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253Y1 - 열 발전소 분진 톤백 - Google Patents

열 발전소 분진 톤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253Y1
KR200480253Y1 KR2020150002104U KR20150002104U KR200480253Y1 KR 200480253 Y1 KR200480253 Y1 KR 200480253Y1 KR 2020150002104 U KR2020150002104 U KR 2020150002104U KR 20150002104 U KR20150002104 U KR 20150002104U KR 200480253 Y1 KR200480253 Y1 KR 200480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lifting belt
spout
silo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팍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팍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팍스코리아
Priority to KR20201500021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2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2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 발전소 사일로를 통해 배출되는 분진을 담아내되, 사일로의 고열에 의한 화재발생 위험이 없으며, 분진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분진의 적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열 발전소 분진 톤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 발전소 분진 톤백{A TON BAG FOR DUST FROM THERMAL POWER PLANT}
본 고안은 열 발전소 사일로를 통해 배출되는 분진을 담아내되, 사일로의 고열에 의한 화재발생 위험이 없으며, 분진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분진의 적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열 발전소 분진 톤백에 관한 것이다.
톤백(ton bag)은 분진, 비료, 광물, 화학원료, 곡물 등의 내용물을 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백(bag)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내용물의 적재, 보관 또는 운반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기존 톤백의 대부분 PE, PP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발전소, 한국 지역난방 공사 등의 사일로에서 배출되는 분진을 담기 위해 사일로에 가까이 대게 되면 사일로의 고열에 의해 톤백의 재질이 변형되면서 화재 발생 등의 문제를 야기하여 사용상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일로에서 배출되는 분진은 미세입자이기 때문에 사일로에서 배출되는 과정에서 대기중으로 퍼져 나가 작업자의 피부, 눈, 호흡기에 침투하여 각종 질환을 일으켜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고열의 사일로에서 배출되는 분진을 안전하고, 청결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담아낼 수 있도록 하는 톤백(ton bag)을 제공하여, 이와 같은 기존 톤백(ton bag)이 갖고 있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35558(등록일자 2013.02.1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4818(등록일자 2014.08.2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54313(공개일자 2006.05.22)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99622(공개일자 2005.10.1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41487(등록일자 2008.08.1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4432(등록일자 2012.05.0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17900(등록일자 2008.03.24)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열 발전소의 사일로를 통해 수거되는 분진을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담아낼 수 있도록, 열 발전소의 사일로 하부 배출구의 형상에 맞춰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광목 원단으로 이루어진 스파우트(spout)가 형성되고, 분진으로 채워진 톤백으로부터 분진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묶음부가 형성되며, 기계 장비를 통해 분진이 채워진 톤백을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리프팅 벨트를 포함하는 열 발전소 분진 톤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분진을 수용하기 위해, 4개의 측단부와 하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재봉되어 몸통부를 밀폐하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 관통홀의 테두리에 하단부가 재봉되어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되되, 광목 원단으로 이루어진 스파우트(spout)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 네 모서리 각각에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리프팅 벨트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고리가 형성되고, 양측의 고리가 각각 상기 제1리프팅 벨트와 결합을 이루는 제2리프팅 벨트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과, 상기 스파우트(spout)의 일측에 형성되는 묶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 발전소 분진 톤백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진 톤백(ton bag)은 사일로의 분진을 효과적으로 수거하기 위한 광목 원단의 스파우트(spout)가 형성되어 있어, 고열의 사일로 가까이 가져가거나 또는 접하더라도 열에 의한 변형, 화재 발생 등의 위험이 없어 안전하게 분진의 수거가 가능하다.
그리고 사일로의 하부 배출부분을 스파우트(spout)에 끼워 넣어 분진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일로로부터 분진이 배출과정에서 분진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위험을 최소화하여 작업장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미세 분진에 의한 작업자의 호흡기 질환, 피부질환 등의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외에 본 고안에 따른 분진 톤백(ton bag)은 고탄성 재질의 벨트가 형성되어 있어 기계를 통한 효율적인 운반이 가능하여 인건비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진 톤백(ton bag)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진 톤백(ton bag)을 열 발전소의 사일로에 접근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진 톤백(ton bag)을 열 발전소의 사일로 저부 배출부에 끼워 넣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열 발전소 분진 톤백의 기술 구성을 도면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열 발전소 분진 톤백(1)은 분진을 수용하기 위해, 4개의 측단부와 하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몸통부(10)와,
상기 몸통부(10)의 상부에 재봉되어 몸통부(10)를 밀폐하되, 중앙에 관통홀(201)이 형성되는 상단부(20)와,
상기 상단부(20) 관통홀(201)의 테두리에 하단부가 재봉되어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되되, 광목 원단으로 이루어진 스파우트(spout)(30)와,
상기 몸통부(10)의 상부 네 모서리 각각에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리프팅 벨트(40)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고리가 형성되고, 양측의 고리가 각각 상기 제1리프팅 벨트(40)와 결합을 이루는 제2리프팅 벨트(50)와,
상기 몸통부(10)의 일측과, 상기 스파우트(spout)(30)의 일측에 형성되는 묶음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통부(10), 상단부(20), 묶음부(60)는 기존 벌크 백(bulk bag) 재질인 PE, PP로 이루어지나, 상기 스파우트(spout)(30)는 사일로의 하부 배출부에 근접하거나 또는 접촉하게 되는 부분으로서 고열상태의 사일로의 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또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고열에 견디는 광목원단으로 이루어진다.
광목(grey cotton sheeting)은 면직물로서 본목과 달리 서양목처럼 폭을 넓게 짠 직물이다. 그 성분 및 염색성은 본목과 같으며 광목, 내광목, 당목이 있다.
상기 광목 원단은 별도의 처리 없이 그대로도 사용가능하나, 사용상의 안전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방염처리 할 수도 있다.
이때 방염처리는 할로겐계 난연제인 PBDPO(Pentabromodiphenyl oxide) 5~15wt%; 내열제인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나마이드) 5~15wt%;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말레산, 수산화나트륨, 폴리메틸올프로판글리시딜에테르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0.5~2.5wt%; 분산제인 암모늄 클로라이드(Ammonium chloride) 0.1~1.5wt%; 에탄올(Ethanol) 2.0~4.5wt%; 소포제인 실리콘 오일(Silicon oil) 0.01~0.2wt%; 물(Water) 77~8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방염제로 방염처리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할로겐계 난연제인 PBDPO(Pentabromodiphenyl oxide) 13.8wt%;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1.4wt%; 암모늄 클로라이드(Ammonium chloride) 0.66wt%; 에탄올 3.3wt%; 실리콘 오일 0.066wt%; 물(Water) 80.774wt%의 혼합으로 조성된 방염제로 방염처리한다.
광목 원단에 방염제가 균일하게 침투되도록 광목 원단을 방염제에 침지시킨 후, 패딩(padding) 공정을 거쳐 105~115℃에서 2~5분간 전처리하고, 텐타 쳄버(tenter chamber)의 온도 190~200℃에서 2~5분간 전처리한다.
전처리 후에는 58~62℃에서 10~20분 동안 세척하고, 세탁한 광목원단을 48~52℃에서 24시간 건조한다.
상기 몸통부(10)의 구성은 기존 분진 톤백(1)과 차이가 없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분진 톤백(1)의 상부를 밀폐시키면서 중앙부에 광목 원단의 스파우트(spout)를 형성함으로써, 기존 분진 톤백(1)과 차별화를 이루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광목 원단의 스파우트(spout)가 없는 경우에는 열에 약한 PE, PP 재질의 몸통부(10)를 사일로에 근접하도록 하여 분진을 담아 내야 하기 때문에 고열의 사일로에 의한 몸통부(10)의 심각한 형태 변형과 심한 경우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위험이 있어 효율적으로 분진을 담아내기 어렵다.
상기 광목 원단은 열전도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또한 열에 강한 특성이 있어 사일로에 근접하거나 또는 접하더라도 사일로의 고열에 의한 형태 변형 또는 화재 위험이 없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사일로로부터 분진을 회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정적인 분진 회수는 미세 분진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 또한 방지하여 줌으로써 작업장 환경 상태를 개선시켜 주어 작업자의 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파우트(spout)의 직경과 폭 또는 두께는 사용 목적에 따라 가변 가능하다. 단, 스파우트(spout)의 상부를 바깥 방향으로 1회 접어 봉재시 재단 부위에서 올풀림이 없도록 상부 끝 원단을 1회 접어서 봉재하여야 한다.
상기 몸통부(10) 상부 네 모서리 형성되는 고리 모양의 제1리프팅 벨트(40)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고리가 형성되고, 양측의 고리가 각각 상기 제1리프팅 벨트(40)와 결합을 이루는 제2리프팅 벨트(50)는 분진 톤백(1)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리프팅 벨트(40) 외에 추가로 톤백(1)의 상단부(20)와 수평을 이루는 제2리프팅 벨트(50) 형성함으로써, 지게차 포크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리프팅 벨트(40)와 제2리프팅 벨트(50)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부텐, 폴리락트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설폰, 액정 중합체, 폴리에틸렌-코-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환형 폴리올레핀,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Poly(ethylene-co-butyl acrylate-co-glycidyl methacrylate)(E-BA-GMA) 100중량부에 대해 Dicumyl peroxide (DCP) 0.25~1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융혼합된 DCP modified E-BA-GMA 75~85wt%; Triazole-PVOH 15~25wt%의 배합비로 이루어진 열가소성탄성체(energetic thermoplastic elastomer, ETPE)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고강도 탄성 벨트로서, 높은 신축성과 강도로 인해 안정적인 톤백(1) 운반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열가소성탄성체의 Triazole-PVOH의 함량이 15wt% 미만이거나 또는 2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탄성회복력이 사라지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통부(10)의 일측과, 상기 스파우트(spout)(30)의 일측에 형성되는 묶음부(60)는 미세한 분진이 분진 톤백(1)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서, 기존 톤백을 이용하여 분진 포집시에는 테이프를 이용하여 봉함으로써 분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묶음부(60)를 통해 몸통부(10)에서 1차로 묶어주고, 다시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파우트(spout)(30)에서 2차로 묶어주어 분진 톤백(1) 내에 채워져 있는 분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진 톤백은 기존의 PE, PP 재질의 벌크 백(bulk bag)과 비교하여 볼 때, 효과적으로 분진 포집이 가능하고, 화재 발생 등의 문제를 해소하며, 미세 분진이 외부로 방출되어 작업자에게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없으며, 또한 분진 톤백의 운반이 간편하여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1: 분진 톤백
10: 몸통부
20: 상단부
30: 스파우트(spout)
40: 제1리프팅 벨트
50: 제2리프팅 벨트
60: 묶음부

Claims (3)

  1. 분진을 수용하기 위해, 4개의 측단부와 하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몸통부(10)와,
    상기 몸통부(10)의 상부에 재봉되어 몸통부(10)를 밀폐하되, 중앙에 관통홀(201)이 형성되는 상단부(20)와,
    상기 상단부(20) 관통홀(201)의 테두리에 하단부가 재봉되어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되되, 광목 원단으로 이루어진 스파우트(spout)(30)와,
    상기 몸통부(10)의 상부 네 모서리 각각에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리프팅 벨트(40)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고리가 형성되고, 양측의 고리가 각각 상기 제1리프팅 벨트(40)와 결합을 이루는 제2리프팅 벨트(50)와,
    상기 몸통부(10)의 일측과, 상기 스파우트(spout)(30)의 일측에 형성되는 묶음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spout)는 방염처리된 광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염처리는 할로겐계 난연제인 PBDPO(Pentabromodiphenyl oxide) 5~15wt%; 내열제인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나마이드) 5~15wt%;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말레산, 수산화나트륨, 폴리메틸올프로판글리시딜에테르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0.5~2.5wt%; 분산제인 암모늄 클로라이드(Ammonium chloride) 0.1~1.5wt%; 에탄올(Ethanol) 2.0~4.5wt%; 소포제인 실리콘 오일(Silicon oil) 0.01~0.2wt%; 물(Water) 77~8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방염제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 발전소 분진 톤백.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리프팅 벨트(40)와 제2리프팅 벨트(50)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부텐, 폴리락트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설폰, 액정 중합체, 폴리에틸렌-코-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환형 폴리올레핀,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Poly(ethylene-co-butyl acrylate-co-glycidyl methacrylate)(E-BA-GMA) 100중량부에 대해 Dicumyl peroxide (DCP) 0.25~1중량부를 첨가하여 용융혼합된 DCP modified E-BA-GMA 75~85wt%; Triazole-PVOH 15~25wt%의 배합비로 이루어진 열가소성탄성체(energetic thermoplastic elastomer, ETPE)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 발전소 분진 톤백.
KR2020150002104U 2015-04-03 2015-04-03 열 발전소 분진 톤백 KR200480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104U KR200480253Y1 (ko) 2015-04-03 2015-04-03 열 발전소 분진 톤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104U KR200480253Y1 (ko) 2015-04-03 2015-04-03 열 발전소 분진 톤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253Y1 true KR200480253Y1 (ko) 2016-04-29

Family

ID=55916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104U KR200480253Y1 (ko) 2015-04-03 2015-04-03 열 발전소 분진 톤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2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247A (ko) 2020-12-01 2022-06-09 강연정 유리섬유 감융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114B1 (ko) * 2014-08-06 2014-11-12 최용덕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114B1 (ko) * 2014-08-06 2014-11-12 최용덕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247A (ko) 2020-12-01 2022-06-09 강연정 유리섬유 감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253Y1 (ko) 열 발전소 분진 톤백
CN103480636A (zh) 一种彻底处理医疗废弃物的方法和装置
JP3229747U (ja) リサイクル容易な使い捨て弁当箱
KR101459114B1 (ko)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CN207932351U (zh) 一种可重复使用的吨装袋
CN205418612U (zh) 一种可回用防泄漏包装袋
JP2015044601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CN212525413U (zh) 固态有机物危险废物的预处理系统
CN205802043U (zh) 耐高温复合集装袋
CN207607877U (zh) 用于化工液体包装的组合式周转箱
GB2552196A (en) Enclosure
CN214190785U (zh) 一种新型危废容器
DE2233435A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en zur beseitigung von infektioesen abfallstoffen, insbesondere klinischen abfallstoffen
CN204916524U (zh) 一种多功能编织袋
CN210479646U (zh) 一种防渗漏吨袋
CN214986893U (zh) 生物补料瓶专用防护箱
CN206218467U (zh) 一种具有气密性的运输包装箱
CN210972377U (zh) 一种防静电集装袋
CN206231799U (zh) 一种定型夹层复合编织袋
CN205293720U (zh) 防潮防漏复合集装袋
CN212501998U (zh) 一种颗粒化工品用高强度柔性集装袋
CN212501997U (zh) 一种化工用防渗漏吨袋柔性运输包装容器
CN211033752U (zh) 一种危废吨袋
CN213567745U (zh) 一种便于高效装卸的大容量吨包
CN205931723U (zh) 一种防潮型复合编织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