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578Y1 -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 - Google Patents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578Y1
KR200480578Y1 KR2020150003359U KR20150003359U KR200480578Y1 KR 200480578 Y1 KR200480578 Y1 KR 200480578Y1 KR 2020150003359 U KR2020150003359 U KR 2020150003359U KR 20150003359 U KR20150003359 U KR 20150003359U KR 200480578 Y1 KR200480578 Y1 KR 200480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cross bar
chuck
lev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근
Original Assignee
최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근 filed Critical 최윤근
Priority to KR2020150003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5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5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에 대한 것으로, 각파이프 형태로 외부에 일정 길이를 표시하는 적색과 흰색의 지시선이 도색된 다수의 수준척, 양측판, 상하판과 후판으로 이루어지고 전면부가 개방되어 삽입구가 형성된 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는 본체에, 후판의 내측 가장자리에 "ㅁ"자 형태로 보강편이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상기 수준척이 삽입되도록 상기 수준척의 내경에 대응되는 삽입돌부가 형성된 다수의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가로대 삽입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가로대 및 상기 수준척과 가로대를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못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준척과 연결부재가 2열로 세워지고, 가로대가 양측 연결부재에 삽입되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며, 수준척과 가로대를 다수의 나사못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체결하여 구성된 것으로, 조립이 간단하고, 반복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A batter board kit measuring level of fill-up ground for road}
본 고안은 조립식 규준틀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신설도로공사에서 도로 등의 폭과 성토층의 높이 등을 정확히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식으로 설치가 간단하고, 폭과 크기 변경이 용이하며, 반복사용이 가능한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로 등의 토공작업시 성토법면의 토양높이를 지정하거나 토질을 지시 점검하는데 사용되는 규준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등을 신설할 때에는 도로구조에 대한 기본설계에 따라 성토작업을 실시하는데, 성토작업은 먼저 노상, 선택층, 보조기층, 기층, 표층 등의 각 단계별 층에 따라 수평면 위치를 측량하여 설계계획을 실행할 규준틀을 만들어 설치한 후, 설치된 규준틀의 높이 표시에 따라 각 층의 재료를 채워주는 성토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도로 등의 측량과 성토를 위한 장비인 규준틀은 재질이 목재로 이루어져, 내구성이 약해 재활용이 어려우므로, 현장마다 수십 개 이상을 제작하여 설치하고, 공사가 끝난 후 통상 해체하여 쓰레기로 버리고, 다음 공사에서 새로운 도로 등의 규준틀을 다시 제작하여 사용하므로 규준틀을 제작을 위해 많은 인력과 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61603호에서는 다수의 사각고정대(1), 지지대(5), 지침판(600)(10), 바닥고정판(14), 고정편(7), 철선(19), 고정용 대못(20) 등으로 구성된 성토 성토법면 시공용 조립식 규준틀에 대한 기술을 제시하였으나, 사각고정대 등의 수많은 부품을 사용하여 제작과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도로 등의 상황에 따라 규준틀의 높이를 키워야 하고 높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규준틀의 폭을 넓혀야 하는데 지지대(5)의 폭을 조절하기 어려우며, 기본구조에 관절이 많아 튼튼하지 못해 철선(19)과 고정용 대못(20)을 이용해 규준틀을 지면에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강한 비바람이 지나간 후에는 추가적인 유지보수나 재시공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94650호에서는 1개의 주지지 본체(2)와 2개의 보조지지 본체(4, 5)로 구성하고, 쪼임 볼트(3)로 지지본체의 길이를 조절하며, 세 번째 지지본체(5)에 합판으로 된 표식장치(6)와 세부 쪼임볼트(7), 갈고리(8)를 설치하여 미세한 높이를 조절하며, 주지지 본체(2) 하단은 기초 콘크리트(1)에 매입하여 토공 규준틀의 전체 본체가 공사차량 등으로 진동 등에 의해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 다단계 토공 규준틀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 20-0294650호의 규준틀은 하나의 지주로 구성되고, 주지지본체와 보조지지본체들을 쪼임볼트로 고정하는 구조로 간편하기는 하지만, 야외에 설치된 넓은 표식장치(6)가 풍압을 받고 흔들림이 지속되면 쪼임볼트가 쉽게 느슨해져 규준 위치와 방향이 변동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기초(1)에 지지본체가 결합된 구조여서 수송과 이동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구성요소의 숫자를 줄여 조립설치가 간단하고, 제작단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해체 후 재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설치위치에 따라 규준틀의 폭과 높이 조절이 쉬우며, 포장이 용이하도록 하여 수송과 이동이 자유롭고, 돌출부를 최소화해 바람에 강하고 미려한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은 각파이프 형태로 외부에 일정 길이를 표시하는 적색과 흰색의 지시선이 도색된 다수의 수준척(100);
양측판(240), 상하판(260)과 후판(230)으로 이루어지고 전면부가 개방되어 가로대 삽입구(290)가 형성된 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는 본체(210)에, 후판(230)의 내측 가장자리에 "ㅁ"자 형태로 보강편(270)이 형성되고, 본체(210)의 상하부에는 상기 수준척(100)이 삽입되도록 상기 수준척(1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삽입돌부(220)가 형성된 다수의 연결부재(200);
상기 연결부재(200)의 가로대 삽입구(29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가로대(300); 및 상기 수준척(100)과 가로대(300)를 상기 연결부재(200)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못(4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준척(100)과 연결부재(200)가 2열로 세워지고 가로대(300)가 양측 연결부재(200)에 삽입되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며, 수준척(100)과 가로대(300)가 다수의 나사못(400)으로 연결부재(20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구성요소의 숫자를 줄여 조립설치가 간단하고, 제작단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해체 후 재설치가 용이하여 경제적이며, 설치환경에 따라 넓은 폭의 규준틀이 필요한 경우 가로대(300)의 길이만 길게 하면 되므로 규준틀의 폭 조절이 쉽고, 규준틀의 폭이 넓으면 안정된 기반위에 규준틀의 높이를 더 키울 수 있으며, 본고안의 구성요소들은 돌출부위가 없이 모두 각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어 포장이 용이해 수송과 이동이 편리하고, 수준척(100)과 연결부재(200)가 단차없이 결합돼 돌출부가 최소화되어 전체적으로 바람에 강하고 미려한 형태로 구성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규준틀의 실 사용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규준틀의 결합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규준틀의 분해도
도 4는 본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분해도
이하 본 고안의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술하도록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공지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에 지침판(600)과 고정줄(700)이 결합된 실 사용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의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고안에 따른 연결부재(200)의 분해도이다.
본고안의 수준척(100), 가로대(300) 및 연결부재(200)는 재사용을 위해 녹이 슬지 않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제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각파이프 형태로 외부에 일정 길이를 표시하는 적색과 흰색의 지시선이 도색된 다수의 수준척(100), 양쪽 측판(240), 상하판(250, 260)과 후판(230)으로 이루어지고 전면부가 개방되어 가로대 삽입구(290)가 형성된 육면체의 형상을 이루고, 후판(230)의 내측 가장자리에 "ㅁ"자 형태로 보강편(270)이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상기 수준척(100)이 삽입되도록 수준척(1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삽입돌부(220)가 형성된 다수의 연결부재(200), 상기 연결부재(200)의 가로대 삽입구(29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가로대(300) 및 상기 수준척(100)과 가로대(300)를 상기 연결부재(200)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못(400)으로 구성된다.
수준척(100)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각파이프로, 높이(level)를 표시하기 위해 보통 20cm 간격으로 빨간색과 흰색이 교대로 도색된다. 수준척(100)에 도색된 빨간색과 흰색 부분에 숫자나 문자가 들어있는 스티커를 붙여 지정된 높이를 표시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침판(600)을 나사못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규준틀에 지침판(600)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의 영향으로 규준틀이 기울거나 위치가 변동될 수 있으므로 규준틀에 고정줄(700)을 연결하여 지면에 고정말뚝(800)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연결부재(200)의 본체(210)는 양쪽 측판(240), 상판(250), 하판(260)과 후판(230)으로 이루어지고 전면부가 개방되어 후술하는 가로대(300)를 삽입하기 위한 가로대 삽입구(290)가 형성된 육면체의 형상을 이루고, 후판(23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가로대(300)를 삽입하여 나사못(400)으로 고정할 때 나사못의 찌르는 힘에 의해 가로대(300)의 단부가 구부러져 나사못(400)과 결합이 부실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가로대(300)의 내부에 삽입되는 "ㅁ"자 형태로 보강편(270)이 형성된다. 가로대(300)가 삽입된 이후에 본체의 외부에서 나사못(400)을 박더라도 보강편(270)이 내부에서 지지하여 가로대(300)의 단부가 구불어지는 것을 막게 된다. 본체(210)의 상하부에는 상기 수준척(100)이 삽입되도록 상기 수준척(1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삽입돌부(220)가 형성된다. 수준척(100)은 본체(210)와 같은 두께로 제작되어 결합시 수준척(100)의 표면이 본체(210)와 같은 평면을 이루는 것이 미관상으로도 좋을 뿐만 아니라 비가 내릴 때 빗물이 규준틀의 내부에 스며들지 않게 된다.
연결부재(200)의 가로대 삽입구(29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가로대(300)는 각파이프로 양측 수준척(100)과 연결부재(200)를 지지하기 위해 결합되며, 그 굵기는 가로대(300) 삽입구(290)에 삽입될 크기이고, 연결부재(200)의 내부에 형성된 보강편(270)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야 한다. 가로대(300)는, 높은 규준틀을 세울 때에는 안정된 지지를 위해 가로대로 사용할 각파이프의 길이를 길게 잘라 사용할 수 있다.
가로대(300)가 연결부재(200)에 결합되고, 수준척(100)이 삽입돌부(220)에 삽입된 후, 나사못(400)을 본체(210)의 측판(240)과 수준척(100)의 단부를 통해 박아 넣어 고정하도록 한다.
수준척(100)과 연결부재(200)가 2열로 세워지고, 연결부재(200) 사이에 가로대(300)가 양측 연결부재(200)에 삽입되면 전체적으로 사다리의 형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규준틀의 맨 하부에 결합된 연결부재(200)의 하부 결합돌부에 체결되는 수준척(100)은 하부를 경사지게 커팅하여 땅속에 찔러 넣기 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10)의 후판(230) 중앙부에는 결합홀(28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가 큰 규준틀이나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에 설치된 규준틀은 바람의 영향으로 규준틀이 바람에 흔들려 지침판(6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막기 위해 규준틀에 고정줄(700)을 매달아 지면에 박아 고정말뚝(800)에 고정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줄(700)을 최상층에 설치된 연결부재(200)의 결합홀(280)에 삽입하여 가로대(300)를 관통시키면, 고정줄(700)을 연결해 지면에 박아둔 말뚝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규준틀을 여러 차례 사용한 경우에는 가로대(300)와 수준척(100)을 고정하기 위해 연결부재(200)에 박은 나사못(400)이 헐거워 질 수 있고, 여러 차례 나사못(400)을 박아 연결부재(200)의 측판(240)과 삽입돌부(220)에 구멍이 많아져 결합이 약해질 수 있는데,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길다란 볼트(910)와 너트(950)를 연결부재(200)의 결합홀(280)과 가로대(300)를 관통하여 체결하면 규준틀이 낡았더라도 수명을 더욱 연장하여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은 구성요소의 숫자가 줄어 조립설치가 간단하고, 제작단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해체 후 재설치가 용이하며, 설치환경에 따라 넓고 키가 큰 규준틀이 필요한 경우 가로대(300)의 길이만 길게 하면 되므로 규준틀의 폭과 크기 변경이 용이하며,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은 돌출부위가 없는 각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어 포장이 용이하여 수송과 이동이 편리하고, 수준척(100)과 연결부재(200)가 단차없이 결합되어 돌출부가 최소화되어 전체적으로 바람에도 강하며 미려한 형태로 구성되었으며, 오랫동안 재사용할 수 있어 부재 사용비를 크게 절감하고, 아울러 폐기물에 따른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100 : 수준척 200 : 연결부재
210 : 본체 220 : 삽입돌부
230 : 후판 240 : 측판
250 : 상판 260 : 하판
270 : 보강편 280 : 결합홀
290 : 가로대 삽입구 300 : 가로대
400 : 나사못 500 : 절단부
600 : 지침판 700 : 고정줄
800 : 고정말뚝 910 : 볼트
950 : 너트

Claims (3)

  1. 각파이프 형태로 외부에 일정 길이를 표시하는 적색과 흰색의 지시선이 도색된 다수의 수준척(100);
    양 측판(240), 상하판(250, 260)과 후판(230)으로 이루어지고 전면부가 개방되어 가로대 삽입구(290)가 형성된 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는 본체(210)에, 후판(230)의 내측 가장자리에 "ㅁ"자 형태로 보강편(270)이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상기 수준척(100)이 삽입되도록 상기 수준척(1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삽입돌부(220)가 형성된 다수의 연결부재(200);
    상기 연결부재(200)의 가로대 삽입구(29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가로대(300); 및 상기 수준척(100)과 가로대(300)를 상기 연결부재(200)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못(4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준척(100)과 연결부재(200)가 2열로 세워지고, 양측 연결부재(200) 사이에 가로대(300)가 삽입되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며, 수준척(100)과 가로대(300)를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나사못(400)이 상기 연결부재(200)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가로대(300)가 본체에 삽입된 이후 외부에서 나사못(400)을 박더라도 상기 보강편(270)이 내부에서 지지하여 가로대(300)의 단부가 구불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
  2. 제1항에 있어서,
    맨 하부에 결합된 상기 연결부재(200)의 하부에서 체결되는 수준척(100)은 땅속에 찔러 넣기 쉽도록 하부가 경사지게 잘려진 절단부(5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
  3.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판(230)에는 관통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에 결합된 가로대(300)를 관통하여 양측의 연결부재(200)를 고정하는 볼트(910)와 너트(9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
KR2020150003359U 2015-05-27 2015-05-27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 KR2004805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359U KR200480578Y1 (ko) 2015-05-27 2015-05-27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359U KR200480578Y1 (ko) 2015-05-27 2015-05-27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578Y1 true KR200480578Y1 (ko) 2016-06-09

Family

ID=5613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359U KR200480578Y1 (ko) 2015-05-27 2015-05-27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57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220Y1 (ko) 1999-04-19 2001-09-25 최원규 구조물용 기둥의 설치구조.
KR200278392Y1 (ko) 2002-02-26 2002-06-20 (주)신성엔지니어링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폴을 슬라이드식으로 한 폴결합체를 이용한 규준틀
KR200300124Y1 (ko) 2002-09-11 2003-01-14 안계홍 신설 도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성토부 규준틀
KR200300122Y1 (ko) 2002-09-11 2003-01-14 안계홍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도로 측량 성토부 삼각규준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220Y1 (ko) 1999-04-19 2001-09-25 최원규 구조물용 기둥의 설치구조.
KR200278392Y1 (ko) 2002-02-26 2002-06-20 (주)신성엔지니어링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폴을 슬라이드식으로 한 폴결합체를 이용한 규준틀
KR200300124Y1 (ko) 2002-09-11 2003-01-14 안계홍 신설 도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성토부 규준틀
KR200300122Y1 (ko) 2002-09-11 2003-01-14 안계홍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도로 측량 성토부 삼각규준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57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rench drain
US20110296770A1 (en) Structural column with footing stilit
KR100997128B1 (ko) 버팀부재 지지용 스크류잭
US8528296B1 (en) Method of installing a foundation system for modular system—smart buildings
US20160145893A1 (en) Fence and gate post and method for installing a fence or gate
NZ620475A (en) High-protein beverages comprising whey protein
US6526722B1 (en) Wood fence post repair device
US20070266659A1 (en) Perimeter foundation panel, and method of use
CN103097611A (zh) 用于防噪音屏障的其中底座和升降支柱被实现为单个件的支撑结构及其组装方法的改进
KR101707170B1 (ko) 지주 연결 구조물
JP2011074566A (ja) 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建物の耐震補強方法
KR200443819Y1 (ko) 시설물 지주의 설치구조
JP2010043421A (ja) 防雪柵基礎骨格用部材、ならびにそれによる防雪柵基礎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494594Y1 (ko) 지주 설치용 구조물
US11571834B2 (en) Configurable steel form system for fabricating precast panels
US20140075878A1 (en) Frame support
KR200480578Y1 (ko) 성토법면 위치표시용 조립식 규준틀
KR101336732B1 (ko) 지주 보강형 기초와 밴드형 클램프를 이용한 가설 울타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619585B1 (ko) 경계용 표주(標柱)
KR101095957B1 (ko) 문형 도로표지판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US47561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building structures
KR101378097B1 (ko) 복공판
KR101545330B1 (ko) 조립식 가설 흙막이 구조물
GB2564462A (en) Hoarding support and hoarding system
US8490287B2 (en) Fence end spacer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