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378Y1 - 조명 스탠드 - Google Patents

조명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378Y1
KR200480378Y1 KR2020150006935U KR20150006935U KR200480378Y1 KR 200480378 Y1 KR200480378 Y1 KR 200480378Y1 KR 2020150006935 U KR2020150006935 U KR 2020150006935U KR 20150006935 U KR20150006935 U KR 20150006935U KR 200480378 Y1 KR200480378 Y1 KR 200480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llumination
lamp
illumination unit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화
Original Assignee
송준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준화 filed Critical 송준화
Priority to KR2020150006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3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3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traction or compression, e.g.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05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books, i.e. reading lights attachable to b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램프가 설치되는 조명부를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로 구분되도록 구성하고, 필요시 제1 조명부가 지지부의 길이를 연장하는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조명을 비출 수 있는 높이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조명 스탠드가 소개된다. 이러한 조명 스탠드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연결되고, 빛을 비춰주는 램프를 구비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조명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로 구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조명부와 상기 제2 조명부에는 제1 램프와 제2 램프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 조명부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를 연장하는 모양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 스탠드{LIGHTING LAMP}
본 고안은 조명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을 비출 수 있는 높이와 각도 범위가 확장되고, 문서 거치 기능이 구비된 조명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의 책상에는 주변을 조명하는 조명 스탠드가 배치되어 업무나 학습의 효율을 높여주고 있다.
이러한 조명 스탠드는 다양한 높이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으나, 높이가 매우 낮은 어린이용 제품과 높이가 상당히 높은 특수한 용도의 제품을 제외하면 대부분 일반적인 높이를 갖도록 제조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높이를 갖는 조명 스탠드를 사용하더라도 때때로 조명 스탠드의 램프가 높은 위치에서 빛을 비춰주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두께가 두꺼운 다른 물품 위에 조명 스탠드를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면 조명 스탠드가 쉽게 넘어질 위험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조명 스탠드의 경우, 램프가 설치된 조명부가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은 되지만,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지는 못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조명 각도를 만족시켜 주지는 못하였다.
또한, 조명 스탠드의 사용과 더불어 컴퓨터 작업을 많이 하게 되는데, 이때, 문서 등을 거치할 수 있는 문서 거치대를 자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문서 거치대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책상 위의 공간이 비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사무실이나 가정의 메인 조명을 끄고 조명 스탠드만을 사용한 채 문서 작업을 하는 경우, 문서의 내용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213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램프가 설치되는 조명부를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로 구분되도록 구성하고, 필요시 제1 조명부가 지지부의 길이를 연장하는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조명을 비출 수 있는 높이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조명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램프가 설치되는 조명부를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로 구분되도록 구성하고, 제2 조명부가 제1 조명부에 구형의 연결 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조명을 비출 수 있는 각도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조명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램프가 설치되는 조명부의 일측에 스프링 방식에 의해 문서에 압력을 가해 문서를 고정할 수 있는 문서 고정부를 설치함으로써, 책상 위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문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조명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탠드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연결되고, 빛을 비춰주는 램프를 구비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조명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로 구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조명부와 상기 제2 조명부에는 제1 램프와 제2 램프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 조명부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를 연장하는 모양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조명부는 다양한 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조명부에 구형의 연결 부재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조명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평행하도록 접혀질 수 있고, 상기 제1 램프 및 상기 제2 램프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게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제1 조명부가 상기 지지부와 평행하도록 접혀진 상태일 때, 상기 제1 램프 및 상기 제2 램프에 의해 간접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간접조명용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조명부에는 스프링 방식에 의해 문서에 압력을 가해 문서를 고정할 수 있는 문서 고정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서 고정부는 상기 제1 조명부와 더불어 집게 형상이 되도록 상기 제1 조명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문서 고정부의 회동 지점에는 회동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문서 고정부는 회동 지점을 기준으로 길이가 짧은 제1 단부와 길이가 긴 제2 단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단부와 인접한 상기 제1 조명부에는 상기 제1 단부가 회동하면서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명 스탠드에 따르면, 램프가 설치되는 조명부를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로 구분되도록 구성하고, 필요시 제1 조명부가 지지부의 길이를 연장하는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조명을 비출 수 있는 높이 범위가 확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램프가 설치되는 조명부를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로 구분되도록 구성하고, 제2 조명부가 제1 조명부에 구형의 연결 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조명을 비출 수 있는 각도 범위가 확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램프가 설치되는 조명부의 일측에 스프링 방식에 의해 문서에 압력을 가해 문서를 고정할 수 있는 문서 고정부를 설치함으로써, 책상 위의 공간 활용성이 높아질 수 있게 되고, 문서의 가독성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스탠드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스탠드의 접혀진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스탠드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조명을 비출 수 있는 각도 범위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스탠드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조명을 비출 수 있는 높이 범위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스탠드에 적용된 문서 거치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스탠드에 적용된 문서 거치부에 문서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스탠드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스탠드의 접혀진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스탠드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조명을 비출 수 있는 각도 범위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스탠드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조명을 비출 수 있는 높이 범위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스탠드에 적용된 문서 거치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스탠드에 적용된 문서 거치부에 문서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탠드는 베이스 플레이트(30)에 설치되는 지지부(100)와, 이 지지부(100)에 연결되고, 빛을 비춰주는 램프를 구비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조명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제1 조명부(200)와 제2 조명부(300)로 구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조명부(200)와 상기 제2 조명부(300)에는 제1 램프(220)와 제2 램프(320)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램프(220)와 상기 제2 램프(320)는 동시에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각각 별개로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00)는 대략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110)와 이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힌지(1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1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고정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00)의 몸체(11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 조명부(200)와 상기 제2 조명부(300)가 상기 지지부(100)에 대해 평행하도록 접혀진 상태일 때, 상기 제1 램프(220) 및 상기 제2 램프(320)에 의해 간접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간접조명용 홀(1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탠드는 간접 조명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일반적인 조명 스탠드와 비교해 볼 때, 보다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조명부(200)는 대략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210)와, 이 몸체(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빛을 비춰주는 제1 램프(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조명부(200)의 몸체(210)는 상기 지지부(100)의 힌지(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 조명부(20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부(100)의 길이를 연장하는 모양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조명부(200)가 상기 지지부(100)의 길이를 연장하는 모양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2 조명부(300)에 의해 빛을 비추는 경우, 높은 위치에서 빛을 비춰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에 일반적인 조명 스탠드와 비교해 볼 때, 조명을 비출 수 있는 높이 범위가 확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조명부(300)는 대략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310)와, 이 몸체(3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빛을 비춰주는 제2 램프(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조명부(300)의 몸체(310)는 상기 제1 조명부(200)의 몸체(210)에 구형의 연결 부재(20)를 매개로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탠드는 상기 제2 조명부(300)가 구형의 연결 부재(20)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조명 스탠드와 비교해 볼 때, 조명을 비출 수 있는 각도 범위가 확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조명부(300)에는 스프링 방식에 의해 문서(P)에 압력을 가해 문서를 고정할 수 있는 문서 고정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문서 고정부(400)는 장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조명부(200)와 더불어 집게 형상이 되도록 상기 제1 조명부(200)의 몸체(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문서 고정부(400)의 회동 지점에는 회동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스프링(S)이 설치되며, 상기 문서 고정부(400)는 회동 지점을 기준으로 길이가 짧은 제1 단부(410)와 길이가 긴 제2 단부(420)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단부(410)와 인접한 상기 제1 조명부(200)의 몸체(210)에는 상기 제1 단부(410)가 회동하면서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210a)이 형성된다.
상기 문서 고정부(400)를 이용하여,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문서(P)를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문서 고정부(400)의 제1 단부(410)를 화살표(A)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제1 단부(410)가 상기 제1 조명부(200)의 삽입 홈(210a)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문서 고정부(400)는 회동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하게된다. 이때, 상기 문서 고정부(400)의 제2 단부(420)는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조명부(200)의 몸체(210)와 상기 제2 단부(420) 사이의 공간이 벌어지게 되고, 이 벌어진 틈으로 문서(P)를 삽입한 후 상기 제1 단부(41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게 되면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단부(420)는 상기 문서(P)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상기 문서(P)는 상기 제2 단부(420)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탠드는 문서 고정부(400)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문서 거치대가 필요치 않게 되어 책상 위의 공간 활용성이 높아질 수 있고, 조명 스탠드의 빛이 문서를 근거리에서 비춰주게 되어 주위가 어두운 경우에도 문서(P)에 대한 가독성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탠드에 따르면, 램프가 설치되는 조명부를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로 구분되도록 구성하고, 필요시 제1 조명부가 지지부의 길이를 연장하는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조명을 비출 수 있는 높이 범위가 확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램프가 설치되는 조명부를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로 구분되도록 구성하고, 제2 조명부가 제1 조명부에 구형의 연결 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조명을 비출 수 있는 각도 범위가 확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램프가 설치되는 조명부의 일측에 스프링 방식에 의해 문서에 압력을 가해 문서를 고정할 수 있는 문서 고정부를 설치함으로써, 책상 위의 공간 활용성이 높아질 수 있게 되고, 문서의 가독성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 : 힌지
20 : 구형의 연결 부재
30 : 베이스 플레이트
100 : 지지부
120 : 간접조명용 홀
200 : 제1 조명부
210a : 삽입 홈
220 : 제1 램프
300 : 제2 조명부
320 : 제2 램프
400 : 문서 고정부
410 : 제1 단부
420 : 제2 단부

Claims (5)

  1.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연결되고, 빛을 비춰주는 램프를 구비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조명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로 구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조명부와 상기 제2 조명부에는 제1 램프와 제2 램프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 조명부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를 연장하는 모양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조명부에는 문서에 압력을 가해 문서를 고정할 수 있는 문서 고정부가 설치되되,
    상기 문서 고정부는 상기 제1 조명부와 더불어 집게 형상이 되도록 상기 제1 조명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문서 고정부의 회동 지점에는 회동시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문서 고정부는 회동 지점을 기준으로 길이가 짧은 제1 단부와 길이가 긴 제2 단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단부와 인접한 상기 제1 조명부에는 상기 제1 단부가 회동하면서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스탠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명부는 다양한 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조명부에 구형의 연결 부재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스탠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평행하도록 접혀질 수 있고, 상기 제1 램프 및 상기 제2 램프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게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제1 조명부가 상기 지지부와 평행하도록 접혀진 상태일 때, 상기 제1 램프 및 상기 제2 램프에 의해 간접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간접조명용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스탠드.
  4. 삭제
  5. 삭제
KR2020150006935U 2015-10-26 2015-10-26 조명 스탠드 KR200480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35U KR200480378Y1 (ko) 2015-10-26 2015-10-26 조명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35U KR200480378Y1 (ko) 2015-10-26 2015-10-26 조명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378Y1 true KR200480378Y1 (ko) 2016-05-17

Family

ID=5609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935U KR200480378Y1 (ko) 2015-10-26 2015-10-26 조명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3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293A (ko) 2022-02-18 2023-08-2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이조절형 조명 스탠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293A (ko) 2022-02-18 2023-08-2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이조절형 조명 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2846B2 (en) Folding base LED diamond mirror
CN108064328B (zh) 一种台灯
JP2009147037A (ja) 電子機器の支持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534004B2 (ja)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支持物
KR200480378Y1 (ko) 조명 스탠드
CN208832192U (zh) 照明组件及照明灯具
JP5700159B1 (ja) 照明装置
KR200480428Y1 (ko) 문서 고정 겸용 스탠드 조명
CN103871322A (zh) 显示器
TWI532951B (zh) 燈罩及燈具
EP2009661A3 (en) Rotary device
KR200325083Y1 (ko) 실내등 겸용 스탠드
KR101366690B1 (ko) 조명 장치
JP7169518B2 (ja) 照明装置
JP6407648B2 (ja) 照明装置
JP2020194750A (ja) 照明具及び什器
KR101889890B1 (ko) 독서대
US944939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transforming into bookshelf thereof
JP6949355B2 (ja) 被支持体の支持構造
KR100965858B1 (ko) 전기 스탠드용 틸팅힌지
JP2005203137A (ja) 電気スタンド
KR100783076B1 (ko) 진열장 조명장치
KR200405519Y1 (ko) 탁상용 전기 스탠드
JP3125271U (ja) 電気スタンド用調整構造
WO2016166665A1 (en) Portable reflective light sour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