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047Y1 - 샤워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샤워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047Y1
KR200479047Y1 KR2020140009165U KR20140009165U KR200479047Y1 KR 200479047 Y1 KR200479047 Y1 KR 200479047Y1 KR 2020140009165 U KR2020140009165 U KR 2020140009165U KR 20140009165 U KR20140009165 U KR 20140009165U KR 200479047 Y1 KR200479047 Y1 KR 200479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older portion
lid
drain hole
show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행
Original Assignee
조영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행 filed Critical 조영행
Priority to KR2020140009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0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0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해 샤워기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는,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만입되어 샤워기 헤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더부와, 홀더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 및 홀더부로부터 연장되며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져 굴절 가능하게 형성된 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샤워기 거치대{Shower holder}
본 고안은 샤워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압으로 인해 샤워기 헤드가 요동하여 물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샤워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안(洗顔) 및 세발(洗髮) 또는 빨랫감의 세척 시 세숫대야 등에 물을 받아 사용한다. 이 때, 수도꼭지를 틀어 세숫대야에 직접 물을 받거나, 욕실의 벽면에 거치된 샤워기를 이용하여 세숫대야에 물을 받을 수 있다. 수도꼭지를 틀어 물을 받는 경우,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된 수도꼭지로 인해 물이 분출되면서 세숫대야의 바닥에 부딪혀 외부에 튀게 되므로, 샤워기를 이용하여 물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샤워기를 이용하여 물을 받는 경우, 샤워기를 손에 파지하지 않으면 수압 및 부력으로 인해 샤워기 헤드가 요동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물이 사방으로 튀어 옷이 젖거나 욕실의 벽면 등에 물이 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요동하는 샤워기 헤드와 충돌하여 타박상을 입을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1290호 2004. 12. 17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압으로 인해 샤워기 헤드가 요동하여 물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샤워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는,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만입되어 샤워기 헤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 및 상기 홀더부로부터 연장되며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져 굴절 가능하게 형성된 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부는, 상기 밴드부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1 홀더부와 제2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부와 상기 제2 홀더부는 상기 개구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홀은, 상기 제1 홀더부에 형성된 제1 배수홀과, 상기 제2 홀더부에 형성된 제2 배수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배수홀은 상기 샤워기 헤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홀더부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수홀은 상기 제2 홀더부의 일 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는 상기 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 및 상기 밴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흡착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부는 상기 개구부의 둘레 중 일부가 오목하게 만입된 거치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홀은 상기 샤워기 헤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부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가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홀더부가 배치될 때, 상기 샤워기 헤드의 양측으로 배치된 상기 배수홀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의 일 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샤워기 헤드를 수납하되 일정한 위치에 거치 가능하므로, 수압 및 부력으로 인해 샤워기 헤드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사방으로 튀는 것뿐만 아니라 요동하는 샤워기 헤드와 충돌하여 타박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샤워기 헤드 이외에도 다양한 용품을 수납하거나 거치할 수 있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샤워기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샤워기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샤워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1)는 샤워기 헤드(도 4의 H 참조)를 수납하여 일정한 위치에 거치시키는 것으로, 여기서, 샤워기 헤드(H)라 함은, 물뿌리개 형상의 분출기를 통하여 물을 뿌리는 통상의 목욕용 기구를 의미한다. 샤워기 거치대(1)는 예를 들어, 욕실의 벽면 또는 욕조에 탈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샤워기 거치대(1)가 욕실의 벽면 또는 욕조에 탈부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한 곳에 활용될 수 있다.
샤워기 거치대(1)는 샤워기 헤드(H)를 수납한 채 일정한 위치에 거치되므로, 수압 및 부력으로 인해 샤워기 헤드(H)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사방으로 튀는 것뿐만 아니라 요동하는 샤워기 헤드(H)와 충돌하여 타박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샤워기 헤드(H) 이외에도 목욕 타월, 휴대폰 등 다양한 용품을 수납하거나 거치할 수 있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샤워기 거치대(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샤워기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샤워기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1)는 샤워기 헤드(H)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부(10)와, 홀더부(10)에 형성되는 배수홀(20), 및 홀더부(10)로부터 연장되는 밴드부(30)를 포함한다.
홀더부(10)는 샤워기 헤드(H)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것으로, 일 측에 개구부(10a)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만입되어 샤워기 헤드(H)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0b)이 형성된다. 즉, 샤워기 헤드(H)는 일부 또는 전부가 개구부(10a)를 통해 수용공간(10b)에 수용된다. 그러나, 홀더부(10)의 일 측에 개구부(10a)가 형성되고, 개구부(10a)를 통해 샤워기 헤드(H)가 수용공간(10b)에 수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개구부(10a)는 홀더부(10)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개구부(10a)를 통해 샤워기 헤드(H)로부터 분출된 물이 유출될 수도 있다. 홀더부(10)는 제1 덮개(11)와 제2 덮개(12)를 포함하며, 제1 덮개(11)와 제2 덮개(12)는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10b)을 형성한다.
제1 덮개(11)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굴절되어 곡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1 덮개(11)는 샤워기 헤드(H)의 일 측면과 접하며, 포물선 형상의 외주면을 따라 제2 덮개(12)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덮개(12)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평면 형상을 이루어 샤워기 헤드(H)의 타 측면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덮개(11)는 내측면이 샤워기 헤드(H)의 상면과 접하고, 제2 덮개(12)는 내측면이 샤워기 헤드(H)의 하면과 접할 수 있다. 여기서, 샤워기 헤드(H)의 상면이라 함은, 물이 배출되지 않는 면을 의미하고, 샤워기 헤드(H)의 하면이라 함은, 물이 배출되는 면을 의미한다. 그러나, 제1 덮개(11)가 샤워기 헤드(H)의 상면과 접하고 제2 덮개(12)가 샤워기 헤드(H)의 하면과 접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덮개(11)가 샤워기 헤드(H)의 하면과 접하고 제2 덮개(12)가 샤워기 헤드(H)의 상면과 접할 수도 있으며, 제1 덮개(11)와 제2 덮개(12)는 각각 샤워기 헤드(H)의 측면과 접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덮개(11)와 제2 덮개(12)는 각각 포물면 형상의 판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덮개(11)는 굴절되어 천장면을 형성하고, 제2 덮개(12)는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 덮개(12)는 제1 덮개(11)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 덮개(11)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일 측에 제1 체결홀(10c)과 제2 체결홀(10d)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홀(10c)과 제2 체결홀(10d)은 제1 덮개(11)의 외측으로 배치되며, 각각 제2 덮개(1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1 체결홀(10c)은 개구부(10a)에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제2 체결홀(10d)은 제1 체결홀(10c)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되 개구부(10a)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홀(10c)은 제2 덮개(12)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향해 단면적이 확장 형성되어 단턱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제1 덮개(11)와 제2 덮개(12)의 형상 및 재질은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덮개(11)와 제2 덮개(12)는 모두 굴절되어 곡면 형상을 이룰 수도 있으며, 실리콘 재질 대신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홀더부(10)가 제1 덮개(11)와 제2 덮개(12)로 분리되는 구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덮개(11)와 제2 덮개(1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홀더부(10)는 일 측에 거치홈(10e)이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홈(10e)은 개구부(10a)의 둘레 중 일부가 오목하게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거치홈(10e)은 제2 덮개(12)와 접하지 않는 제1 덮개(11)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도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부(10)에 거치홈(10e)이 형성됨으로써, 휴대폰을 거치하거나 목욕 타월, 옷 등을 걸어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치홈(10e)은 오목하게 만입되어 형성되므로, 휴대폰이나 목욕 타월 등은 거치홈(10e)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홀더부(10)의 일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20)이 형성된다. 배수홀(20)은 홀더부(1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수용공간(10b)과 외부를 연통한다. 홀더부(10)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20)이 형성됨으로써, 수용공간(10b)에 샤워기 헤드(H)가 수용된 상태라도 배수홀(20)을 통해 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 때, 샤워기 헤드(H)로부터 분출된 물은 배수홀(20)을 통해서만 유출되므로, 물이 사방으로 튀지 않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옷이 젖거나 욕실의 벽면 등에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배수홀(20)은 샤워기 헤드(H)를 사이에 두고 홀더부(10)의 양 측면, 즉, 제1 덮개(11)와 제2 덮개(12)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20)이 홀더부(1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 개구부(10a)가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홀더부(10)가 배치될 때, 샤워기 헤드(H)의 양측으로 배치된 배수홀(20)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덮개(11)에 형성된 배수홀(20)과 제2 덮개(12)에 형성된 배수홀(20)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덮개(11)에 형성된 배수홀(20)은 개구부(10a)로부터 이격되어 수용공간(10b)의 폐쇄된 측에 배치되고, 제2 덮개(12)에 형성된 배수홀(20)은 개구부(10a)로부터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샤워기 헤드(H)로부터 분출된 물의 양에 관계없이 제1 덮개(11)에 형성된 배수홀(20)을 통해 물이 원활하게 유출될 수 있다. 즉, 샤워기 헤드(H)로부터 분출된 물의 양이 적어 수용공간(10b)에 고인 물의 깊이가 얕은 경우, 제1 덮개(11)에 형성된 배수홀(20)을 통해서만 물이 일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반대로, 샤워기 헤드(H)로부터 분출된 물의 양이 많아 수용공간(10b)에 고인 물의 깊이가 깊은 경우, 제1 덮개(11)에 형성된 배수홀(20)과 제2 덮개(12)에 형성된 배수홀(20)을 통해 물이 양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홀더부(1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된 배수홀(20)이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됨으로써, 샤워기 헤드(H)로부터 분출된 물의 양에 따라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물을 유출시킬 수 있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한편, 홀더부(10)의 일 측에는 밴드부(30)가 배치된다. 밴드부(30)는 홀더부(10)로부터 길이 방향(도 1의 x 방향 참조)으로 연장되며,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져 굴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밴드부(3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의 부재로, 가용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굴절될 수 있다. 밴드부(30)는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 즉, 폭 방향(도 1의 y 방향 참조)으로 굴절될 수 있으며, 밴드부(30)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밴드부(30)의 굴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만입홈(30a)이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30)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만입홈(30a)이 형성됨으로써, 밴드부(30)는 더욱 유연하게 굴절될 수 있다. 만입홈(30a)은 밴드부(30)의 중앙과, 밴드부(3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밴드부(30)의 하면에 3개의 만입홈(30a)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만입홈(30a)의 배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만입홈(30a)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밴드부(30)에는 밴드부(30)의 상면과 하면을 완전히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30b)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30b)이 형성됨으로써, 물기 또는 욕실 내 습기 등으로 인해 미끄러워 사용자가 밴드부(30)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각각의 관통홀(30b)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밴드부(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되 폭 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관통홀(30b)의 형상 및 배치 상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관통홀(30b)은 정방형, 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되어 밴드부(3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장방형의 관통홀(30b)은 한 쌍이 서로 교차하며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밴드부(30)에 관통홀(30b)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관통홀(30b)은 생략될 수도 있다.
밴드부(30)의 하면과 상면 중 어느 일면에는 전술한 홀더부(10)와 체결되는 제1 체결돌기(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밴드부(30)의 하면에 제1 체결돌기(31)가 형성된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제1 체결돌기(31)는 밴드부(30)의 하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며, 밴드부(30)의 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돌기(31)는 밴드부(30)의 양단부 측에 각각 배치되며, 홀더부(10)의 제1 체결홀(10c)과 체결되는 단부가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돌기(31)의 단부가 확장 형성됨으로써, 제1 체결돌기(31)는 단턱 구조의 제1 체결홀(10c)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체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체결홀(10c)이 단턱 구조를 이루고, 제1 체결돌기(31)의 단부가 확장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밴드부(30)와 홀더부(10)를 체결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부(10)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밴드부(30)에 체결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체결돌기(31)의 일 측에는 후술할 흡착판(40)과 체결되는 제2 체결돌기(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돌기(32)는 제1 체결돌기(31)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되 제1 체결돌기(31)보다 내측에 배치되며, 제1 체결돌기(31)와 같이 밴드부(30)의 하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체결돌기(32)는 제1 체결돌기(31)보다 높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체결돌기(31)의 일 측에 제2 체결돌기(32)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2 체결돌기(32)는 생략될 수도 있다.
홀더부(10)는 밴드부(30)의 적어도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밴드부(3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1 홀더부(101)와 제2 홀더부(102)를 포함한다. 제1 홀더부(101)는 밴드부(3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홀더부(102)는 밴드부(3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제1 홀더부(101)와 제2 홀더부(102)는 개구부(10a)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배수홀(20)은 제1 홀더부(101)에 형성되는 제1 배수홀(21)과 제2 홀더부(102)에 형성되는 제2 배수홀(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수홀(21)은 샤워기 헤드(H)를 사이에 두고 제1 홀더부(101)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배수홀(22)은 제2 홀더부(102)의 일 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배수홀(21)은 제1 홀더부(101)의 제1 덮개(11)와 제2 덮개(12)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배수홀(22)은 제2 홀더부(102)의 제1 덮개(11)와 제2 덮개(12)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부(101)의 제1 덮개(11)에 형성된 제1 배수홀(21)과 제1 홀더부(101)의 제2 덮개(12)에 형성된 제1 배수홀(21)은 같은 높이에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덮개(11)에 형성된 제1 배수홀(21)과 제2 덮개(12)에 형성된 제1 배수홀(21)이 모두 개구부(10a)로부터 이격되어 같은 높이에 배치되는 경우, 수용공간(10b)에 고인 물의 양이 적더라도 각각의 제1 배수홀(21)을 통해 양 방향으로 물이 유출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1 덮개(11)에 형성된 제1 배수홀(21)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 덮개(12)에 형성된 제1 배수홀(21)이 장방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배수홀(21)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2 배수홀(22)은 제1 덮개(11)와 제2 덮개(1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수용공간(10b)에 고인 물을 유출시킬 수 있다. 제2 배수홀(22)은 제2 홀더부(102)의 개구부(10a)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홀더부(102)의 제1 덮개(11)와 제2 덮개(12)에 각각 제2 배수홀(22)이 형성되고, 제1 덮개(11)에 형성된 제2 배수홀(22)과 제2 덮개(12)에 형성된 제2 배수홀(22)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구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제2 홀더부(102)의 제1 덮개(11)에 형성된 제2 배수홀(22)과 제2 홀더부(102)의 제2 덮개(12)에 형성된 제2 배수홀(22)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여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10b)에 고인 물의 양이 적은 경우, 낮은 높이에 위치한 제2 배수홀(22)을 통해서만 물이 일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으며, 반대로, 수용공간(10b)에 고인 물의 양이 많은 경우, 각각의 제2 배수홀(22)을 통해 물이 양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1 덮개(11)에 형성된 제2 배수홀(22)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 덮개(12)에 형성된 제2 배수홀(22)이 장방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2 배수홀(22)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홀더부(10) 및 밴드부(30) 중 적어도 하나에는 흡착판(40)이 결합될 수 있다. 흡착판(40)은 홀더부(10) 또는 밴드부(30)를 욕실의 벽면이나 바닥면, 욕조, 세숫대야 등에 부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압착하여 사용하는 통상의 흡착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홀더부(10)에 흡착판(40)이 결합되는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흡착판(40)은 홀더부(10)의 일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부착면에 압착되는 흡착부(41)와, 흡착부(41)로부터 연장되어 가압되는 가압부(42)를 포함한다. 가압부(42)는 제2 덮개(12)의 제2 체결홀(10d)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단부가 확장 형성되어 제2 체결홀(10d)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압부(42)가 제2 체결홀(10d)에 삽입되어 흡착판(40)과 홀더부(10)가 결합되면, 흡착부(41)는 홀더부(10)의 하방에 위치하고, 가압부(42)는 상면이 밴드부(30)의 제2 체결돌기(32)와 접할 수 있다. 이 때, 가압부(42)는 제2 체결돌기(32)와 접하는 상면이 내측으로 일부 만입 형성되어 제2 체결돌기(32)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밴드부(30)와 홀더부(10), 및 흡착판(40)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즉, 홀더부(10)의 수용공간(10b)과 밴드부(30)가 동일 선상에서 연장되는 경우, 제1 체결돌기(31)는 제1 체결홀(10c)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2 체결돌기(32)는 제2 체결홀(10d)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홀더부(10)가 회전하여 수용공간(10b)과 밴드부(30)가 서로 동일 선상에 연장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수용공간(10b)과 밴드부(30)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 제1 체결돌기(31)는 제1 체결홀(10c)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2 체결돌기(32)는 제2 체결홀(10d)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흡착판(40)이 홀더부(10)의 일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흡착부(41)를 홀더부(1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결합할 수도 있으며, 장기간 사용으로 압착력이 저하된 경우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홀더부(10)의 일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50)가 결합될 수 있다. 고리부(5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덮개(11) 또는 제2 덮개(12)와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2 덮개(12)의 대향된 양 측에 각각 고리부(50)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고리부(50)의 배치 위치, 형상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샤워기 거치대(1)의 사용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샤워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1)는 샤워기 헤드(H)를 수납하되 일정한 위치에 거치 가능하므로, 수압 및 부력으로 인해 샤워기 헤드(H)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사방으로 튀는 것뿐만 아니라 요동하는 샤워기 헤드(H)와 충돌하여 타박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샤워기 헤드(H) 이외에도 목욕 타월, 휴대폰 등 다양한 용품을 수납하거나 거치할 수 있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4의 (a)는 제1 홀더부의 수용공간에 샤워기 헤드가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제1 배수홀을 통해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홀더부(101)와 제2 홀더부(102)는 각각 밴드부(30)의 양단에 결합되며, 제1 홀더부(101)에 체결되는 흡착판(40)은 욕조의 내측면에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더부(101)는 욕조의 내부에 위치하고, 밴드부(30)는 굴절되어 제2 홀더부(102)를 욕조의 외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샤워기 헤드(H)는 제1 홀더부(101)의 수용공간(10b)에 수용될 수 있으며,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분출시킬 수 있다. 이 때, 샤워기 헤드(H)의 상면은 제1 덮개(11)와 접하고, 샤워기 헤드(H)의 하면은 제2 덮개(12)와 접할 수 있다. 제1 홀더부(101)는 제1 덮개(11)와 제2 덮개(12)에 각각 제1 배수홀(21)이 형성되며, 제1 덮개(11)에 형성된 제1 배수홀(21)과 제2 덮개(12)에 형성된 제1 배수홀(21)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0a)로부터 이격되어 같은 높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샤워기 헤드(H)로부터 분출된 물은 제1 덮개(11)와 제2 덮개(12)에 각각 형성된 제1 배수홀(2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며, 이로 인해, 욕조에는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배수홀(21)은 개구부(10a)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샤워기 헤드(H)로부터 분출된 물의 양이 적어 수용공간(10b)에 고인 물의 양이 적더라도 각각의 제1 배수홀(21)을 통해 물이 유출될 수 있다.
도 5는 (a)는 제2 홀더부의 수용공간에 샤워기 헤드가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제2 배수홀을 통해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홀더부(101)와 제2 홀더부(102)는 각각 밴드부(30)의 양단에 결합되며, 제1 홀더부(101)에 체결되는 흡착판(40)은 욕조의 내측면에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더부(101)는 욕조의 내부에 위치하고, 밴드부(30)는 굴절되어 제2 홀더부(102)를 욕조의 외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샤워기 헤드(H)는 제2 홀더부(102)의 수용공간(10b)에 수용될 수 있으며,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분출시킬 수 있다. 이 때, 샤워기 헤드(H)의 상면은 제1 덮개(11)와 접하고, 샤워기 헤드(H)의 하면은 제2 덮개(12)와 접할 수 있다. 제2 홀더부(102)는 제1 덮개(11)와 제2 덮개(12)에 각각 제2 배수홀(22)이 형성되며, 제1 덮개(11)에 형성된 제2 배수홀(22)과 제2 덮개(12)에 형성된 제2 배수홀(22)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여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덮개(11)에 형성된 제2 배수홀(22)은 개구부(10a)로부터 이격되어 수용공간(10b)의 폐쇄된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덮개(12)에 형성된 제2 배수홀(22)은 개구부(10a)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샤워기 헤드(H)로부터 분출된 물의 양이 적어 수용공간(10b)에 고인 물의 깊이가 얕은 경우, 제1 덮개(11)에 형성된 제2 배수홀(22)을 통해서만 물이 유출되며, 이로 인해, 욕조의 외측에 배치된 세숫대야에 물이 채워질 수 있다. 반대로, 샤워기 헤드(H)로부터 분출된 물의 양이 많아 수용공간(10b)에 고인 물의 깊이가 깊은 경우, 제1 덮개(11)에 형성된 제2 배수홀(22) 뿐만 아니라 제2 덮개(12)에 형성된 제2 배수홀(22)을 통해서도 물이 유출될 수 있다.
도 6은 제1 홀더부와 제2 홀더부가 밴드부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홀더부(101)와 제2 홀더부(102)는 밴드부(30)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회전하여 밴드부(30)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홀더부(101)와 제2 홀더부(102)는 각각 제1 체결홀(10c)에 삽입된 제1 체결돌기(3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밴드부(30)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밴드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의 벽면과 벽면이 직교하는 모서리 부분을 따라 굴절되어, 양단이 각각 서로 다른 벽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홀더부(101)는 욕실의 일 측 벽면에 배치되고, 제2 홀더부(102)는 욕실의 타 측 벽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홀더부(101)에 체결된 흡착판(40)과 제2 홀더부(102)에 체결된 흡착판(40)은 각각 욕실의 일 측 벽면과 타 측 벽면에 압착되되, 수도꼭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흡착판(40)이 수도꼭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밴드부(30)와 제1 홀더부(101) 및 제2 홀더부(102)가 수도꼭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홀더부(101) 또는 제2 홀더부(102)에 수용된 샤워기 헤드(H)로부터 분출된 물이 제1 배수홀(21) 또는 제2 배수홀(22)을 통해 유출될 때, 물이 낙하하는 거리가 감소하여 물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배수홀(21) 또는 제2 배수홀(22)을 통해 유출된 물은 세숫대야 등에 채워질 수 있다.
한편, 제2 홀더부(102)에 샤워기 헤드(H)가 수용된 경우, 제1 홀더부(101)에는 물기를 머금고 있는 샤워 타월 등이 수용될 수 있으며, 제1 배수홀(21)을 통해 물이 빠져 샤워 타월이 건조될 수 있다.
도 7은 제1 홀더부가 밴드부로부터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홀더부(101)는 밴드부(30)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배치되고, 제2 홀더부(102)는 밴드부(30)의 타단에 결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더부(101)는 고리부(50) 또는 제2 체결돌기(32)에 체결된 흡착판(40)을 통해 욕실의 벽면에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홀더부(101)에 형성된 거치홈(10e)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특히, 스마트폰이 거치될 수 있다. 거치홈(10e)은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므로, 스마트폰의 양 측을 각각 지지하여 스마트폰을 평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직접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크린을 터치하여 동작하거나 스크린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제2 홀더부(102)에는 샤워기 헤드(H)가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제2 홀더부(102)에 체결된 흡착판(40)은 사용자의 키보다 놓은 위치에 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샤워기 헤드(H)를 직접 파지하지 않고 직립한 채로 샤워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홀더부(101) 또는 제2 홀더부(102)가 욕조, 욕실의 벽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홀더부(101) 또는 제2 홀더부(102)는 욕실의 바닥면, 세숫대야 등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샤워기 거치대 10: 홀더부
10a: 개구부 10b: 수용공간
10c: 제1 체결홀 10d: 제2 체결홀
10e: 거치홈 11: 제1 덮개
12: 제2 덮개 101: 제1 홀더부
102: 제2 홀더부 20: 배수홀
21: 제1 배수홀 22: 제2 배수홀
30: 밴드부 30a: 만입홈
30b: 관통홀 31: 제1 체결돌기
32: 제2 체결돌기 40: 흡착판
41: 흡착부 42: 가압부
50: 고리부 H: 샤워기 헤드

Claims (10)

  1.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만입되어 샤워기 헤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더부;
    상기 홀더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 및
    띠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져 굴절 가능하게 형성된 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부는, 상기 밴드부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1 홀더부와 제2 홀더부를 포함하는 샤워기 거치대.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부와 상기 제2 홀더부는 상기 개구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샤워기 거치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제1 홀더부에 형성된 제1 배수홀과, 상기 제2 홀더부에 형성된 제2 배수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배수홀은 상기 샤워기 헤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홀더부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수홀은 상기 제2 홀더부의 일 측면에만 형성되는 샤워기 거치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워기 거치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 및 상기 밴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흡착판을 더 포함하는 샤워기 거치대.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개구부의 둘레 중 일부가 오목하게 만입된 거치홈을 더 포함하는 샤워기 거치대.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샤워기 헤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부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샤워기 거치대.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홀더부가 배치될 때, 상기 샤워기 헤드의 양측으로 배치된 상기 배수홀은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는 샤워기 거치대.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일 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샤워기 거치대.
KR2020140009165U 2014-12-11 2014-12-11 샤워기 거치대 KR200479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165U KR200479047Y1 (ko) 2014-12-11 2014-12-11 샤워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165U KR200479047Y1 (ko) 2014-12-11 2014-12-11 샤워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047Y1 true KR200479047Y1 (ko) 2015-12-11

Family

ID=5502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165U KR200479047Y1 (ko) 2014-12-11 2014-12-11 샤워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0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640B1 (ko) * 2016-12-01 2018-05-17 이향제 샤워기 헤드 거치 기능을 가지는 홀더
KR20220005753A (ko) * 2020-07-07 2022-01-14 한국전력공사 슬리브커버용 절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1Y1 (ko) * 2000-03-23 2000-10-16 김용진 샤워기 고정홀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1Y1 (ko) * 2000-03-23 2000-10-16 김용진 샤워기 고정홀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참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640B1 (ko) * 2016-12-01 2018-05-17 이향제 샤워기 헤드 거치 기능을 가지는 홀더
KR20220005753A (ko) * 2020-07-07 2022-01-14 한국전력공사 슬리브커버용 절연 장치
KR102422050B1 (ko) * 2020-07-07 2022-07-21 한국전력공사 슬리브커버용 절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047Y1 (ko) 샤워기 거치대
JP2013248611A (ja) 洗浄容器組立品
KR101556145B1 (ko) 배수구용 악취 차단 마개
JPH10102559A (ja) 流し台
KR200491227Y1 (ko) 샤워기 거치 구조를 갖는 용기
JP2016501569A (ja) シャワーヘッド用ホルダー
KR100900693B1 (ko) 개선된 비누 받침대
KR101953475B1 (ko) 세제 용기가 내장된 목욕타월
KR101858640B1 (ko) 샤워기 헤드 거치 기능을 가지는 홀더
KR200466987Y1 (ko) 비누케이스 조립체
KR200440468Y1 (ko) 세움대가 설치된 샤워기 헤드
KR101037224B1 (ko) 세제 용기
KR200286619Y1 (ko) 유아용 욕조 세트
KR101153433B1 (ko) 비누 받침대
KR200461051Y1 (ko) 세면대용 빨래판
KR200468883Y1 (ko) 손잡이를 구비한 소형 빨래판
KR101342233B1 (ko) 용기 보관형 수세미 어셈블리
KR200323913Y1 (ko) 샤워기 지지장치
KR101542246B1 (ko) 샤워기 헤드 홀더
KR200470915Y1 (ko) 비눗갑
KR101249455B1 (ko) 샤워기 거치대
JP2017089317A (ja) 排水部の汚れ除去装置
CN216317228U (zh) 杯盖、搅拌杯组件及食物料理机
JPH054360Y2 (ko)
CN210077587U (zh) 一种复合式水槽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