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931Y1 -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931Y1
KR200479931Y1 KR2020150006667U KR20150006667U KR200479931Y1 KR 200479931 Y1 KR200479931 Y1 KR 200479931Y1 KR 2020150006667 U KR2020150006667 U KR 2020150006667U KR 20150006667 U KR20150006667 U KR 20150006667U KR 200479931 Y1 KR200479931 Y1 KR 200479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wall
packing
horizontal wall
vertic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근
Original Assignee
이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근 filed Critical 이무근
Priority to KR2020150006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9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9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솥의 내측 상단부분을 다단으로 사출 성형하고 이에 대응하는 다중패킹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밀폐성능을 향상시켜 증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밥솥 내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취사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패킹 및 밥솥의 수명을 연장해주어 유지보수비용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도록 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상단 내측에 제1수직벽(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꺾어져 연결되는 제1수평벽(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벽의 상부에 수직으로 꺾어져 연결되는 제2수직벽(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꺾어져 연결되는 제2수평벽(114)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내솥(110); 및 상기 내솥의 제1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1접촉단(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2접촉단(1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3접촉단(12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4접촉단(124)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패킹(120);이 포함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구조 및 패킹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단 내측에 제3수직벽(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3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굴곡지게 연결되는 제3수평벽(212)이 형성되며, 상기 제3수평벽의 상부에 수직으로 굴곡지게 연결되는 제4수직벽(213)이 형성되고, 상기 제4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굴곡지게 연결되는 제4수평벽(214)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내손(210); 및 상기 내솥의 제3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5접촉단(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3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6접촉단(222)이 형성되며, 상기 제4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7접촉단(223)이 형성되고, 상기 제4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8접촉단(224)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패킹(220);이 포함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구조 및 패킹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단 내측에 제5수직벽(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5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굴곡지게 연결되는 제5수평벽(312)가 형성되며, 상기 제5수평벽의 일측에는 하향으로 만곡진 요홈(313)이 형성된 내솥(310); 및 상기 내솥의 제5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9접촉단(321)이 형성되고, 상기 제5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10접촉단(3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0접촉단(322)의 일측에는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밀착돌기(323)가 돌출 형성된 패킹(320);이 포함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구조 및 패킹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The packing structure of the inner pot and electric pressure cooker}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솥의 내측 상단부분을 다단으로 제작하여 이에 대응하는 다중패킹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밀폐성능을 향상시켜 증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밥솥 내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취사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패킹 및 밥솥의 수명을 연장해주어 유지보수비용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도록 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압력밥솥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밥솥에 유입된 조리대상물에 대해 고온, 고압의 조건으로 조리를 이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기압력밥솥은 조리대상물을 장비하는 내부용기에 대해 뚜껑을 닫았을 경우 조리상황 시 설정된 고온, 고압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밀성이 절대 요구조건이다.
상기와 같은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종래의 압력밥솥의 패킹(20)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수직한 형태로 접촉단(23)이 구비되어 뚜껑(50)이 본체부상에 닫힐 때에는 상기 패킹(20)의 접촉단(23)이 내솥(10)의 상단 내측면에 접촉됨으로써 내솥(10) 내의 기밀을 유지하였다. 미설명 명부호 '60'은 잠금 휠이고, 도면부호 '70'은 탑 플레이트이다.
그러나,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 상기 패킹(20)의 접촉단(23)이 내솥(10) 내면에 마찰됨에 따라 패킹(20)이 손상 및 현상이 변형되어 패킹(20)이 내솥(10) 내면에 기밀하게 접촉되지 못하여 내솥(10) 내의 압력이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없으므로 내솥(10) 내의 조리대상물이 설익게 되는 사용상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내솥(10)과 패킹(20)이 경사진 일면에만 밀착되어 1차적으로만 밀폐시켜줌으로써 뜨거운 증기와 전기가열에 의해 패킹(20)이 마모되거나 손상되어 증기가 노출됨에 따라 금방 손상되어 압력이 약해짐은 물론 패킹의 교체주기가 짧아 유지관리가 불편함은 물론 교체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0103026호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0014369호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85688호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0037499호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0037500호가 공개된바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압력밥솥의 밀폐를 위해 뚜껑이 덮어지는 내솥의 내측 상단을 다단으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게 밀착되어 밀폐시키는 패킹을 다단으로 형성함으로써 이중으로 밀폐시켜주어 내솥의 밀폐성능을 향상시켜 취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상단 내측에 제1수직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꺾어져 연결되는 제1수평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벽의 상부에 수직으로 꺾어져 연결되는 제2수직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꺾어져 연결되는 제2수평벽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내솥; 및 상기 내솥의 제1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1접촉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2접촉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3접촉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4접촉단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패킹;이 포함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구조 및 패킹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단 내측에 제3수직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3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굴곡지게 연결되는 제3수평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3수평벽의 상부에 수직으로 굴곡지게 연결되는 제4수직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4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굴곡지게 연결되는 제4수평벽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내솥; 및 상기 내솥의 제3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5접촉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3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6접촉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4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7접촉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4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8접촉단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패킹;이 포함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구조 및 패킹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단 내측에 제5수직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5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굴곡지게 연결되는 제5수평벽가 형성되며, 상기 제5수평벽의 일측에는 하향으로 만곡진 요홈이 형성된 내솥; 및 상기 내솥의 제5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9접촉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5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10접촉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10접촉단의 일측에는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밀착돌기가 돌출 형성된 패킹;이 포함된 전기압력밥솥의 내솥구조 및 패킹구조.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밀폐를 위해 뚜껑이 덮어지는 내솥의 내측 상단을 다단으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게 밀착되어 밀폐시키는 패킹을 다단으로 형성함으로써 내솥의 밀폐성능을 향상시켜 취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킹을 다중으로 밀폐시켜줌으로 1차 패킹에서 미세하게 누출되어도 2차 패킹에서 한번더 압력을 잡아주어 증기의 누출이 없으므로 압력변화를 최소화시켜 밥맛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패킹의 교체주기와 밥솥의 수명을 연장 시켜주므로 교체주기가 짧아 유지관리가 유용하고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킹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킹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패킹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다수의 실시예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제1실시예>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에 삽입되어 조리물이 저장되는 내솥(110)과, 전기압력밥솥의 뚜껑에 장착되는 탑플레이트(400)에 형성된 결합홈(410)에 패킹(120)이 장착되어 내솥(110)의 상단에 압착 밀착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내솥(110)은 상단 내측에 제1수직벽(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벽(111)의 상부에 수평으로 꺾어져 연결되는 제1수평벽(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벽(112)의 상부에 수직으로 꺾어져 연결되는 제2수직벽(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벽(113)의 상부에 수평으로 꺾어져 연결되는 제2수평벽(114)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120)은 상기 내솥(110)의 제1수직벽(111)에 압착 밀착되는 제1접촉단(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벽(112)에 압착 밀착되는 제2접촉단(1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벽(113)에 압착 밀착되는 제3접촉단(12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벽(113)에 압착 밀착되는 제4접촉단(124)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패킹(120)의 상부 일측에는 탑플에이트(400)의 결합홈(410)에 삽입 고정되도록 제1결합돌부(12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패킹(20)은 실리콘재질 또는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밀폐를 위해 뚜껑이 덮어지는 내솥(110)의 내측 상단을 다단으로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하게 압착 밀착되어 밀폐시키는 패킹(120)을 다단으로 형성시켜 다중으로 밀폐시키므로 밀폐성능을 향상시켜주어 취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패킹(120)의 제1접촉단(121)이 내솥(110)의 제1수직벽(111)에 압착 밀착되어 1차적으로 밀폐시키고, 상기 패킹(120)의 제2접촉단(122)이 내솥(110)의 제1수평벽(112)에 압착 밀착되어 2차적으로 밀폐시키고, 상기 패킹(120)의 제3접촉단(123)이 내솥(110)의 제2수직벽(113)에 압착 밀착되어 3차적으로 밀폐시키고, 상기 패킹(120)의 제4접촉단(124)이 내솥(110)의 제2수평벽(114)에 압착 밀착되어 4차적으로 밀폐시켜 다중으로 밀폐시켜줌으로 장시간 사용에 의해 1차적으로 밀폐시켜주는 접촉단이 마모되거나 손상되어 증기가 누출되어도 다음 2차, 3차, 4차적으로 밀폐시키는 접촉단에서 압력을 잡아주어 기밀성능을 유지할 수 있어 내부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밥맛을 높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패킹(120)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어서 교체주기가 짧아지므로 유지관리가 편리함은 물론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에 삽입되어 조리물이 저장되는 내솥(210)과, 전기압력밥솥의 뚜껑에 장착되는 탑플레이트(400)에 형성된 결합홈(410)에 패킹(220)이 장착되어 내솥(210)의 상단에 압착 밀착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내솥(210)은 상단 내측에 제3수직벽(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3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굴곡지게 연결되는 제3수평벽(212)이 형성되며, 상기 제3수평벽의 상부에 수직으로 굴곡지게 연결되는 제4수직벽(213)이 형성되고, 상기 제4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굴곡지게 연결되는 제4수평벽(214)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220)은 내솥(210)의 제3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5접촉단(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3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6접촉단(222)이 형성되며, 상기 제4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7접촉단(223)이 형성되고, 상기 제4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8접촉단(224)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패킹(220)의 상부 일측에는 탑플에이트(400)의 결합홈(410)에 삽입 고정되도록 제1결합돌부(22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패킹(220)은 실리콘재질 또는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밀폐를 위해 뚜껑이 덮어지는 내솥(210)의 내측 상단을 다단으로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하게 압착 밀착되어 밀폐시키는 패킹(220)을 다단으로 형성시켜 다중으로 밀폐시키므로 밀폐성능을 향상시켜주어 취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패킹(220)의 제5접촉단(221)이 내솥(210)의 제3수직벽(211)에 압착 밀착되어 1차적으로 밀폐시키고, 상기 패킹(220)의 제6접촉단(222)이 내솥(210)의 제3수평벽(212)에 압착 밀착되어 2차적으로 밀폐시키고, 상기 패킹(220)의 제7접촉단(223)이 내솥(210)의 제4수직벽(213)에 압착 밀착되어 3차적으로 밀폐시키며, 상기 패킹(220)의 제8접촉단(224)이 내솥(210)의 제4수평벽(214)에 압착 밀착되어 4차적으로 밀폐시켜 다중으로 밀폐시켜줌으로 장시간 사용에 의해 1차적으로 밀폐시켜주는 접촉단이 마모되거나 손상되어 증기가 누출되어도 다음 2차, 3차, 4차적으로 밀폐시키는 접촉단에서 압력을 잡아주어 기밀성능을 유지할 수 있어 내부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밥맛을 높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패킹(220)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어서 교체주기가 짧아지므로 유지관리가 편리함은 물론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압력밥솥의 내부에 삽입되어 조리물이 저장되는 내솥(310)과, 전기압력밥솥의 뚜껑에 장착되는 탑플레이트(400)에 형성된 결합홈(410)에 패킹(320)이 장착되어 내솥(310)의 상단에 압착 밀착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내솥(310)은 상단 내측에 제5수직벽(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5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굴곡지게 연결되는 제5수평벽(312)가 형성되며, 상기 제5수평벽의 일측에는 하향으로 만곡진 요홈(313)이 형성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320)은 상기 내솥의 제5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9접촉단(321)이 형성되고, 상기 제5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10접촉단(3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0접촉단(322)의 일측에는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밀착돌기(323)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패킹(320)의 상부 일측에는 탑플에이트(400)의 결합홈(410)에 삽입 고정되도록 제1결합돌부(32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패킹(320)은 실리콘재질 또는 고무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밀폐를 위해 뚜껑이 덮어지는 내솥(310)의 내측 상단을 다단으로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하게 압착 밀착되어 밀폐시키는 패킹(320)을 다단으로 형성시켜 다중으로 밀폐시키므로 밀폐성능을 향상시켜주어 취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패킹(320)의 제9접촉단(321)이 내솥(310)의 제5수직벽(311)에 압착 밀착되어 1차적으로 밀폐시키고, 상기 패킹(320)의 제10접촉단(322)이 내솥(310)의 제5수평벽(312)에 압착 밀착되어 2차적으로 밀폐시키며, 상기 패킹(320)의 밀착돌기(323)가 내솥(310)의 하향으로 만곡진 요홈(313)에 삽입 밀착되어 3차적으로 밀폐시켜 다중으로 밀폐시켜줌으로 장시간 사용에 의해 1차적으로 밀폐시켜주는 접촉단이 마모되거나 손상되어 증기가 누출되어도 다음 2차, 3차적으로 밀폐시키는 접촉단에서 압력을 잡아주어 기밀성능을 유지할 수 있어 내부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밥맛을 높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패킹(320)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어서 교체주기가 짧아지므로 유지관리가 편리함은 물론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00 : 전기압력밥솥
110 : 내솥
111 : 제1수직벽 112 : 제1수평벽 113 : 제2수직벽
114 : 제2수평벽
120 : 패킹
121 : 제1접촉단 122 : 제2접촉단 123 : 제3접촉단
124 : 제4접촉단 125 : 제1결합돌부
210 : 내솥
211 : 제3수직벽 212 : 제3수평벽 213 : 제4수직벽
214 : 제4수평벽
220 : 패킹
221 : 제5접촉단 222 : 제6접촉단 223 : 제7접촉단
224 : 제8접촉단 225 : 제2결합돌부
310 : 내솥
311 : 제5수직벽 312 : 제5수평벽 313 : 요홈
320 : 패킹
321 : 제9접촉단 322 : 제10접촉단 323 : 밀착돌기
324 : 제3결합돌부

Claims (3)

  1. 상단 내측에 제1수직벽(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꺾어져 연결되는 제1수평벽(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벽의 상부에 수직으로 꺾어져 연결되는 제2수직벽(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꺾어져 연결되는 제2수평벽(114)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내솥(110); 및
    상기 내솥의 제1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1접촉단(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2접촉단(1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3접촉단(12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4접촉단(124)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패킹(120);이 포함되며,
    상기 패킹(120)의 상부 일측에는 탑플에이트(400)의 결합홈(410)에 삽입 고정되도록 제1결합돌부(12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패킹구조의 내솥이 구비된 전기압력밥솥.
  2. 상단 내측에 제3수직벽(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3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굴곡지게 연결되는 제3수평벽(212)이 형성되며, 상기 제3수평벽의 상부에 수직으로 굴곡지게 연결되는 제4수직벽(213)이 형성되고, 상기 제4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굴곡지게 연결되는 제4수평벽(214)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내솥(210); 및
    상기 내솥의 제3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5접촉단(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3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6접촉단(222)이 형성되며, 상기 제4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7접촉단(223)이 형성되고, 상기 제4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8접촉단(224)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이루어진 패킹(220);이 포함되며,
    상기 패킹(220)의 상부 일측에는 탑플에이트(400)의 결합홈(410)에 삽입 고정되도록 제2결합돌부(2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패킹구조의 내솥이 구비된 전기압력밥솥.
  3. 상단 내측에 제5수직벽(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5수직벽의 상부에 수평으로 굴곡지게 연결되는 제5수평벽(312)가 형성되며, 상기 제5수평벽의 일측에는 하향으로 만곡진 요홈(313)이 형성된 내솥(310); 및
    상기 내솥의 제5수직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9접촉단(321)이 형성되고, 상기 제5수평벽에 압착 밀착되는 제10접촉단(3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0접촉단(322)의 일측에는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밀착돌기(323)가 돌출 형성된 패킹(320);이 포함되고,
    상기 패킹(320)의 상부 일측에는 탑플에이트(400)의 결합홈(410)에 삽입 고정되도록 제3결합돌부(3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패킹구조의 내솥이 구비된 전기압력밥솥.
KR2020150006667U 2015-10-12 2015-10-12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 KR200479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667U KR200479931Y1 (ko) 2015-10-12 2015-10-12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667U KR200479931Y1 (ko) 2015-10-12 2015-10-12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931Y1 true KR200479931Y1 (ko) 2016-03-23

Family

ID=5564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667U KR200479931Y1 (ko) 2015-10-12 2015-10-12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93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241A (ko) 2017-12-15 2019-06-25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전기밥솥용 패킹
KR20200119670A (ko) 2019-04-10 2020-10-20 (주)쿠첸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KR20200130205A (ko) 2020-11-04 2020-11-18 (주)쿠첸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KR20210033122A (ko) * 2019-09-18 2021-03-26 전정일 진공납골함
KR102376617B1 (ko) * 2021-10-27 2022-03-21 주식회사 래도 도로정보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689Y1 (ko) 1998-03-06 2000-07-01 김용진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압력패킹
KR200473689Y1 (ko) * 2013-02-28 2014-08-13 류은영 조리용기의 패킹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689Y1 (ko) 1998-03-06 2000-07-01 김용진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압력패킹
KR200473689Y1 (ko) * 2013-02-28 2014-08-13 류은영 조리용기의 패킹 조립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241A (ko) 2017-12-15 2019-06-25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전기밥솥용 패킹
KR20200119670A (ko) 2019-04-10 2020-10-20 (주)쿠첸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KR20210033122A (ko) * 2019-09-18 2021-03-26 전정일 진공납골함
KR102319742B1 (ko) * 2019-09-18 2021-11-01 전정일 진공납골함
KR20200130205A (ko) 2020-11-04 2020-11-18 (주)쿠첸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KR102376617B1 (ko) * 2021-10-27 2022-03-21 주식회사 래도 도로정보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931Y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솥 및 패킹구조
CN102631132B (zh) 电热水壶的密封结构
KR101353079B1 (ko) 전기압력밥솥의 패킹 구조체
CN101828863B (zh) 一种电蒸箱内胆密封装置
KR200185689Y1 (ko)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압력패킹
KR102423425B1 (ko) 밥솥
CN103190839A (zh) 一种发热元件密封结构的水壶
KR101931762B1 (ko) 이중밀폐형 커버패킹 및 그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CN201759351U (zh) 一种电热水壶
CN204991594U (zh) 一种气压式压力开关
CN204698339U (zh) 上盖组件及烹饪器具
CN104515347A (zh) 门封结构和冰箱
CN211350483U (zh) 一种气密型继电器
CN201119756Y (zh) 具有改良密封结构的电热水壶
KR102200568B1 (ko) 전기밥솥용 패킹
KR20180009162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뚜껑
CN202589303U (zh) 一种电热水壶的密封结构
CN208046955U (zh) 一种电磁烹饪器具
CN201641656U (zh) 一种电蒸箱内胆密封装置
CN103169372B (zh) 电热水壶的密封结构
CN213309028U (zh) 密封圈和烹饪器具
KR19990042019U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압력패킹
CN203263026U (zh) 一种用于电磁炉上的多功能玻璃容器
KR20200001924U (ko) 밀폐구조를 개선시킨 압력밥솥용 패킹
KR20060000132U (ko)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