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391Y1 -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 Google Patents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391Y1
KR200480391Y1 KR2020160000015U KR20160000015U KR200480391Y1 KR 200480391 Y1 KR200480391 Y1 KR 200480391Y1 KR 2020160000015 U KR2020160000015 U KR 2020160000015U KR 20160000015 U KR20160000015 U KR 20160000015U KR 200480391 Y1 KR200480391 Y1 KR 200480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on
saline solution
hole
eye
sa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0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선종
Original Assignee
안선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선종 filed Critical 안선종
Priority to KR20201600000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391Y1/ko
Priority to PCT/KR2016/014991 priority patent/WO20171196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26Ophthalmic product dispenser attachments to facilitate positioning near the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61H5/005Exercisers for training the stereoscopic vi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2009/0035Devices for immobilising a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instrument
    • A61F2009/0043Devices for immobilising a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instrument by supporting the instrument on the patient's head, e.g. head bands
    • A61F2009/0052Devices for immobilising a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instrument by supporting the instrument on the patient's head, e.g. head bands the instrument being supported on the patient's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61H2205/024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식염수가 저장되며, 상기 식염수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상부 안구 세척부가 구성된 상부 수통; 상기 상부 수통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투입홀을 통해 투입된 식염수가 순환할 수 있도록 배출하는 하부 안구 세척부와, 상기 하부 안구 세척부의 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배출되는 식염수가 수용되는 순환탱크와, 상기 순환탱크와 연결되어 수용된 상기 식염수를 역류시켜 상기 상부 수통측으로 재공급하는 분할패널을 포함하는 하부 수통; 상기 상부 수통에 구성되어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순환탱크에 수용된 식염수가 역류에 의해 강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순환장치; 눈 근육 운동 프로그램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눈 근육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순환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식염수의 순환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Dry eye therapy for strengthening eyesight}
본 고안은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식염수를 순환시켜 흐르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안구 세척 및 안구 건조증의 치료가 가능하고,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콤팩트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휴대성을 극대화한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안구건조증에 대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인공눈물을 이용하여 안구에 직접 투여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인공눈물을 수시로 안구에 투여하기 위해서는 인공눈물을 구입해야 하는데, 위와 같은 인공눈물은 안과병원에 가서 의사에게 처방을 받아 약국에서 구입해야 하는 것이므로 인공눈물을 구입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그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09-0004023호에는 안경테 중앙에 형성된 연결부에 마개가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수분주입구가 형성되고, 안경테의 양측 하부테의 내부에 수분주입구와 연결되는 수분수장관부가 연결 형성되며, 하부테의 안쪽면에 수분수장관부에 담겨진 물이 외부로 새어나오게 하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양측 하부테의 안쪽면에 통공에서 새어나오는 수분이 스며드는 흡습쿠션재가 부착된 가습안경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가습안경은 단순히 일시적으로 안구건조를 예방할 뿐, 치료를 위해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안구의 위치와 통공의 위치의 설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안면에 투여되어 효율이 좋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340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식염수가 투입되고,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상기 식염수의 안에서 안구의 근육 운동이 이루어지는 수경 본체부; 상기 수경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식염수를 일정량 공급하는 식염수 용기; 및 상기 식염수 용기의 전방에 고정되며, 상기 식염수 안에서 안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눈 근육 강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건조증 치료 및 시력 강화기를 출원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안구 건조증 치료 및 시력 강화기는 수경 본체부에 수용되어 식염수가 고인 상태로 안구를 세척하므로 흐르는 물에 비하여 세정력이 떨어져 오랜시간 세척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안구 건조증 치료 및 시력 강화기의 부피가 커서 휴대가 용이하지 못함에 따라 안구 건조증 치료 및 눈 근육 강화 운동이 매우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가능하여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삭제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09-00040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3402호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식염수를 순환시켜 흐르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안구 세척 및 안구 건조증의 치료가 가능하여 안구 건조증 및 눈 근육 운동의 효율성 및 깨끗한 식염수를 제공하여 위생적인 치료가 가능하고 시력이 강화되며,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콤팩트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휴대성을 극대화한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식염수가 저장되며, 상기 식염수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상부 안구 세척부가 구성된 상부 수통; 상기 상부 수통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투입홀을 통해 투입된 식염수가 순환할 수 있도록 배출하는 하부 안구 세척부와, 상기 하부 안구 세척부의 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배출되는 식염수가 수용되는 순환탱크와, 상기 순환탱크와 연결되어 수용된 상기 식염수를 역류시켜 상기 상부 수통측으로 재공급하는 분할패널을 포함하는 하부 수통; 상기 상부 수통에 구성되어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순환탱크에 수용된 식염수가 역류에 의해 강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순환장치; 눈 근육 운동 프로그램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눈 근육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순환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식염수의 순환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안구 세척부는 상기 상부 저장탱크에 저장된 식염수가 투입되는 투입홀과, 상기 투입홀에 의해 투입된 상기 식염수가 이동하면서 안구 건조증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부 세척홀과, 상부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투입홀을 개폐하는 제1개폐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안구 세척부에는 상기 투입홀의 전방측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안구측으로 이동한 식염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배출하는 순환홀과, 상기 순환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순환홀을 통해 유출되는 식염수를 상기 순환탱크측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홀과, 상기 투입홀과 동일중심을 가지며, 상기 투입홀을 통해 투입되는 식염수를 배출하는 배출홀과, 상기 순환홀과 유입홀을 연결하는 연결패널과, 하부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순환홀 및 배출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안구 세척부에는 상기 배출홀과 연결되며, 상기 순환홀 및 유입홀과 분리된 공간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출홀을 통해서 배출되는 식염수만 저장되는 하부 저장탱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안구 세척부에는 고무 재질의 패드로 이루어진 안구 밀착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패널은 상기 순환탱크와 상기 상부 수통이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순환탱크측으로 수용된 식염수가 역류되어 상기 상부 수통측으로 재공급되도록 하는 역류홀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장치에서 출력되는 눈 근육 운동 프로그램을 투과하는 투과부, 및 세척시 발생하는 부유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부유물 역류 방지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장치와 결합되어 소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부재; 상기 복수의 회전부재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이송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양쪽 안구에 위치하는 식염수를 역류시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순환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수통에는 그 일측면에 구성되며, 개폐 가능하게 회전 결합되어 식염수의 신속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통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수통 및 하부 수통에는 사용자의 안면에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띠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안구 세척부에 각각 구성되는 제1 및 제2개폐패널의 슬라이딩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와, 사용자의 모국어에 따라 모드별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언어 선택부와, 안구 건조증 치료 및 눈 근육 운동을 실행하기 위하여 단계별 모드가 실행되는 모드 진행부와, 상기 순환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순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드 진행부는 상기 개폐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개폐패널을 슬라이딩 작동시켜 상부 수통에 저장된 식염수를 투입하는 제1모드부; 눈 근육 운동 프로그램을 실행시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는 제2모드부; 및 상기 식염수를 순환시키고, 제2개폐패널을 작동시켜 배출홀을 개방하여 상부 및 하부 안구 세척부에 잔존하는 식염수를 배출하는 제3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식염수를 순환시켜 흐르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안구 세척 및 안구 건조증의 치료가 가능하여 안구 건조증 및 눈 근육 운동의 효율성 및 깨끗한 식염수를 제공하여 위생적인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효율성 있는 눈 근육 강화 운동으로 인해 시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콤팩트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휴대성을 극대화함에 따라 장소와 무관하게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순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A-A'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B-B'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측방향에 대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식염수 순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식염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순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A-A'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B-B'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측방향에 대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식염수 순환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식염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는 상부 수통(100), 하부 수통(200), 디스플레이 장치(300), 순환장치(400) 및 제어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수통(100)은 내부에 식염수가 저장되는 상부 저장탱크(112)가 구성되며, 이 상부 저장탱크(1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구의 상부면이 접하도록 구성되고, 상부 저장탱크(112)에 저장된 식염수를 사용자의 안구측으로 제공하는 상부 안구 세척부(120)가 구성된다.
상부 저장탱크(112)에는 안구 건조증 치료 및 안구 세척에 사용되는 식염수를 공급하는 공급홀(114)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공급홀(114)을 개폐하는 밀폐마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안구 세척부(120)는 상부 저장탱크(112)의 내부에 구성되어 저장된 식염수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안구측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안구의 상부면과 밀착되게 구성되어 식염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상부 안구 세척부(120)는 안구 건조증에 대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부 세척홀(122)이 형성되고, 상부 저장탱크(112)에 저장된 식염수가 투입되는 투입홀(124)이 상부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부 안구 세척부(120)는 상부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술할 개폐 제어부(510)의 제어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투입홀(124)를 개폐하는 제1개폐패널(130)이 구성된다.
이 제1개페패널(130)은 투입홀(124)을 통해 상부 세척홀(122)측으로 공급되는 식염수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눈 근육 운동 프로그램의 단계별 모드에 따라 식염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투입홀(124)의 개폐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하부 수통(200)은 상부 수통(100)의 하부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안구 건조등 치료시 흐르는 물과 같은 상태에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식염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하부 수통(200)은 상부에 상기 상부 안구 세척부(120)와 정합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투입홀(124)을 통해 투입된 식염수가 순환할 수 있도록 배출하는 하부 안구 세척부(220)가 구성되며, 이 하부 안구 세척부(220)의 하부에는 순환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배출되는 순환수가 수용되는 순환탱크(240)와, 순환탱크(240)의 후방부에 위치하여 수용된 순환수를 역류시켜 상부 저장탱크(112)측으로 재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분할패널(250)이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 안구 세척부(220)는 상부 안구 세척부(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구의 하부면이 밀착되게 구성되며, 안구 건조증에 대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투입홀(124)에서 투입되는 식염수를 사용자의 안구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안구 건조증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부 세척홀(222)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안구 세척부(220)는 투입홀(124) 보다 전방측, 다시말해 사용자의 안구측에 위치하며, 투입된 식염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순환탱크(240)측으로 공급하는 순환홀(224)이 형성된다.
아울러, 순환홀(224)의 하부에는 순환탱크(240)와 연통하여 순환홀(224)을 통해 유출되는 식염수를 순환탱크(240)측으로 공급하는 유입홀(228)이 형성되며, 이 순환홀(224)과 유입홀(228)을 연결하고, 하부 수통(200)에 구성되는 하부 저장탱크(212)와 분리되도록 하는 연결패널(225)이 더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상부 저장탱크(112)에 저장된 식염수가 투입홀(124)을 통해 안구 세척부(120, 220)로 공급되고, 공급된 식염수는 순환홀(224) 및 유입홀(228)을 통해 순환탱크(240)로 유입되어 식염수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 안구 세척부(220)에는 순환홀(224)의 후방측에 구성되며, 투입홀(124)과 동일중심선상에 위치하여 투입홀(124)을 통해 투입되는 식염수 중 일부가 바로 배출되어 사용자의 안구측으로 제공되는 식염수의 양을 조절하고, 식염수의 교체시 안구 세척부(120, 220)에 잔존하는 식염수의 완전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부 저장탱크(112)에 저장된 식염수의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출홀(226)이 형성된다.
여기서, 배출홀(226)은 하부 수통(200)에 구성된 하부 저장탱크(212)와 연통되게 구성되어 배출되는 식염수가 하부 저장탱크(212)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하부 저장탱크(212)에 저장되는 식염수는 순환홀(224) 및 유입홀(228)과는 분리된 공간으로 이루어져 눈운동 모드시에 세척홀(122, 222)의 잔류 식염수를 배출함으로써, 투과부(254)를 향한 깨끗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추가 세척을 위한 재순환시 순환탱크(240)를 통하여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하부 안구 세척부(220)에는 개폐 제어부(510)의 제어에 따라 순환홀(224), 또는 배출홀(226) 중 어느 하나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개폐패널(230)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하부 안구 세척부(220)는 제2개폐패널(230)의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순환홀(224), 또는 배출홀(226)의 개폐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식염수의 흐름을 제어하고, 눈 근육 운동을 위한 모드에서 투과부(254)를 통한 시야를 확보하게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안구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식염수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안구 세척부(120, 220)에 고무 재질의 패드로 이루어진 안구 밀착부(14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순환탱크(240)는 하부 안구 세척부(220)와 연결패널(225) 및 유입홀(228)에 의해 연통되게 구성되며, 순환홀(224)을 통해 유입되는 식염수가 수용되고, 수용된 식염수가 후술할 순환장치(400)의 구동에 의해 분할패널(250)을 통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역류홀(252)측으로 순환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본 고안의 순환탱크(240)는 하부 안구 세척부(220)와 역류홀(252)이 서로 연통되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이며, 식염수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량 수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함체이다.
여기서, 분할패널(250)은 안구 세척부(120, 220)의 후방부에 위치하며,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전방에 위치하여 순환탱크(240)에 수용된 식염수가 역류하여 상부 저장탱크(112)측으로 재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역류홀(252)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본 고안의 분할패널(250)은 순환탱크(240)와 상부 저장탱크(112)가 서로연통되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하여 식염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분할패널(250)에는 안구 세척부(120, 220)의 안구 세척홀들(122, 222)의 동축선상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눈 근육 운동 프로그램을 투영시켜 사용자가 이 프로그램을 통해 눈 근육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투과부(254)가 더 구성된다.
또한, 역류홀(252)에는 순환탱크(240)에 수용되는 식염수가 역류홀(252)측으로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세척 부유물(찌꺼기)가 식염수와 함께 순환하면서 상부 저장탱크(112)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유물 역류 방지망(26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부유물 역류 방지망(260)은 세척시 발생하는 부유물이 포함된 식염수가 역류홀(252)측으로 유입되어 세척된 부유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순환장치(400)를 통한 강제순환시 깨끗한 식염수가 흐르는 상태의 효과를 사용자의 안구측에 제공함으로써, 안구 건조증 치료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순환장치(400)는 분할패널(250)에 의해 구획된 역류홀(252) 상에 위치하는 식염수의 수위에 따라 식염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제어장치(500)를 통해 구동하여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420)와, 이 구동장치(420)와 기계적 연결이 이루어져 소정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식염수가 역류에 의해 강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 어셈블리(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 어셈블리(410)는 구동장치(420)에 구성된 동력 전달부재(422)와 기어 이물림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소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회전부재(430)가 복수 구성되고, 이 복수의 회전부재(430)를 연결하여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벨트와 같은 동력 이송부재(440)와, 상기 회전부재(430)와 연결되어 양쪽 안구에 위치하는 식염수를 역류시켜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상부 저장탱크(112)측으로 재공급하는 복수의 순환팬(450)으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눈 근육 운동 프로그램을 출력하여 상부 및 하부 안구 세척부(120, 220)에 안구를 밀착시킨 사용자가 눈 근육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후술할 제어장치(500)의 모드별 설정에 따라 안구를 좌우 방향, 상하방향, 원형 방향, 8자 회전 등의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영상 표시부(310)가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상부 수통(100) 및 하부 수통(200)은 일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그 일측부에는 상부 수통(100)의 상부 저장탱크(112)와, 하부 수통(200)의 하부 저장탱크(212), 순환탱크(240), 역류홀(252) 등에 저장되는 식염수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수통커버(270)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통커버(270)는 하단부가 하부 수통(200)의 하부면에 힌지 작동에 의해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회전 지지부(27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부 수통(100)의 상부면에 고정고리(274) 등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각의 수통(100, 200)들 내부에 저장된 식염수의 용이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수통커버(270)가 회전 작동하여 각각의 수통(100, 200)들로부터 분리되면, 하부 안구 세척부(220)에 구성된 제2개페패널(230)이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배출홀(226)을 개방하여 상부 저장탱크(112)에 저장된 식염수 뿐만 아니라, 안구 세척부(120, 120)에 잔존하는 식염수까지 모두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에는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안구 건조증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안면에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띠(150)를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장치(500)는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의 구동을 위한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눈 근육 운동을 위한 프로그램의 가동이 이루어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어장치(500)는 제1 및 제2개폐패널(130, 230)의 슬라이딩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510)를 더 구성함으로써, 제어장치(500)에 의해 실행되는 각 모드별 상황에 따라 식염수의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장치(500)는 사용자의 모국어에 따라 각 모드별 수행이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국의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언어 선택부(520)가 구성된다.
또한, 제어장치(500)는 안구 건조증 치료 및 눈 근육 운동을 실행하기 위하여 단계별 모드가 실행되는 모드 진행부(53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모드 진행부(530)는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에 전원이 인가되고, 사용자의 안구가 안구 세척부(120, 220)에 밀착되었음이 확인되면, 개폐 제어부(510)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개폐패널(130)을 슬라이딩 작동시켜 상부 저장탱크(112)에 저장된 식염수를 투입하는 제1모드부(532)가 구성된다.
또한, 모드 진행부(530)는 제1모드부(532)의 구동이 완료되었을 경우, 눈 근육 운동 프로그램을 실행시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구동하여 사용자가 눈 근육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모드부(534)가 구성된다.
또한, 모드 진행부(530)는 순환탱크(240)에 수용된 식염수를 순환시키고, 안구 건조증 치료가 완료되었다면, 제2개폐패널(230)을 작동시켜 배출홀(226)을 개방함으로써, 안구 세척부(120, 220)에 잔존하는 식염수를 배출하는 제3모드부(536)가 구성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제어장치(500)에는 순환장치(4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3모드부(536)와 연동하는 순환 제어부(540)가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상부 수통 112: 상부 저장탱크
120: 상부 안구 세척부 130: 제1개폐패널
140: 안구 밀착부 150: 고정띠
200: 하부 수통 212: 하부 저장탱크
220: 하부 안구 세척부 230: 제2개폐패널
240; 순환탱크 250: 분할패널
252: 역류홀 260; 부유물 역류 방지망
270: 수통커버 300; 디스플레이 장치
310: 영상 표시부 400: 순환장치
410: 회전 어셈블리 420: 구동장치
500: 제어장치 510: 개폐 제어부

Claims (11)

  1. 식염수가 저장되며, 상기 식염수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상부 안구 세척부가 구성된 상부 수통;
    상기 상부 수통의 하부에 구성되며, 투입홀을 통해 투입된 식염수가 순환할 수 있도록 배출하는 하부 안구 세척부와, 상기 하부 안구 세척부의 하부에 구성되어 배출되는 식염수가 수용되는 순환탱크와, 상기 순환탱크와 연결되어 수용된 상기 식염수를 역류시켜 상기 상부 수통측으로 재공급하는 분할패널을 포함하는 하부 수통;
    상기 상부 수통에 구성되어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순환탱크에 수용된 식염수가 역류에 의해 강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순환장치;
    눈 근육 운동 프로그램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눈 근육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순환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식염수의 순환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안구 세척부는
    상부 저장탱크에 저장된 식염수가 투입되는 투입홀과,
    상기 투입홀에 의해 투입된 상기 식염수가 이동하면서 안구 건조증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부 세척홀과,
    상부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투입홀을 개폐하는 제1개폐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안구 세척부에는
    상기 투입홀의 전방측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안구측으로 이동한 식염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배출하는 순환홀과,
    상기 순환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순환홀을 통해 유출되는 식염수를 상기 순환탱크측으로 유입시키는 유입홀과,
    상기 투입홀과 동일중심을 가지며, 투입홀을 통해 투입되는 식염수를 배출하는 배출홀과,
    상기 순환홀과 유입홀을 연결하는 연결패널과,
    하부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순환홀 및 배출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안구 세척부에는 상기 배출홀과 연결되며, 상기 순환홀 및 유입홀과 분리된 공간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출홀을 통해서 배출되는 식염수만 저장되는 하부 저장탱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안구 세척부에는 고무 재질의 패드로 이루어진 안구 밀착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패널은
    상기 순환탱크와 상기 상부 수통이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순환탱크측으로 수용된 식염수가 역류되어 상기 상부 수통측으로 재공급되도록 하는 역류홀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눈 근육 운동 프로그램을 투과하는 투과부, 및
    세척시 발생하는 부유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부유물 역류 방지망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장치와 결합되어 소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부재;
    상기 복수의 회전부재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이송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어 양쪽 안구에 위치하는 식염수를 역류시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순환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수통에는 그 일측면에 구성되며, 개폐 가능하게 회전 결합되어 식염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통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통 및 하부 수통에는 사용자의 안면에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띠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안구 세척부에 각각 구성되는 제1 및 제2개폐패널의 슬라이딩 작동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와,
    사용자의 모국어에 따라 모드별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언어 선택부와,
    안구 건조증 치료 및 눈 근육 운동을 실행하기 위하여 단계별 모드가 실행되는 모드 진행부와,
    상기 순환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순환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진행부는
    상기 개폐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개폐패널을 슬라이딩 작동시켜 상부 수통에 저장된 식염수를 투입하는 제1모드부;
    눈 근육 운동 프로그램을 실행시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는 제2모드부; 및
    상기 식염수를 순환시키고, 제2개폐패널을 작동시켜 배출홀을 개방하여 상부 및 하부 안구 세척부에 잔존하는 식염수를 배출하는 제3모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KR2020160000015U 2016-01-04 2016-01-04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KR200480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015U KR200480391Y1 (ko) 2016-01-04 2016-01-04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PCT/KR2016/014991 WO2017119640A1 (ko) 2016-01-04 2016-12-21 안구 건조증 치료 및 시력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015U KR200480391Y1 (ko) 2016-01-04 2016-01-04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391Y1 true KR200480391Y1 (ko) 2016-05-18

Family

ID=5610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015U KR200480391Y1 (ko) 2016-01-04 2016-01-04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0391Y1 (ko)
WO (1) WO201711964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40A1 (ko) * 2016-01-04 2017-07-13 안선종 안구 건조증 치료 및 시력강화기
KR102430659B1 (ko) * 2022-01-24 2022-08-08 안선종 안구 건조증 치료용 안구 세척장치
KR102587690B1 (ko) * 2023-06-13 2023-10-11 주식회사 보타니스코리아 안구 세척기
KR102629340B1 (ko) * 2023-07-14 2024-01-25 안선종 사용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안구 세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9061A (ja) 1999-09-10 2001-03-27 Kyoji Sano 動力・駆動式モーターを利用して発生する渦巻き状の水流と泡による洗浄効果を利用する眼球表面洗浄器
KR101483402B1 (ko) 2014-10-31 2015-01-15 안선종 안구 건조증 치료 및 시력 강화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302Y1 (ko) * 1996-11-06 1999-10-15 심응섭 안구운동장치
US8128606B2 (en) * 2003-07-03 2012-03-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hthalmic apparatus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agents to the eye
KR20090004023U (ko) * 2009-04-09 2009-04-29 이기동 가습안경
KR200480391Y1 (ko) * 2016-01-04 2016-05-18 안선종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9061A (ja) 1999-09-10 2001-03-27 Kyoji Sano 動力・駆動式モーターを利用して発生する渦巻き状の水流と泡による洗浄効果を利用する眼球表面洗浄器
KR101483402B1 (ko) 2014-10-31 2015-01-15 안선종 안구 건조증 치료 및 시력 강화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40A1 (ko) * 2016-01-04 2017-07-13 안선종 안구 건조증 치료 및 시력강화기
KR102430659B1 (ko) * 2022-01-24 2022-08-08 안선종 안구 건조증 치료용 안구 세척장치
WO2023140690A1 (ko) * 2022-01-24 2023-07-27 안선종 안구 건조증 치료용 안구 세척장치
KR102587690B1 (ko) * 2023-06-13 2023-10-11 주식회사 보타니스코리아 안구 세척기
KR102629340B1 (ko) * 2023-07-14 2024-01-25 안선종 사용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안구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9640A1 (ko)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391Y1 (ko) 시력 강화를 위한 안구 건조증 치료기
JP6290510B2 (ja) 眼球乾燥症治療及び視力強化器
US4758237A (en) Device for applying liquid to the corneal surface of the eye
US2854969A (en) Shampoo, massage and solution applying device
CN104271830B (zh) 洗衣机
US20050229652A1 (en) Apparatus for supplying detergent in washer
CN105996958A (zh) 超声波清洗和水流冲洗复合式双层洗鞋机及其洗鞋方法
KR102430659B1 (ko) 안구 건조증 치료용 안구 세척장치
US6418573B1 (en) Bathing method and bathing apparatus
KR20120053814A (ko) 변좌 세척 장치 및 변좌 세척 장치용 소모품 카트리지
CN108585124A (zh) 一种用于肠道水疗的富氢水及其制备装置
KR102060143B1 (ko) 무세제 세척이 가능한 젖병 세척기
JP2005000013A (ja) ペット洗浄装置
CN104983343A (zh) 一种洗澡机的运行方法
KR20150145763A (ko) 캡슐 설치부를 구비하는 비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어셈블리
JPH0461893A (ja) 噴流自動反転式洗濯機
CN104433130A (zh) 全自动带式洗发机
JP2001046459A (ja) 人体洗浄方法および人体洗浄装置
CN211608453U (zh) 一种洗头机仪器
KR102629340B1 (ko) 사용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안구 세척장치
JPH09225003A (ja) 携帯可能な洗眼器
CN211608454U (zh) 一种盖体组件及洗头机
JPH103062A (ja) コンタクトレンズ洗浄装置
KR100338456B1 (ko) 세탁기및그제어방법
JP2520347B2 (ja) 自動洗髪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