기 하나의 코너의 각을 이등분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상의 선을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매트 블록에 결합 되는 회전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회전 블록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블록의 코너를 경계로 하는 두 개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회전 블록의 코너로부터 동일한 간격만큼 떨어져 각각 위치되는 두 개의 자석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자석 부재는, 상기 매트 블록의 외부를 향하여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 블록은 합성수지 발포폼, 연질의 합성수지 및 엔비알(NBR, Nitrile Budadience Rubber)에서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로 인접하는 매트 블록들의 측면이 서로 결합 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매트에 있어서,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판형의 매트 블록; 및 상기 매트 블록의 측면에 구비되며 서로 다른 매트 블록의 측면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로서, 서로 다른 두 개의 매트 블록이 설정된 형상으로 결합 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벨크로 부재로 구비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석 또는 벨크로 부재와 같은 결합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매트 블록을 사용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측면을 서로 끼워 결합하는 작업이 필요 없게 되므로, 조립은 물론 분리가 간편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매트 블록을 분리하여서, 운반 또는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트 블록의 측면에 자석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관이 깔끔하고 별도의 마감을 위해 가장자리용 매트 블록이 필요하지 않고, 자석의 인력으로 탈부착하기 때문에, 조립을 위한 요철이 필요 없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매트 블록을 깔끔하게 조합하여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 블록에 의해 측면에 형성되는 자석의 극성 조절이 자유로우므로, 다양한 형태의 매트 디자인 연출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매트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의 다른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다양한 변형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9는 도 8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도 8에서 회전 블록의 다양한 형상의 예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의 다른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다양한 변형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조립식 매트는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매트 블록(10)의 측면이 서로 결합 되어 형성되는 매트를 의미한다.
본 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는, 매트 블록(10)과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매트 블록(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으로 구비되며, 합성수지 발포폼으로서, EVA(Ethylene Vinyl Acetate), 폴리에틸렌(PE), 폴리우레탄(PU), 이피디엠(EPDM, Ethylene Propylene Polymer),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의 발포폼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질의 합성수지, 엔비알(NBR, Nitrile Budadience Rubber)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예에서 매트 블록(10)은 사각형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육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합 부재는 매트 블록(10)의 측면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자력으로 서로 다른 매트 블록(10)의 측면을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 부재는 서로 결합 되는 매트 블록(10)의 측면이 서로 동일한 형상과 면적을 가지는 경우, 서로 완벽하게 일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예에 따른 결합 부재는 매트 블록(10)의 길이 방향으로 매트 블록(10)의 외부를 향하여 N극과 S극의 극성을 모두 가지도록 구비되는 자석 부재(12)로 구비된다.
자석 부재(12)는 막대자석, 고무자석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막대자석의 경우 하나의 N극과 하나의 S극이 존재하므로 그 N극과 S극의 경계가 매트 블록(10)의 측면 중앙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자석의 경우, 복수의 N극과 S극이 서로 교번하여 위치되므로, 그 중앙부를 매트 블록(10)의 측면 중앙과 일치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한편, 고무자석의 경우 휘어질 수 있으므로, 도 7과 같이 매트 블록(10a,10b)의 측면이 곡면인 경우에도 고무자석(12a,12b)가 휘어져 적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매트 블록(10)의 형상이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뿐만 아니라, 곡면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자석 부재(12)는 매트 블록(10)의 측면에 도 2와 같이 자석 부재(12)의 크기와 동일하게 수용부(11)를 형성하여 수용시킴으로써, 자석 부재(12)가 외부로 돌출되어 깨지거나 미관상 좋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자석 부재(12)가 매트 블록(10)의 표면에 부착되어 구비되는 경우, 반복적인 탈부착으로 자석 부재(12)가 매트 블록(10)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는데, 자석 부재(12)를 수용부(11)에 수용시킴으로써 그 위험을 덜 수 있게 된다.
한편, 자석 부재(1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부(11)의 깊이를 자석 부재(12)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함으로써, 자석 부재(12) 사이의 결합 과정에서 자석 부재(12) 사이의 충격력 중 일부분을 매트 블록(10)이 흡수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두 자석 부재(12) 사이에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자석 부재(1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과 같이 자석 부재(1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매트 블록(10)의 측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절결되어 형성되는 자석 부재 삽입 슬릿(13)을 형성하고, 그 슬릿을 통하여 매트 블록(10)의 내부에 자석 부재(12)를 삽입시키는 것도 한 예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자석 부재(12)는, 두 개의 자석(12a,12b)으로 구비되고, 매트 블록(10)의 외부를 향하여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매트 블록(10)의 측면 양 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a=b)만큼 떨어져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자석(12a,12b)은 매트 블록(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는데, 그 이탈의 방지를 위해, 삽입되는 쪽의 면적이 더 큰 원뿔대 또는 사각뿔대(truncated pyramid)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다양한 변형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자석 부재(12)의 개수가 2개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로 구비되며, 자석 부재(12)가 구비되는 위치가 매트 블록(10)의 측면에 한정되지 않고 모서리 부분에도 구비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자석 부재(12)가 매트 블록(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조립식 매트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9는 도 8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도 8에서 회전 블록의 다양한 형상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는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이 매트 블록(20), 자석 부재(22a,22b)가 구비되며, 그것에 추가하여 회전 블록(25)이 구비된다.
회전 블록(25)은 매트 블록(20)의 일부가 절단되어 구비되는 것으로서, 매트 블록(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자석 부재(22a,22b)는 회전 블록(25)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과 같이 회전 블록(25)은 매트 블록(20)의 코너 영역이 절단되어 형성되며, 회전 블록(25)은 결합 돌기(25a)에 의해 매트 블록(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또한 회전 블록(25)은 코너 영역을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중심각이 90°인 원호 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8과 같이 (A)사각형, (B)하트모양, (C)삼각형, (D)다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밖에 다른 형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만, 도 8과 같이 회전 블록(25)은 매트 블록(20)에 대한 회전 과정에서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회전 블록(25)은 코너의 각을 이등분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자석 부재(22a,22b)는 회전 블록(25)의 코너를 경계로 하는 두 개의 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자석 부재(22a,22b)는 코너로부터 동일한 간격만큼 떨어져 구비된다.
이에 의해, 회전 블록(25)이 회전되더라도 자석 부재(22a,22b)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아 다른 매트 블록(20)과 측면이 완전히 일치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 블록(25)의 코너를 경계로 하는 두 개의 측면에 구비되는 두 개의 자석 부재(22a,22b)는 서로 극성을 달리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해 두 개의 매트 블록이 어느 방향을 향하더라도 서로 부착시키는데 아무런 제약이 없게 된다.
한편, 도 8의 결합 돌기(25a)와 달리, 도 9를 참조하면,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개의 회전 블록(25)은 서로 연결 부재(37)에 의해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매트 블록(20)에는 대각선 반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공(35)이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 부재(37)는 탄성 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 블록(25)이 매트 블록(10)에 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회전 블록(25)이 의도하지 않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 블록(25)과 매트 블록(20)이 서로 접촉되는 면에 어느 일방에는 돌기를, 다른 일방에는 홈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에 의하면, 매트 블록(20)과 회전 블록(25)의 색상을 달리하거나, 회전 블록(25)의 형상을 이용하여 외관미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조립식 매트는, 결합 부재는 앞서 설명한 자석을 대신하여 벨크로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벨크로 부재가 구비되는 위치는 앞서 설명한 예들에서 자석이 구비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서로 인접하는 매트 블록들의 측면이 서로 결합 되어 조립되는 조립식 매트에 있어서,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판형의 매트 블록;
    상기 매트 블록의 복수의 코너 중 적어도 하나의 코너에 구비되며, 상기 하나의 코너를 포함하는 영역이 절단되어 구비되는 회전 블록; 및
    상기 회전 블록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블록은 상기 하나의 코너의 각을 이등분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상의 선을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매트 블록에 결합 되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회전 블록의 코너를 경계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며 상기 회전 블록의 코너로부터 동일한 간격만큼 떨어져 각각 위치되는 두 개의 자석 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자석 부재는, 상기 매트 블록의 외부를 향하여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트 블록은 합성수지 발포폼, 연질의 합성수지 및 엔비알(NBR, Nitrile Budadience Rubber)에서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10. 삭제
KR2020140000450U 2014-01-21 2014-01-21 조립식 매트 KR200480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450U KR200480636Y1 (ko) 2014-01-21 2014-01-21 조립식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450U KR200480636Y1 (ko) 2014-01-21 2014-01-21 조립식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928U KR20150002928U (ko) 2015-07-29
KR200480636Y1 true KR200480636Y1 (ko) 2016-06-17

Family

ID=5387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450U KR200480636Y1 (ko) 2014-01-21 2014-01-21 조립식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6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289B1 (ko) 2017-12-11 2019-03-22 주식회사 마더 야자매트 블록, 및 야자매트 블록의 시공방법
CN110344299A (zh) * 2019-05-20 2019-10-18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装配式临时路面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909B1 (ko) * 2018-05-15 2020-07-23 최흥만 자석모듈을 이용한 완충매트
KR102203240B1 (ko) * 2019-05-31 2021-01-14 주식회사 우성에이치티 조립식 퍼즐 매트
KR102270696B1 (ko) * 2019-05-31 2021-06-29 주식회사 우성에이치티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061A (ko) * 1998-07-20 1998-10-26 정광설 방음 매트
KR200469749Y1 (ko) * 2011-07-19 2013-11-05 신동현 자석 매트블럭
KR20130003546U (ko) * 2011-12-06 2013-06-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289B1 (ko) 2017-12-11 2019-03-22 주식회사 마더 야자매트 블록, 및 야자매트 블록의 시공방법
CN110344299A (zh) * 2019-05-20 2019-10-18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装配式临时路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928U (ko)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636Y1 (ko) 조립식 매트
KR200469749Y1 (ko) 자석 매트블럭
US9238180B2 (en) Modular construction panel
US9163393B2 (en) Panel construction device
EP1114662B1 (en) Interconnecting inflatable play structure
US10926187B2 (en) Modular construction panels and fasteners therefor
KR100963272B1 (ko) 조립식 소형집
WO2003062557A1 (en) Modular plastic flooring
US20190192983A1 (en) Toy vehicle track system
ES2552333T3 (es) Paneles constructivos
US20180080231A1 (en) Floor panels
ES2640389T3 (es) Bloque de construcción multiuso
WO2018151812A9 (en) Portable gym structure
KR200497905Y1 (ko) 조립식 타일
US6146232A (en) Toy logs having novel shape
TW201544152A (zh) 連接積木
KR101575095B1 (ko) 조립식 완구
ES2641142T3 (es) Sistema de alfombra para deportes
KR20210100863A (ko) 조립용 개별 매트
KR101474833B1 (ko) 놀이기구 체결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놀이기구
GB2502546A (en) A modular construction set
KR20130133355A (ko) 유아용 이브이에이 블록 완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406670Y1 (ko) 이중결합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고무 바닥재유닛
KR101740504B1 (ko) 조립식 블록완구
JP3177558U (ja) ユニット式人工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