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411Y1 -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411Y1
KR200479411Y1 KR2020140003860U KR20140003860U KR200479411Y1 KR 200479411 Y1 KR200479411 Y1 KR 200479411Y1 KR 2020140003860 U KR2020140003860 U KR 2020140003860U KR 20140003860 U KR20140003860 U KR 20140003860U KR 200479411 Y1 KR200479411 Y1 KR 2004794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upport
coupled
connecting memb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269U (ko
Inventor
문창식
Original Assignee
문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창식 filed Critical 문창식
Priority to KR20201400038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411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2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2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4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4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located on side of seat, e.g. on arm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6Chairs or seats detachably mounted on stadium ben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중이 앉는 좌석의 팔걸이에 거치함으로써 설치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설치가 가능한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는, 상면에 음식물이 놓여지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받침부재(100); 상기 받침부재(100)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팔걸이(13)에 걸림되는 걸림부재(400); 일측단이 상기 받침부재(100)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걸림부재(4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2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PORTABLE FOOD SUPPORT}
본 고안은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중이 앉는 좌석의 팔걸이에 거치하여 음식물을 받칠 수 있는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스포츠경기의 관람을 통해 문화생활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요구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는 스포츠 경기의 관중 수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프로야구의 경우 관중 수가 해마다 증가하여 700만 관중을 넘어 1000만 관중의 시대를 향해 가고 있다.
상기 스포츠 경기의 관중은 친구 사이 뿐만 아니라 각종 동호회 모임, 가족 단위의 관중이 점점 늘어나고 있고, 스포츠 경기의 관람 시, 관중들은 여러 종류의 음식 또는 음료를 섭취하면서 경기를 관람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스포츠 경기장의 관중석은 의자를 전, 후, 좌, 우 좁은 간격으로 협소하게 배치하여 관중들이 음식물을 놓을 공간이 없어 경기 관람시 손에 음식물을 들고 있거나, 무릎 위에 올린 상태에서 경기를 관람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일부 스포츠 경기장의 경우 의자에 테이블을 일체로 결합시킨 좌석을 제공하고 있으나, 그러한 좌석의 수가 한정되어 있고 가격이 비싸 일반 관중이 이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460507호 "휴대용 소형 테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개시된 휴대용 소형 테이블에 의하면, 각종 경기장 또는 공연장의 좌석 간격에 대응 설계되어 취식물 또는 응원도구 등의 거치에 있어 이용이 편리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취식물이 놓여지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레그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식탁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좌석 사이의 간격이 협소한 실제 경기장에서 상기 테이블을 이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관중이 앉는 좌석의 팔걸이에 거치함으로써 설치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설치가 가능한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는, 상면에 음식물이 놓여지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받침부재(100); 상기 받침부재(100)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팔걸이(13)에 걸림되는 걸림부재(400); 일측단이 상기 받침부재(100)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걸림부재(4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1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선단에 저면이 결합되는 제1받침부(101); 상기 제1받침부(101)의 측부에 위치하는 제2받침부(102); 상기 제1받침부(101)에 대하여 상기 제2받침부(102)를 선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받침부(101)와 제2받침부(102)를 결합하는 절첩부(10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100)와 상기 연결부재(20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받침부재(1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50)는, 상측 단부가 상기 받침부재(100)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측 단부가 볼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부가 형성된 조인트부(151); 상기 조인트부(151)의 볼부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조인트부(151)가 회전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152); 상기 하우징부(152)의 몸체를 관통하여 삽입되되 회전시 내측 끝단이 상기 볼부에 접촉되어 상기 조인트부(151)의 회전을 구속하는 고정나사(1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400)는, 상기 의자의 팔걸이(13)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팔걸이(13)의 저면에 걸림되도록 상기 팔걸이(13)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부(401); 상기 팔걸이(13)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걸림부(401)와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재(2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축(403); 상기 팔걸이(13)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걸림부(401)와 상기 연결축(403)의 일측단을 서로 연결하는 측부연결부(4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긴 로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부재(100)의 일측과 타측의 저면에 전단이 각각 결합된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10); 상기 제1연결부재(210)의 후단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축(403)이 회전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제3연결부재(230); 상기 제3연결부재(230)에 대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220)의 후단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축(403)의 단부가 내측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4연결부재(2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00)와 걸림부재(400) 사이의 회전각도를 설정된 각도만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200)와 걸림부재(400) 사이의 상대회전을 일측방향으로만 허용하는 각도조절부재(300)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재(300)는, 상기 연결축(403)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축(403)과 일체로 회전하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돌기(305a)가 형성된 각도조절판(305); 상기 제3연결부재(230)의 내측면에 고정된 힌지부(302)를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되, 상기 돌기(305a)에 단부가 걸림되는 링크(301); 상기 링크(301)가 상기 돌기(305a)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303);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305a)는 상기 각도조절판(305)의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을 허용하는 경사면(305b)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재(300)는, 상기 탄성부재(30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링크(301)가 상기 힌지부(30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3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301)의 상단부는 상기 제3연결부재(230)의 상단부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긴 로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부재(100)의 일측과 타측의 저면에 전단이 각각 결합된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1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150)는 상기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의 단부가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삽입되는 슬라이드부재(16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100)와 회전부(150) 및 슬라이드부재(160)가 일체로 상기 제1연결부재(210) 및 제2연결부재(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100)에는 컵이 안착되는 컵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컵안착부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 형상의 컵홀더부(107-1)와, 상기 컵홀더부(107-1)의 하단에 힌지축(106-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컵의 측면을 지지하는 컵측면지지부(105a-1)와 컵의 저면을 지지하는 컵저면지지부(105b-1)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한 쌍의 컵지지부(105-1)와, 상기 컵지지부(105-1)를 상기 컵홀더부(107-1)의 내측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108-1)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08-1)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단은 상기 컵홀더부(107-1)의 외측면에 지지되고 타측단이 상기 컵측면지지부(105a-1)의 외측면에 지지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에 의하면, 음식물을 놓을 수 있는 받침대를 관중이 앉는 좌석의 팔걸이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이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받침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팔걸이에 걸림되는 걸림부재 사이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팔걸이 형상에 대응하여 호환성있게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받침부재의 하부에 회전부를 구비하여 받침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좌석에 착석하거나 좌석에서 일어서는 동작이 편리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경기장의 좌석 형상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의 회전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의 제3연결부재와 제4연결부재의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의 회전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가 좌석 팔걸이에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받침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은 A-A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컵 안착부에 컵이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경기장의 관중석에 구비된 의자(10)는 등받이(11)와 좌석부(12) 및 팔걸이(13)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는, 상기 팔걸이(13)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팔걸이(13)는 경기장마다 그 형태가 상이하게 되어 있어,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를 거치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상이한 형태의 팔걸이(13)에 호환성있게 거치되는 구조로 되어야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1)는, 상면에 음식물이 놓여지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받침부재(100), 상기 받침부재(100)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팔걸이(13)에 걸림되는 걸림부재(400), 일측단이 상기 받침부재(100)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걸림부재(4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100)는 상면에 음식물을 놓을 수 있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휴대의 용이성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절반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부재(1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선단에 저면이 결합되는 제1받침부(101)와, 상기 제1받침부(101)와 동일한 크기로서 상기 제1받침부(101)의 측부에 위치하는 제2받침부(1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받침부(101)와 제2받침부(102) 사이에는 상기 제1받침부(101)에 대하여 상기 제2받침부(102)를 회전시켜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제1받침부(101)와 제2받침부(102)를 결합하는 절첩부(10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첩부(103)는 일례로 경첩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기술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100)의 상면에는 음식물, 음료수 컵 등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긴 로드(rod)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부재(100)의 일측과 타측의 저면에 전단이 각각 결합된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10), 상기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의 후단에 각각 결합된 평판 형상의 제3연결부재(230)와 제4연결부재(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연결부재(230)는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된 대략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연결부재(210)의 후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재(400)의 연결축(403)이 관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3연결부재(230)는, 상기 연결축(403)이 관통하는 구멍(231a)이 형성된 제1외측몸체(231)와, 상기 제1외측몸체(231)와 동일한 형상으로서 상기 제1외측몸체(231)의 내측에서 결합되어 그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시키되 상기 연결축(403)이 관통하는 구멍(232a)과 후술하는 제5연결부재(250)가 관통하는 구멍(232b)이 형성된 제1내측몸체(2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4연결부재(240)는 상기 제3연결부재(230)와 동일한 형상으로서 상기 제3연결부재(230)에 대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220)의 후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축(403)의 단부가 내측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4연결부재(240)는 상기 제3연결부재(230)와 대칭되는 형상으로서, 외측에 구비된 제2외측몸체(241)와, 상기 제2외측몸체(241)의 내측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시키되 상기 연결축(403)의 단부가 삽입되는 구멍(242a)과 상기 제5연결부재(250)의 단부가 삽입되는 구멍(242b)이 형성된 제2내측몸체(242)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연결부재(230)와 제4연결부재(240)가 외측몸체(231,241)와 내측몸체(232,242)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상기 제3연결부재(230)와 제4연결부재(240)가 각각 하나의 몸체인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3연결부재에 상기 연결축(403)이 관통하도록 상기 구멍(231a,232a)에 대응되는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403)의 타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제3연결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구멍(242a)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3연결부재와 제4연결부재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제5연결부재(250)가 개재되도록, 상기 제3연결부재의 내측면과 제4연결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5연결부재(250)의 양측 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부재(400)는, 의자의 팔걸이(13) 하부에 위치된 걸림부(401)와, 상기 팔걸이(13)의 상부에 위치된 연결축(403)과, 상기 팔걸이(13)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걸림부(401)와 상기 연결축(403)의 일측단을 서로 연결하는 측부연결부(402)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팔걸이(13)가 상기 걸림부(401)와 연결축(403)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면, 상기 받침부재(100)와 그 상부에 놓인 음식물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걸림부(401)에는 상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상기 걸림부(401)가 상기 팔걸이(13)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5연결부재(250)에는 하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상기 제5연결부재(250)가 팔걸이(13)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받침부재(100)와 음식물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걸림부(401)는 상기 팔걸이(13)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긴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길이는 팔걸이(13)에 걸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이면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403)은 상기 걸림부(401)와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3연결부재(230)의 구멍(231a,232a)을 관통한 후 제4연결부재(240)의 구멍(242a)에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4연결부재(400)의 내측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상기 팔걸이(13)는 스포츠 경기가 열리는 경기장마다 그 형상 및 각도가 상이하므로, 상기 팔걸이(13)에 본원고안의 받침대를 거치하였을 때, 받침부재(100)의 위치 및 경사가 상이하게 되고, 이 경우 상기 받침부재(100)가 수평이 되지 않으면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고안은 상기 연결부재(200)와 걸림부재(400) 사이의 회전각도를 설정된 각도만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3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연결부재(200)와 걸림부재(400) 사이의 상대회전을 일측방향으로만 허용하고,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지 않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일례로, 상기 각도조절부재(300)는, 상기 연결축(403)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연결축(403)과 일체로 회전하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돌기(305a)가 형성된 각도조절판(305)과, 힌지부(30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되 상기 돌기(305a)에 단부가 걸림되는 링크(301)와, 상기 링크(301)에서 상기 돌기(305a)에 걸림되는 일측을 상기 힌지부(302)를 중심으로 상방향(도 5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303)와, 상기 링크(301)의 타측이 하방향(도 5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304)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판(305)은 상기 연결축(403)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연결축(303)의 회전시 상기 각도조절판(305)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돌기(305a)는 상기 링크(301)와의 걸림에 의해 상기 각도조절판(305)의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을 허용하는 경사면(305b)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400)와 함께 각도조절판(30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링크(301)의 단부가 상기 돌기(305a)의 경사면(305b)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재(400)와 함께 각도조절판(305)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링크(301)의 단부가 상기 돌기(305a)의 걸림면(305c)에 걸려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원하는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연결축(403)과 이에 결합된 각도조절판(305)이 회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3연결부재(230) 및 이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210)와 받침부재(10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에 의해 회전되거나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힌지부(302)는 상기 제3연결부재(230)의 내측면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상기 힌지부(302)의 타측단에 상기 링크(301)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링크(301)는 상기 힌지부(302)를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303)는 일례로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일측단은 상기 제3연결부재(23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링크(301)에서 상기 돌기(305a)에 걸림되는 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부(302)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 5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상기 링크(301)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304)는 상기 제3연결부재(230)의 내측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힌지부(302)를 중심으로 상기 돌기(305a)에 걸림되는 부분의 대향되는 타측이 하방향(도 5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링크(301)가 상기 스토퍼(304)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링크(301)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링크(301)와 돌기(305a)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링크(301)의 상단부를 잡고 시계방향(도 5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링크(301)의 하단부가 돌기(305a)로부터 이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링크(301)의 상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연결부재(230)의 상단부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부(150)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좌석에 앉아 있다가 일어나는 경우 상기 받침부재(100)에 몸이 부딪히므로 상기 받침부재(100)와의 간섭을 회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부재(100)와 상기 연결부재(20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받침부재(1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부(15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회전부(150)는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의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25)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25)는 제1연결부재(210)의 전방 단부와 제2연결부재(220)의 전방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150)는, 상측 단부가 상기 받침부재(100)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측 단부가 볼(ball)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부가 형성된 조인트부(151), 상기 조인트부(151)의 볼부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조인트부(151)가 회전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152)와, 상기 하우징부(152)의 몸체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입되되 회전시 내측 끝단이 상기 볼부에 접촉되어 상기 조인트부(151)의 회전을 구속하는 고정나사(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나사(153)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나사(153)의 끝단이 상기 볼부에 접촉되어 상기 받침부재(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할 수 있고, 상기 고정나사(153)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나사(153)의 끝단이 상기 볼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받침부재(100)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사용자가 받침부재(100)를 원하는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받침부재(100)는 수평방향으로의 회전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의 회전도 가능하므로, 경기장마다 팔걸이(13)의 형상 및 각도가 상이한 경우 상기 각도조절부재(300)와 함께 받침부재(100)에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놓을 수 있도록 수평상태로 조절하기가 용이하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부(1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부(150)는 슬라이드부재(160)를 매개로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60)는 일측에 상기 제1연결부재(210)가 관통 삽입되어 있고, 타측에 상기 제2연결부재(220)가 관통 삽입되어 있어, 상기 받침부재(100)와 회전부(150) 및 슬라이드부재(160)가 일체로 상기 제1연결부재(210) 및 제2연결부재(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제1,제2연결부재(210,220)는 슬라이드부재(160)의 관통구멍에 압입되는 정도로 삽입되어 있어, 별도의 스토퍼가 없이도 받침부재(100)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음식물을 높은 받침부재(100)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여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를 구성하면,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의자(10)의 팔걸이(13)에 거치가 가능하여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놓을 수 있으며, 받침부재(100)를 반으로 접어 사용하거나 회전시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석이 용이해진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받침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받침부재(100-1)는, 제1받침부(101-1)와 제2받침부(102-1) 및 절첩부(103-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받침부재(100-1)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소정 높이로 플랜지부(104-1)가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음식물이 받침부재(100-1) 상면에 안착된 경우 받침부재(100-1)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받침부(101-1)에는 음료수 등이 담긴 컵이 안착되는 컵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컵 안착부에는, 제1받침부(101-1)와 제2받침부(102-1)의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 형상의 컵홀더부(107-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컵홀더부(107-1)의 하단에는 컵을 지지하기 위한 컵지지부(105-1)가 구비된다.
상기 컵지지부(105-1)는, 컵이 컵홀더부(107-1)의 내측에 안착되었을 때 컵의 측면을 지지하는 컵측면지지부(105a-1)와, 상기 컵측면지지부(105a-1)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컵의 저면을 지지하는 컵저면지지부(105b-1)로 이루어지되, 컵홀더부(107-1)의 하단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대칭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컵홀더부(107-1)와 상기 컵지지부(105-1)는 힌지핀(106-1)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컵지지부(105-1)는 상기 힌지핀(106-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컵지지부(105-1)는 탄성부재(108-1)에 의해 컵홀더부(107-1)의 내측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108-1)는, 일례로 공지의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의 중심부 내측 공간으로 상기 힌지핀(106-1)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단은 상기 컵홀더부(107-1)의 외측면에 지지되고 타측단이 상기 컵측면지지부(105a-1)의 외측면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이 컵홀더부(107-1)에 안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한 쌍의 컵지지부(105-1)는 탄성부재(108-1)의 탄성력에 의해 컵홀더부(107-1)의 내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힌지축(106-1)을 중심으로 컵홀더부(107-1) 내측을 향해 상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컵을 컵홀더부(107-1) 내측에 안착시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컵지지부(105-1)는 컵의 무게에 의해 힌지축(106-1)을 중심으로 컵홀더부(107-1) 외측을 향해 하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컵측면지지부(105a-1)는 컵의 하단 외측면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컵저면지지부(105b-1)는 컵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컵홀더부(107-1)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되어 있어, 컵의 형상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컵홀더부(107-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호환성있게 컵을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컵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컵홀더부(107-1)의 깊이도 컵의 길이에 대응하여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컵홀더부(107-1)의 저면이 막힌 구조로 하게 되면,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를 보관하는 경우 받침부재(100)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양이 많아져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의 보관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컵홀더부(107-1)의 하측에 컵지지부(105-1)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길이가 긴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를 보관하는 경우 부피가 작아지게 하여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 : 의자 11 : 등받이
12 : 좌석부 13 : 팔걸이
100 : 받침부재 101 : 제1받침부
102 : 제2받침부 103 : 절첩부
150 : 회전부 151 : 조인트부
152 : 하우징부 153 : 고정나사
160 : 슬라이드부재 200 : 연결부재
210 : 제1연결부재 220 : 제2연결부재
230 : 제3연결부재 231 : 제1외측몸체
232 : 제1내측몸체 240 : 제4연결부재
241 : 제2외측몸체 242 : 제2내측몸체
250 : 제5연결부재 300 : 각도조절부재
301 : 링크 302 : 힌지부
303 : 탄성부재 304 : 스토퍼
305 : 각도조절판 305a : 돌기
305b : 경사면 400 : 걸림부재
401 : 걸림부 402 : 측부연결부
403 : 연결축 105-1 : 컵지지부
105a-1 : 컵측면지지부 105b-1 : 컵저면지지부
106-1 : 힌지축 107-1 : 컵홀더부
108-1 : 탄성부재

Claims (13)

  1. 상면에 음식물이 놓여지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받침부재(100);
    상기 받침부재(100)의 하중으로 인해 팔걸이(13)에 걸림되는 걸림부재(400);
    일측단이 상기 받침부재(100)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걸림부재(4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200);
    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부재(400)는,
    상기 의자의 팔걸이(13)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팔걸이(13)의 저면에 걸림되도록 상기 팔걸이(13)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부(401);
    상기 팔걸이(13)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걸림부(401)와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재(2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축(403);
    상기 팔걸이(13)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걸림부(401)와 상기 연결축(403)의 일측단을 서로 연결하는 측부연결부(4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200)는,
    긴 로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부재(100)의 일측과 타측의 저면에 전단이 각각 결합된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
    상기 제1연결부재(210)의 후단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축(403)이 회전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제3연결부재(230);
    상기 제3연결부재(230)에 대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220)의 후단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축(403)의 단부가 내측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4연결부재(240);
    로 이루어진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선단에 저면이 결합되는 제1받침부(101);
    상기 제1받침부(101)의 측부에 위치하는 제2받침부(102);
    상기 제1받침부(101)에 대하여 상기 제2받침부(102)를 선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받침부(101)와 제2받침부(102)를 결합하는 절첩부(103);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00)와 상기 연결부재(20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받침부재(1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부(1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50)는,
    상측 단부가 상기 받침부재(100)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측 단부가 볼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부가 형성된 조인트부(151);
    상기 조인트부(151)의 볼부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조인트부(151)가 회전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152);
    상기 하우징부(152)의 몸체를 관통하여 삽입되되 회전시 내측 끝단이 상기 볼부에 접촉되어 상기 조인트부(151)의 회전을 구속하는 고정나사(153);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0)와 걸림부재(400) 사이의 회전각도를 설정된 각도만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200)와 걸림부재(400) 사이의 상대회전을 일측방향으로만 허용하는 각도조절부재(3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300)는,
    상기 연결축(403)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축(403)과 일체로 회전하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돌기(305a)가 형성된 각도조절판(305);
    상기 제3연결부재(230)의 내측면에 고정된 힌지부(302)를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되, 상기 돌기(305a)에 단부가 걸림되는 링크(301);
    상기 링크(301)가 상기 돌기(305a)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303);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305a)는 상기 각도조절판(305)의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을 허용하는 경사면(305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300)는,
    상기 탄성부재(30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링크(301)가 상기 힌지부(30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3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301)의 상단부는 상기 제3연결부재(230)의 상단부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0)는, 긴 로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부재(100)의 일측과 타측의 저면에 전단이 각각 결합된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1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150)는 상기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의 단부가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삽입되는 슬라이드부재(16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100)와 회전부(150) 및 슬라이드부재(160)가 일체로 상기 제1연결부재(210) 및 제2연결부재(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00)에는 컵이 안착되는 컵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컵안착부는,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 형상의 컵홀더부(107-1)와, 상기 컵홀더부(107-1)의 하단에 힌지축(106-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컵의 측면을 지지하는 컵측면지지부(105a-1)와 컵의 저면을 지지하는 컵저면지지부(105b-1)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한 쌍의 컵지지부(105-1)와, 상기 컵지지부(105-1)를 상기 컵홀더부(107-1)의 내측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108-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08-1)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단은 상기 컵홀더부(107-1)의 외측면에 지지되고 타측단이 상기 컵측면지지부(105a-1)의 외측면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KR2020140003860U 2014-05-20 2014-05-20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KR2004794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860U KR200479411Y1 (ko) 2014-05-20 2014-05-20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860U KR200479411Y1 (ko) 2014-05-20 2014-05-20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69U KR20150004269U (ko) 2015-11-30
KR200479411Y1 true KR200479411Y1 (ko) 2016-01-28

Family

ID=54868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860U KR200479411Y1 (ko) 2014-05-20 2014-05-20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41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3946A1 (en) * 2006-09-21 2008-03-27 Kathie Maione Adjusting mechanism for a chair mounted keyboard and mouse platform
US20130180940A1 (en) * 2012-01-18 2013-07-18 Hsuan-Chin Tsai Auxiliary Support Installed onto Chair Armrest
KR200470185Y1 (ko) * 2012-01-25 2013-12-02 박영근 식판이 구비된 휠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3946A1 (en) * 2006-09-21 2008-03-27 Kathie Maione Adjusting mechanism for a chair mounted keyboard and mouse platform
US20130180940A1 (en) * 2012-01-18 2013-07-18 Hsuan-Chin Tsai Auxiliary Support Installed onto Chair Armrest
KR200470185Y1 (ko) * 2012-01-25 2013-12-02 박영근 식판이 구비된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69U (ko) 201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2870B2 (en) Adjustable laptop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s
US7530632B2 (en) Seating unit with accessories
JPH042241B2 (ko)
KR20110098442A (ko) 등받이 회동 범위 조절이 가능한 접철식 좌의자
KR101758694B1 (ko) 관람석 시트 부착용 휴대 테이블
KR200479411Y1 (ko) 휴대용 음식물 받침대
RU2739022C1 (ru) Модуль сиденья
US20050067869A1 (en) Removable anatomic seat
JPS63109817A (ja) 椅子
KR101787244B1 (ko) 휴대용 테이블
GB2456044A (en) Rocking chair mechanism comprising springing and rotating parts.
CN204599953U (zh) 儿童座椅及其座椅摇摆机构
US20080296937A1 (en) Seat with retractable tray
KR102196162B1 (ko) 회동가능한 고정부재를 갖는 소파용 트레이
KR102298021B1 (ko) 회전식 선반이 구비된 영화관용 소파
KR102196164B1 (ko) 틸팅 동작으로 컵을 지지하는 컵홀더를 포함하는 소파용 트레이
KR20140038072A (ko)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US20230404263A1 (en) Fire pit furniture
KR101429459B1 (ko)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CN218279099U (zh) 一种椅子及其椅架
US10413075B1 (en) Seats for improving posture and alignment of the spine and methods of achieving the same
US20220088495A1 (en) Video gaming support device
JP6785005B2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
JP2022179634A (ja) ネスティング椅子
US20190343285A1 (en) Chaise lounge with swivel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