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493Y1 -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493Y1
KR200480493Y1 KR2020150006040U KR20150006040U KR200480493Y1 KR 200480493 Y1 KR200480493 Y1 KR 200480493Y1 KR 2020150006040 U KR2020150006040 U KR 2020150006040U KR 20150006040 U KR20150006040 U KR 20150006040U KR 200480493 Y1 KR200480493 Y1 KR 200480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opening
greenhouse
closing
closing window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유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원 filed Critical 유재원
Priority to KR2020150006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4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4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하우스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개폐창; 및 상기 상부 개폐창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개폐창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vinyl house}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쾌적한 비닐하우스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병충해 없이 작물이 잘 자라도록 유도하여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벼농사를 제외하고 많은 작물들이 비닐하우스 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닐하우스 내에서 작물의 재배가 진행될 경우, 제철에 관계없이 모든 작물을 1년 내내 먹을 수 있다. 예컨대, 겨울철 작물인 딸기를 여름에 먹을 수 있고, 여름철 작물인 수박 등을 겨울에도 먹을 수 있다.
이처럼 비닐하우스는 계절과 관계없이 작물이 잘 자라도록 유도하는 순기능을 담당하고 있지만 그 외부와 내부가 비닐로 단절되어 있는 이유로 인해 여름철에는 작물의 재배에 어려움이 많이 발생된다.
예컨대, 비닐하우스 내의 최상부 영역의 온도는 여름철 80℃를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고온의 온도 때문에 비닐하우스의 적절한 환기가 진행되지 않는다면 작물의 생장에 지장을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스 내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저하시킨다.
실제, 여름철 특히, 비닐하우스에서 장기간 작업하는 농민들은 하우스병을 호소하기도 한다.
특히, 여름 장마철의 경우, 한 두 시간은 관계없으나 몇 시간이나 며칠씩 비가 내리 때는 비닐하우스의 내부가 과습되어 곰팡이병 등의 각종 병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닐하우스에 대한 적절한 환기작용은 상당히 중요하다.
한편, 현재까지 농가에 적용되고 있는 비닐하우스의 대다수는 권취형 개폐식으로서, 측부에 설치된 창(window)을 개폐하거나 천장을 개폐하는 것이 전부인데, 이러한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갖는 비닐하우스의 경우에는 구조상 환기효율이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13877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7991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12883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26716호
본 고안의 목적은, 쾌적한 비닐하우스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병충해 없이 작물이 잘 자라도록 유도하여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비닐하우스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개폐창; 및 상기 상부 개폐창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개폐창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비닐하우스 내에 마련되어 상기 비닐하우스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하우스 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습도 감지부;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시간을 카운팅하여 그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타이머; 및 상기 상부 개폐창의 닫힘 위치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개폐창은, 외곽 프레임; 상기 외곽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외곽 프레임을 차폐시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윈도우 시트; 상기 외곽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외곽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체; 및 상기 프레임 지지체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지지체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회전 샤프트에 축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기어 맞물림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랙 기어를 승하강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랙 기어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연결시키는 연결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쾌적한 비닐하우스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병충해 없이 작물이 잘 자라도록 유도하여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 환기가 가능하여 환기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물의 생장에 많은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가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상부 개폐창이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상부 개폐창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1 및 도 2에 대응되는 상부 개폐창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에서 구동유닛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가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상부 개폐창이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은 상부 개폐창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가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에서 상부 개폐창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가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가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가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상부 개폐창이 개방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상부 개폐창의 확대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1 및 도 2에 대응되는 상부 개폐창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 그리고 도 6은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는 도 1 및 도 2와 같은 비닐하우스(110)에 적용되어 쾌적한 비닐하우스(110)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병충해 없이 작물이 잘 자라도록 유도하여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비닐하우스(11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개폐창(120)과, 상부 개폐창(120)에 연결되어 상부 개폐창(120)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의 설명에 앞서 비닐하우스(110)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본다.
비닐하우스(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이 비닐지로 마련되는 하우스 외피(111)와, 곳곳에 마련되어 하우스 외피(111)를 지지하는 다수의 외피 지지봉(112)을 포함한다.
비닐하우스(110)의 일측에는 출입을 위한 도어(113)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113)는 다수 개 일 수 있다.
한편, 상부 개폐창(120)은 비닐하우스(11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1처럼 닫힐 수도 있고, 도 2처럼 열릴 수도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비닐하우스(110) 내의 최상부 영역의 온도는 여름철 80℃를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영역의 환기를 위해 상부 개폐창(120)은 비닐하우스(110)의 상부에 마련되어 해당 영역을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부 개폐창(120)은 외곽 프레임(121)과, 외곽 프레임(121)에 결합되어 외곽 프레임(121)을 차폐시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윈도우 시트(122)와, 외곽 프레임(121)의 일측에 연결되며, 외곽 프레임(121)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체(123)와, 프레임 지지체(123)에 결합되고 프레임 지지체(123)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 샤프트(12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지지체(123)는 상부 개폐창(120)이 회전될 때,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윈도우 시트(122)는 하우스 외피(111)와 마찬가지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이 비닐지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윈도우 시트(122)는 하우스 외피(111)와 달리 플라스틱으로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상부 개폐창(120)은 전술한 것처럼 비닐하우스(11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상부 개폐창(120)을 열거나 닫기가 어렵다.
설사, 수작업으로 상부 개폐창(120)을 열 수 있다 하더라도 후술하는 것처럼 온도값, 습도값, 세팅 시간 등에 의해 자동으로 상부 개폐창(120)이 개폐되는 것이 효율상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유닛(130)이 마련된다.
구동유닛(130)은 상부 개폐창(120)에 연결되어 상부 개폐창(120)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구동유닛(130)은 컨트롤러(160)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유닛(130)은 회전 샤프트(124)에 축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131)와, 피니언 기어(131)와 기어 맞물림되는 랙 기어(132)와, 랙 기어(132)와 연결되어 랙 기어(132)를 승하강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133)와, 랙 기어(132)와 액추에이터(133)를 연결시키는 연결블록(1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도 5처럼 액추에이터(133)가 동작되어 랙 기어(132)를 하방으로 당기면 랙 기어(132)에 기어 맞물림된 피니언 기어(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상부 개폐창(120)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상부 개폐창(120)은 적어도 1m 이상 개방되는 것이 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반대로, 도 4처럼 액추에이터(133)가 동작되어 랙 기어(132)를 상방으로 밀면 랙 기어(132)에 기어 맞물림된 피니언 기어(131)가 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상부 개폐창(120)을 차폐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온도 감지부(141)는 비닐하우스(110) 내에 마련되어 비닐하우스(110) 내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때, 감지된 온도값은 컨트롤러(160)로 전송되며, 컨트롤러(160)는 이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유닛(130)을 컨트롤하다.
물론,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비닐하우스(110) 내의 온도값 외에도 비닐하우스(110) 내의 습도값, 그리고 세팅시간 등에 컨트롤러(160)가 구동유닛(130)을 컨트롤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습도 감지부(142), 타이머(143) 및 리미트 스위치(150)가 더 갖춰질 수 있다.
습도 감지부(142)는 비닐하우스(110) 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정보를 컨트롤러(16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타이머(143)는 구동유닛(130)의 동작시간을 카운팅하여 그 정보를 컨트롤러(16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리미트 스위치(150)는 상부 개폐창(120)의 닫힘 위치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컨트롤러(16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리미트 스위치(150)가 적용될 경우, 구동유닛(130)의 동작에 의한 상부 개폐창(120)의 닫힘 위치가 늘 일정해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컨트롤러(160)는 전술한 온도 감지부(141), 습도 감지부(142), 타이머(143) 또는 리미트 스위치(150)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유닛(13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컨트롤러(160)는 중앙처리장치(161, CPU), 메모리(162, MEMORY),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61)는 본 실시예에서 온도 감지부(141), 습도 감지부(142), 타이머(143) 또는 리미트 스위치(150)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유닛(13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6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61)와 연결된다. 메모리(16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6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6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60)는 온도 감지부(141), 습도 감지부(142), 타이머(143) 또는 리미트 스위치(150)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유닛(13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60)가 온도 감지부(141), 습도 감지부(142), 타이머(143) 또는 리미트 스위치(150)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유닛(13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쾌적한 비닐하우스(110)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병충해 없이 작물이 잘 자라도록 유도하여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환기가 가능하여 환기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물의 생장에 많은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설치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저렴하며, 누구나 작동시킬 수 있다. 구조적으로 단순하면서 콤팩트하기 때문에 구입비용이 저렴하고, 고장 시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기어 구조이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기존의 권취형 개폐방식은 개폐축이 사시사철 물에 잠겨 있어서 쉽게 녹이 슬며, 겨울에 동파되면 3년밖에는 사용하지 못한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는 비와 눈이 내리더라도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에서 구동유닛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 역시, 상부 개폐창(120)과, 상부 개폐창(120)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유닛(230)은 구동모터(231)와, 구동모터(231)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구동풀리(232)와, 상부 개폐창(120)의 회전 샤프트(124)에 연결되는 피동풀리(233)와, 구동풀리(232) 및 피동풀리(233)를 연결하는 벨트(234)를 포함한다.
이에, 도시 않은 컨트롤러의 컨트롤에 의해 구동모터(231)가 동작되면, 이의 회전력이 구동풀리(232), 벨트(234) 및 피동풀리(233)로 전달되어 회전 샤프트(124)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 개폐창(120)이 점선에서 실선처럼 개폐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쾌적한 비닐하우스(110, 도 1 참조)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병충해 없이 작물이 잘 자라도록 유도하여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가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9는 도 8에서 상부 개폐창이 개방된 상태의 도면, 그리고 도 10은 상부 개폐창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 역시, 상부 개폐창(320)과, 상부 개폐창(320)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부 개폐창(320)의 선단부에는 도 8처럼 상부 개폐창(320)이 비닐하우스(110)의 제자리에 잘 차폐되도록 하는 한편 도 9처럼 개방될 때는 비나 눈, 혹은 우박 등이 비닐하우스(11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자리배치 겸용 차양막(325)이 더 마련된다.
이러한 자리배치 겸용 차양막(325)은 상부 개폐창(320)의 선단부에서 전방으로 더 길게 마련됨으로써, 도 9처럼 상부 개폐창(320)이 개방될 때, 개방된 상부 개구를 통해 비나 눈, 혹은 우박 등이 임의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쾌적한 비닐하우스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병충해 없이 작물이 잘 자라도록 유도하여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가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 역시, 대칭형 상부 개폐창(420)과, 대칭형 상부 개폐창(420)을 구동시키는 공용 구동유닛(4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공용 구동유닛(430) 하나를 통해 대칭형 상부 개폐창(420)을 동시에 개폐시키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럴 경우, 환기의 효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쾌적한 비닐하우스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병충해 없이 작물이 잘 자라도록 유도하여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에서 상부 개폐창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에 적용되는 상부 개폐창(520)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약간 상이하다.
상부 개폐창(520)은 외곽 프레임(521)과, 외곽 프레임(521)에 결합되어 외곽 프레임(521)을 차폐시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다수의 윈도우 시트(522)와, 외곽 프레임(521)의 일측에 연결되며, 외곽 프레임(521)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체(523)와, 프레임 지지체(523)에 결합되고 프레임 지지체(523)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 샤프트(5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외곽 프레임(521) 상에 다수의 윈도우 시트(522)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럴 경우, 좀 더 견고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쾌적한 비닐하우스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병충해 없이 작물이 잘 자라도록 유도하여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가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가 비닐하우스(110a~110c)들마다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를 이루는 상부 개폐창(620)들은 공용 구동유닛(630)과, 운동전달유닛(660)에 의해 함께 개폐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운동전달유닛(660)은 베벨 기어 등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있는데, 이처럼 다수의 상부 개폐창(620)들이 함께 개폐될 경우, 구조가 간편하면서도 제어가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쾌적한 비닐하우스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병충해 없이 작물이 잘 자라도록 유도하여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가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 역시, 상부 개폐창(720)과, 상부 개폐창(720)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7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부 개폐창(720)의 개폐 동작을 견인하는 구동유닛(730)으로서, 비닐하우스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지지대(731)에 마련되는 랙 기어(732)와, 랙 기어(732)에 기어 맞물림되면서 랙 기어(732)를 따라 왕복 이동되는 피니언 기어(733)와, 피니언 기어(733) 및 상부 개폐창(720)을 연결하는 슬라이딩 파이프(734)를 포함한다. 피니언 기어(733)는 도시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랙 기어(732)를 따라 왕복 이동된다.
이에, 도 14처럼 피니언 기어(733)가 이동되면 상부 개폐창(720)이 힌지(721)를 축으로 하여 열리고, 피니언 기어(733)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부 개폐창(720)이 닫힐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조는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예컨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비닐하우스의 상부 여러 군데에서 일률적으로 개폐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쾌적한 비닐하우스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병충해 없이 작물이 잘 자라도록 유도하여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비닐하우스 120 : 상부 개폐창
121 : 외곽 프레임 122 : 윈도우 시트
123 : 프레임 지지체 124 : 회전 샤프트
130 : 구동유닛 131 : 피니언 기어
132 : 랙 기어 133 : 액추에이터
134 : 연결블록 141 : 온도 감지부
142 : 습도 감지부 143 : 타이머
150 : 리미트 스위치 160 : 컨트롤러

Claims (5)

  1. 비닐하우스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개폐창; 및
    상기 상부 개폐창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개폐창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개폐창은,
    외곽 프레임;
    상기 외곽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외곽 프레임을 차폐시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윈도우 시트;
    상기 외곽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외곽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체; 및
    상기 프레임 지지체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지지체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회전 샤프트에 축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기어 맞물림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랙 기어를 승하강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랙 기어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연결시키는 연결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 내에 마련되어 상기 비닐하우스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 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습도 감지부;
    상기 구동유닛의 동작시간을 카운팅하여 그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타이머; 및
    상기 상부 개폐창의 닫힘 위치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
  4. 삭제
  5. 삭제
KR2020150006040U 2015-09-09 2015-09-09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 KR200480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40U KR200480493Y1 (ko) 2015-09-09 2015-09-09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040U KR200480493Y1 (ko) 2015-09-09 2015-09-09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493Y1 true KR200480493Y1 (ko) 2016-05-31

Family

ID=5609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040U KR200480493Y1 (ko) 2015-09-09 2015-09-09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4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7405A (zh) * 2022-04-08 2022-07-15 北京市农业机械试验鉴定推广站 一种塑料大棚联动式天窗手动开窗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939A (ja) 2001-08-22 2003-03-05 Nippon Opereetaa Kk 換気窓の開閉制御装置、及び、その開閉制御装置に使用されるカム部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939A (ja) 2001-08-22 2003-03-05 Nippon Opereetaa Kk 換気窓の開閉制御装置、及び、その開閉制御装置に使用されるカム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7405A (zh) * 2022-04-08 2022-07-15 北京市农业机械试验鉴定推广站 一种塑料大棚联动式天窗手动开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6266B2 (en) Agricultural house
KR101780112B1 (ko) 비닐하우스의 개폐시스템 및 개폐방법
KR101817706B1 (ko) 비닐하우스 환경 조절시스템
KR101485146B1 (ko) 비닐하우스 환기장치
KR101996626B1 (ko) 지붕 개폐형 온실
CN208836646U (zh) 农作物自动化温室大棚
KR200480493Y1 (ko) 비닐하우스의 상부 개폐장치
CN109997566A (zh) 一种自动铺盖农用薄膜装置
CN211241066U (zh) 一种基于物联网的农业大棚通风控制装置
CN202603296U (zh) 温室大棚通风装置
CN213245957U (zh) 一种温室大棚
CN213784427U (zh) 一种可改变光照时间的改进型农业大棚
KR102154478B1 (ko) 반밀폐형 온실
KR102113704B1 (ko) 온실용 일체형 창호 개폐장치
KR101230010B1 (ko) 비닐하우스의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환기시스템
KR20210067397A (ko) 비닐하우스 개폐장치
CN113615450A (zh) 带有可调防虫网的番茄种植大棚排湿装置及其调节方法
JP6202558B2 (ja) ハウスの各面の吸入口用シャッタ装置
CN112970522A (zh) 一种用于蘑菇种植的节能型双拱棚
CN208691921U (zh) 食用菌种植大棚
KR200467670Y1 (ko) 비닐하우스용 커튼개폐기
JP2018014942A (ja) 農業用ハウス
CN221011064U (zh) 一种用于温室大棚的密封卷帘门
CN103548620A (zh) 控光调温大棚
CN115968692B (zh) 一种带自动遮阳的大棚结构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