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455Y1 - 멀티 튜브 벤딩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튜브 벤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455Y1
KR200480455Y1 KR2020140004671U KR20140004671U KR200480455Y1 KR 200480455 Y1 KR200480455 Y1 KR 200480455Y1 KR 2020140004671 U KR2020140004671 U KR 2020140004671U KR 20140004671 U KR20140004671 U KR 20140004671U KR 200480455 Y1 KR200480455 Y1 KR 2004804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ller
tube
present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638U (ko
Inventor
박종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4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455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6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6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4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4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8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or through a curved di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멀티 튜브 벤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멀티 튜브 벤딩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고, 튜브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와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 상에 형성되고, 상기 튜브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롤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튜브 벤딩 장치{Multi tube vending apparatus}
본 고안은 멀티 튜브 벤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고안에서 전기 기술자는 전선 관로를 벤딩하기 위해 휴대형 튜브 벤더를 사용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배관공과 그 밖의 숙련공은 다양한 용례에 사용하는 튜브를 벤딩하기 위해 튜브 벤더를 사용하였다. 통상의 튜브 벤더는 아치형 홈 또는 리세스를 갖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홈의 원호 반경은 대략 튜브에 부여되는 벤딩 또는 굽힘 반경에 상응한다. 홈의 단면은 대개 반원형이며, 홈의 반경은 튜브의 외부 반경, 즉 유지 반경에 거의 상응한다.
일반적으로 튜브 밴딩시 사용하는 튜브 벤더로써, F자 형태의 F-BEND와 고무망치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다양한 지름의 튜브들을 밴딩하는 경우, 튜브의 사이즈 별로, 다른 크기의 공구를 교체하면서 작업해야 하므로, 서로 다른 사이즈의 복수의 F-BEND와 고무망치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F-BEND와 고무망치를 이용하여 튜브를 밴딩하는 경우, 튜브가 제대로 고정이 되지 않아, 튜브 자체에 손상이 갈 가능성이 있었고, 사이즈가 다른 공구를 사용하는 경우, 공구와 튜브 사이에 유격이 생기므로 사용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2-0089544호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롤러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튜브를 벤딩할 수 있고, 롤러와 튜브 사이의 유격을 없앰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튜브 벤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멀티 튜브 벤딩 장치의 일 면(aspect)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고, 튜브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와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 상에 형성되고, 상기 튜브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롤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튜브와 접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1 롤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단면은 반구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프레임 상에 형성된 복수의 홀과,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롤러와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2 롤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제2 롤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롤러는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롤러는 회전체와 고무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는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고무 커버는 상기 회전체의 외면을 둘러싸며, 상기 튜브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멀티 튜브 벤딩 장치만으로도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튜브를 벤딩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롤러가 튜브를 고정시키므로 작업시 튜브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튜브와 롤러 사이의 유격을 없앰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높이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의 높이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높이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 튜브 벤딩 장치(1)는 프레임(110), 제1 롤러(130), 제2 롤러(14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높이조절부(120), 손잡이(11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제1 연결축(132), 제2 연결축(126)과 연결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프레임(110)은 제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제1 연결축(132) 및 제2 연결축(126)과 연결되어 'F'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제1 연결축(132)이 프레임(110)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프레임(110)의 중간 지점에서는 제2 연결축(126)이 프레임(110)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축(126)은 프레임(110)의 높이조절부(120)와 연결되어, 프레임(110)을 따라 가이드되어 움직일 수 있다. 높이조절부(1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프레임(1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속이 빈 파이프 또는 금속 막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110)의 타측에는 손잡이(11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제1 연결축(13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손잡이(115)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15)는 일정 두께로 프레임(110)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15)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15)는 사용자와 프레임(110)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서, 손에서 멀티 튜브 벤딩 장치(1)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연결축(132)은 프레임(110) 상에 형성되며, 프레임(110)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어, 프레임(110)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축(132)은 제1 롤러(130)와 결합하여 제1 롤러(130)의 회전축(C1)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연결축(132)의 말단은 제1 롤러(130)가 제1 연결축(132)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제1 고정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연결축(132) 말단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거나, 너트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축(132)은 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1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롤러(130)는 제1 연결축(132)과 결합할 수 있다. 제1 롤러(130)는 제1 연결축(132)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롤러(130)는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베어링을 포함하고, 베어링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롤러(130)는 튜브(P1~P4; 도 2 참조)와 접하는 결합홈(135)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135)은 제1 롤러(13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깊이(L1)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35)의 단면은 반구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35)의 일측은 제1 각도(θ1)의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35)은 튜브(P1~P4)의 일면과 접할 수 있다. 결합홈(135)은 튜브(P1~P4)가 제1 롤러(13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튜브(P1~P4)의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홈(135)의 크기는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1~4)가 수용할 수 있는 튜브(P1~P4)의 최대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홈(135)의 깊이(L1)는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1~4)가 수용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튜브(P1~P4)의 지름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튜브(P1)의 지름(R1)은 결합홈(135)의 깊이(L1)보다 클 수 있다. 다만,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홈(135)은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1~4)가 수용할 수 있는 가장 큰 튜브(P4)의 곡률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곡률은 곡선 또는 곡면의 휨 정도를 나타내는 변화율에 해당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롤러(130)와 제2 롤러(140) 사이에 배치되는 튜브(P1~P4)의 지름에 따라, 제2 롤러(140)의 위치를 높이조절부(120)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튜브(P1~P4)가 제1 롤러(130)와 제2 롤러(140) 사이에 있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110)은 높이조절부(120)를 포함한다. 높이조절부(120)는 프레임(110) 상에 형성된 복수의 홀(122)과, 상기 복수의 홀(122) 중 어느 하나의 홀을 통과하여 제2 롤러(140)와 결합되는 고정핀(128)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 상에 형성된 복수의 홀(122)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홀(122)의 간격이 좁고, 홀(122)의 개수가 많을수록, 제1 롤러(130)와 제2 롤러(140) 간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복수의 홀(122)은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1~4)가 수용할 수 있는 최소 튜브와 최대 튜브에 대응되는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홀(122)은 프레임(110)의 대응되는 양면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 상에는 프레임(110)의 일부를 둘러싸고, 제2 연결축(126)과 연결되는 연결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25)는 제2 연결축(126)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25)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25)의 일측에는 핀이 삽입될 수 있는 핀 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핀 홀(124)이 프레임(110) 상의 복수의 홀(122)과 오버랩되는 경우, 고정핀(128)을 상기 핀 홀(124) 및 상기 홀(122)과 결합시켜, 제2 롤러(140)를 프레임(11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25)는 프레임(110)에 가이드되어, 프레임(110)이 연장되는 방향의 앞뒤로 움직일 수 있다. 연결부재(125)는 고정핀(128)이 제거된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고정핀(128)은 프레임(110) 상에 형성된 대칭되는 홀(122) 및 연결부재(125)의 핀 홀(125)을 관통할 수 있다. 고정핀(128)은 제2 롤러(140)를 고정시켜야 하고, 강한 힘을 받으므로, 프레임(110) 또는 연결부재(125)보다 강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핀(128)이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경우, 고정핀(128)의 일부는 제2 연결축(126)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연결축(126)은 연결부재(125)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축(126)은 프레임(110)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어, 프레임(110)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축(126)은 제2 롤러(140)와 결합하여 제2 롤러(140)의 회전축(C2)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연결축(126)의 말단은 제2 롤러(140)가 제2 연결축(126)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제2 고정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연결축(132)과 마찬가지로, 제2 연결축(126) 말단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거나, 너트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축(126)은 프레임(1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연결축(126)은 제1 연결축(132)과 평행할 수 있다. 즉, 제1 롤러(130)의 회전축(C1)은 제2 롤러(140)의 회전축(C2)과 평행할 수 있다.
제2 롤러(140)는 제2 연결축(126)과 결합할 수 있다. 제2 롤러(140)는 제2 연결축(126)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2 롤러(140)는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베어링을 포함하고, 베어링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롤러(140)는 동일한 회전축(C2)을 갖고, 일정 간격(d)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141~14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1)는 4개의 롤러가 제2 연결축(126) 상에 일정 간격(d)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141~144)가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제1 롤러(130)와 제2 롤러(140) 사이에 배치된 튜브(T)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튜브(T)를 대각선으로 비스듬히 벤딩시킬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롤러(140)는 하나의 일체로 형성된 롤러 또는, 외면이 탄성있는 재질로 둘러싸인 롤러로 대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의 높이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의 높이조절부(220)는 연결부재(225)와 고정볼트(2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높이조절부(120)와 달리, 도 4의 높이조절부(220)는 프레임(110) 상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재(225)는 프레임(110)의 일부를 둘러싸고, 제2 연결축(226)을 통하여 제2 롤러(14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225)는 소정의 두께(d1)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225)는 제2 연결축(226)과 연결되고, 제2 롤러(140)는 제2 연결축(226)과 결합하여, 제2 연결축(226)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연결부재(225)의 내면은 프레임(110)의 외면과 접하거나,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225)는 프레임(110)에 가이드되어, 프레임(110)이 연장되는 방향의 앞뒤로 움직일 수 있다.
연결부재(225)는 제2 연결축(226)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25)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25)는 고정볼트(228)와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 직접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결부재(225)의 일측에는 고정볼트(228)와 결합할 수 있는 나사선을 포함하는 결합구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볼트(228)는 연결부재(225)와 결합하여, 제2 롤러(140)를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볼트(228)의 몸체 상에 형성된 나사선과, 연결부재(225)에 형성된 나사선이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볼트(228)는 회전을 통하여 연결부재(225)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볼트(228)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고정볼트(228)는 프레임(110)을 강하게 눌러서 연결부재(225)의 일측과 프레임(110)의 일측을 접하게 하여, 연결부재(225)가 프레임(110)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볼트(228)는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을 해제시키고, 연결부재(225)가 프레임(110) 상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면에는 직접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110)은 고정볼트(228)와 결합할 수 있는 나사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홀(도 3의 1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볼트(228)는 프레임(110) 상의 홀(도 3의 122)과 나사결합 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볼트(228)는 프레임(110) 상에 더욱 강하게 고정되고, 이를 통해 연결부재(225)를 프레임(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멀티 튜브 벤딩 장치(2)는 도 1의 멀티 튜브 벤딩 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멀티 튜브 벤딩 장치(2)는 프레임(110), 제1 롤러(130), 제2 롤러(242)를 포함한다.
제2 롤러(242)는 단일한 회전체(245)와 고무 커버(247)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245)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245)는 프레임(11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체(245)는 프레임(110)에 연결된 제2 연결축(126)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2 롤러(242)는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베어링을 포함하고, 베어링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무 커버(247)는 회전체(245)의 외면을 둘러쌀 수 있다. 고무 커버(247)는 탄성을 지닌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고무 커버(247)는 회전체(24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체(245)는 금속재질로, 고무 커버(247)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무 커버(247)는 튜브(T; 도 8 참조)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튜브(T)의 일측은 제1 롤러(130)의 결합홈(135)에 접하고, 튜브(T)의 타측은 고무 커버(247)에 접할 수 있다. 고무 커버(247)를 포함하는 제2 롤러(242)는 금속재질로 된 롤러(미도시)와 비교하여, 튜브(T)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튜브(T)가 멀티 튜브 벤딩 장치(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높이조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12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높이조절부(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12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높이조절부(220)로 대체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타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멀티 튜브 벤딩 장치(3)는 도 1의 멀티 튜브 벤딩 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멀티 튜브 벤딩 장치(3)는 프레임(310), 제1 롤러(330), 제2 롤러(340)를 포함한다.
프레임(310)은 굴곡부(312)를 지니는 L자형 프레임(3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레임(310)은 일측에 굴곡부(312)가 형성되고, 타측에 손잡이(314)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은 제1 프레임(311), 굴곡부(312), 제2 프레임(313), 손잡이(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311), 굴곡부(312), 및 제2 프레임(31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11)은 제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11)은 굴곡부(312)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2 프레임(313)은 굴곡부(312)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13)은 제1 프레임(311)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311)은 제2 프레임(313)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프레임(311)의 타측에는 손잡이(3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311)의 일측에는 굴곡부(31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손잡이(314)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14)는 일정 두께로 제1 프레임(311)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14)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무재질은 사용자와 프레임(310)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서, 손에서 멀티 튜브 벤딩 장치(3)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프레임(313)은 지지부(315)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315)는 제2 프레임(313)의 일단에 형성되고, 손잡이(314) 및 제1 프레임(311)과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15)는 L자형 프레임(3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 또는 지지부(315)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 또는 지지부(315)은 속이 빈 파이프 또는 금속 막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315)는 제1 연결축(332)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315)의 일측에는 제1 연결축(332)이 지지부(315)와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축(332)과 제2 프레임(313)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11)의 중간 지점에서는 제2 연결축(326)이 제1 프레임(311)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축(326)은 제1 프레임(311)의 높이조절부(320)와 연결되어, 제1 프레임(311)을 따라 가이드되어 움직일 수 있다. 높이조절부(32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높이조절부(120) 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높이조절부(2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연결축(326)은 제1 연결축(332)과 평행할 수 있다. 즉, 제1 롤러(330)의 회전축(C3)은 제2 롤러(340)의 회전축(C4)과 평행할 수 있다.
제2 롤러(340)는 제2 연결축(326)과 결합할 수 있다. 제2 롤러(340)는 제2 연결축(326)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2 롤러(340)는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일정 간격(d)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341~34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튜브 벤딩 장치(3)는 4개의 롤러(341~344)가 제2 연결축(326) 상에 일정 간격(d)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341~344)가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제1 롤러(330)와 제2 롤러(340) 사이에 배치된 튜브(T)가 미끄러지는 것을 줄일 수 있고, 튜브(T)를 대각선으로 비스듬히 벤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타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를 참조하면, 도 7의 멀티 튜브 벤딩 장치(4)는 도 6의 멀티 튜브 벤딩 장치(3)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롤러(342)는 단일한 회전체(345)와 고무 커버(347)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345)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345)는 프레임(31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체(345)는 프레임(310)에 연결된 제2 연결축(326)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2 롤러(342)는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베어링을 포함하고, 베어링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무 커버(347)는 상기 회전체(345)의 외면을 둘러쌀 수 있다. 고무 커버(347)는 탄성을 지닌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고무 커버(347)는 회전체(34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체(345)는 금속재질로, 고무 커버(347)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무 커버(347)는 튜브(T)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튜브(T)의 일측은 제1 롤러(330)의 결합홈(135)에 접하고, 튜브(T)의 타측은 고무 커버(347)에 접할 수 있다. 고무 커버(347)를 포함하는 제2 롤러(342)는 금속재질로 된 롤러와 비교하여 튜브(T)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튜브(T)가 멀티 튜브 벤딩 장치(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무 커버(347)는 탄성을 이용하여 튜브(T)를 고정시켜, 작업시 튜브(T)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프레임(310)은 높이조절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32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높이조절부(120) 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높이조절부(2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타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1~4)는 제1 롤러(330)와 제2 롤러(340) 사이에 튜브(T)를 배치시킬 수 있다. 도 8에서는 예시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튜브 벤딩 장치(3)를 나타내었으나,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310) 상의 높이조절부(320)를 이용하여 제2 롤러(340)의 위치를 조정하여 제1 롤러(330)와 튜브(T) 또는 제2 롤러(340)와 튜브(T) 사이의 유격을 없앨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손잡이(314) 부분을 잡고 누름으로써, 튜브(T)를 벤딩시킬 수 있다. 제1 롤러(330)와 제2 롤러(340)는 각각 지렛대의 원리의 작용점 또는 힘점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서 작용점과 힘점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손잡이(314) 부분은 힘점에 해당한다.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멀티 튜브 벤딩 장치(1~4)는 다양한 사이즈의 튜브(T)를 벤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롤러(340)의 위치를 조절하여 튜브(T)와 제1 및 제2 롤러(330, 340) 사이의 유격을 없앰으로써, 작업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롤러(341~344)가 이격되어 배치시킴으로써, 제1 롤러(330)와 제2 롤러(340) 사이에 배치된 튜브(T)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튜브(T)를 대각선으로 비스듬히 벤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롤러(340)의 표면에 위치하는 고무 커버(347)는 튜브(T)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 프레임 115 : 손잡이
120 : 높이조절부 130 : 제1 롤러
140 : 제2 롤러

Claims (6)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고, 튜브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와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 상에 형성되고, 상기 튜브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굴곡부; 및
    상기 제2 롤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롤러는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에 결합된 제1 연결축은 지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프레임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멀티 튜브 벤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튜브와 접하는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1 롤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단면은 반구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멀티 튜브 벤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프레임 상에 형성된 복수의 홀과,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 롤러와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멀티 튜브 벤딩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2 롤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제2 롤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멀티 튜브 벤딩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는 회전체와 고무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는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고무 커버는 상기 회전체의 외면을 둘러싸며, 상기 튜브의 타측을 지지하는 멀티 튜브 벤딩 장치.
KR2020140004671U 2014-06-20 2014-06-20 멀티 튜브 벤딩 장치 KR2004804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671U KR200480455Y1 (ko) 2014-06-20 2014-06-20 멀티 튜브 벤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671U KR200480455Y1 (ko) 2014-06-20 2014-06-20 멀티 튜브 벤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38U KR20150004638U (ko) 2015-12-30
KR200480455Y1 true KR200480455Y1 (ko) 2016-05-27

Family

ID=5517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671U KR200480455Y1 (ko) 2014-06-20 2014-06-20 멀티 튜브 벤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4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646B1 (ko) 2022-09-27 2023-03-29 엠에스티 유한회사 수동식 튜브 벤딩 장치용 벤딩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동식 튜브 벤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544A (ko) 2001-05-23 2002-11-29 주식회사 한국번디 튜브 벤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646B1 (ko) 2022-09-27 2023-03-29 엠에스티 유한회사 수동식 튜브 벤딩 장치용 벤딩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동식 튜브 벤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38U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2559B2 (en) Side handle
JP2016525456A5 (ko)
KR20160038898A (ko) 기계 공구
US9113708B2 (en) Supporting device
US20150323858A1 (en) Hand-wearable camera harnes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hand-wearable camera harness
CA2798350A1 (en) Bending machine for creating bends to the left and right
KR200480455Y1 (ko) 멀티 튜브 벤딩 장치
KR20090010035U (ko) 강관의 진원도 교정 구조
KR20140148008A (ko) 파이프 벤딩장치
JP6026627B1 (ja) ストランド折り曲げ治具
CN105583750B (zh) 定位机构
US8266975B2 (en) Rotation device and electronic assembly utilizing the same
EP2805793A1 (en) Guide frame support device
JP2017118647A (ja) 間接活線工事用工具
JP6823543B2 (ja) グランドパッキン挿入治具
JP6561741B2 (ja) ケーブルブラケット
KR102002062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고정장치
JP2015218875A (ja) 管固定具
RU235345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бки труб
JP5946736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JP6383759B2 (ja) 果実支持体用支持具
JP5555335B1 (ja) ウィルキー
CN214499730U (zh) 一种加固效果优异的不锈钢紧固件
KR20150001569U (ko) 파이프용 고정지그
KR200463095Y1 (ko) 튜브 작업용 공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