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018Y1 -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018Y1
KR200480018Y1 KR2020150005320U KR20150005320U KR200480018Y1 KR 200480018 Y1 KR200480018 Y1 KR 200480018Y1 KR 2020150005320 U KR2020150005320 U KR 2020150005320U KR 20150005320 U KR20150005320 U KR 20150005320U KR 200480018 Y1 KR200480018 Y1 KR 200480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main body
wet tissue
guide rail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내츄럴펄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내츄럴펄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내츄럴펄프
Priority to KR2020150005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0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0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0Non-removable lids or covers linear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provided with transient audible or visual signaling means, e.g. for indicating dispensing, or other illuminating or acoustic devices, e.g. whis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티슈가 보관된 케이스 상부에 슬라이딩 타입의 덮개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원터치로 덮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는 물티슈 용기의 상부에 부착 고정되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도어;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수용부의 좌, 우 양측에 전후방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COVER FOR WET WIPES A SLIDING TYPE}
본 고안은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티슈가 보관된 케이스 상부에 슬라이딩 타입의 덮개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원터치로 덮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위생에 대한 관념이 높아짐에 따라 잦은 외부 활동에 대한 위생 관리방법에 대해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빠른 위생관리를 위해 수분을 갖는 일회용 티슈로 손발의 이물질을 닦아 제거하는 일회용 티슈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일회용 티슈는 펄프나 부직포(nonwoven)로 제조되며, 수분의 함유 여부에 따라 건조티슈와 물티슈로 구분된다.
건조티슈는 가볍고 휴대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피부가 연약한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한편, 물티슈는 표면이 부드러운 부직포를 사용하고 일정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어 영유아의 피부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부직포에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수분증발을 막기 위해 개폐가 가능한 밀폐용기 내에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부직포에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철저한 위생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로 들어, 밀폐용기의 밀폐가 불량일 경우에 내부 수분이 증발되거나 세균번식에 의한 감염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물티슈에 무색투명의 살균제와 방부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첨가제는 인체에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성분과 피부 발진을 유발하는 알레르기 인자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유해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최대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물티슈를 꺼낸 후 덮개를 닫았을 때 밀봉상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지속적인 수분증발이 유발되어 일정시간 후에는 물티슈 용기로부터 티슈를 꺼내도 물기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등 개봉 후 티슈의 수분함량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 국내등록특허 제10-1531830호(2015년 06월 22일 등록) : 국내등록특허 제10-1528356호(2015년 06월 05일 등록) : 국내등록특허 제10-1498354호(2015년 02월 25일 등록) : 국내등록특허 제10-1458113호(2014년 10월 29일 등록)
본 고안은 물티슈가 보관된 케이스 상부에 슬라이딩 타입의 덮개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원터치로 덮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는 물티슈 용기의 상부에 부착 고정되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도어;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수용부의 좌, 우 양측에 전후방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 후방에 각각 부착 고정되고, 고무자석으로 형성된 이동부와 서로 당기는 힘에 의해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자석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본체에 형성된 수용부의 후방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에 고정되며,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 슬라이딩 도어를 당겨 고정 지지하는 탄성부;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일정속도로 유지되면서 이동되도록 하는 감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속부는, 일단 일부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에 고정되고, 슬라이딩 도어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일정 깊이로 파인 홈 형상으로 구성된 보조레일; 상기 본체의 바닥에 축 체결되고, 상기 보조레일과 치합되는 톱니가 외주면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조레일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보조레일의 이동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회전부; 및 상기 본체의 바닥에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전, 후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보조레일을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설치 고정되고, 외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LED; 상기 가이드 레일의 후방에 설치 고정되고, 후방으로 이동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감지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감지되면 제어부를 통해 상기 LED가 발광되도록 하는 근접센서; 및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근접센서가 감지되면 제어부를 통해 멜로디가 출력되도록 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는 물티슈가 보관된 케이스 상부에 슬라이딩 타입의 덮개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원터치로 덮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가 물티슈 용기에서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가 물티슈 용기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가 열린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에 LED 및 스피커가 설치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가 물티슈 용기에 부착된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슬라이딩 방식을 구비한 개폐방법은 이러한 물티슈 용기에만 한정되어 부착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건조 티슈가 보관된 용기 등 건조티슈 또는 물티슈가 보관된 어떠한 용기라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는 방향을 후방,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는 방향의 반대쪽을 전방이라는 기준으로 설정하고, 이를 방향에 대한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가 물티슈 용기에서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가 물티슈 용기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가 열린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에 LED 및 스피커가 설치된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10)는 물티슈 용기(1)의 상부에 형성된 인출부에 위치하여 개방된 인출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별도의 개폐장치가 없는 비닐 또는 종이 재질의 물티슈 용기(1)의 경우 물티슈를 인출하기 위해 상부에 형성된 인출부를 개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용기 내부에 보관된 물티슈의 수분이 증발되어 물티슈가 점점 건조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티슈 용기(1)의 상부에 물티슈용 덮개(10)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위와 같이 물티슈 용기(1)에 물티슈용 덮개(10)를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물티슈 미 사용시 물티슈 용기(1)에 형성된 인출부를 밀폐하여 물티슈에 남아 있는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물티슈용 덮개는 상, 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덮개를 오픈 할 때 무리한 힘을 가해 손톱이 깨지거나 힘이 약한 어린이가 오픈하기 힘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슬라이딩 도어 방식으로 구성하였고,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물티슈용 덮개(10)를 밀어서 오픈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10)는 본체(100), 슬라이딩 도어(200), 가이드부(300), 탄성부(400), 감속부(500), LED(600), 근접센서(610), 스피커(620), 배터리(630) 및 제어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사각 형태의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면이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0)는 하부면에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가 부착되어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물티슈 용기(1)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경사면의 높이와 동일한 깊이로 파인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110)에는 가이드부(300), 탄성부(400) 또는 감속부(500) 등의 물티슈용 덮개(10)의 구성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수용부(110)의 바닥 중앙에 개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20)는 물티슈 용기(1)에서 인출된 물티슈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특히, 물티슈 용기(1)에 형성된 인출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개구부(120)의 크기를 물티슈 용기(1)에 형성된 인출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여 차이를 둠으로써, 본체(100)에 형성된 개구부(120)가 물티슈 용기(1)에 형성된 인출부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한 측으로 쏠려 위치하여 부착해도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슬라이딩 도어(200)는 얇은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100)의 상부면을 밀폐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물티슈 용기(1)에서 물티슈를 인출하기 위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슬라이딩 도어(200)를 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슬라이딩 도어(200)가 이동되어 본체(100)의 상부를 개방함으로써 사용자가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고, 물티슈 사용이 끝난 후 사용자가 다시 손가락으로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슬라이딩 도어(200)가 본체(100)의 상부를 밀폐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슬라이딩 도어(200)는 본체(100)에 형성된 수용부(110)를 밀폐할 수 있도록 수용부(110)의 형상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본체(100)에 형성된 수용부(110)에 위치하고, 슬라이딩 도어(200)가 이동될 수 있는 안내 및 지지 역할을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가이드 레일(310) 및 이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ㄷ"자 형상의 양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굴곡진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본체(100)에 형성된 수용부(110)의 좌, 우측에 전, 후방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며, 슬라이딩 도어(2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개방된 전, 후방에 설치 고정되고, 슬라이딩 도어(200)의 이동을 제한 하도록 고무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석판(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330)는 슬라이딩 도어(200)의 하부에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310)에 삽입되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330)는 자성체를 갖는 고무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자성에 의해 자석판(320)과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이동부(330)가 가이드 레일(310)의 전방에 구비된 자석판(3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200)에 힘을 가해 밀어주데 되면, 이동부(330)가 자석판(320)에서 이탈되어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이동되면서 후방에 구비된 자석판(320)에 근접하게 되면 자성에 의해 후방에 구비된 자석판(320)에 밀착 고정된다.
이러한 자성체를 갖는 이동부(330)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고정장치가 없어도 슬라이딩 도어(200)를 고정 지지할 수 있고, 쉽고 편리하게 본체(10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탄성부(400)는 외력에 의해 인장되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이 본체(100)에 형성된 수용부(110)의 측벽에 고정되며, 타단은 슬라이딩 도어(20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400)는 본체(100)의 상부를 밀폐하고 있는 슬라이딩 도어(20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본체(100)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400)는 가이드 레일(310)의 전방에 구비된 자석판(320)에서 이동부(330)가 자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로 이동되면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20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고정 지지할 수 있는데, 이때, 이동부(330)는 가이드 레일(310)의 후방에 구비된 자석판(32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330) 및 자석판(320)의 자기력은 탄성부(400)의 탄성력보다 크도록 하는 것일 바람직하다.
즉, 슬라이딩 도어(200)가 본체(100) 상부를 밀폐한 상태가 되면 탄성부(400)는 인장된 상태이므로 자석판(320)에 밀착된 고정부(210)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이동부(330) 및 자석판(320)의 자기력이 탄성력보다 크도록 한다.
감속부(500)는 탄성부(400)에 의해 빠르게 이동되는 슬라이딩 도어(200)를 일정속도로 유지하면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감속부(500)는 보조레일(510), 회전부(520) 및 격벽(5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레일(510)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정 길이를 갖는 띠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일정 깊이로 파인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레일(510)은 일단 일부가 슬라이딩 도어(200)의 하부에 고정되고, 슬라이딩 도어(200)의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회전부(520)를 경유하여 격벽(530)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520)는 본체(100)의 바닥에 형성된 축에 삽입되고, 보조레일(510)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외주면에는 보조레일(510)과 치합되는 톱니가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520)는 탄성부(400)에 의해 이동되는 보조레일(510)의 이동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스무스(smooth)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격벽(530)은 일정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며, 본체(100)에 축 체결된 회전부(520)와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격벽(530)은 본체(100)의 바닥에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보조레일(510)의 타단 일부가 삽입되어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보조레일(510)을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감속부(500)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탄성부(400)에 의해 빠르게 이동되는 슬라이딩 도어(200)를 회전부(520)와 보조레일(510)이 치합되도록 하여 일정한 속도로 스무스(smooth)하게 이동되게 하는 장점이 있고, 빠르게 이동된 슬라이딩 도어(200)에 의해 탄성부(400)가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LED(600)는 본체(100)에 형성된 경사면에 삽입 고정되고, 본체(100)의 경사면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며,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될 수 있다. LED(600)는 제어부(6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근접센서(610)의 작동에 의해 제어부(6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도어(20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근접센서(610)가 작동하여 제어부(640)를 통해 LED(600)를 발광시켜 본체(100)의 주변을 밝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LED(600)를 물티슈용 덮개(10)에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주변이 깜깜한 장소에서 물티슈를 쉽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물티슈용 덮개(10)가 미려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근접센서(610)는 가이드 레일(310)의 후방에 구비된 자석판(320)에 설치 고정되고, 제어부(6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동부(330)가 근접하거나 밀착되면 작동된 감지 신호는 제어부(640)로 보낼 수 있다. 근접센서(610)는 이동부(330)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200)가 오픈된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도어(200)가 오픈되면 근접센서(610)의 작동 신호를 제어부(640)로 보내고 제어부(640)는 근접센서(610)의 신호를 받아 배터리(630)의 전원을 LED(600)로 인가하여 LED(600)가 발광하게 되고, 슬라이딩 도어(200)가 닫힌 상태가 되면 근접센서(610)의 작동이 멈춰 제어부(640)에서 LED(600)로 인가하는 배터리(630)의 전원을 차단한다.
스피커(620)는 본체(100)에 형성된 수용부(110)에 설치 고정되고, 제어부(6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640)에 기 설정된 멜로디를 출력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620)에서 출력되는 멜로디는 근접센서(610)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제어부(6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스피커(620)를 물티슈용 덮개(10)에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불가능한 가방 등에 보관될 경우 슬라이딩 도어(200)가 오픈되면 멜로디가 출력되어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물티슈 용기(1)가 가방 등 밀폐된 공간에 장기간 보관될 경우 물티슈의 수분이 빠르게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200)의 개폐 유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10)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도어(200)의 상부면을 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가이드 레일(310)의 전방에 구비된 자석판(320)에 밀착 고정된 고정부(210)가 자석판(320)에서 이탈되면서 탄성부(400)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200)가 후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터치 방식의 적은 힘으로도 슬라이딩 도어(200)를 이동시키기 위해 가이드 레일(310)의 전방에 구비된 자석판(320)에서 이동부(330)를 자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손을 놓게되면 슬라이딩 도어(200)가 탄성부(40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 도어(200)가 탄성부(400)의 탄성력에 의해 빠르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감속부(500)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딩 도어(200)에 구비된 보조레일(510)과 회전부(520)의 마찰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200)가 천천히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다음, 슬라이딩 도어(20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근접센서(61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를 제어부(640)로 보내고, 제어부(640)에서는 배터리(630)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인가되어 LED(600)가 발광되게 한다. 이때, LED(600)가 발광 됨과 동시에 제어부(640)에서 기 설정된 멜로디를 스피커(62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물티슈의 사용이 끝난 후 슬라이딩 도어(200)를 전방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이동부(330)가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근접센서(610)에서 멀어져 제어부(640)로 보내는 감지신호를 중단되고, 감지신호가 중단되면 LED(600)로 공급되는 배터리(630)의 전원을 제어부(640)에서 차단함과 동시에 스피커(620)에서 출력되는 멜로디가 중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도어(200)가 이동되어 본체(100)의 상부를 밀폐하게 되면 탄성부(400)가 인장 되면서 슬라이딩 도어(200) 하부에 구비된 이동부(330)가 자성에 의해 가이드 레일(310)의 전방에 구비된 자석판(320)에 밀착 고정되게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물티슈 용기 10; 물티슈용 덮개
100; 본체 110; 수용부
120; 개구부 200; 슬라이딩 도어
210; 고정부 300; 가이드부
310; 가이드 레일 320; 자석판
330; 이동부 400; 탄성부
500; 감속부 510; 보조레일
520; 회전부 530; 격벽
600; LED 610; 근접센서
620; 스피커 630; 배터리
640; 제어부

Claims (4)

  1. 물티슈 용기의 상부에 부착 고정되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도어;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수용부의 좌, 우 양측에 전후방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도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 후방에 각각 부착 고정되고, 고무자석으로 형성된 상기 이동부와 서로 당기는 힘에 의해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자석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본체에 형성된 수용부의 후방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에 고정되며,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 슬라이딩 도어를 당겨 고정 지지하는 탄성부;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일정속도로 유지되면서 이동되도록 하는 감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속부는,
    일단 일부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에 고정되고, 슬라이딩 도어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일정 깊이로 파인 홈 형상으로 구성된 보조레일;
    상기 본체의 바닥에 축 체결되고, 상기 보조레일과 치합되는 톱니가 외주면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조레일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보조레일의 이동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회전부; 및
    상기 본체의 바닥에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전, 후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보조레일을 좌, 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설치 고정되고, 외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LED;
    상기 가이드 레일의 후방에 설치 고정되고, 후방으로 이동된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감지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감지되면 제어부를 통해 상기 LED가 발광되도록 하는 근접센서; 및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근접센서가 감지되면 제어부를 통해 멜로디가 출력되도록 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
KR2020150005320U 2015-08-10 2015-08-10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 KR200480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320U KR200480018Y1 (ko) 2015-08-10 2015-08-10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320U KR200480018Y1 (ko) 2015-08-10 2015-08-10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018Y1 true KR200480018Y1 (ko) 2016-04-01

Family

ID=5579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320U KR200480018Y1 (ko) 2015-08-10 2015-08-10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0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5533A (ja) * 2012-09-27 2014-04-17 Daio Paper Corp 薄葉紙収納容器
CN112357294A (zh) * 2020-10-23 2021-02-12 东台远东纸业有限公司 一种宠物连卷尿垫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750B1 (ko) * 2005-12-16 2007-08-17 강성준 개방감지기능을 구비한 병마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750B1 (ko) * 2005-12-16 2007-08-17 강성준 개방감지기능을 구비한 병마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5533A (ja) * 2012-09-27 2014-04-17 Daio Paper Corp 薄葉紙収納容器
CN112357294A (zh) * 2020-10-23 2021-02-12 东台远东纸业有限公司 一种宠物连卷尿垫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852Y1 (ko) 살균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전자담배
DE60113621D1 (de) Schliesseinheit für das Verlangsamen schiebbarer Teile von Möbelstücken
KR200480018Y1 (ko) 슬라이딩 타입을 갖는 물티슈용 덮개
KR20130108431A (ko) 쓰레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관형 필름 내에 쓰레기를 포장하기 위한 방법
MY163149A (en) Article of furniture
ITBO20080591A1 (it) Porta ad anta scorrevole motorizzata per cabina doccia
US9772078B2 (en) Lighted toilet paper holder
JP2005170545A (ja) ゴミ箱
ATE544502T1 (de) Luftfilter und filtereinsatz
JP2004231237A (ja) センサ付き収容箱
BR9604946A (pt) Receptáculo de disco compacto ejetável
EP1038473A3 (de) Rastvorrichtung
KR20110109357A (ko) 변기 살균 장치
KR100756494B1 (ko) 신발 살균건조기
KR20160110015A (ko) 생리대용 휴지통
KR100827868B1 (ko) 매립형 욕실 수납함
KR100862739B1 (ko) 위생수저통을 구비한 테이블
CN210815386U (zh) 一种内分泌科用试管架
CN206482771U (zh) 老年人尿壶箱
CN201415820Y (zh) 一种纸巾包
CN216567590U (zh) 一种干净卫生的宠物粪便收纳装置
AU2011100772B4 (en) A lid assembly for a bin
CN209789715U (zh) 一种纸巾盒
CN213405388U (zh) 多功能厨房收纳柜
PT1182269E (pt) Porta de enro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