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935Y1 - 헤이즈 방지 모자 - Google Patents

헤이즈 방지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935Y1
KR200479935Y1 KR2020140006973U KR20140006973U KR200479935Y1 KR 200479935 Y1 KR200479935 Y1 KR 200479935Y1 KR 2020140006973 U KR2020140006973 U KR 2020140006973U KR 20140006973 U KR20140006973 U KR 20140006973U KR 200479935 Y1 KR200479935 Y1 KR 200479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upport plate
cover plate
cap
negative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365U (ko
Inventor
홍웨이 저우
Original Assignee
반리프더 (차이나) 인바이어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리프더 (차이나) 인바이어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반리프더 (차이나) 인바이어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04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3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9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5Hats; Caps; Hoods made of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4Ventilating arrangements for hea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밴드와 상기 밴드의 전측에 설치되는 차양을 포함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를 공개하며, 상기 차양은 지지판과 커버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의 중부 후측에는 음이온 발생기 본체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의 중부 전측에는 음이온 발생기 본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가 장착되며, 상기 지지판의 주연부 하측에는 발사 헤드 장착공이 설치되며, 상기 발사 헤드 장착공 내에는 케이블을 통해 음이온 발생기 본체와 연결되는 발사 헤드가 장착되며, 상기 커버판은 상기 지지판과 분리 연결 구조를 통해 결합된다. 본 고안은 헤이즈 방지를 만족하는 조건 하에, 착용감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이즈 방지 모자 {ANTI-HAZE HAT}
본 고안은 헤이즈(haze) 방지 모자와 관련된다.
본 고안은 중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14201213354에 대해 제출한 진일보한 개량으로, 헤이즈 방지 모자의 구체적인 형태이다. 본 고안과 관련된 사항은,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14201213354를 참고하면 된다.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14201213354가 제공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는, 헤이즈 방지 모자에 대한 기초 구조를 제공하며, 이 기초 구조는 캡, 차양을 포함하며, 또한 캡에는 전자장착실 및 전지장착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차양에는 음이온 발생기가 설치되어 있다. 연구개발과 실제 실험성 제작을 통해, 캡에 전자장착실과 전지장착실을 설치하는 것은 조작성이 부족하며, 또한 모자의 착용감에 영향을 미치며, 배치의 합리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실제 사용에 투입하기 전에, 진일보한 개량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헤이즈 방지 모자를 제공하고, 헤이즈 방지를 만족하는 조건하에, 모자의 착용감을 제고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채용하는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헤이즈 방지 모자는 밴드와 상기 밴드의 전측에 설치되는 차양을 포함하며, 상기 차양은 지지판과 커버판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의 중부 후측에는 음이온 발생기 본체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의 중부 전측에는 음이온 발생기 본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가 장착되며, 상기 지지판의 주연부 하측에는 발사 헤드 장착공이 구비되며, 상기 발사 헤드 장착공 내에는 케이블을 통해 음이온 발생기 본체와 연결되는 발사 헤드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판은 상기 지지판과 분리 연결 구조를 통해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라, 밴드를 지지판과 커버판의 분리 연결 구조로 함으로써, 한편으로는 그 내부에 설치하는 음이온 발생기의 조립에 유리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밴드와 연결하는 기타 구조의 설계 제작 및 조립에 유리하다. 또한 음이온 발생기 및 전지를 상대적으로 외측에 설치함으로써, 밴드에 대한 영향이 적고, 착용감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도1은 본 고안의 조합식 헤이즈 방지 모자의 외형 구조 설명도이다.
도2는 차양 지지판 배면의 구조도이다.
도3은 차양 지지판 정면의 구조도이다.
도4는 차양 커버판, 지지판 및 밴드 조립 후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5는 차양 커버판 배면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6은 밴드 길이 조절 구조 설명도이다.
도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모자의 전후(前後)는 전통 관념에 따라 확정한 것이다. 즉 차양(3)이 위치하는 방위가 전(前)이며, 상대적으로, 밴드(5)는 후(後)에 있다. 도1에 도시된 구조에 근거하여, 상하(上下)는 도1에서 세로와 매칭되며, 전후는 도1에서 가로와 매칭된다. 좌우(左右) 방향은 바라보는 상태를 기준으로 확정한다.
도1에 도시된 것은 차양(3), 캡(2) 및 테두리(1)를 구비한 구조이며, 밴드(5)가 존재하는 경우에, 캡(2)은 머리를 부분적으로 덮거나 또는 완전히 덮도록 가공될 수 있으며, 또는 캡이 없이, 도2에 도시된 전면판(4)만 존재하는 구조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1에서, 차양(3)은 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부분을 구비하며, 테두리(1) 주연부에 형성되는 차양 부분을 더 구비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차양(3)은 하나의 차양 구조로 이해될 수 있으며, 밴드(5)와 함께 기초적인 프레임 구조를 구성한다.
프레임 구조는 강성 구조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모자 형체를 만드는 기초 구조를 표시한다.
도1 및 도2에 표시된 헤이즈 방지 모자는 밴드(5) 및 밴드(5) 전측(前側)에 설치되는 차양(3)을 포함하며, 기존의 차양(3) 구조와 구별되게, 도1에서, 차양(3)의 중간 후부(後部)에는 상대적으로 명백한 융기 구조가 구비되며, 또한 전부(前部)의 차양 부분과 매끄럽게 연결된다.
도1에 도시된 차양(3)은 조립으로 형성되는 조립구조부이며, 주요 부분은 하나의 지지판과 하나의 커버판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은 도3에 도시된 차양 지지판 정면(32)이 매칭되며, 상기 커버판은 도5에 도시된 커버판 배면 구조가 도1에 도시된 차양 상부와 매칭되는 구조이다.
도3에서, 지지판에는 음이온 발생기 본체(19) 등과 같이 부품이 장착되어 있으며, 도5에 도시된 구조와 매칭되어, 도1에 도시된 차양(3) 중간 후부의 융기 구조를 형성한다. 전체적으로, 도1에 도시된 융기 구조는, 도3에서 상대적으로 평평한 지지판의 표면과 상응하여, 챔버를 형성한다.
상기 챔버는 지지판 중부(中部) 후측(後側)에 고정되는 음이온 발생기 본체(19)와, 중부 전측에 장착되어 음이온 발생기 본체(19)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21)를 수납하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이온 발생기 본체(19)와 전지(21)는 전후로 배치된다.
도3에서, 전지(21)는 납작한 전지 구조를 채용하여, 배치 공간에 대한 수직 방향의 요구를 감소시킨다.
진일보한 선택에서, 도3에 도시된 전지(21)는 아치형(弧形) 소프트 폴리머 전지를 채용하여, 지지판 상측면의 볼록 곡면 구조와 매칭한다. 소프트 폴리머 전지의 현저한 특징은 외형을 제어할 수 있는데 있어, 상대적으로 콤팩트한 구조 조건 하에 배치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소프트 폴리머 전지의 특징은 중량이 가볍고, 용량이 높은데 있는데, 차양(3)에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착용감에 대한 나쁜 영향을 감소할 수 있으며, 용량이 높아 지속력을 제고하는데 유리하다.
소프트 폴리머 전지는 충전 전지로 배치할 수도 있으며, 차양에 충전 단자를 마련하거나, 또는 전지(21)를 분리하여 충전을 진행할 수도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의 배면 구조는 음이온 발생기의 발사 헤드의 배치를 나타내며, 도면에는 다수의 발사 헤드 장착공(9)이 배치되어 있으며, 발사 헤드는 발사 헤드 장착공(9) 내에 장착되어, 외부를 향해 음이온을 발사할 수 있다.
발사 헤드 장착공(9)은 지지판 하측면의 주연부에 분포되며, 지지판을 상하로 관통하는 통공이다. 도면에서 발사 헤드 장착공(9)은 아래로 연장되는 부분을 더 구비하여, 발사 헤드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발사 헤드 장착공(9)은 접합단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단이 점차 축소되는 구조를 구비하며, 도면에서는 원추형 구조이며, 비교적 높은 구조 강도를 구비하며, 또한 예를 들면 사출 성형의 분리에 유리하다.
나아가, 지지판 및 커버판은 주로 사출 성형을 채용하며, 이에 기초하여, 그 구조는 분리에 유리한 구조 설계를 채용해야 한다.
발사 헤드 장착공(9)의 발사 헤드는 케이블(24)을 통해 음이온 발사기 본체(19)와 서로 연결되며, 도3에서, 전지(21)의 주위에는 복수의 케이블(24)이 구비되어, 발사 헤드 장착공(9)의 위치로 연장되어, 상응하는 발사 헤드와 서로 연결된다.
음이온 발생기의 조립과 보수, 그리고 예를 들면 전지(21)의 교환 또는 필요시 분리 충전을 고려하여, 커버판과 지지판은 분리 연결 구조를 통해 결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판과 지지판 사이에는 예를 들면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접착을 직접 채용할 수 있다. 벨크로 테이프는 찍찍이라고도 불리며, 암수 양면으로 나뉘며, 일면은 작고 부드러운 섬유인 루프(LOOP)이며, 다른 일면은 비교적 딱딱한 띠고리의 후크(HOOK)이다. 벨크로 테이프 구조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치밀하며, 접착 후의 구조의 안정성도 비교적 높다.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하는 실시예에서, 몇가지 간단한 포지셔닝(positioning) 구조를 추가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3에 도시된 삽입공(14)을 채용할 수 있으며, 한쌍의 삽입공(14)을 채용하여 도5에 도시된 삽입돌기(38)와 매칭하여 초보적인 포지셔닝을 진행하고, 그런 다음 벨크로 테이프의 결합을 진행하는 것이, 지지판과 커버판의 신뢰적인 결합에 유리하여, 지지판과 커버판 상에 상호 매칭되는 구조가 결합 상태 하에서 정확하게 결합되는데 유리하다. 예를 들면 도5에 도시된 전지장착실 포지셔닝 홈(33)과 도3에 도시된 포지셔닝 홈(22)의 결합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연결 구조는, 전체적인 외관에 영향이 크지 아니하도록, 작은 나사 연결 구조 형식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판의 상부 표면에 나사 시트를 설치하고, 상응하게, 커버판에 나사 구멍을 뚫어, 장착한 후, 너트를 채용하여 조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연결 구조는 록킹 결합 구조이며, 록킹 결합은 여러가지 형식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록킹 결합 부재를 채용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스냅 단추는 지지판과 커버판에 각각 부착되어, 마주보고 록킹 결합된다. 다른 하나는 피연결 부재 자신의 구조를 채용하여 실현하는 록킹 결합으로, 피연결의 구조 부분은 보통 일정한 탄성 변형 능력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상기 사출 성형 부품은, 대부분 일정한 탄성 변형 능력을 구비하고 있어, 탄성 변형의 방향을 이용하여 가이드를 진행하도록 상응하는 록킹 결합 구조를 설계해 낼 수 있는데, 이는 본 영역의 기술자에게는 쉬운 일이다.
록킹 결합 구조는 예를 들면 핸드폰의 뒷 커버와 핸드폰의 본체의 결합, 완구의 선실과 뚜껑의 연결에 비교적 많이 사용되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나사 등을 배합하여 더 단단히 고정한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분해 결합 구조는 한가지 형식을 채용할 수도 있고, 부합되는 분리 결합 구조를 채용하여 다른 사용 환경에 적응할 수도 있다.
도3 및 상호 매칭되는 도5에서, 상기 록킹 결합 구조는 두가지 기초 구조가 있으며, 이는 포지셔닝 부분과 록킹 부분을 포함한다:
포지셔닝 부분은 대응 삽입되는 삽입공과 삽입돌기이다. 도3에는 다수의 삽입공이 분포한다. 예를 들면 삽입공(14)은, 개체가 비교적 크며, 포지셔닝 이외에 연결 작용이 있다. 삽입공(27), 삽입공(15)은, 개체가 비교적 작으며, 분포가 비교적 많고, 군집된 삽입공을 통해 일정한 연결 작용을 발생하며, 또한 조립에 대한 포지셔닝을 진행한다.
그런 다음 배치되는 록킹 부분은, 대응 삽입되는 삽입공 및 삽입돌기 방향에서 인입되고 또한 탄성 변형을 이용하는 가이드면과 매칭되는 체결돌기세트 또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이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면, 지지판과 커버판의 접합면에서의 긴밀한 결합에 유리하며, 도1에 도시된 전체 구조의 미관성을 보장한다.
상기 내용에서 록킹 부분은 두가지 형식이 있다. 하나는 체결돌기세트로서, 지지판과 커버판에 각각 위치하는 체결돌기는, 가이드면이 서로 대응되며, 가이드면 가이드 종단에는 위치 한정 구조가 설치되는데, 통상은 위치 한정면이며, 가이드 종료 후에 탄성이 복위되어 록킹을 진행한다.
다른 하나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의 구조이다. 체결돌기는 가이드면을 구비하며, 또한 탄성 구조를 구비한다. 체결홈은 록킹면 또는 위치 한정면 만을 구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3에 도시된 체결돌기(26)와, 매칭되는 도5에 도시된 체결홈(29)과 같다.
도3에는 비교적 많은 삽입공이 설치되어 있는데, 만약 앞에서 설명한 록킹 구조가 존재하면, 삽입공은 주로 포지셔닝에 사용되고, 연결에는 사용되지 아니하므로, 그 수량에 대한 요구가 높지 아니하므로, 서로 대응 삽입되는 삽입공과 삽입돌기의 차양 상의 분포는 3곳 이상이며, 또한 전체 분포가 일직선 상에 있지 아니하여, 3각형 분포를 형성하며, 일정한 변형 작용을 구비한 지지판 및 커버판에 대해, 쉽게 포지셔닝을 진행한다.
도3에서, 지지판의 상부 표면에는 전지(21)를 장착하는데 사용하는 포지셔닝 홈(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지(21)가 장착된 후에는, 커버판의 압착 작용을 통해 전지(21)의 신뢰성 있는 고정을 보장할 수 있다.
보다 나은 전지(21)의 고정을 위해, 동시에 커버판의 상응 위치에는 전지 포지셔닝 홈(33)이 설치되며, 포지셔닝 홈의 위치 매칭과 깊이 매칭을 이용하여, 전지(21)의 고정을 더욱 잘 진행할 수 있다.
지지판과 커버판에는 전지를 포지셔닝하는 포지셔닝 홈이 구비되며, 상기 음이온 발생기 본체는, 커버판에 장착 시트가 설치되며, 또한 커버판에는 포지셔닝 홈이 구비된다.
배선을 위해, 지지판에는 케이블(24) 배선 방향을 규제하는 케이블 홈(23)이 설치된다. 도3에서, 발사 헤드 장착공(9)의 수량과 매칭하기 위해, 케이블이 여러 개 있으며, 또한 케이블이 상대적으로 굵고, 또한 일정한 변형 회복 능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만약 규제하여 정돈하지 않는다면, 지지판과 커버판의 결합에 영향을 미치고, 상대적으로 어수선하게 될 수 있다.
발사 헤드 장착공(9)의 위치에 따라 케이블 홈(23)을 통해 규제하게 되면, 한편으로는 배선이 편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케이블(24)과 발사 헤드의 연결이 진행된 후에, 케이블(24)의 변형 회복이 케이블 홈(23)에 의해 제약되고, 발사 헤드가 받는 부가 응력이 비교적 작아, 연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쉽다.
다음은 상기 밴드(5)와 차양(3)의 조립 구조를 살펴본다. 일부 실시예에서, 양자는 고정 연결되며, 또한 모자의 착용에 영향을 주지 아니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모자는 전체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며, 밴드(5)와 차양(3)도 분리 연결을 채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벤드(5)와 차양(3)은 삽입 연결 헤드(6)를 통해 삽입 연결을 진행하며, 이 구조에 대해서는, 벨트의 구조 설계를 참고할 수 있는데, 멈춤 돌기를 이용하여 연결을 진행하며, 해체할 때는, 멈춤 돌기에 외력 변형의 진행을 통해, 밴드(5)를 빼낼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지지판과 커버판의 분리 구조를 결합하는 것에 대해 설계를 진행하였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삽입 연결 헤드(6)의 밴드(5) 상에 위치하는 부분이 플러그이며, 또한 플러그의 두께는 밴드 본체의 두께 보다 크며, 도3에 도시된 구조를 참고한다;
나아가 삽입 연결 헤드(6)의 차양(3) 상에 위치하는 부분은 지지판과 커버판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되어 형성된 삽입구의 플러그 두께 방향의 폭은 플러그 두께보다 작으며, 또한 밴드 본체의 두께 보다 크거나 같으며, 대응되게 결합된 상태 하에서, 유효하게 밴드(5)에 대해 멈춤을 진행하여, 신뢰성 있는 위치 한정을 형성한다.
또한, 삽입 연결 헤드(6)는 일정한 결합 길이를 구비해야 한다. 즉 밴드(5) 연장 방향에서의 길이가, 통상 1cm보다 작아야만, 결합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진일보하게, 상기 플러그에는 플러그 연장 방향과 수직한 적어도 두 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판 상에는 상기 슬릿과 배합하여 초보 포지셔닝에 사용하거나 또는 고정하는 삽입편(12)이 상응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먼저 플러그를 삽입편(12)과 슬릿의 결합을 통해 초보 고정을 진행하고, 그런 다음 다시 커버판과 지지판의 조립을 통해 압접하여 신뢰성 있는 연결을 실현한다.
또한, 삽입편(12)은 슬릿과 배합하여 일정한 항장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4에는 부분 밴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밴드 부분은 아치형 구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완전한 싸이클의 구조가 아니며, 밴드 자체는 일정한 탄성 변형 능력을 구비하므로, 밴드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다른 개체의 착용을 만족하게 할 수 있다. 이리하여, 밴드는 사출 성형 부품을 채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자체가 구비하는 일정한 탄성 변형 능력을 이용하여 착용감을 제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밴드(5)의 후부에는 그 주변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그 조정 구조는 밴드(5) 후 부분을 좌우 두개의 부분으로 나누고, 일부분에는 밴드(5) 원주 방향으로 체결공(42)이 배열되어 있으며, 다른 일부분에는 밴드(5) 원주 방향으로 체결돌기(41)가 배열되어 있다.
밴드(5)의 구조는 유연성 부재이며, 예를 들면 도6에 도시된 구조 부분에서, 두 부분을 결합하는 밴드(5)의 부분은 예를 들면 사출 성형 부품을 채용하여, 예를 들면 도6에 도시된 기부(40)를 만들어, 일정한 강도를 구비하는 것이, 체결공(42)과 체결돌기(41)의 배합 연결에 유리하다.
캡(2)은 모자의 일반적인 배치이며, 일부 실시예에서, 어떤 모자는 캡이 없거나, 또는 부분적인 캡만을 구비하며, 하부와 밴드가 결합되고, 전부와 차양이 결합된 캡을 더 포함한다.
모자의 환경에 대한 적응성을 제고하기 위해, 상기 캡(2)의 하부는 벨크로 테이프를 통해 밴드(5)와 결합하여, 캡(2)이 분리되거나 결합되게 할 수 있다.
가공 시, 캡(2) 하부 가장자리 내곽은 밴드(5) 외곽보다 크며, 캡(2) 하부 가장자리 내곽에는 벨크로 테이프의 일면을 재봉하고, 밴드(5)의 외곽에는 벨크로 테이프의 다른 일면을 배합되게 설치하여, 캡(2)과 밴드(5)을 매칭되게 조립하여 붙인다.
발사 헤드의 배치에 대해서는, 실험을 통해, 수량이 너무 많을 필요가 없음을 발견했으며, 도2는 4개 발사 헤드 장착공(9)의 배치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며, 이들은 모두 차양(3)의 전면 가장자리에 분포하고 있다.
실제 모자 주위의 음이온 농도를 측정해 보면, 상기 발사 헤드는 3개 이상이고, 또한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분포 상태일 때, 착용자에게 상대적으로 균일한 음이온 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발사 헤드가 5개 이하일 때, 차양의 전면 가장자리에 분포되고, 분포 방식이 균일하다.
만약, 차양 내의 발사판을 통해 분사하는 음이온이 차양 아래로 흘러, 착용자 안면부의 전방 및 주위에 하나 또는 다수의 음이온 방호 커튼을 형성하려고 한다면, 그 분사되는 음이온 작용 범위는 적어도 대략 30cm 에 도달해야 하며, 다른 실시예에 근거하여, 분사거리가 대략 30cm 경우에, 발사 헤드가 분사하는 음이온의 농도는 7백만개/cm3 보다 낮아서는 아니된다. 본 영역의 기술자는 이에 근거하여 발사 헤드 수량 및 그 분포의 설계를 진행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3)에는 음이온 발생 장치 본체(9) 장착 위치에 수용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차양(3)의 수용실 양측은 좌우와 뒤를 향해 아크면(弧面)을 통해 매끄럽게 연결되는데, 도1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음이온 농도 및 작용 거리를 만족하는 조건 하에, 사용되는 음이온 발생기 개체가 상대적으로 작으면, 필요한 수용실이 크지 아니하다. 또한 도1에 도시된 차양(3)의 설계와 같이, 조형의 미관성도 비교적 높다.
앞에서 설명한 아크면을 통해 매끄럽게 연결되는 것은 음이온 발사기 본체(19)의 조립 공간 요구를 충족하는 이외에, 잉여 공간을 통해 기타 부품의 조립을 더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도5에 도시된 구조를 다시 참조하면, 아크면을 통해 매끄럽게 연결되는 부분과 수용실의 부분은 커버판 위치 구조에서 앞을 향해 매끄럽게 연결되며, 또한 아크면을 통해 매끄럽게 연결되는 부분과 수용실의 부분에는 커버판 구조의 내면 위치에 리브(35)가 설치되어, 커버판의 전체 강도를 제고한다.
커버판과 지지판의 배합에 대해, 커버판은 적어도 지지판의 주연부에 서로 매칭되거나, 또는 양자는 양자가 외측으로 연장된 범위에서 서로 일치하여, 전체의 미관성을 보장한다.
후측에서, 커버판은 내부의 구조를 덮어야 한다.
조립을 만족하기 위해, 도2에 도시된 구조 중 전면판(4)의 구조는 공기 투과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상기 지지판은 아크면을 통해 매끄럽게 연결되는 부분과 수용실 부분의 하측면과 매칭되어 위를 향해 돌출하는 곡면을 구비하며, 이 곡면은 뒤에서 앞을 향하는 방향에서 아래를 향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 후부(7)는 도면에서 아래를 향하는 곡면을 구비하며, 이마의 공기 유통이 원활하게 한다.
또한, 만약 커버판과 지지판의 조합이 긴밀하면, 더운 여름에, 공간을 밀폐하게되어, 앞에서 언급한 실내 공기의 팽창 및 고온으로, 예를 들면 음이온 발생기의 정상 동작에 불리하다. 따라서, 커버판에 다수의 공기통을 설치하여, 상기 상황의 발생을 유효하게 피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이온 발사 헤드가 너무 많기 때문에, 음이온 발생기가 발사하는 음이온 농도를 보장하고, 동시에 전지의 전기 공급 시스템의 항속 능력을 보장하기 위해, 전원 시스템은 복수의 3.7V 충전식 전지를 서로 병렬하는 전기 공급 모델이 설치된다.
일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웃 도어의 용품으로서, 상기 방지 모자의 음이온 발생기, 전기 공급 전지 및 음이온 발사 헤드 부분은 모두 양호한 방수 기능을 구비한다.
전술한 내용에 근거하여, 착용자의 면전 가까운 거리에 음이온 방호벽을 설치함으로써, 착용자를 최대 한도로 보호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헤이즈 흡입을 감소하게 하며, 착용자가 가까운 거리에서 고농도의 음이온을 흡입하기 때문에, 음이온의 보건 작용이 최대한 발휘되도록 한다.
1-테두리 2-캡
3-차양 4-전면판
5-밴드 6-삽입 연결 헤드
7-차양 후부 8-차양 전부
9-발사 헤드 장착공 10-끼움 홈
11-삽입 연결공 12-삽입편
13-위치 한정부 14-삽입공
15-삽입공 16-고리
17-끼움 돌기 18-설치판
19-음이온 발사기 본체 20-설치공
21-전지 22-포지셔닝 홈
23-케이블 홈 24-케이블
25-연결 헤드 26-체결돌기
27-삽입공 28-삽입돌기
29-체결홈 31-차양 지지판 배면
32-차양 지지판 정면 33-전지 포지셔닝 홈
34-커버판 전부 35-리브
36-커버판 후부 37-음이온 발생기 포지셔닝 홈
38-삽입돌기 39-삽입공
40-기부 41-체결돌기
42-체결공

Claims (16)

  1. 밴드와 상기 밴드의 전측에 설치되는 차양을 포함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에 있어서, 상기 차양은 지지판과 커버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의 중부 후측에는 음이온 발생기 본체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의 중부 전측에는 음이온 발생기 본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지가 장착되며, 상기 지지판의 주연부 하측에는 발사 헤드 장착공이 구비되며, 상기 발사 헤드 장착공 내에는 케이블을 통해 음이온 발생기 본체와 연결되는 발사 헤드가 장착되며,
    상기 커버판은 상기 지지판과 분리 연결 구조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밴드는 삽입 연결 헤드를 통해 상기 차양과 연결되며,
    상기 삽입 연결 헤드의 밴드 상에 위치하는 부분은 플러그이며, 상기 플러그의 두께는 상기 밴드 본체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삽입 연결 헤드의 차양 상에 위치하는 부분은 지지판과 커버판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되어 형성되는 삽입구의 플러그 두께 방향의 폭은 플러그 두께보다 작으며, 또한 상기 밴드 본체의 두께 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 연결 구조는 록킹 결합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록킹 결합 구조는 포지셔닝 부분과 록킹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포지셔닝 부분은 대응되게 삽입되는 삽입공과 삽입돌기이며,
    상기 록킹 부분은 대응되게 삽입되는 삽입공과 삽입돌기 방향으로 가이드 되고, 또한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가이드면과 매칭되는 체결돌기세트 또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대응되게 삽입되는 삽입공 및 삽입돌기의 차양 상의 분포는 3곳 이상이며, 전체 분포는 일직선 상에 있지 아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과 커버판에는 각각 전지를 포지셔닝하는 포지셔닝 홈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음이온 발생기 본체의 장착 시트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커버판에는 포지셔닝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케이블의 배선 방향을 규제하는 케이블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는 그 연장 방향과 수직한 적어도 두 개의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슬릿과 배합되어 초보 포지셔닝에 사용하거나 고정에 사용하는 삽입편이 상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후부에는 그 길이를 조정하는 조정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조정 구조는 밴드가 후 부분에서 좌우 두 개 부분으로 분리되는 형상이며, 일부분에는 밴드의 원주 방향으로 체결공이 배열되며, 다른 일부분에는 밴드의 원주 방향으로 체결돌기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하부와 밴드가 결합되고, 전부와 차양이 결합된 캡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캡의 하부는 벨크로 테이프를 통해 밴드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 헤드 장착공은 3개 이상이며, 또한 5개 이하일 때는, 차양의 앞 가장자리에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은 음이온 발생기 본체의 장착 위치에 수용실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차양은 수용실 양측에서 좌우와 뒤를 향해 아크면을 통해 매끄럽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아크면을 통해 매끄럽게 연결되는 부분과 수용실 부분은 상기 커버판 위치 구조에서 앞을 향해 매끄럽게 연결되며, 또한 아크면을 통해 매끄럽게 연결되는 부분과 수용실 부분은 상기 커버판 위치 구조의 내면에 리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아크면을 통해 매끄럽게 연결되는 부분과 수용실 부분의 하측면과 매칭되어 위를 향해 돌출하는 곡면을 구비하며, 상기 곡면은 뒤에서 앞을 향하는 방향에서 아래를 향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이즈 방지 모자.
KR2020140006973U 2014-05-27 2014-09-24 헤이즈 방지 모자 KR20047993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20274785.7 2014-05-27
CN201420274785.7U CN203842207U (zh) 2014-05-27 2014-05-27 雾霾防护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365U KR20150004365U (ko) 2015-12-07
KR200479935Y1 true KR200479935Y1 (ko) 2016-03-23

Family

ID=5155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973U KR200479935Y1 (ko) 2014-05-27 2014-09-24 헤이즈 방지 모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95302U (ko)
KR (1) KR200479935Y1 (ko)
CN (1) CN20384220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3214B (zh) * 2016-11-03 2023-12-22 扬州英迈杰服饰有限公司 制式防霾大檐帽
CN106267612B (zh) * 2016-11-03 2022-04-12 浙江阳岭健康科技有限公司 无帽箍式负离子防霾帽
KR101803531B1 (ko) * 2017-07-10 2017-12-28 이인환 자외선 차단 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융합한 썬바이저
CN111802716A (zh) * 2020-06-23 2020-10-23 戚睿妍 一种功能雨衣、雨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608Y1 (ko) * 2000-05-04 2000-10-02 김규석 간이 모자
JP3098609B2 (ja) * 1992-03-04 2000-10-16 大同工業株式会社 チェーンコンベヤにおける差動キャリヤ回転装置
KR200239209Y1 (ko) * 2001-04-13 2001-10-11 송완기 이중챙을 갖는 차양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609B2 (ja) * 1992-03-04 2000-10-16 大同工業株式会社 チェーンコンベヤにおける差動キャリヤ回転装置
KR200198608Y1 (ko) * 2000-05-04 2000-10-02 김규석 간이 모자
KR200239209Y1 (ko) * 2001-04-13 2001-10-11 송완기 이중챙을 갖는 차양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95302U (ja) 2015-01-15
KR20150004365U (ko) 2015-12-07
CN203842207U (zh)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935Y1 (ko) 헤이즈 방지 모자
US8337036B2 (en) Shroud plate with lighting system
CN207070281U (zh) 一种骨传导耳机
CN207039848U (zh) 一种骨传导耳机
CN207039851U (zh) 一种骨传导耳机
CN206963211U (zh) 遥控器
US8845121B2 (en) Power supply with sealed pivoted USB connector, for portable illumination device
CN207039849U (zh) 一种骨传导耳机
CN207070282U (zh) 一种骨传导耳机
US20190390851A1 (en) Multifunctional light and set thereof
CN210745430U (zh) 壁挂结构和网关壁挂装置
CN212659634U (zh) 一种可拆卸电池盒
CN210442946U (zh) 一种语音遥控器
CN206582602U (zh) Led平板灯
CN207070284U (zh) 一种骨传导耳机
CN208159780U (zh) 具有防水功能的发光圈控制盒
CN206943930U (zh) 一种植物净化器补光灯的安装结构
CN219123554U (zh) 一种智能插座用的防水模块
CN115693258B (zh) 一种防水智能插座
CN220800183U (zh) 一种多功能头盔
CN213206104U (zh) 挂脖风扇
CN220269247U (zh) 一种用于iPad拍照的固定装置
CN201898565U (zh) 一种活动安装结构的摄像头
CN210372960U (zh) 一种太阳能充电移动照明灯
CN210441129U (zh) 一体化太阳能led路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